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76Y1 -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 Google Patents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76Y1
KR200496276Y1 KR2020220001383U KR20220001383U KR200496276Y1 KR 200496276 Y1 KR200496276 Y1 KR 200496276Y1 KR 2020220001383 U KR2020220001383 U KR 2020220001383U KR 20220001383 U KR20220001383 U KR 20220001383U KR 200496276 Y1 KR200496276 Y1 KR 200496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umbbell
rotation guide
functional
dumbbe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찬우
Original Assignee
장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찬우 filed Critical 장찬우
Priority to KR2020220001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중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 나사선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덤벨 몸체부, 상기 덤벨 몸체부의 상기 제1 나사선에 회전 결합 및 이탈되도록 제2 나사선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부 및 상기 덤벨 몸체부와 회전 가이드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상기 덤벨 몸체부의 판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적어도 일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FUNCTIONAL DUMBBEL FOR EASY ASSEMBLE AND REPLACEMENT}
본 고안은 중량체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에 관한 것이다.
덤벨(dumbbell)은 중량물이 양단에 장착된 손잡이를 파지하여 승강하거나 일정 범위 내에서의 왕복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기구이다.
사용자는 중량물의 중량을 단계적으로 늘려가면서 운동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중량물의 중량을 단계적으로 늘리기 위하여는 사용자의 운동 부하에 맞는 다양한 중량의 중량물이 장착된 덤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손잡이의 양단부에 다양한 중량을 가진 중량물을 교체하여 장착하는 방식 또는 기어와 스위치 조작으로 다양한 중량을 가진 중량물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운동하는 방식에 의한 덤벨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첫번째 방식은 다양한 중량의 중량물을 교체하기 위하여 일일이 손잡이 양단의 중량물을 분리하고 교체 결합하여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로 각각 결합시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전술한 두번째 방식은 구조적으로 손잡이 양단부에 복잡한 부품이 장착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 및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일 수밖에 없으므로, 일반 사용자가 쉽게 구매하여 사용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6136호(2012.06.22)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기 필요시에 용이하게 중량체를 부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기능식 덤벨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중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 나사선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덤벨 몸체부;
상기 덤벨 몸체부의 상기 제1 나사선에 회전 결합 및 이탈되도록 제2 나사선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부; 및
상기 덤벨 몸체부와 회전 가이드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상기 덤벨 몸체부의 판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적어도 일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 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은,
적어도 일부가 외주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가이드홈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 플레이트는 평면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면에는 정위치를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위치고정 돌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위치고정 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소정의 길이로 신장 및 복귀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덤벨 몸체부의 판상의 플레이트, 회전 가이드부의 고정 플레이트 및 중량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형의 덤벨 몸체부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구속돌기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은, 사용자기 필요시에 용이하게 중량체를 부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덤벨 몸체부와 회전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중량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사용과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들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덤벨 몸체부와 회전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중량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식 덤벨(10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2)와 상기 손잡이(112)의 중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플레이트(113)가 형성되고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 나사선(111)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덤벨 몸체부(110), 상기 덤벨 몸체부(110)의 상기 제1 나사선(111)에 회전 결합 및 이탈되도록 제2 나사선(121)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플레이트(122)가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부(120) 및 상기 덤벨 몸체부(110)와 회전 가이드부(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상기 덤벨 몸체부(110)의 판상의 플레이트(122)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120)의 고정 플레이트(122)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적어도 일부에 가이드홈(131, 141)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플레이트(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 플레이트(130, 140)의 가이드홈(131, 141)은 외주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가이드홈(131, 141)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중량 플레이트(130, 140)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가이드홈(141)만 형성되고 복수개가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중량 플레이트(130) 및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가이드홈(141)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2 개의 제2 가이드홈(132)이 형성되고 결합시에 최외측에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중량 플레이트(130)로 구성되어 있다.
중량 플레이트(130, 140)는 평면의 판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결합시에 정위치 되도록 고정되는 위치고정 돌기(133, 14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중량 플레이트(130, 140)가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중량 플레이트(130, 140)의 일면에는 한 쌍의 위치고정 돌기(133, 14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상기 한 쌍의 위치고정 돌기(133, 143)에 안착되는 위치고정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 플레이트(130, 140)가 일방향으로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덤벨 몸체부(110)는 중공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덤벨 몸체부(110)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덤벨 몸체부(11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포함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덤벨 몸체부(110)의 양단부에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덤벨 몸체부(110)의 양측 단부 개방된 부위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120)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덤벨 몸체부(110)의 중심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120)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구속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식 덤벨(100)을 보관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 가이드부(120)을 회전시켜 고정시키는 경우에 상기 구속돌기에 의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부(120)의 과회전에 의한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120)는 전체적으로 나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가이드부(120)는 상기 덤벨 몸체부의(110) 제1 나사선(111)에 회전되면서 결합 및 이탈되도록 제2 나사선(1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가이드부(120)는 덤벨 몸체부(110)의 양단 개방된 부위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덤벨 몸체부(110)의 상기 구속돌기에 의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부(120)가 양측에서 회전 결합시에 정확한 위치에서 상호 체결완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식 덤벨(100)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6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식 덤벨의 사용과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기능식 덤벨(100)의 덤벨 몸체부(110)에 회전 가이드부(120)을 회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중량 플레이트(140)를 소망하는 무게를 갖도록 개수를 결정하여 결합시키고 한 쌍의 중량 플레이트(130)을 양측 단부에 결합시킨다. 이 때, 중량 플레이트(130, 140)에는 전술한 제1 가이드홈(131, 141)을 통하여 일방향으로 결합 또는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회전 가이드부(140)를 덤벨 몸체부(110)에 회전시켜 중량 플레이트(130, 140)가 유동하지 않도록 면접촉 되면서 결합을 완료한다.
이 때,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는 중량 플레이트(130, 14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회전 가이드부(120)을 회전시켜 소정의 거리만큼만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고 중량 플레이트(130)를 제거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중량 플레이트(130, 140)의 개수를 추가하거나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회전 가이드부(120)를 덤벨 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중량 플레이트(130, 140)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기능식 덤벨
110: 덤벨 몸체부
111: 제1 나사선
112: 손잡이
113: 판상의 플레이트
120: 회전 가이드부
121: 제2 나사선
122: 고정 플레이트
130, 140: 중량 플레이트
131, 141: 제1 가이드홈
132: 제2 가이드홈
133, 143: 위치고정 돌기

