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44Y1 - work support - Google Patents
work sup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444Y1 KR200496444Y1 KR2020217000009U KR20217000009U KR200496444Y1 KR 200496444 Y1 KR200496444 Y1 KR 200496444Y1 KR 2020217000009 U KR2020217000009 U KR 2020217000009U KR 20217000009 U KR20217000009 U KR 20217000009U KR 200496444 Y1 KR200496444 Y1 KR 20049644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rod
- piston
- output member
- housing
- end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B23Q3/106—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extendable members, e.g. extension members
- B23Q3/108—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extendable members, e.g. extension members with non-positive adjustment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47—Pistons; Piston to piston rod assembl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4—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restricting the 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하우징(1)에 상측으로부터 차례로 서포트 로드(2)와 진출 스프링(43)과 출력부재(24)가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 로드(2)가 하한 위치로 이동되어 있을 때에, 어떤 이상에 의해 상기 서포트 로드(2)가 상기 하우징(1)에 고착되는 일이 있다. 상기 서포트 로드를 향해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기 출력부재(24)의 계합부(70)를, 해당 서포트 로드(2)의 계지부(71)에 충돌시키는 것에 따라, 상기 고착 상태를 해제한다.A support rod 2, an advance spring 43, and an output member 24 are mounted to the housing 1 sequentially from the top. When the support rod 2 is moved to the lower limit position, the support rod 2 may be stuck to the housing 1 due to some abnormality. By colliding the engagement portion 70 of the output member 24 moved upward toward the support ro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71 of the support rod 2, the stuck state is relea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레이즈반(fraise盤, milling machine)이나 연삭반(硏削盤, grinding machine) 등의 공작기계에 의해 워크(workpiece)를 가공할 때에, 해당 워크를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workpiece when processing a workpiece with a machine tool such as a milling machine or a grinding machine.
이 종류의 워크 서포트(support)로는, 종래에는, 특허문헌 1(일본국·특개 2003-30720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ly, as this type of work support, there is on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307205). The prior art is structured as follows.
하우징의 상벽(上壁)에 삽입되는 통 모양(筒狀)의 서포트 로드(rod)가, 하우징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하우징의 하부에 출력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삽입된다. 서포트 로드의 통공(筒孔)에 누름 볼트가 나합(螺合,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 누름 볼트와 출력부재 사이에 진출 스프링이 장착되고, 그 진출 스프링이 서포트 로드와 출력부재를 이간(離間)시키도록 부세(付勢)한다. 그리고 출력부재의 위쪽으로의 구동에 따라, 그 출력부재가 진출 스프링을 통해서 서포트 로드를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서포트 블록의 상단면(上端面)이, 재치대(載置臺) 위에 놓인 워크의 하면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다. 그 진출 스프링의 부세력은, 서포트 로드의 자중(自重)이나 마찰 저항 등에 대항하는 정도의 부세력을 가지지만, 재치대로부터 워크를 들어올리지 않을 정도의 부세력을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출력부재의 상단부와 누름 볼트의 하단부(下端部)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서포트 로드가 하한(下限) 위치로 이동됨과 함께 출력부재가 상한(上限) 위치로 이동될 때도, 누름 볼트와 출력부재는 맞닿지(當接)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출력부재가 진출 스프링을 통해 워크 서포트를 간접적으로 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출력부재가 워크 서포트를 통해 워크를 재치대로부터 들어올리지 않도록 하는 것에 따라, 워크의 가공 정밀도가 나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A cylindrical support rod inserted into an upper wall of the housing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housing. An outpu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ress bolt is screw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rod. An advancing spring is mounted between the push bolt and the output member, and the advancing spring biases the support rod and the output member to separate. The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driving of the output member, the output member moves the support rod upward through the advancing spring.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placed on the mounting table from below. The biasing force of the advancing spring is set to have a biasing force to the extent of counteracting the weight of the support rod, frictional resistance, etc., but not lifting the workpiece from the mounting table. In addition, since a sufficient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put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olt, even when the support rod is moved to the lower limit position and the output member is moved to the upper limit position, the press The bolt and the output member are prevented from contacting each other. Accordingly, the output member is configured to indirectly push the work support through the advancing spring. As a result, by preventing the output member from lifting the work from the mounting table via the work support, deterioration in processing accuracy of the work is prevented.
상기 워크 서포트가 릴리스(release) 상태일 때에, 어떤 원인, 예를 들면 내려 쌓인 절분(切粉, swarf)과 절삭유에 의해, 서포트 로드가 하우징의 상벽에 고착되는 고착 상태가 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워크를 들어올리지 않을 정도의 부세력을 가지는 진출 스프링을 통해, 출력부재가 서포트 로드를 위쪽으로 밀어도, 상기 고착 상태를 해제시킬 수 없다.When the work support is in a release state, the support rod may become stuck to the upper wall of the housing due to some cause, for example, accumulated cutting swarf and cutting oil. In this case, even if the output member pushes the support rod upward through the advancing spring having a bias force that does not lift the workpiece as described above, the stuck state cannot be rel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워크 서포트의 서포트 로드와 하우징이, 어떤 원인에 의해, 고착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워크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support in which a state in which a support rod and a housing of the work support are fixed for some reason can be relea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 도 4,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 서포트를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invention constituted a work support as follows, as shown in Figs. 1 to 3, 4, 5A and 5B, for example.
하우징(1) 내에서 축방향의 선단(先端)측 및 기단(基端)측으로 이동 가능한 서포트 로드(2)가, 해당 하우징(1)의 선단벽(先端壁)(1a)에 삽입된다.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외주(外周)에 환상(環狀)의 콜릿(collet)(5)이 바깥으로 끼워진다. 상기 하우징(1) 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 구멍(11)에 삽입되는 피스톤(12)이, 해당 피스톤(12)의 축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해 상기 콜릿(5)을 통해 상기 서포트 로드(2)를 로크(lock)한다. 상기 하우징(1)의 기단벽(基端壁)(1b)에 출력부재(24)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삽입된다. 상기 서포트 로드(2)와 상기 출력부재(24)가 부세수단에 의해 이간(離間)되도록 부세된다. 상기 기단측의 한계 위치에 있는 상기 서포트 로드(2)가, 어떤 이상에 의해, 상기 하우징(1)에 고착되어 있는 고착 상태일 때, 상기 출력부재(24)가 상기 기단측에서 상기 선단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출력부재(24)에 형성되는 계합부(係合部, engaging portion)(70)가, 상기 서포트 로드(2)에 형성되는 계지부(係止部, engaged portion)(71)를 상기 기단측으로부터 밀어서 상기 고착 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릴리스 상태의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앞쪽 위치에 반입되어 있는 워크(W)까지의 거리가, 상기 계합부(70)에 의해 상기 출력부재(24)가 상기 서포트 로드(2)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는 거리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된다.A
상기 제1 발명의 워크 서포트에서는, 기단측의 한계 위치로 이동된 릴리스 상태에서, 어떤 원인, 예를 들면, 하우징의 선단부에 내려 쌓인 절분과 절삭유에 의해, 서포트 로드가 하우징의 선단벽에 고착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에, 출력부재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그 출력부재의 계합부를 서포트 로드의 계지부에 맞닿게(충돌) 한다. 그 결과, 서포트 로드와 하우징의 고착 상태를 확실히 해제할 수 있다.In the work support of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release state moved to the limit position on the proximal end side, the support rod is fixed to the end wall of the housing due to some cause, for example, chips and cutting oil accumulated on the tip of the housing. There is work. In this case, by moving the output member to the distal end side,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output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collision) with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support rod. As a result, the stuck state between the support rod and the housing can be reliably released.
