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02Y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502Y1 KR200496502Y1 KR2020220001819U KR20220001819U KR200496502Y1 KR 200496502 Y1 KR200496502 Y1 KR 200496502Y1 KR 2020220001819 U KR2020220001819 U KR 2020220001819U KR 20220001819 U KR20220001819 U KR 20220001819U KR 200496502 Y1 KR200496502 Y1 KR 2004965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ge portion
- container
- edge
- hole
- inner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47G19/065—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with thumb holes, handles or the like enabling the user to support the plate from bel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용기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용기는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홈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연장된 것으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갖고, 상기 말린 형태에 의해 내부에 내측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내측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 영역을 갖는 에지부 및 상기 내측공간을 충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을 통해 노출 및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실란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은 상기 에지부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지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은 상기 에지부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지부의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예시적으로, 금속재 용기에 적용되는 후지부 구조에 대한 것이다.
용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기구이며, 용기의 일례인 식판은 밥, 국 및 서너 가지 반찬을 담거나 그릇을 올릴 수 있도록 오목한 홈들이 형성된 식기로서, 내구성 및 위생 등의 이유로 스테인레스 식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식판은 학교, 구내식당, 병원, 군대 등과 같이 단체 급식하는 대형 식당에서 주로 사용되고, 중소 규모의 식당이나 행사장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는 용기는 금속판을 절단하고 가공하여 제조하게 된다. 그런데, 금속 용기의 가장자리 부분이 날카로울 경우, 그로 인해 사용자가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가장자리(테두리) 부분을 부드럽게(날카롭지 않게) 처리/가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의 금속재 용기에서 날카롭지 않은 형태로 가공 처리된 가장자리 부분에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기 쉽고, 이 부분에 대한 세척 및 건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금속재 용기의 가장자리 부분은 위생 상의 다양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기존 식판의 경우, 식판들을 세척하고 쌓아 두는 등의 과정에서 소음 및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식판 간 분리가 잘 되지 않는 등의 문제와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장자리 부분(에지부)에 이물질(오염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소음을 저감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홈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연장된 것으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갖고, 상기 말린 형태에 의해 내부에 내측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내측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 영역을 갖는 에지부; 및 상기 내측공간을 충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을 통해 노출 및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실란트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은 상기 에지부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지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은 상기 에지부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지부의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 각각은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그 주위의 상기 에지부의 표면에 대해서 약 0.5 mm 내지 5 mm 만큼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장자리 부분(에지부)에 이물질(오염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완충 효과에 의해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소음을 저감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기의 가장자리 부분(에지부)이 둥글게 말려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에지부)의 내측공간에 실란트 부재를 충진하여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실란트 부재의 일부가 상기 가장자리 부분(에지부)에 형성된 관통홀 영역을 통해 돌출되게 함으로써, 돌출된 부분에 의한 완충 효과(소음 저감, 손상 방지), 미끄럼 방지 효과 및 용기 간 이격에 의한 분리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세척 및 위생 관리가 용이할 수 있고, 사용의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식판의 손상을 줄임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를 통해 설명된 용기 구조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3를 통해 설명된 용기 구조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를 통해 설명된 용기 구조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3를 통해 설명된 용기 구조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예를 들어, 식판)이 가질 수 있는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G10)이 구비된 본체부(100) 및 본체부(100)의 가장자리 영역(110)에서 연장된 에지부(15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식판의 경우, 전체적으로 대략 평탄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수용홈(G10)은 본체부(100)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리세스(recess)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용홈(G10)은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밥을 담을 수 있는 홈, 국이나 국그룻을 담을 수 있는 홈 및 반찬을 담을 수 있는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용홈(G10)은 수저를 놓을 수 있는 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의 가장자리 영역(110)은 평탄한 구조 또는 대체로 평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에지부(150a)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150a)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용기는 본체부(도 1의 100)의 가장자리 영역(110)에서 연장된 에지부(150a)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부(150a)는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말린 형태에 의해 내부에 내측공간(N11)이 정의될 수 있다. 