KR101669430B1 -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430B1
KR101669430B1 KR1020120000797A KR20120000797A KR101669430B1 KR 101669430 B1 KR101669430 B1 KR 101669430B1 KR 1020120000797 A KR1020120000797 A KR 1020120000797A KR 20120000797 A KR20120000797 A KR 20120000797A KR 101669430 B1 KR101669430 B1 KR 101669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sensor
optical
lens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077A (ko
Inventor
조창호
Original Assignee
조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호 filed Critical 조창호
Priority to KR102012000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4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광학적 방식에 의한 치열 및 잇몸 등의 영상 취득 장치로서, 광학적 선형 영상 센서 모듈을 치열 내지 잇몸을 따라 이동하는 방법을 통하여 복잡한 구강 구조에 치아를 중심으로 한 영상 및 잇몸 상태의 영상을 취득하도록 된 장치에 대한 것이다.
광학적 선형 영상 센서 모듈은 광학적 영상 센서를 포함하여 결상하기 위한 결상 광학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구강부위의 표면을 중심으로 한 영상을 취득하는 것이므로, 적절한 조명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이를 운용하기 위한 기술을 포함하여, 치열을 따라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한 가이더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사용하여, 치아 및 잇몸의 국부적인 영상을 포함하여 전체의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환자에게 신뢰성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와의 소통이 용이하여 보다 심도 깊은 치료에 다가가기 쉬운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Dental Optical Image System}
치과 분야의 치료 및 환자의 상태를 광학적 영상을 통하여 보여 주는 장치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광학적, 전자 및 기타 기술 분야.
광학적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학 기술 및 영상 데이터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이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설계 기술 및 구현하기 위한 정밀 광기계 설계 기술
구강구조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치아 혹은 잇몸과 관련된 다양의 환자의 증상을 확인하고, 그 자료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고된 일이다. NMR 영상이나, X-Ray 영상과 달리 광학적 수단에 의한 영상은, 복잡한 구강 내외의 치아 상태나 잇몸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광학적 영상을 통하여 증상을 설명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환자 자신의 경우, 통증 및 기타 증상을 설명하고 이를 치료하기 위한 의사 등과 의사 소통을 쉽게 할 수 있어, 광학적 영상 자료를 얻는 것은 좋은 일이라 할 수 있다.
구강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광학적 영상을 통하여 살펴야 할 부위는 단면이 아니고, 치아를 중심으로 치아의 앞면 및 뒷면 그리고, 치아의 끝면 등을 포함하여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잇몸 부분 등을 관찰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직접적으로 육안으로 관찰하는데 장애가 되는 구조로서, 특히 치아의 부분에 있어서도, 구강 내부의 부분을 확인하는 것은 구조적 장애로 인한 어려움이 매우 심하다.
또한, 구강의 크기가 사람에 따라 다르다 하더라도, 통상의 기술에 보더라도 매우 협소하여, 한 눈에 다양한 부위를 관찰하거나 광학적 영상을 확보하는데도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치아 및 잇몸을 중심으로 한 구강 내외의 면은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광학적 영상 센서를 통하여, 광학적 데이터를 얻도록 한다. 광학적 영상 센서 모듈은 한 방향으로 길게 나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광학 센서 모듈로 구성되어, 기구적 수단에 의하여 선형 영상 센서모듈을 구강 내외의 곡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영상을 취득하도록 한다. 선형 영상 센서 모듈은 영상 센서에 각종 렌즈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이 광학적 영상 센서에 결상되도록 하고, 각종 렌즈 장치는 선형 영상 센서에 적절하게 결상이 가능하도록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혹은 비구면 렌즈 혹은 이러한 렌즈의 개별 혹은 결합으로 구성하여 협소한 구강 내에서 충분히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짧은 촛점거리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과 함께, 장치가 구강 내외의 구간에서 이동하면서, 조명이 필요하므로 각종 발광 소자와 광소자로 구성되어 주사하기 위하여 이동하면서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면에 적절한 조광을 하도록 구성된 구조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치아의 안쪽 및 바깥 쪽 면을 동시에 주사하거나 혹은 필요에 의하여, 선형 영상 센서 모듈 및 선형 영상 센서 모듈을 이동시키는 가이더 등을 2개 이상 구성하여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치료를 담당하는 의료진의 입장에서는 일차적으로 구조적으로 치료 부위 등을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치료 부위가 국소적인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전체적인 상태를 살펴 볼 수 있어,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 및 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구강 내외의 치료 전 후의 증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환자와 의료진 간의 의사 소통의 쉽게 할 수 있어, 환자의 심리적 안정화를 가져올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을 부여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의료진의 경우, 환자의 환부를 쉽게 전체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치료를 할 수 있어, 치료에 집중할 수 있는 이로움이 있다.