상기 제1 본 발명은, 아래 (1) 내지 (3)의 구성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dd the constitutions of (1) to (3) below.
(1)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 도 4,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재(24)의 기단측의 한계 위치로부터 상기 선단측의 한계 위치까지의 거리(S)가, 상기 출력부재(24)의 계합부(70)로부터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상기 계지부(71)까지의 거리(H)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1)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4, 5A and 5B, the distance S from the limit position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이 경우, 출력부재의 계합부가, 기단측의 한계 위치에 있는 서포트 로드의 계지부에 확실히 맞닿는다(충돌). 따라서, 그 충돌의 충격에 의해 서포트 로드와 하우징의 고착 상태가 확실히 해제된다.In this case, the engagement part of the output member reliab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gagement part of the support rod at the limit position on the proximal end side (collision). Therefore, the stuck state between the support rod and the housing is surely released by the impact of the collision.
(2) 상기 부세수단은,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상기 기단측에 형성되는 작동실(15)과, 상기 작동실(15)에 공급되는 작동용 압력유체로 구성된다.(2) The biasing means is composed of an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세수단에 의해 서포트 로드가 확실히 상승된다.In this case, the support rod is surely raised by the biasing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3) 상기 부세수단은, 상기 서포트 로드(2)와 상기 출력부재(24) 사이에 장착되는 진출 스프링(43)으로 구성된다.(3) The biasing means is composed of an advancing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세수단에 의해 서포트 로드가 확실히 상승된다.In this case, the support rod is surely raised by the biasing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2 발명은, 예를 들면,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 서포트를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In order to achieve the said object, the 2nd invention comprised the work support as follows, for example, as shown to FIG. 6A and FIG. 6B.
하우징(1) 내에서 축방향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 이동 가능한 서포트 로드(2)가, 해당 하우징(1)의 선단벽(1a)에 삽입된다.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외주에 환상의 콜릿(5)이 바깥으로 끼워진다. 상기 하우징(1) 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린더 구멍(11)에 피스톤(12)이 삽입된다. 그 피스톤(12)의 구동에 의해 해당 피스톤이 상기 콜릿(5)을 통해 상기 서포트 로드(2)를 로크한다. 상기 하우징(1)의 기단벽(1b)에 출력부재(24)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삽입된다. 상기 서포트 로드(2)와 상기 출력부재(24) 사이에 장착되는 진출 스프링(43)이, 상기 서포트 로드(2)와 상기 출력부재(24)를 이간시키도록 부세한다. 상기 진출 스프링(43)이 가장 압축되었을 때에, 그 진출 스프링(43)의 이웃하는 권선(wound wire)끼리가 밀착 상태가 되어 있다. 상기 기단측의 한계 위치에 있는 상기 서포트 로드(2)가, 어떤 이상에 의해, 상기 하우징(1)에 고착되어 있는 고착 상태일 때에, 상기 출력부재(24)가 상기 기단측에서 상기 선단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출력부재(24)가 상기 밀착 상태의 상기 진출 스프링(43)을 통해 상기 서포트 로드(2)를 상기 기단측으로부터 밀어서 상기 고착 상태를 해제한다.A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워크 서포트의 릴리스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시(立面視, elevational view)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상기 워크 서포트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시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상기 워크 서포트의 제2 피스톤이 서포트 로드를 밀어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시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5a]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입면시의 단면도이며, 워크 서포트의 릴리스 상태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5b]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입면시의 단면도이며, 상기 워크 서포트의 제2 피스톤이 서포트 로드를 밀어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6a] 도 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입면시의 단면도이며, 워크 서포트의 릴리스 상태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6b] 도 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입면시의 단면도이며, 상기 워크 서포트의 제2 피스톤이 서포트 로드를 밀어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Fig. 1] Fig. 1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ork support in an elevational view showing a released state.
[Fig. 2]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elevation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work support, similar to Fig. 1. [Fig.
[Fig. 3]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elev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iston of the work support is pushing up the support rod, and is similar to Fig. 1. [Fig.
[Fig. 4] Fig. 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imilar to Fig. 3. [Fig.
[FIG. 5A] FIG. 5A is a sectional view in elevation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imilar to FIG. 1 showing a release state of the work support.
[Fig. 5b] Fig. 5b is a sectional view in elevation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imilar to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iston of the work support is pushing up the support rod.
[FIG. 6A] FIG. 6A is a sectional view in elevation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imilar to FIG. 1 showing a release state of the work support.
[FIG. 6B] FIG. 6B is a sectional view in elevation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imilar to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iston of the work support is pushing up the support r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공압(空壓)식 워크 서포트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우선, 상기 워크 서포트의 구조를 설명한다.1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neumatic work support is exemplified. First, the structure of the work support will be described.
