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71Y1 - 모바일 기기 방수팩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방수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71Y1
KR200496471Y1 KR2020220002202U KR20220002202U KR200496471Y1 KR 200496471 Y1 KR200496471 Y1 KR 200496471Y1 KR 2020220002202 U KR2020220002202 U KR 2020220002202U KR 20220002202 U KR20220002202 U KR 20220002202U KR 200496471 Y1 KR200496471 Y1 KR 200496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art
mobile device
coupling member
open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란카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란카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란카노코리아
Priority to KR2020220002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가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개구와 연결되는 제1 수납 공간을 갖는 제1 주머니부; 및 상기 제1 주머니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개구와 연결되는 제2 수납 공간을 갖는 제2 주머니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방수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방수팩{Waterproof Pack for Mobile Apparatus}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 방수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수납공간을 제공하여 수납 중인 플립(Flip)형 모바일 기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수팩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휴대기기들이 소형화되고 있으며, 향상된 휴대성으로 인하여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형화된 휴대기기의 예로, 스마트폰, 템플릿, MP3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이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플립(Filp)이 가능해져 휴대성을 더욱 향상되었다. 이로 인한 플립형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현황이다.
상기 휴대기기들은 휴대가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 바, 전자제품의 특성상 물 또는 습기에 노출될 수 있어 산이나 계곡, 바다나 물놀이장 등 피서지나 스키장, 또는 낚시를 즐길 때 전자제품을 물 또는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팩이 개발되어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수팩은 상술의 휴대기기를 포함 화장품, 장신구 등 다양한 휴대물품을 물이나 습기 등의 오염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수팩은 내부에 휴대기기를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지퍼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며, 해당 구성을 통해 휴대기기를 물 또는 습기로부터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해당 구성은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78761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97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2803호 및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1-0002476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은 하나의 수납 공간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플립형 모바일 기기를 플립할 때마다 방수팩을 개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78761호(2003.03.2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978호(2013.01.2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2803호(2019.05.2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1-0002476호(2021.11.05)
삭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 개의 수납 공간을 통해, 수납 중인 플립(Flip)형 모바일 기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수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두 개의 주머니부에 소수성의 코팅층을 제공하여, 두개의 주머니부가 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소수성의 코팅층이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홀을 포함하는 방수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방수팩이 흔들림에 따라 모바일 기기와의 충돌로 방수팩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방수팩은 모바일 기기가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개구와 연결되는 제1 수납 공간을 갖는 제1 주머니부; 및 상기 제1 주머니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개구와 연결되는 제2 수납 공간을 갖는 제2 주머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수납 공간을 통해, 수납 중인 플립(Flip)형 모바일 기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수팩을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머니부에 소수성의 코팅층을 제공하여, 물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플립할 수 있는 방수팩을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수성의 코팅층이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홀을 포함하는 방수팩을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팩이 흔들림에 따라 모바일 기기와의 충돌로 방수팩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부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8의 B-B'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부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10)은 플립형 모바일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방수팩일 수 있다. 방수팩(10)은 수납부(100)와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립형 모바일 기기는 접고, 펼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수납부(100)는 플립형 모바일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수납부(100)는 개구(101), 제1 주머니부(110), 및 제2 주머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01)는 수납부(10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개구(101)는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는 개구(101)를 통해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수납부(100)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주머니부(110)는 개구(1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주머니부(110)는 내부에 개구(101)와 연결되는 제1 수납 공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수납 공간(130)은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납 공간(130)은 휴대물품(예를 들면, 플립형 모바일 기기의 일측 영역 등)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주머니부(110)는 평면적 관점에서 사각형으로 형성될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주머니부(110)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2 주머니부(120)는 제1 주머니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은 개구(1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주머니부(120)는 내부에 개구(101)와 연결되는 제2 수납 공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수납 공간(140)은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납 공간(130)과 제2 수납 공간(140)는 서로 구획된 공간일 수 있다. 제2 수납 공간(140)은 휴대물품(예를 들면, 플립형 모바일 기기의 타측 영역 등)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주머니부(120)는 제1 주머니부(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0)는 서로 연결되는 라인(이하, 연결 라인이라 지칭한다.)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는 서로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주머니부(120)는 평면적 관점에서 사각형으로 형성될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주머니부(120)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주머니부(110)의 제1 수납 공간(130)에 플립(FIip)형 모바일 기기의 일단을 수납할 수 있다. 제2 주머니부(120)의 제2 수납 공간(140)에 플립형 모바일 기기의 타단을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100)는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0)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라인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팩(10)의 수납부(100)에 수납된 플립형 모바일 기기가 수납부(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0)에 각각 다른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0)에 각각 다른 물건을 수납함으로써, 수납부(100)의 파손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주머니부(110)가 파손되어 제1 수납 공간(130)에 휴대물품을 수납하지 못하는 경우, 제1 수납 공간(130)에 수납 중인 휴대물품을 제2 주머니부(120)의 제2 수납 공간(140)에 옮겨 보관할 수 있다.