치아 및 잇몸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로움과 함께, X-Ray 영상 및 NMR 영상 등과 결합하여, 치근의 상태 등의 정보와 결합하면, 보다 근원적인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도1 종래의 치과에서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의 일례
도2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장치의 개념도
도3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장치의 한 부분으로서 영상 센서 모듈(image sensor module)의 구성 실시의 한 예
도4 는 구강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부위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는 장치를 이용하여 구강 부위의 영상을 취득하여 사용하기 위한 일례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로서, 예를 구체적으로 들면 윗 치아 및 아래 치아와 이를 지탱하는 윗잇몸과 아래 잇몸의 한 면의 광학적 영상을 얻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의 끝 면의 광학적 영상을 얻기 위한 응용의 일례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인간의 건강에 매우 밀접한 관계를 하는 구강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는 영양 섭취를 위한 제1차 기관이고, 그리고 언어 소통을 위한 기관임과 동시에 두뇌와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작은 통증도 신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강의 구조는 매우 복잡함은 물론이고, 구강 내외를 치료하기 위하여는 살펴야 할 부위가 한 면이 아니라, 치아를 중심으로 앞면, 뒷면 그리고 윗면, 또한 아랫 부위의 치아 등 다양한 부위를 관찰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치아를 지지하는 잇몸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즉 도 4와 같이 구강 구조를 살펴보면, 통상의 방법으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범위는 렌즈의 앞 부분의 일부분에 불과하므로, 실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또한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서 매우 작은 영역만을 관찰할 수 있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구강 구조에 의하면, 구강에 전면과 후면을 동시에 볼 수 없는 어려움이 있으며, 구강 내의 잇몸이 곡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어, 쉽게 전체의 구강을 한 번에 볼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 위치에서 좌측, 중앙, 우측의 잇몸을 동시에 볼 수 없음은 물론, 상측 및 하측을 동시에 볼 수 없으며, 즉 입술을 중심으로 윗잇몸과 아래 잇몸이 있고, 잇몸에 각각 치아가 결합되어 있으며, 사람의 특성에 따라서 입을 크게 벌릴 수 있는 사람이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 등의 개성차가 존재하여, 다양한 치공구 즉 치과용 거울을 사용하거나 도1과 같은 형상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여 구강 내의 치아 내지 잇몸의 일부의 영상을 취하고 있을 뿐이다.
특히, 광학적 영상은 오랜 전통적인 방법으로 치과용 거울 등을 통한 육안 확인 방법이 일차적이고 또한 전부인 방법으로 채택되어 왔다. 육안에 의한 관찰 방법의 장점은 X-Ray 등의 영상에 의한 경우는 치아의 형태를 위주로 치근의 상태등을 주로 관찰하기 용이하나, 잇몸의 상태로서 바이러스의 감염이나, 기타 상처에 의한 치료를 경우와 치석 제거 등과 같이 구강 내의 이물질이나 기계적 기구적 방법을 동원하는데 매우 중요한 관찰 내지 확인 수단이다.
또한 종래의 육안으로 관측하는 방법은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는 영상 자료를 확인할 수 없어 치료 결과를 가지고 확인하거나, 불완전 치료 내지 보완으로 인한 불편에 대한 의사 표시 내지 환자와 의사와의 의사 소통의 불편함을 해소하기가 쉽지 않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특히, 치료 전후의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어려움과 신뢰성에도 많이 부족하였다.
상기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의 영상 처리 소자의 개발로 인하여, 도1과 같은 장치가 사용되어 조금이나마, 그런 어려움을 감소시키게 되었다.