고정대(固定臺)로서의 테이블(T)에 형성되는 수용 구멍에, 워크 서포트의 하우징(1)이 나사 고정된다. 그 하우징(1)은, 상벽(선단벽)(1a)과, 하벽(기단벽)을 구성하는 하블록(lower block)(1b)과, 몸통(barrel)부분(1c)을 구비한다. 그 하우징(1) 내에 서포트 로드(2)가 상하방향(축방향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서포트 로드(2)의 상부에는, 워크(W)에 맞닿는 누름 볼트(push bolt)(3)가 설치된다.The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외주면의 하반(下半)부분에 협지(grip) 고정영역(R)이 설치되며, 그 협지 고정영역(R)에 통 모양의 콜릿(5)이 바깥으로 끼워진다. 그 콜릿(5)은, 윗 오므림의 테이퍼 외주면(5a)을 구비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슬릿(5b)에 의해 탄성적으로 축경(縮徑, 지름 축소)되도록 되어 있다. 그 콜릿(5)의 외주측에 환상의 전동구(傳動具, transmission member)(6)가 배치되며, 그 전동구(6)의 테이퍼 내주면(內周面)(6a)이 콜릿(5)의 테이퍼 외주면(5a)에 상측으로부터 대면(對面)한다. 그 테이퍼 외주면(5a)과 테이퍼 내주면(6a) 사이에 형성된 환상 테이퍼 간극(7)에는 다수의 볼(8)이 삽입되어 있다.A grip fixing area R is installed on the lower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작동용의 제1 실린더(10)는, 하우징(1)의 몸통부분(1c) 내에 형성된 제1 실린더 구멍(실린더 구멍)(11)과, 그 제1 실린더 구멍(11)과 전동구(6) 사이에 삽입된 환상의 제1 피스톤(피스톤)(12)과, 그 제1 피스톤(12)을 하강시키는 작동실(13)과, 그 제1 피스톤(12)을 상승시키는 제1 스프링(14)을 구비한다. 그 제1 스프링(14)은, 전동구(6)의 하측에 형성되는 스프링실(15)에 장착되어 있다.The
더 상세하게 말하면, 상기 제1 피스톤(12)의 상부가 봉지(封止, sealing)부재(16)에 의해 상벽(1a)에 보밀상(保密狀)으로 안내됨과 함께, 제1 피스톤(12)의 하부가 다른 봉지부재(17)에 의해 하블록(1b)에 보밀상으로 안내되고 있다. 그리고 작동실(13)로 압축에어를 공급하는 것에 따라, 제1 피스톤(12)의 상단에 형성된 대면적(大面積)의 환상 수압면(受壓面)에 하향(下向)의 힘이 작용함과 함께, 제1 피스톤(12)의 하단에 형성된 소면적(小面積)의 환상 수압면에 상향(上向)의 힘이 작용하여, 이들 상하의 차력(差力)에 의해 제1 피스톤(12)이 하강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상기 제1 스프링(14)은, 여기서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전동구(6)의 하면에 장착된 상스프링받이(upper spring receiver)(19)와 콜릿(5)의 하단에 장착된 하스프링받이(lower spring receiver)(2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스프링받이(19)가 다수의 볼(8)을 받아내고 있다. 또한, 제1 스프링(14)의 부세력이 하스프링받이(20)를 통해 콜릿(5)의 하단을 하블록(1b)에 맞닿게 하고 있다.The
상기 하블록(1b) 내에 진퇴용의 제2 실린더(21)가 설치된다. 그 제2 실린더(2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하블록(1b)에 대경(大徑, 큰 지름)의 제2 실린더 구멍(22)과 소경(小徑, 작은 지름)의 로드 구멍(23)이 상향으로 직렬로 연통(連通)된다. 그 제2 실린더 구멍(22)에 출력부재(24)의 제2 피스톤(25)이 봉지부재(25a)를 통해 보밀상으로 삽입됨과 함께, 로드 구멍(23)에 출력부재(24)의 피스톤 로드(26)가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2 피스톤(25)과 피스톤 로드(26)의 양자를 별체(別體)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들 양자를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A
상기 제2 실린더 구멍(22)의 하벽(30)은, 수용 구멍의 저벽(底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벽(30)과 제2 피스톤(25) 사이에 입구실(31)이 형성된다. 그 입구실(31)에 압축에어의 급배구(給排口)(32)가 연통된다. 또한, 제2 실린더 구멍(22)의 상벽(34)과 제2 피스톤(25) 사이에 출구실(35)이 형성된다. 그 제2 피스톤(25)을 하향으로 후퇴시키는 제2 스프링(36)이 로드 구멍(23)의 상벽과 피스톤 로드(26) 사이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스프링(36)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출력부재(24)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입구실(31)과, 그 입구실(31)에 공급되는 압축에어로 구성된다. 출력부재(2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제2 스프링(36)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피스톤 로드(26)의 선단부에 플랜지부(42)가 형성되며, 그 플랜지부(42)가 서포트 로드(2)의 피조작부(被操作部)(2a)에 상측으로부터 계합(係合)된다. 그 피스톤 로드(26)의 플랜지부(42)와 누름 볼트(3) 사이에, 서포트 로드(2)를 상향으로 부세하는 진출 스프링(부세수단)(43)이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진출 스프링(43)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A
또한, 작동실(13)을 입구실(31)과 출구실(35)의 한쪽으로 연통시키는 전환수단(48)이 설치된다. 더 상세히 말하면, 작동실(13)과 제2 실린더 구멍(22)의 상부 사이에 연통 구멍(49)이 형성된다. 그 연통 구멍(49)의 개구부(開口部)와 제2 피스톤(25)의 외주면으로 전환수단(48)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switching means 48 for communicating the
상기 워크 서포트의 작동을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릴리스 상태에서는, 제1 피스톤(12) 및 전동구(6)가 제1 스프링(14)에 의해 상승되는 것에 따라, 콜릿(5)의 축경이 해제되어 있다. 또한, 제2 피스톤(25) 및 피스톤 로드(26)가 제2 스프링(36)에 의해 하강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26)의 플랜지부(42)가 진출 스프링(43)에 대항하여 서포트 로드(2)를 하강시키고 있다.The operation of the work suppo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In the released state shown in FIG. 1 , the diameter reduction of the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출력부재(24)는, 도 1에 나타내는 하한 위치(기단측의 한계 위치)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상한 위치(선단측의 한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며, 그 출력부재(24)의 가동(可動) 스트로크(stroke)(S)를 도 1 속에 나타낸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워크 서포트의 릴리스 상태에서, 하한 위치(기단측의 한계 위치)에 있는 출력부재(24)의 계합부(70)로부터, 하한 위치(기단측의 한계 위치)에 있는 서포트 로드(2)에 장착된 누름 볼트(3)의 계지부(71)까지 이간되어 있으며, 그 거리를 도 1에 H로 나타낸다. 상기 출력부재(24)의 가동 스트로크(S)는, 계합부(70)에서 계지부(71)까지의 거리(H)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누름 볼트(3)는, 서포트 로드(2)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Here, the
상기 릴리스 상태에서, 워크(W)를 누름 볼트(3)의 위쪽 위치로 수평방향으로 반입(搬入)한다.In the released state, the workpiece W is horizontally carried in to a position above the