제1 주머니부(110)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소재는 PVC(Polyvinyl Chlorid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및 우레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주머니부(120)는 제1 주머니부(110)와 동일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소재는 PVC(Polyvinyl Chlorid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및 우레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주머니부(110)는 일측면 상에 제1 미세 돌기 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미세 돌기 층(150)은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의 일부만을 덮도록 위치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 전부를 덮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은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0)가 상기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2 주머니부(120)와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 미세 돌기 층(150)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미세 돌기 층(150)은 제1 주머니부(110)보다 불투명할 수 있다. 제1 미세 돌기 층(150)은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미세 돌기(15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미세 돌기 층(150)은 제2 주머니부(120)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미세 돌기(15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미세 돌기(151)들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격재 패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미세 돌기 층(15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미세 돌기(151)는 탄성력을 가져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물품은 수납부(100)에 보다 안전하게 수납될 수 있다.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0)가 상기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은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0)가 상기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은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과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은 수납부(100)에 수납된 플립형 모바일 기기가 접혀질 경우에 서로 접할 수 있다.
제1 미세 돌기(151)로 인하여 제1 미세 돌기 층(150)은 소수성 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세 돌기(151)는 물방울과 맞닿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 상에 물이 붙어있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즉, 물의 표면장력이 약하게 작용하여,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과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주머니부(120)는 일측면 상에 제2 미세 돌기 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미세 돌기 층(160)은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의 일부만을 덮도록 위치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 전부를 덮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은 제1 주머니부(110)와 제2 주머니부(120)가 상기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주머니부(110)와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2 미세 돌기 층(160)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미세 돌기 층(160)은 제2 주머니부(120)보다 불투명할 수 있다. 제2 미세 돌기 층(160)은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미세 돌기(16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미세 돌기 층(160)은 제1 주머니부(110)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미세 돌기(16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미세 돌기(161)들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격재 패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미세 돌기 층(16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미세 돌기(161)는 탄성력을 가져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물품은 수납부(100)에 보다 안전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미세 돌기(161)는 제1 미세 돌기(15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미세 돌기(161)는 제1 미세 돌기(151)와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미세 돌기(161)로 인하여 제2 미세 돌기 층(160)은 소수성 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미세 돌기(161)는 물방울과 맞닿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 상에 물이 붙어있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즉, 물의 표면장력이 더욱 약하게 작용하여,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과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미세 돌기(161)는 제1 미세 돌기(15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미세 돌기(161)는 제1 미세 돌기(151)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미세 돌기 층(150)은 제1 주머니부(110)의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카메라 홀(19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미세 돌기 층(160)은 제2 주머니부(120)의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카메라 홀(19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홀(190)은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홀(190)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고정부(200)는 수납부(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수납부(100)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210)는 수납부(10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부재(210)는 제1 주머니부(11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220)는 수납부(100)의 외측면에 제1 결합 부재(210)와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부재(220)는 제2 주머니부(12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납부(100)의 개구(101)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방된 개구(101)를 통해 제1 수납 공간(130) 또는 제2 수납 공간(140)에 휴대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수납부(100)의 개구(101)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부(100) 내부의 휴대물품이 외부의 물, 습기, 분진 및 모래 등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즉, 내부의 휴대물품을 외부의 물, 습기, 분진 및 모래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휴대물품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210)는 한 쌍의 제1 체결 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부재(220)는 제1 체결 부재(211)와 체결되는 한 쌍의 제2 체결 부재(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체결 부재(211)는 제1 체결 부재(21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조절 돌기(212)를 포함하는 막대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221)은 기둥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211)의 조절 돌기(212)가 제2 체결 부재(221)에 걸려, 제1 결합 부재(210)과 제2 결합 부재(220)을 밀착시킬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211)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조절 돌기(212)를 통하여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의 결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체결 부재(211)에 두 개의 조절 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20)의 일단에 형성된 조절 돌기(212)가 제2 체결 부재(221)에 걸리는 경우 보다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조절 돌기(212)가 제2 체결 부재(221)에 걸리는 경우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가 보다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210)는 개구(101)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 집게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부재(220)는 개구(101)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제2 집게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00)의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는 제1 체결 부재(211)와 제2 체결 부재(221)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방수팩(10)에 휴대물품을 수납할 때, 고정부(200)를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를 완전 분리하여 넓은 개구(101)를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8의 B-B'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팩(10)은 수납부(100)와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팩(10)은 흡입 모듈(170) 및 무선 충전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00)는 개구(101), 제1 주머니부(110) 및 제2 주머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단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330)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부(330)에 외부 전력 공급 케이블(320)이 연결될 수 있다. 단자부(330)는 무선 충전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부(330)는 외부 전력을 무선 충전 모듈(300)에 공급할 수 있다.