에지부(150a)는 가장자리 영역(110)으로부터 연장된 굴곡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굴곡부(121)가 내측공간(N11)을 정의하도록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에지부(150a)는 내측공간(N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관통홀 영역(H11)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 영역(H11)은 에지부(150a)의 하부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 영역(H11)은 에지부(150a)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 영역(H1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에지부(150a)는 내측공간(N11)을 충전(filling)하는 실란트 부재(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란트 부재(131)는 관통홀 영역(H11)을 통해 노출 및 돌출되는 돌출부(P11)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P11)는 에지부(150a)의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P11)는 그 주위의 에지부(150a)의 표면에 대해서 약 0.5 mm 내지 5 mm 정도 또는 약 1 mm 내지 4 mm 정도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지부(150a)의 표면에 대한 돌출부(P11)의 돌출 길이는 약 0.5 mm 내지 5 mm 정도 또는 약 1 mm 내지 4 m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돌출 길이가 너무 짧으면 충분한 완충 효과를 얻기가 어려울 수 있고, 상기 돌출 길이가 너무 길면 돌출부(P11)의 손상 가능성이 다소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P11)의 돌출 길이는 약 0.5 mm 이상 5 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란트 부재(131)는 탄성을 갖는 폴리머(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란트 부재(131)는 실리콘(silicone) 또는 에폭시(epoxy)와 같은 폴리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란트 부재(131)의 구체적인 물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예를 들어, 식판)는 도 2의 (b)에 도시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는 (a)에 도시된 용기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추가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1개의 추가 홀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에지부(150a)를 따라 복수의 추가 홀이 배치될 수 있다. 추가 홀은 실란트 부재(131)와 굴곡부(121) 사이에 생성된 홈 영역(134)과 일 단이 연결되어, 홈 영역(134)에 고인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기에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용기 구조에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았으나, 본원 발명에 따른 용기는 홈 영역(134)에 대응되는 영역과 연결된 추가 홀을 구비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도 2에서 설명한 에지부(150a)의 구조는 도 3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150b)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기는 본체부(도 1의 100)의 가장자리 영역(110)에서 연장된 에지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부(150b)는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말린 형태에 의해 내부에 내측공간(N12)이 정의될 수 있다. 에지부(150b)는 가장자리 영역(110)으로부터 연장된 굴곡부(122)를 포함할 수 있고, 굴곡부(122)가 내측공간(N12)을 정의하도록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에지부(150b)는 내측공간(N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관통홀 영역(H12)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 영역(H12)은 에지부(150b)의 상부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 영역(H12)은 에지부(150b)에서 위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 영역(H12)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에지부(150b)는 내측공간(N12)을 충전하는 실란트 부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트 부재(132)는 관통홀 영역(H12)을 통해 노출 및 돌출되는 돌출부(P12)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P12)는 에지부(150b)의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P12)는 그 주위의 에지부(150b)의 표면에 대해서 약 0.5 mm 내지 5 mm 정도 또는 약 1 mm 내지 4 mm 정도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기의 에지부(150a, 150b)가 둥글게 말려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에지부(150a, 150b)의 내측공간(N11, N12)에 실란트 부재(131, 132)를 충진하여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란트 부재(131, 132)의 일부가 에지부(150a, 150b)에 형성된 관통홀 영역(H11, H12)을 통해 돌출되게 함으로써, 돌출부(P11, P12)에 의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완충 효과에 의해 용기 간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용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P11, P12)는 용기의 사용 및 세척시, 용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P11, P12)는 용기의 세척시, 용기 간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사용하면, 용기의 위생 관리 및 세척이 용이할 수 있고, 사용의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용기의 손상을 줄임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용기의 구체적인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용기의 가장자리 영역은 평탄한 구조가 아닌 소정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일례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복수의 수용홈(G20)이 구비된 본체부(200) 및 본체부(200)의 가장자리 영역(210)에서 연장된 에지부(250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용홈(G20)은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의 가장자리 영역(210)은 평탄한 구조가 아닌 소정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250a)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장자리 영역(210) 및 에지부(250a)의 단면 구조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의 본체부(도 4의 200)의 가장자리 영역(210)은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자리 영역(210)은 상부로 솟아오른 절곡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장자리 영역(210)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부분과 이와 연접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장자리 영역(210)의 하면에는 상기 절곡 구조에 의해 오목한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장자리 영역(21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에 유리한 측면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영역(210)의 상기 절곡 구조는 음식물이 가장자리 영역(210)을 벗어나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용기는 가장자리 영역(210)에서 연장된 에지부(250a)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부(250a)의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에지부(150a)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에지부(250a)는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말린 형태에 의해 내부에 내측공간(N21)이 정의될 수 있다. 