도1의 장치의 동작 및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영상 센서로서 CCD image sensor 혹은 CMOS image sensor 등이 통상 많이 사용되어 바람직하며, 다른 형태의 광학적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적 image 센서와 함께 소형 렌즈를 갖추고 있어 렌즈를 통하여 외부 광학적 물체를 광학적 이미지 센서에 영상을 맺히게 한다. 통상의 경우, 광학적 이미지 센서에서 얻게 되는 광학적 영상 자료는 전자적 기술에 의하여 컴퓨터 등과의 연결에 의해, 자료를 전송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위하여 조명이 필요하고, 올바른 영상을 얻고자 하는 부위에 빛을 조사하기 위하여 LED 광원을 갖추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광학적 수단에 의하여 밝고 균일하고 넓게 조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각종의 부가 장치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및 컴퓨터와의 연결(interface)장치 등과 각종 전원 연결부위 와 신호선의 처리 및 메모리 장치 등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의 원리를 살펴보면, 우선 영상을 얻고자하는 부위로 장치를 가져가게 되고, 그 부위에 LED를 조사하여 부위의 밝기가 적절하게 되면, 원하는 부위의 광학적 특성이 렌즈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이 영상 센서에 맺히게 된다. 이때 부위의 밝기나 너무 강하면, 영상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 없으며, 너무 어두우면 제대로 자세하게 볼 수 없게 되어 적절한 영상을 얻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보고자 하는 물체의 부위와 렌즈 그리고 영상 센서 간의 거리간의 조합은 렌즈와 물체 간의 거리(a), 렌즈와 영상 간의 거리(b), 초점거리(f)의 관계는
1/f = 1/a + 1/b
를 형성하여야 정확한 영상(image)가 구성되게 된다. 통상 장치가 구성되면, 줌장치(zoom system)의 경우에는 초점 거리가 바뀌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초점거리가 고정되게 되고,렌즈로부터 영상 위치 간의 거리가 한 장치에서 고정되므로, 적절한 위치를 확보하여야 선명한 영상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렌즈를 구성하여,장치를 구성하여야 각각의 영상 센서와 관찰하고자 하는 부위 즉 물체 간의 적절한 관계가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줌장치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실제에 있어서는 변할 수 있는 초점거리의 변화 범위가 있게 되어 볼 수 있는 물체 크기 혹은 관측하고자 하는 구강 내외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관측하고자 하는 범위 즉 구강 내외의 관측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를 도2 와 같이 잇몸을 따르거나 치열을 따라서 형성된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가이더(guider) 혹은 레일을 갖는 장치를 구성하고 이 가이더를 따라서 선형 영상 센서(linear image sensor)를 포함한 장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이 된 장치를 구성하였다.
선형 영상 센서 장치는 우선 CCD 혹은 CMOS 형태의 영상 센서(image sensor)혹은 기타 각종 광센서 소자를 하나의 구성품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주사 방향 즉,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길게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영상 센서에 대하여는 소형 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와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렌즈를 통하여 관측하고자 하는 물체의 영상 내지 광이 센서에 도달하여 신호 내지 영상을 얻게 된다. 도 3과 같이 구성된 선형 영상 센서 어래이 모듈의 경우에는 관측하고자 하는 물체의 영역이 선형 방향으로만 고려하면 충분하므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통상의 원통형 렌즈 내지 토릭(toric surface)형태의 비구면 렌즈를 구성하여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이는 선형 형태의 영상 센서 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영상을 얻게 되는 2개의 축 가운데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의 광학적 배율이 차이가 있게 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장치의 특성은 원통형 렌즈가 있으며, 비구면인 경우에는 토릭면으로 두 축의 광학적 배율이나 특성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굴절율을 가진 경우에 대하여는 면의 형상이 렌즈의 특성을 가져오나, 굴절률이 균일하지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기타 평면의 형상을 갖거나 봉의 형상을 가진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렌즈 방정식을 만족하여야 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경우로서 일반적으로 그린(GRIN)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렌즈의 성능 등을 적절하게 배분하여 각종 수차를 최소화하도록 분배하는 것은 가능하고, 물체의 크기 및 영역 등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설계하여 제작된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렌즈계라 하여 적절하게 구성하고, 영상 센서 어레이를 포함한 모듈을 광학계라 하여 적절하게 거리 및 렌즈와 렌즈의 간격를 두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은 구강 구조의 한 면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더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선형 영상 센서 모듈을 한쪽 끝에서 다른 끝으로 이동을 하면서 주사하여 영상을 취득하면 된다.