그리고 상기 워크 서포트를 도 1의 릴리스 상태로부터 도 2의 로크 상태로 구동시킬 때에, 압축에어를 급배구(32)로부터 입구실(31)로 공급한다. 그러면, 우선, 입구실(31)의 압축에어가 제2 피스톤(25) 및 피스톤 로드(26)를 제2 스프링(36)에 대항해서 상승시켜 간다. 이어서, 피스톤 로드(26)의 플랜지부(42)가 진출 스프링(43)과 누름 볼트(3)를 통해 서포트 로드(2)를 상승시켜 간다. 그러면, 누름 볼트(3)의 상단면이 워크(W)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 로드(26)의 플랜지부(42)의 하면과 서포트 로드(2)의 피조작부(2a) 사이에는, 간극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피스톤 로드(26)의 상단면과 누름 볼트(3)의 하단면 사이에도 접촉 간극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Then, when the work support is driven from the released state of FIG. 1 to the locked state of FIG. 2 , compressed air is supplied from the supply/
이어서, 상기 제2 피스톤(25)의 상한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제2 피스톤(25)의 봉지부재(25a)가 연통 구멍(49)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그러면, 급배구(32)의 압축에어가 입구실(31)과 연통 구멍(49)을 차례로 통과하여 작동실(13)로 공급된다. 그리고 그 작동실(13)의 압력이 소정의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그 작동실(13)로부터 제1 피스톤(12)으로 작용하는 공압력(空壓力)의 상하방향의 차력이 전동구(6)에 작용한다. 그 하향의 차력이 전동구(6)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그 전동구(6)의 테이퍼 내주면(6a)이 볼(8)을 전동(轉動)시키면서 콜릿(5)의 테이퍼 외주면(5a)에 매끄럽게 계합되어 가서, 그 콜릿(5)을 축경시킨다. 이에 따라, 그 축경된 콜릿(5)이 서포트 로드(2)의 외주면을 축심(軸心)을 향해 압압(押壓)하고, 그 서포트 로드(2)를 도 2에 나타내는 높이 위치에서 로크(협지 고정)한다. 로크 상태에서 워크(W)의 상면을 기계가공 하며, 그 가공시의 압하력(押下力)을 서포트 로드(2)의 서포트력(力)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강력하게 받아내는 것이다.Subsequently, as the
상기 기계가공이 종료한 후, 입구실(31)의 압축에어를 배출한다. 그러면, 우선, 제2 피스톤(25) 및 피스톤 로드(26)가 하강하고, 그 피스톤 로드(26)의 플랜지부(42)가 로크 상태의 서포트 로드(2)의 피조작부(2a)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 때문에, 진출 스프링(43)에 의해 서포트 로드(2)가 상승하는 것을 플랜지부(42)가 확실히 저지하고, 그 후, 서포트 로드(2)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더 상세히 말하면, 다음과 같다.After the machining is finished, the compressed air in the
상기 압축에어의 배출에 따라, 우선, 제2 스프링(36)에 의해 제2 피스톤(25)과 피스톤 로드(26)가 하강해 간다. 이어서, 작동실(13)의 압축에어가, 상기 연통 구멍(49)과, 출구실(35)과, 로드 구멍(23)과, 서포트 로드(2)의 통공과, 하벽(1b)과 서포트 로드(2)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연통홈(45)과, 스프링실(15)과, 하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 구멍(縱孔)(46)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작동실(13)의 압력이 소정의 설정압력을 밑돌면(下回), 제1 피스톤(12) 및 전동구(6)가 제1 스프링(14)에 의해 상측으로 압압되고, 그 전동구(6)의 테이퍼 내주면(6a)이 볼(8)을 전동시키면서 매끄럽게 위쪽으로 이동하여, 콜릿(5)의 테이퍼 외주면(5a)의 압압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콜릿(5)이 자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경(擴徑, 지름 확대)하여, 서포트 로드(2)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제2 피스톤(25) 및 피스톤 로드(26)가 더 하강하여, 서포트 로드(2)를 도 1의 하강 위치로 복귀시킨다.With the discharge of the compressed air, first, the
상기 워크 서포트는, 아래와 같은 이상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The work support operates as follows in the following abnormal conditions.
상기 릴리스 상태에서, 워크 서포트의 상벽(1a)과 서포트 로드(2) 사이에 절분이나 절삭유 등이 내려 쌓인 경우나, 경년열화(經年劣化)에 의해 하우징(1)에 대한 서포트 로드(2)의 접동(摺動, sliding) 저항이 증가한 경우 등에 의해 상벽(1a)과 서포트 로드(2)의 외주벽이 고착되는 일이 있다(이상 상태). 이 이상 상태에서, 전술한 종래의 워크 서포트에서는, 제2 피스톤이 피스톤 로드와 진출 스프링을 통해 서포트 로드를 위쪽으로 밀어도, 상기 고착에 의해 서포트 로드가 상승할 수 없다.In the released state, the
본 실시형태의 워크 서포트에서, 상기 이상 상태에서, 로크 구동시킬 때에, 급배구(32)로부터 입구실(31)로 압축에어를 공급하면, 입구실(31)의 압축에어가 제2 스프링(3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제2 피스톤(25)을 상승시켜 간다. 이때, 서포트 로드(2)는, 하우징(1)의 상벽(1a)에 고착되어, 서포트 로드(2)의 위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어서, 피스톤 로드(26)의 상부에 형성된 계합부(70)가, 누름 볼트(3)의 하단부에 형성된 계지부(71)에 충돌한다. 이에 따라, 그 충돌의 충격력 또는 압압력이, 누름 볼트(3)를 통해 서포트 로드(2)에 작용되고, 그 후, 피스톤 로드(26)가 서포트 로드(2)를 (본 실시형태에서는) 0.2㎜ 정도 밀어올려 간다. 그 결과, 서포트 로드(2)와 상벽(1)의 고착 상태가 해제된다. 계속해서, 진출 스프링(43)의 스프링 부세력에 의해 서포트 로드(2)가 상승되고, 누름 볼트(3)의 상단면이 워크(W)의 하단면에 맞닿는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피스톤(12)이 콜릿(5)을 통해 서포트 로드(2)를 소정 높이 위치에서 로크(협지 고정)한다. 피스톤 로드(26)가 서포트 로드(2)를 밀어올려 가는 거리(압상량(押上量))는, 0.2㎜ 정도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0.2㎜ 내지 0.5㎜여도 된다. 이 경우, 릴리스 상태의 누름 볼트(3)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워크(W)의 하면까지의 거리는, 전술한 압상량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릴리스 상태의 서포트 로드(2)의 선단면으로부터 서포트 로드(2)의 앞쪽 위치에 반입되어 있는 워크(W)까지의 거리가, 계합부(70)에 의해 출력부재(24)가 서포트 로드(2)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는 거리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26)가 서포트 로드(2)를 밀어올리고 있는 동안에, 그 서포트 로드(2)의 상단면(서포트 로드(2)의 일부를 구성하는 누름 볼트(3)의 상단면)이 워크(W)의 하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피스톤 로드(26)가 서포트 로드(2)를 통해 워크(W)를 직접 밀어올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work support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compressed air is supplied from the supply/
상기 제1 실시형태는 다음의 장점을 발휘한다.The above first embodiment exhibits the following advantages.