흡입 모듈(170)는 수납부(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 모듈(170)은 제1 수납 공간(130)과 제2 수납 공간(140)에 존재하고 있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수납부(100)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흡입 모듈(170)은 제1 주머니부(110) 및 제2 주머니부(120)를 휴대물품과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 내의 휴대 물품이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 내의 이동을 제한되어 휴대물품 또는 수납부(1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0)에 정전식 터치 방식을 활용하는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는 경우, 정전식 터치 방식을 활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조작을 위해 수납부(100) 내부에 소정의 공기를 남기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에서도 방수팩(10)에 수납되고 있는 정전식 터치 방식을 활용하는 모바일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즉, 흡입 모듈(170)을 통해 방수팩(10) 사용자가 상황에 맞춰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방수팩(10)의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300)은 수납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300)은 제1 주머니부(110) 및 제2 주머니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무선 충전 모듈(300)은 제2 주머니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모듈(300)은 제2 주머니부(120)의 제2 수납 공간(140) 내에 위치되고, 제2 주머니부(12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300)은 하우징, 복수의 충전 코일(310) 및 전력 공급 케이블(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케이블(320)은 고정부(200)의 단자부(330)를 통해 충전 코일(310)을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공급 케이블(320)은 외부 전력을 충전 코일(310)로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충전 코일(310)은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우징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무선 충전 모듈(300)은 유도식 무선 충전 방식으로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모바일 기기에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300)은 제2 주머니부(120) 내에 위치된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300)의 하우징 상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는 제2 주머니부(120) 내에 위치된 모바일 기기와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 부재는 제2 주머니부(120) 내의 모바일 기기가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모듈(300)이 유도식 무선 충전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를 충전시키는 경우, 모바일 기기와 무선 충전 모듈(300)이 접촉되어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무선 충전 모듈(300)은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무선 충전 모듈(300)은 수납부(100)의 외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200)의 일측면에 부력부(230)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부력부(230)는 제2 결합 부재(220)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부력부(230)의 부력에 의하여 고정부(200)가 수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330)가 수면 위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단자부(330)를 통해 제1 수납 공간(130)과 제2 수납 공간(14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300)이 전력 공급 케이블(3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도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중에서 방수팩(10)을 분실하는 경우, 부력부(230)에 의하여 방수팩(10)이 가라앉지 않아 방수팩(10)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충전 모듈(300)은 내부의 코일(3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될 것이다.