에지부(250a)는 가장자리 영역(210)으로부터 연장된 굴곡부(221)를 포함할 수 있고, 굴곡부(221)가 내측공간(N21)을 정의하도록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에지부(250a)는 내측공간(N2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관통홀 영역(H21)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 영역(H21)은 에지부(250a)의 하부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 영역(H2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에지부(250a)는 내측공간(N21)을 충전하는 실란트 부재(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트 부재(231)는 관통홀 영역(H21)을 통해 노출 및 돌출되는 돌출부(P21)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P21)는 그 주위의 에지부(250a)의 표면에 대해서 약 0.5 mm 내지 5 mm 정도 또는 약 1 mm 내지 4 mm 정도 돌출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에지부(250a)의 구조는 도 6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용기의 에지부(250b)가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기는 본체부(도 4의 200)의 가장자리 영역(210)에서 연장된 에지부(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부(250b)의 구조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에지부(150b)와 대응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에지부(250b)는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말린 형태에 의해 내부에 내측공간(N22)이 정의될 수 있다. 에지부(250b)는 가장자리 영역(210)으로부터 연장된 굴곡부(222)를 포함할 수 있고, 굴곡부(222)가 내측공간(N22)을 정의하도록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에지부(250b)는 내측공간(N2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관통홀 영역(H22)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 영역(H22)은 에지부(250b)의 상부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 영역(H22)은 에지부(250b)의 위쪽으로 다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 영역(H22)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에지부(250b)는 내측공간(N22)을 충전하는 실란트 부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트 부재(232)는 관통홀 영역(H22)을 통해 노출 및 돌출되는 돌출부(P22)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P22)는 에지부(250b)의 위쪽으로 다소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P22)는 그 주위의 에지부(250b)의 표면에 대해서 약 0.5 mm 내지 5 mm 정도 또는 약 1 mm 내지 4 mm 정도 돌출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관통홀 영역(H11, H12, H21, H22) 각각은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 영역(H11, H12, H21, H22)이 상호 이격하여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관통홀 영역(H11, H12, H21, H22)이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251a)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에지부(251a)의 하부측에 복수의 관통홀 영역(H21a)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란트 부재는 복수의 관통홀 영역(H21a)을 통해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 영역(H21a) 각각은 원형일 수 있고, 그 지름은 수 mm 정도일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252a)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지부(252a)의 하부측에 관통홀 영역(H21b)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란트 부재는 관통홀 영역(H21b)을 통해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 영역(H21b)은 에지부(252a)의 연장 방향에 따라 길쭉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 영역(H21b)은 직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고, 그 폭은 수 mm 정도일 수 있으며, 길이는 수 mm 내지 수십 mm 정도일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 영역(H21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 영역(H21b)을 직사각형과 같이 길쭉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경우, 그와 대응되는 길쪽한 형태의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므로, 돌출부에 의한 완충 효과 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251b)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지부(251b)의 상부측에 복수의 관통홀 영역(H22a)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란트 부재는 복수의 관통홀 영역(H22a)을 통해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 영역(H22a) 각각은 원형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가질 수 있는 에지부(252b)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에지부(252b)의 상부측에 관통홀 영역(H22b)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란트 부재는 관통홀 영역(H22b)을 통해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 영역(H22b)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 영역(H22b)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를 통해 설명된 용기 구조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용기는 가장자리 영역(110'), 굴곡부(121'), 실란트 부재(131'), 관통홀 영역(H11'), 돌출부(P11'), 내측 공간(N11'), 에지부(150a')를 포함할 수 있으나, 후지부가 하단이 아닌 상단부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공간(N11')에 물이 고일 가능성이 낮아지는 바, 위생상 개선된 용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용기는 붉은색으로 표시된 추가홀을 구비함으로써, 실란트(131') 하단 틈에 고일 수 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 홀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3를 통해 설명된 용기 구조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용기는 가장자리 영역(110'), 굴곡부(121'), 실란트 부재(132'), 관통홀 영역(H12'), 돌출부(P12'), 내측 공간(N12'), 에지부(150b')를 포함할 수 있으나, 후지부가 하단이 아닌 상단부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공간(N12')에 물이 고일 가능성이 낮아지는 바, 위생상 개선된 용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용기는 붉은색으로 표시된 추가홀을 구비함으로써, 실란트(132') 하단 틈에 고일 수 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 홀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는 금속재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된 스테인레스 용기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용기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용기의 일례인 식판을 통해 본원의 주요 특징이 용기에 적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원의 아이디어는 소정의 