상기 워크 서포트가 릴리스 상태에서, 서포트 로드(2)가 하우징(1)의 상벽(1a)에 고착되는 고착 상태일 때에, 출력부재(24)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그 출력부재(24)의 계합부(70)를 서포트 로드(2)의 계지부(71)에 충돌시키는 것에 따라, 서포트 로드(2)와 하우징(1)의 고착 상태가 확실히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출력 로드(24)는, 상한 위치로부터 약간 아래쪽의 상한 위치 부근에서 상한 위치까지의 사이에, 하한 위치에 있는 서포트 로드(2)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 로드(24)는, 서포트 로드(2)가 도 1에 나타내는 릴리스 위치(하한 위치)로부터 약간 위쪽으로 이동되면, 접촉할 수 없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진출 스프링(43)은, 종래의 진출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서포트 로드의 자중이나 마찰 저항 등에 대항하는 정도의 부세력을 가지지만, 재치대로부터 워크를 들어올리지 않을 정도의 부세력을 가지는 진출 스프링(43)을 채용할 수 있다.When the work support is in a released state and the
도 4,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4, FIG. 5A and FIG. 5B, FIG. 6A and FIG. 6B show the 2nd -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in princip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member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4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the first embodiment is as follows.
하우징(1) 내에 삽입되는 서포트 로드(2)의 외주면에, 통 모양의 콜릿(5)이 바깥으로 끼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콜릿(5)은, 고무제 탄성체(51)에 의해 하블록(1b)에 압압되고 있다. 또한, 탄성체(51)는, 고무 대신에, 파형(波形) 와셔, 접시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하우징(1)의 하부 내에 진퇴용의 제2 실린더(21)가 설치된다. 그 제2 실린더(2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A
그 하우징(1)의 하블록(1b)에 제2 실린더 구멍(22)이 형성되고, 그 제2 실린더 구멍(22)에 제2 피스톤(25)이 보밀상으로 삽입된다. 그 제2 피스톤(25)으로부터 피스톤 로드(26)가 위쪽으로 돌설(突設)되고, 피스톤 로드(26)가 서포트 로드(2)의 통공에 삽입된다. 제2 피스톤(25)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작동실(52)이, 연통로(連通路)(53)를 통해 상기 제1 작동실(13)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실린더 구멍(11)의 내주면과 제1 피스톤(1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 간극에 의해, 스로틀로(throttle passage)(54)가 구성된다. 상기 제2 피스톤(25)과 피스톤 로드(26)로 출력부재(24)가 구성된다.A
상기 워크 서포트가 릴리스 상태일 때에는, 제2 작동실(52)로부터 압유(壓油)가 배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피스톤(12)이 제1 스프링(14)에 의해 상승되어 콜릿(5)의 축경을 해제하고 있다. 또한, 제2 피스톤(25) 및 피스톤 로드(26)가 제2 스프링(36)에 의해 하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42)가 상기 서포트 로드(2)를 하강시키고 있다. 또한, 하우징(1)의 하벽(1b)에 형성되는 공급로(46)를 통해 스프링실(작동실)(15)에 압축에어(작동용 압력유체)가 공급된다. 그 스프링실(15)의 압축에어가 서포트 로드(2)를 위쪽으로 부세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서포트 로드(2)를 하우징(1)에 대해 위쪽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이, 스프링실(15)과 그 스프링실(15)에 공급되는 압축에어로 구성된다.When the work support is in a released state, pressurized oil is discharged from the
상기 워크 서포트를 릴리스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작동시킬 때에는, 워크(W)를 누름 볼트(3)의 위쪽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반입한다. 그 후, 압유원(押油源)의 압유가 급배구(32)를 통해 제2 작동실(52)로 공급된다. 그러면, 제2 작동실(52)의 압유에 의해 제2 피스톤(25) 및 피스톤 로드(26)가 제2 스프링(36)에 대항하여 상승되어 가면, 피스톤 로드(26)의 플랜지부(42)가 서포트 로드(2)의 피조작부(2a)로부터 위쪽으로 이간되어 간다. 이어서, 스프링실(15)에 공급되는 압축에어가, 서포트 로드(2)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간다. 계속해서, 누름 볼트(3)가 워크(W)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 로드(26)의 플랜지부(42)와 서포트 로드(2)의 피조작부(2a) 사이에는 접촉 간극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When the work support is operated from the released state to the locked state, the work W is horizontally carried in to a position above the
이어서, 제2 작동실(52)의 압유가 연통로(53)를 통해 제1 작동실(13)로 완만하게 공급된다. 제1 작동실(13)의 압력이 충분하지 않을(소정 압력을 밑돌고 있을) 때에는, 제1 스프링(14)의 위쪽으로의 부세력에 의해 제1 피스톤(12)이 상한 위치에 보지(保持)된다. 그 후, 제1 작동실(13)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웃돈(上回) 시점에서, 그 제1 작동실(13)로부터 제1 피스톤(12)으로 작용하는 압력의 상하방향의 차력이 제1 스프링(14)의 위쪽으로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제1 피스톤(12)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간다. 그러면, 그 제1 피스톤(12)의 테이퍼 내주면(6a)이 볼(8)을 전동시키면서 콜릿(5)의 테이퍼 외주면(5a)에 매끄럽게 계합되어 가서, 그 콜릿(5)을 축경시킨다. 이에 따라, 그 축경된 콜릿(5)이 서포트 로드(2)의 외주면을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압압하고, 그 서포트 로드(2)를 소정 높이 위치에 협지 고정한다. 그 로크 상태에서 워크(W)의 상면을 기계가공 하고, 그 가공시의 압하력을 서포트 로드(2)가,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강력한 외력을 받아낸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소정 높이 위치는, 출력부재(24)의 계합부(70)와 서포트 로드(2)의 계지부(71)가 접촉 가능한 높이 위치보다 위쪽(선단측)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워크(W)를 지지하고 있을 때의 서포트 로드(2)의 계지부(71)와, 출력부재(24)의 계합부(7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출력부재(24)가 서포트 로드(2)를 통해 워크(W)를 재치대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워크(W)의 가공 정밀도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ressure oil in the
상기 워크 서포트를 로크 상태로부터 릴리스 상태로 작동시킬 때에는, 기계가공이 종료한 후, 제2 작동실(52)의 압유를 외부로 배출한다. 그러면, 우선, 제1 스프링(14)이 제1 피스톤(12)을 위쪽으로 압압하고, 그 제1 피스톤(12)의 테이퍼 내주면(6a)이 볼(8)을 전동시키면서 매끄럽게 상향 이동시켜, 콜릿(5)의 테이퍼 외주면(5a)의 압압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콜릿(5)이 자기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확경하고, 서포트 로드(2)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제2 스프링(36)이 제2 피스톤(25)을 하강시키고, 플랜지부(42)가 서포트 로드(2)를 하강 구동시킨다.When the work support is operat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the pressurized oil in the
상기 워크 서포트는, 도 4에 나타내는 이상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The work support operates as follows in the abnormal state shown in FIG. 4 .