10: 방수팩 100: 수납부
101: 개구 110: 제1 주머니부
120: 제2 주머니부 130: 제1 수납 공간
140: 제2 수납 공간 150: 제1 미세 돌기 층
151: 제1 미세 돌기 160: 제2 미세 돌기 층
161: 제2 미세 돌기 170: 흡입 모듈
190: 카메라 홀
200: 고정부 210: 제1 결합 부재
211: 제1 체결 부재 212: 조절 돌기
220: 제2 결합 부재 221: 제2 체결 부재
230: 부력부 300: 무선 충전 모듈
310: 충전 코일 320: 전력 공급 케이블
330: 단자부

Claims (8)

  1. 모바일 기기가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개구와 연결되는 제1 수납 공간을 갖는 제1 주머니부; 및
    상기 제1 주머니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개구와 연결되는 제2 수납 공간을 갖는 제2 주머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머니부와 상기 제2 주머니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주머니부는 상기 제2 주머니부와 마주보는 일측면에 제1 미세 돌기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주머니부는 상기 제1 주머니부와 마주보는 일측면에 제2 미세 돌기층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방수팩.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 돌기 층은, 상기 제1 주머니부의 타측에 상기 제1 주머니부의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카메라 홀을 갖는 모바일 기기 방수팩.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머니부 또는 상기 제2 주머니부와 연결되어,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방수팩.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납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체결 부재;
    상기 수납부의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모바일 기기 방수팩.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방수팩.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소재는 PVC(Polyvinyl Chlorid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및 우레탄 중 하나가 선택되는 모바일 기기 방수팩.
KR2020220002202U 2022-09-13 2022-09-13 모바일 기기 방수팩 KR200496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202U KR200496471Y1 (ko) 2022-09-13 2022-09-13 모바일 기기 방수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202U KR200496471Y1 (ko) 2022-09-13 2022-09-13 모바일 기기 방수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471Y1 true KR200496471Y1 (ko) 2023-02-07

Family

ID=8520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202U KR200496471Y1 (ko) 2022-09-13 2022-09-13 모바일 기기 방수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71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953A (ko) * 2000-03-09 2001-09-26 신기섭 휴대용 방수팩
KR200313753Y1 (ko) * 2003-02-12 2003-05-22 김창섭 폴더형 휴대폰용 방수케이스
KR20110106138A (ko) * 2010-03-22 2011-09-28 권태영 디지탈카메라용 방수케이스
KR200464978Y1 (ko) 2011-09-09 2013-01-28 이랄라 방수팩
KR101982803B1 (ko) 2018-12-18 2019-05-28 주식회사 디카팩 다중 밀폐구조를 가지는 방수팩
KR20210026584A (ko) * 2019-08-30 2021-03-10 손광오 부표가 형성된 휴대용 방수팩
KR20210002476U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디카팩 다기능 휴대용 방수팩
KR20220058372A (ko) * 2020-10-30 2022-05-09 최병삼 생존튜브 기능을 구비한 방수가방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953A (ko) * 2000-03-09 2001-09-26 신기섭 휴대용 방수팩
KR100378761B1 (ko) 2000-03-09 2003-04-07 주식회사 화성콜렉션 휴대용 방수팩
KR200313753Y1 (ko) * 2003-02-12 2003-05-22 김창섭 폴더형 휴대폰용 방수케이스
KR20110106138A (ko) * 2010-03-22 2011-09-28 권태영 디지탈카메라용 방수케이스
KR200464978Y1 (ko) 2011-09-09 2013-01-28 이랄라 방수팩
KR101982803B1 (ko) 2018-12-18 2019-05-28 주식회사 디카팩 다중 밀폐구조를 가지는 방수팩
KR20210026584A (ko) * 2019-08-30 2021-03-10 손광오 부표가 형성된 휴대용 방수팩
KR20210002476U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디카팩 다기능 휴대용 방수팩
KR20220058372A (ko) * 2020-10-30 2022-05-09 최병삼 생존튜브 기능을 구비한 방수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9923392B2 (en) Power charger with charge indicating power button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US7757919B2 (en) Carrying case with screen-protecting snap
KR200479825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150102073A1 (en)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US10824202B2 (en) Hybrid frame power sleeve case
CN101484038B (zh) 用于具有显示屏的电子设备的容纳装置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US20110011754A1 (en) Retrieval device for use with a compartment or pocket
US20230148722A1 (en) Hybrid frame sleeve case
US2015035127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arrying case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CN116367753A (zh) 用于电子设备的多功能附件附接系统
JP2023510335A (ja) ワイヤレス充電伝送器及び方法
KR200496471Y1 (ko) 모바일 기기 방수팩
US985783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KR20160000531U (ko) 카드의 분실방지장치를 갖춘 휴대폰케이스
KR200471353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US20170001784A1 (en) Carrying Case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11751653B2 (en) Protective case with integrated hand strap
KR20070096499A (ko) 노트북 컴퓨터용 가방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