(도 5) 이때,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각종 LED 소자를 포함하여 적절하게 빛이 조사되어 충분한 영상을 확보하기 위한 광학적 소자 내지 구조물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와 같이 구성하여 치아와 잇몸의 앞면의 영상을 얻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5와 달리 구강 내부로 삽입하여 치아 안면과 구강의 벽면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구강 내부로부터 영상을 얻기 위하여 영상 센서 모듈을 이동하는 것과 구강의 바깥방향에서 치열과 잇몸의 영상을 얻기 위한 장치를 모두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의 기구적 결합 방식을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 외에 주의하여야 할 사항은 각각의 광센서 모듈과 함께 조광을 하기 위하여 추가로 구성된 LED와 각종 광학적 기능을 갖는 소자를 반대 방향에 있는 광센서 소자에 광학적 소음(Noise)가 발생할 수 있는 것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LED나 발광소자 내지 광원을 이용하여 조광을 하는 경우는 물체에 균일하게 조광하기 위한 광학 소자를 구성하거나, 멀리 광을 전달하기 위하여 광학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결합으로 인하여 서로 간에 광학적 소음(Noise)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런 경우에 원하지 않는 결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광기능적 구조물의 설계를 하는 것도 가능하나, 다른 방법은 각종 발광소자로서 LED를 적절한 시간 내에서만 구동하도록 펄스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 필요한 시간 내에서만 조광을 하고, 그 시간 내에서만, 영상 센서 내에 맺힌 영상 데이터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잡하지 않고 경제적인 수단으로 성능을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특히 다수의 광센서 모듈이 움직이는 경우에 적절하게 응용하면 별 어려움이 없이 광학적 간섭이 없이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명을 하기 위하여 LED를 펄스로 구동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함께, 광센서 모듈이 이동하는 속도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센서 모듈이 곡면의 가이더를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는 각종 이동 수단 및 동력이 필요하다. 가장 쉬운 방법으로서는 사람이 손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서 초소형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소형 모터는 기존의 전자기적 방법에 의한 초소형 모터도 있으며, 초음파 특성을 이용한 모터 및 기타 재료의 특성을 이용한 모터 등이 있으므로 특성과 가격 및 성능 등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전자기적 방식 내지 초음파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력 및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종 구동 전기적 펄스를 사용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알고 제어하는데 사용함과 동시에, LED를 구동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속도와 영상을 취득하는 시간 등이 주사 방향에서의 영상의 품질과 해상도 등에 관여하므로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하면서, 영상을 취득하는 시간이 영상 센서의 특성에 따라서 다르나, 예를 들면 0.01 sec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면을 구성하는 것 외에도 도6과 같이 평면을 구성하되 원호의 일부 혹은 곡면의 단면으로 구성된 평면상에 구성된 가이더 내지 레일 혹은 가이더 레일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선형 영상 센서를 통하여 즉 그림 6과 같이 치아의 끝면을 동시에 보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LED의 발광부를 Pulse로 구동하는 것은 서로 간에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모듈이 많기 때문에 더욱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센서 모듈을 상기와 같이 동력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나, 실제 가이더나 레일과 광센서모듈과의 기구적 결합은 초소형 롤러나 베어링 등으로 결합하거나 직접적으로 둘 사이에 볼(ball)들을 이용한 굴림 마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곡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더(guider) 내지 레일(rail)은 영상 센서 모듈이 가이더 레일을 따라서, 영상 센서 모듈에 롤러나 바퀴 등이 결합되어 있어서, 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 센서 모듈에 롤러나 바퀴 등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게 초소형 모터를 결합하여 이를 동력으로 하여 롤러나 바퀴 등을 통하여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을 이동하면서, 광센서 모듈이 이동하면서 영상을 스캔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광센서모듈을 이동하면서 이동 구간 내의 영상을 주사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종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곡면의 일부분 내지 전부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어, 구강 내의 전부 내지 치아 부분과 잇몸 부분의 상당 부분의 증상을 확인할 수 있다.