상기 릴리스 상태에서, 워크 서포트의 상벽(1a)과 서포트 로드(2) 사이에 절분이나 절삭유 등이 내려 쌓이는 것에 의해 상벽(1a)과 서포트 로드(2)의 외주벽이 고착하는 경우가 있다(이상 상태).In the released state, the upper wall 1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상기 이상 상태에서, 본 실시형태의 워크 서포트를 로크 구동시킬 때에, 급배구(32)로부터 제2 작동실(52)로 압유를 공급하면, 제2 작동실(52)의 압유가 제2 스프링(3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제2 피스톤(25)을 상승시켜 간다. 이때, 서포트 로드(2)는, 하우징(1)의 상벽(1a)에 고착되어, 상하방향의 이동을 제한받고 있다. 이어서, 피스톤 로드(26)의 멈춤 링(止輪, retaining ring)(72)에 형성된 계합부(70)가, 서포트 로드(2)의 피조작부(2a)에 형성된 계지부(71)에 충돌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26)가 서포트 로드(2)를 직접 강력하게 밀어올린다. 그 결과, 서포트 로드(2)와 상벽(1a)의 고착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스프링(15)의 압축에어의 위쪽으로의 부세력에 의해 서포트 로드(2)가 상승되어, 누름 볼트(3)의 상단면이 워크(W)의 하단면에 맞닿는다. 그 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피스톤(12)이 콜릿(5)을 통해 서포트 로드(2)를 소정 높이 위치에서 협지 고정한다.In the above abnormal state, when pressurized oil is supplied from the supply/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s. 5A and 5B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as follows.
워크 서포트의 하우징(1)의 하부 중앙에 통 모양의 중앙부재(56)가 상향으로 설치되고, 그 중앙부재(56)의 하(下)플랜지(56a)가 하블록(1b)에 의해 하우징(1)에 압압 고정된다.A tubular
상기 하우징(1)에 서포트 로드(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서포트 로드(2)의 상단부에 통부재(筒部材)(57)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서포트 로드(2)의 하반부(下半部)가 중앙부재(56)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바깥으로 끼워진다. 그 간극에 의해 후술하는 에어 유로(流路)(58)의 일부가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중앙부재(56)의 통공에 제2 피스톤(25)이 보밀상으로 삽입된다.The
테이블(T)에, 압축에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급배구(32)가 형성되고, 급배구(32)가 연통로(53)를 통해 작동실(52)에 연통된다. 그 연통로(53)의 도중부(途中部)에서 분기된 유로(73)가 제1 작동실(13)에 연통된다. 그 유로(73)에 스로틀부(74)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table T, supply/
상기 하우징(2)의 우상부(右上部)에, 압축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공급포트(59)가 설치된다. 또한, 통부재(57)의 통공에 밸브부재(6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밸브부재(61)의 외주벽과 통부재(57)의 통공 및 상단면과의 사이에 출구로(出口路)(60)가 형성된다. 그 출구로(60)의 일부를 구성하는 홈 모양의 연통로(62)가, 밸브부재(61)의 로드 부분(61a)의 외주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밸브부재(61)의 상부에 설치한 확경부(61b)의 외주가 하향으로 돌출되고, 그 하향 돌출부에 하향의 밸브면(63)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통부재(57)의 상단부에 밸브시트(64)가 설치된다.An
상기 밸브부재(61)는,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압압되며, 확경부(61b)의 하측의 압력실(65)의 공압력에 의해 자중에 대항하여 위쪽의 열림 위치로 전환된다. 도 5b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에서는, 밸브면(63)과 밸브시트(64) 사이에, 평면시(平面視)에서 환상의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서포트 로드(2)가 상승하여 워크(W)에 밸브부재(61)가 접촉되었을 때에, 밸브부재(61)의 밸브면(63)이 통부재(57)의 밸브시트(64)에 접촉되어, 에어 유로(58)가 차폐된다. 이에 따라, 에어 유로(58) 내의 압력이 상승되고, 그 상승 압력을 압력 스위치로 검출한다. 그 결과, 밸브부재(61)가 워크(W)의 하면에 맞닿는 위치로 상승된 것이 확인된다. 또한, 통부재(57) 및 밸브부재(61)는, 서포트 로드(2)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The
상기 에어 공급포트(59)와 출구로(60)가 에어 유로(58)에 의해 연통된다. 그 에어 유로(58)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의 우상부의 경사로(66)와, 스프링실(15)과, 콜릿(5)의 슬릿(5b)과, 서포트 로드(2)의 하단부의 외주 공간 및 하측 공간과, 서포트 로드(2)의 하반부 내주면과 중앙부재(56)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67)과, 서포트 로드(2)의 피조작부(2a)에 설치한 세로 홈(68)과, 서포트 로드(2)의 통공을 구비한다.The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워크 서포트는, 아래의 이상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The work support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operates as follows in the following abnormal state.
도 5a에 나타내는 릴리스 상태에서, 워크 서포트의 상벽(1a)과 서포트 로드(2)가 절분이나 절삭유 등에 의해 고착하는 일이 있다(이상 상태). 이 이상 상태에서, 상기 워크 서포트를 로크 구동시킬 때에, 급배구(32)로부터 작동실(52)로 압축에어를 공급하면, 작동실(52)의 압축에어가 제2 스프링(3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제2 피스톤(25)을 상승시켜 간다. 이때, 서포트 로드(2)는, 하우징(1)의 상벽(1a)에 고착되어, 상하방향의 이동을 제한받고 있다. 이어서, 피스톤 로드(26)의 계합부(70)가, 밸브부재(61)의 계지부(71)를 밀어올려 간다. 그러면, 그 밸브 부재(6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75)가 통부재(57)의 하단면에 충돌한다. 그 충돌의 충격 또는 압압력으로 상벽(1a)과 서포트 로드(2)의 고착 상태가 해제된다. 계속해서, 진출 스프링(43)의 스프링 부세력에 의해 서포트 로드(2)가 상승되어 간다. 이때, 압축에어원으로부터 에어 유로(58)를 통해 출구로(60)로 공급되는 압축에어에 의해 압력실(65)의 압력이 상승되고, 그 압력실(65)의 공압력이 통부재(57)로부터 밸브부재(61)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밸브 개방시키고 있다. 이어서, 밸브부재(61)의 상단면이 워크(W)의 하단면에 맞닿는다. 계속해서, 밸브부재(61)의 밸브면(63)에 통부재(57)의 밸브시트(64)가 맞닿아 밸브 폐쇄된다. 이때, 유로(58)의 압력이 상승되고, 그 상승 압력을 (도시하지 않은) 압력 스위치에 의해 검출하는 것에 따라, 밸브부재(61)가 워크(W)의 하면에 맞닿은 것이 확실히 검출된다. 그 후, 제1 피스톤(12)이 콜릿(5)을 통해 서포트 로드(2)를 소정 높이 위치에서 협지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 피스톤(25)과 피스톤 로드(26)로 출력부재(24)가 구성된다.In the release state shown in FIG. 5A , the upper wall 1a of the work support and the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제4 실시형태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6A and 6B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s follows.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26)의 플랜지부(42)와 누름 볼트(3) 사이에, 서포트 로드(2)를 상향으로 부세하는 진출 스프링(부세수단)(43)이 장착된다. 그 진출 스프링(43)은, 여기서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진출 스프링(43)이 가장 압축된 때에, 그 진출 스프링(43)의 이웃하는 권선끼리가 밀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6a에 나타내는 하한 위치에서 서포트 로드(2)가, 어떤 이상에 의해, 하우징(1)에 고착되는 고착 상태일 때에, 출력부재(24)가 하측(기단측)으로부터 상측(선단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출력부재(24)가 상기 밀착 상태의 진출 스프링(43)을 통해 서포트 로드(2)를 하측으로부터 밀어서 고착 상태를 해제한다.As shown in Fig. 6A, between the
상기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 가능하다.The abov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s follows.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구동수단은, 입구실(31)과, 그 입구실(31)에 공급되는 압축에어로 구성되는 것 대신에, 그 입구실(31)에 공급되는 다른 압력유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출력부재(2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예시된 제2 스프링(36) 대신에, 고무 등의 탄성체여도 되고, 더 나아가, 압축에어 등이어도 된다.The drive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other pressure fluid supplied to the
상기 다수의 볼(8) 대신에, 저(低)마찰 기능을 구비한 원주(圓柱)부재로 구성해도 된다.Instead of the plurality of