에지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철재 용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특징적인 에지부의 구조는, 본체부가 반찬통, 조리용 볼(Bowl), 밀폐 용기 등 임의의 식기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앞서 제시된 도면에서, 용기의 굴곡부의 말단과 가장자리 영역이 접하지 않아, 내측 공간에 수분이 출입할 수 있는 구조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굴곡부의 말단과 가장자리 영역이 접하게 되어 수분이 출입할 수 없는 구조로 용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지부에 이물질(오염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완충 효과에 의해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소음을 저감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기의 에지부가 둥글게 말려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에지부의 내측공간에 실란트 부재를 충진하여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실란트 부재의 일부가 상기 에지부에 형성된 관통홀 영역을 통해 돌출되게 함으로써, 돌출된 부분에 의한 완충 효과(소음 저감, 손상 방지), 미끄럼 방지 효과 및 용기 간 이격에 의한 분리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세척 및 위생 관리가 용이할 수 있고, 사용의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용기의 손상을 줄임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용기는 에지부의 하부측으로 형성된 제1 관통홀 영역 및 상기 에지부의 상부측으로 형성된 제2 관통홀 영역을 모두 가질 수 있고, 실린트 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 영역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관통홀 영역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한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때문에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본체부 110 : 가장자리 영역
121, 122 : 굴곡부 131, 132 : 실란트 부재
150a, 150b : 에지부 200 : 본체부
210 : 가장자리 영역 221, 222 : 굴곡부
231, 232 : 실란트 부재 250a, 250b : 에지부
G10, G20 : 수용홈 H11∼H22 : 관통홀 영역
N11∼N22 : 내측공간 P11∼P22 : 돌출부
100 : 본체부 110 : 가장자리 영역
121, 122 : 굴곡부 131, 132 : 실란트 부재
150a, 150b : 에지부 200 : 본체부
210 : 가장자리 영역 221, 222 : 굴곡부
231, 232 : 실란트 부재 250a, 250b : 에지부
G10, G20 : 수용홈 H11∼H22 : 관통홀 영역
N11∼N22 : 내측공간 P11∼P22 : 돌출부
Claims (5)
-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홈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연장된 것으로, 절곡되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갖고, 상기 말린 형태에 의해 내부에 내측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내측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 영역을 갖는 에지부; 및
상기 내측공간을 충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을 통해 노출 및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실란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부는,
상기 실란트 부재와 상기 에지부의 말단 사이에 생성된 빈 공간에 대응되는 홈 영역과 연결되는 추가 홀을 더 포함하는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은 상기 에지부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지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영역은 상기 에지부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지부의 위쪽으로 돌출된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윗쪽으로 절곡되는, 용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0198U KR20230002440U (ko) | 2022-06-16 | 2023-01-31 |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462 | 2022-06-16 | ||
KR20220001462 | 2022-06-16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30000198U Division KR20230002440U (ko) | 2022-06-16 | 2023-01-31 |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6502Y1 true KR200496502Y1 (ko) | 2023-02-13 |
Family
ID=852029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1819U KR200496502Y1 (ko) | 2022-06-16 | 2022-07-27 | 용기 |
KR2020230000198U KR20230002440U (ko) | 2022-06-16 | 2023-01-31 | 용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30000198U KR20230002440U (ko) | 2022-06-16 | 2023-01-31 |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496502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66754U (ja) * | 1983-04-22 | 1984-11-08 | 東陶機器株式会社 | 把手 |
KR102083457B1 (ko) * | 2019-07-08 | 2020-03-02 | 진용상 | 식판 |
-
2022
- 2022-07-27 KR KR2020220001819U patent/KR200496502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1-31 KR KR2020230000198U patent/KR20230002440U/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66754U (ja) * | 1983-04-22 | 1984-11-08 | 東陶機器株式会社 | 把手 |
KR102083457B1 (ko) * | 2019-07-08 | 2020-03-02 | 진용상 | 식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2440U (ko) | 2023-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27135B2 (en) | Sink dish drainer set | |
JP3217854U (ja) | ケース付きまな板 | |
US6604714B1 (en) | Reusable support for displaying display articles | |
US8690133B1 (en) | Perforated cutting board and tray | |
KR200496502Y1 (ko) | 용기 | |
EP3829404B1 (en) | Cutting board | |
US10206531B2 (en) | Bowl assembly with masher | |
USD1024674S1 (en) | Filter basket for 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and cupping | |
US20070131697A1 (en) | Plate with utensil pocket | |
KR101648691B1 (ko) | 유아용 식판 | |
KR101636752B1 (ko) | 일회용 도시락 용기 | |
KR102083457B1 (ko) | 식판 | |
KR200449275Y1 (ko) | 일회용 이쑤시개 겸용 식사도구 받침대 | |
KR20090005536A (ko) | 다용도 주방용기 | |
WO2005004687A1 (en) | Chopping or food preparation board | |
KR20090065593A (ko) |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 |
KR102540432B1 (ko) | 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된 용기 | |
KR20210059949A (ko) | 수저받침 접시 | |
CN213155259U (zh) | 一种分餐餐具 | |
KR20150003578U (ko) |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 |
KR200287246Y1 (ko) | 위생 수저 받침대 | |
JP5078292B2 (ja) | 安定自助食器 | |
KR20140002574A (ko) |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 |
KR101761659B1 (ko) | 수저통 | |
KR102620091B1 (ko) | 수저 분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