통상 사람이 직접 구동을 하도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1에서와 같이 장치에 영상을 얻고자 하는 부위 등을 지나는 구간을 알리는 스위치가 부착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모터 등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은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영상을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이를 적절하게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는 구동부의 이동속도 등으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이런 장치를 통하여 얻어진 영상 정보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림 1에서와 같이 제한된 영역의 영상을 취할 수 있는 것을 극복하고 구강 내 외를 보다 넓게 볼 수 있도록 도2와 같이 구성된 형상을 복수로 설치하고, 도6과 같은 형상의 장치도 복수로 결합하여 설치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여, 치열과 동시에 잇몸면의 앞뒷면을 동시에 보며, 치의 끝 면을 전체적으로 주사하여 구강 내외의 주요 부분 내지 원하는 부분의 영상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 자료는 컴퓨터 등과 연결되어 전송되어 지게 되며, 광학적 영상을 보고, 각종 증상을 보고 치료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거나, 증상을 인지하게 된다.
현재 해당 사항 없음

Claims (11)

  1. 광학적 방식에 의하여 치열 혹은 잇몸이나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을 취득하는 장치로서,
    상부 및 하부 치열을 모두 커버하도록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치열의 곡선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상된 곡면 가이더;
    상기 상부 및 하부 치열을 모두 커버하도록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영상센서부와 상기 상부 치열의 이미지가 상기 영상센서부에 맺히도록 상부에 설치된 상부 렌즈와 상기 하부 치열의 이미지가 상기 영상센서부에 맺히도록 하부에 설치된 하부 렌즈를 포함하여 복수의 렌즈가 상하로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된 렌즈 어레이를 가지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영상센서 모듈; 및
    상기 가이더와 상기 영상센서 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센서 모듈이 상기 가이더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롤러 혹은 볼과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 모듈은, 상기 치열에 조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을 사용하여 조광을 하기 위한 방법에, 펄스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동안만 조명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원통형 렌즈나 또는 토릭 형태의 곡면을 갖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00797A 2012-01-04 2012-01-04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 KR10166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797A KR101669430B1 (ko) 2012-01-04 2012-01-04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797A KR101669430B1 (ko) 2012-01-04 2012-01-04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077A KR20130080077A (ko) 2013-07-12
KR101669430B1 true KR101669430B1 (ko) 2016-10-26

Family

ID=4899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797A KR101669430B1 (ko) 2012-01-04 2012-01-04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5124A (zh) * 2015-04-22 2015-08-12 于欣 一种儿科用舌压板的设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2081A (ja) 2000-01-31 2001-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口腔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2081A (ja) 2000-01-31 2001-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口腔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077A (ko) 201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1021B2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KR102665958B1 (ko) 구강 내 스캐닝 장치, 상기 장치 및 스캐너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238765B1 (ko) 일회용 내시경
AU2014211763B2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WO2015056106A2 (en) Endoscope having disposable illumination and camera module
WO2011114718A1 (ja) 歯科用oct装置
KR101994522B1 (ko) 근적외선 기반 치아 진단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US20230190109A1 (en) Intraoral scanner
US9510741B2 (en) Medical camera with selection of different working modes
AU2014211765A1 (en) Otoscope
CN104363817A (zh) 用于特别是医疗用途的内窥镜设备
JP4118628B2 (ja) 根管内視鏡及び根管内視鏡システム
CN110996749B (zh) 3d视频内窥镜
KR101669430B1 (ko) 구강 내외의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
JP6550653B2 (ja) う蝕診断装置
KR20170032644A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US200200135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ing the interior of a body part and self-focusing endoscopic probe for use therein
KR20130080078A (ko) 의료용 광학적 영상 취득 장치의 렌즈 장치
KR101701921B1 (ko) 구강 촬영장치
JP6067625B2 (ja) 生体撮像装置
CN109008925B (zh) 一种实现三维成像的集成式电子喉镜
JP677436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筺体から着脱可能である先端部材
Kim et al. Biologically inspired intraoral camera for multifunctional dental imaging
JP6038644B2 (ja) 生体撮像装置
RU2114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иллюминацион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дефектов твердых тканей зуб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