제1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의 전환수단(48)은, 작동실(13)을 입구실(31)과 출구실(35)로 전환하여 연통시키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제2 피스톤(25)의 외주면이 연통 구멍(49)의 개구부를 완전 폐쇄하는 순간이라도 지장이 없고, 또는, 연통 구멍(49)이 입구실(31)과 출구실(35)의 양쪽 모두에 연통하는 순간이라도 지장이 없다. 더 나아가, 그 전환수단(48)은, 연통 구멍(49)의 개구부와 제2 피스톤(25)의 외주면과의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The switching means 48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ourth embodiment may switch the operating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연통 구멍(49)에, 스로틀로를 설치해도 되고, 또한, 스로틀로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제1 실린더 구멍(11)과 제1 피스톤(12) 사이의 환상 간극을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상 간극이나 연통 구멍(49)의 유동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작동실(13)의 승압(昇壓) 시간 및 강압(降壓) 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따라, 제1 피스톤(12)의 하강 개시 및 상승 개시가 늦어지게 된다. 이상에 따라, 제1 피스톤(12)에 의한 서포트 로드(2)의 로크 개시 및 로크 해제의 개시를 늦출 수 있으므로, 피스톤 로드(26)가 상승 및 하강한 후에 서포트 로드(2)를 확실히 로크 및 로크 해제시킬 수 있다.Further, a throttle may be provided in the
또한, 본 발명은, 예시한 구조의 워크 서포트에 적용하는 것 대신에, 다른 구조의 워크 서포트에 적용 가능하고, 더 나아가, 워크 서포트와는 다른 용도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콜릿(5)을 이용한 테이퍼 전동(傳動)기구 대신에, 박육(薄肉, 얇은 두께) 슬리브(sleeve)의 외주에 환상의 가스 작동실을 형성하고, 그 박육 슬리브를 압력 가스에 의해 축경시켜 서포트 로드 등을 로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work supports of other structures instead of being applied to the work supports of the exemplified structure, and furthermore, it is applicable to applications other than work supports. For example, instead of a taper transmission mechanism using the
상기 출구로(60)는, 서포트 로드(2)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것이면 되고, 예시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The
또한, 서포트 로드(2)로부터 통부재(57)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서포트 로드(2)를 구성하는 상기 밸브부재(61)는, 서포트 로드(2)에 직접적으로 지지되게 된다.Moreover, you may omit the
또한, 상기 서포트 로드(2)로부터 상기 밸브부재(61)를 생략하고, 그 서포트 로드(2)의 상단면에, 세경(細徑, 작은 지름)으로 형성한 상기 출구로(60)를, 직접적으로 개구시켜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상단면이 상기 워크(W)에 맞닿았을 때에 상기 출구로(60)의 개구부가 막혀 해당 출구로(60)가 폐쇄되게 된다.In addition, the
1 : 하우징 1a : 상벽(선단벽)
1b : 하벽(기단벽) 2 : 서포트 로드
5 : 콜릿 11 : 실린더 구멍
12 : 제1 피스톤(피스톤) 15 : 스프링실(작동실)
24 : 출력부재 43 : 진출 스프링
70 : 계합부 71 : 계지부1: Housing 1a: Top wall (end wall)
1b: lower wall (base wall) 2: support rod
5: collet 11: cylinder hole
12: first piston (piston) 15: spring chamber (operating chamber)
24: output member 43: advance spring
70: engaging part 71: engaging part
Claims (5)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외주(外周)에 바깥으로 끼워지는 환상(環狀)의 콜릿(collet)(5)과,
상기 하우징(1) 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린더 구멍(11)에 삽입되는 피스톤(12)으로서, 해당 피스톤(1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콜릿(5)을 통해 상기 서포트 로드(2)를 로크(lock)하는 피스톤(12)과,
상기 하우징(1)의 기단벽(基端壁)(1b)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삽입되는 출력부재(24)와,
상기 서포트 로드(2)와 상기 출력부재(24)를 이간(離間)시키도록 부세(付勢)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단측의 한계(限界) 위치에 있는 상기 서포트 로드(2)가, 어떤 이상에 의해, 상기 하우징(1)에 고착되는 고착 상태일 때에, 상기 출력부재(24)가 상기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출력부재(24)에 형성되는 계합부(係合部, engaging portion)(70)가, 상기 서포트 로드(2)에 형성되는 계지부(係止部, engaged portion)(71)에 충돌하고, 이에 의해, 상기 계합부(70)가 상기 계지부(71)를 상기 기단측으로부터 밀어서 상기 고착 상태를 해제하고,
릴리스 상태의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선단면(先端面)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앞쪽 위치에 반입되어 있는 워크(W)까지의 거리가, 상기 계합부(70)에 의해 상기 출력부재(24)가 상기 서포트 로드(2)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는 거리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부세수단은,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상기 기단측에 형성되는 작동실(15)과, 상기 작동실(15)에 공급되는 작동용 압력유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서포트.A support rod (2) inserted into a front end wall (1a) of the housing (1)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using (1)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front end side and the proximal end side;
An annular collet 5 fitt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rod 2;
As a piston 12 inserted into the cylinder hole 11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housing 1, the support rod 2 is locked through the collet 5 by the driving of the piston 12 ( A piston 12 to lock,
An output member 24 insert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proximal end wall 1b of the housing 1;
A biasing means for biasing the support rod 2 and the output member 24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support rod 2 at the limit position on the proximal end side is stuck to the housing 1 due to some abnormality, the output member 24 moves from the proximal end side to the distal end. As it is moved to the side, the engaging portion 70 formed on the output member 24 becomes an engaged portion formed on the support rod 2 ( 71), whereby the engagement portion 70 pushes the engagement portion 71 from the proximal end side to release the stuck state;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support rod 2 in the released state to the workpiece W carried into the position in front of the support rod 2 is determined by the engaging portion 70 to the output member. (24)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for moving the support rod 2 to the front end side,
The biasing means is composed of an operating chamber 15 form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support rod 2 and an operating pressure fluid supplied to the operating chamber 15,
A work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출력부재(24)의 상기 기단측의 한계 위치로부터 상기 선단측의 한계 위치까지의 가동(可動) 스트로크(stroke)(S)는, 상기 기단측의 한계 위치에 있는 상기 출력부재(24)의 상기 계합부(70)로부터, 상기 기단측의 한계 위치에 있는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상기 계지부(71)까지의 거리(H)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서포트.The method of claim 1,
A movable stroke (S) from the limit position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output member 24 to the limit position on the distal end side is the length of the output member 24 at the limit position on the proximal end side. It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H) from the engaging part 70 to the engaging part 71 of the support rod 2 at the limit position on the base end side,
A work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서포트 로드(2)의 외주에 바깥으로 끼워지는 환상의 콜릿(5)과,
상기 하우징(1) 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린더 구멍(11)에 삽입되는 피스톤(12)으로서, 해당 피스톤(1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콜릿(5)을 통해 상기 서포트 로드(2)를 로크하는 피스톤(12)과,
상기 하우징(1)의 기단벽(1b)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삽입되는 출력부재(24)와,
상기 서포트 로드(2)와 상기 출력부재(24) 사이에 장착되는 진출 스프링(43)으로서, 상기 서포트 로드(2)와 상기 출력부재(24)를 이간시키도록 부세하는 진출 스프링(43)과,
상기 진출 스프링(43)이 가장 압축되었을 때에, 그 진출 스프링(43)의 이웃하는 권선(wound wire)끼리가 밀착 상태가 되어 있고,
상기 기단측의 한계 위치에 있는 상기 서포트 로드(2)가, 어떤 이상에 의해, 상기 하우징(1)에 고착되어 있는 고착 상태일 때에, 상기 출력부재(24)가 상기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출력부재(24)가 상기 밀착 상태의 상기 진출 스프링(43)을 통해 상기 서포트 로드(2)를 상기 기단측으로부터 밀어서 상기 고착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서포트.A support rod (2) inserted into the front end wall (1a) of the housing (1)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distal end and base end within the housing (1);
An annular collet 5 fitt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rod 2,
As a piston 12 inserted into the cylinder hole 11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housing 1, the support rod 2 is locked through the collet 5 by the driving of the piston 12 a piston 12;
an output member 24 that is movably inserted in the base end wall 1b of the housing 1 in the axial direction;
As an advancing spring 43 mounted between the support rod 2 and the output member 24, the advancing spring 43 biases the support rod 2 and the output member 24 apart,
When the advancing spring 43 is most compressed, adjacent wound wires of the advancing spring 4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upport rod 2 at the limit position on the proximal end side is fixed to the housing 1 due to some abnormality, the output member 24 moves from the proximal end side to the distal end side. As a result, the output member 24 pushes the support rod 2 from the proximal end side through the advancing spring 43 in the close contact state to release the stuck state,
A work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57815 | 2018-08-24 | ||
JP2018157815A JP2020028968A (en) | 2018-08-24 | 2018-08-24 | Work support |
PCT/JP2019/025536 WO2020039738A1 (en) | 2018-08-24 | 2019-06-27 | Workpiece suppo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480U KR20210000480U (en) | 2021-03-03 |
KR200496444Y1 true KR200496444Y1 (en) | 2023-02-06 |
Family
ID=6959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7000009U KR200496444Y1 (en) | 2018-08-24 | 2019-06-27 | work support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2020028968A (en) |
KR (1) | KR200496444Y1 (en) |
CN (1) | CN214816838U (en) |
DE (1) | DE212019000361U1 (en) |
TW (1) | TWI716933B (en) |
WO (1) | WO202003973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70638A (en) * | 2021-03-12 | 2022-09-20 | 神猫(广东)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 Workpiece support rod, workpiece support device and workpiece support method |
CN115070637A (en) * | 2021-03-12 | 2022-09-20 | 神猫(广东)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 Workpiece supporting device and workpiece supporting method |
KR20230136389A (en) | 2022-03-18 | 2023-09-26 | (주)케이제이에프 | Work support |
DE102022119899A1 (en) | 2022-08-08 | 2024-02-08 | Frank Entzmann | Device for supporting a workpiece to be machine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02885A (en) * | 2004-10-06 | 2006-04-20 | Honda Motor Co Ltd | Workpiece-suppor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81589B2 (en) | 2002-02-13 | 2007-02-14 | 株式会社コスメック | Cylinder device |
JPWO2006046420A1 (en) * | 2004-10-25 | 2008-05-22 | 株式会社コスメック | Work support |
US10799992B2 (en) * | 2015-09-01 | 2020-10-13 | Vektek, Inc. | Clamping mechanism for hydraulic work support |
-
2018
- 2018-08-24 JP JP2018157815A patent/JP2020028968A/en active Pending
-
2019
- 2019-06-27 WO PCT/JP2019/025536 patent/WO202003973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6-27 CN CN201990000964.2U patent/CN214816838U/en active Active
- 2019-06-27 DE DE212019000361.3U patent/DE212019000361U1/en active Active
- 2019-06-27 KR KR2020217000009U patent/KR200496444Y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07-10 TW TW108124259A patent/TWI716933B/en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02885A (en) * | 2004-10-06 | 2006-04-20 | Honda Motor Co Ltd | Workpiece-suppor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0028968A (en) | 2020-02-27 |
WO2020039738A1 (en) | 2020-02-27 |
DE212019000361U1 (en) | 2021-04-27 |
TW202015852A (en) | 2020-05-01 |
TWI716933B (en) | 2021-01-21 |
KR20210000480U (en) | 2021-03-03 |
CN214816838U (en) | 2021-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6444Y1 (en) | work support | |
EP2868430B1 (en) | Clamp device | |
EP1078713B1 (en) | Clamping apparatus with datum function | |
US6755409B2 (en) | Automatic positioning device | |
EP1666197B1 (en) | Clamp device | |
KR102566000B1 (en) | clamp device | |
US6761103B2 (en) | Cylinder assembly | |
JP4156641B2 (en) | Work support | |
CN114375239B (en) | Workpiece support | |
EP3991912B1 (en) | Work support | |
US7104536B2 (en) | Work support | |
KR102414133B1 (en) | work support | |
EP1445063B1 (en) | Work support | |
JP3233072U (en) | Work support | |
WO2023162801A1 (en) | Clamp device | |
JP6670528B2 (en) | Positioning device with breakage detection function | |
RU2742517C1 (en) | Balancing cylinder and device for transportation of processed part using balancing cylin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