Claims (7)

  1.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중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 나사선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덤벨 몸체부;
    상기 덤벨 몸체부의 상기 제1 나사선에 회전 결합 및 이탈되도록 제2 나사선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부; 및
    상기 덤벨 몸체부와 회전 가이드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상기 덤벨 몸체부의 판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적어도 일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은,
    적어도 일부가 외주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가이드홈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되 외주 방향으로 개방되지 않는 2 개의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 플레이트는 평면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면에는 정위치를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량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위치고정 돌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위치고정 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의 덤벨 몸체부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구속돌기가 형성되는,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소정의 길이로 신장 및 복귀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덤벨 몸체부의 판상의 플레이트, 회전 가이드부의 고정 플레이트 및 중량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7. 삭제
KR2020220001383U 2022-06-07 2022-06-07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KR200496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383U KR200496276Y1 (ko) 2022-06-07 2022-06-07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383U KR200496276Y1 (ko) 2022-06-07 2022-06-07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276Y1 true KR200496276Y1 (ko) 2022-12-16

Family

ID=8453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383U KR200496276Y1 (ko) 2022-06-07 2022-06-07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7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9678A (en) * 1998-11-02 2000-03-21 Dawson; Fredric O. Dumbbell set with quick release plates
CN201558453U (zh) * 2009-10-26 2010-08-25 王罗平 可调整重量的哑铃及其组件
KR20120066136A (ko) 2010-12-14 2012-06-22 강성환 덤벨의 축봉
KR101858958B1 (ko) * 2016-09-26 2018-05-17 서정헌 중량 조절형 아령
KR20210054311A (ko) * 2019-11-05 2021-05-13 윤우섭 바벨 봉에 자동설치 및 해리되는 바벨원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9678A (en) * 1998-11-02 2000-03-21 Dawson; Fredric O. Dumbbell set with quick release plates
CN201558453U (zh) * 2009-10-26 2010-08-25 王罗平 可调整重量的哑铃及其组件
KR20120066136A (ko) 2010-12-14 2012-06-22 강성환 덤벨의 축봉
KR101858958B1 (ko) * 2016-09-26 2018-05-17 서정헌 중량 조절형 아령
KR20210054311A (ko) * 2019-11-05 2021-05-13 윤우섭 바벨 봉에 자동설치 및 해리되는 바벨원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251B2 (ja) 衝撃吸収システムを有するセレクタ式ダンベル
US11040235B2 (en) Dumbbell assembly
US7223214B2 (en) Adjustable dumbbell
US7011611B1 (en) Adjustable weight dumbell
US7553259B2 (en) Multi-handle weight exercise device
CN101466440A (zh) 重量件选择方法和装置
US7841972B1 (en) Dumbbell
US8382647B1 (en) Weighted exercise device providing two grips
US8932188B2 (en) Weight apparatus including weight adjustment arrangement
US20090264258A1 (en) Buffering Apparatus
US20080188362A1 (en) Weightlifting device
US20180078811A1 (en) Adjustable dumbbell
US20140187395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exercise device
KR200496276Y1 (ko)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기능식 덤벨
US9327158B1 (en) Exercise equipment and adjustable band peg assemblies for exercise equipment
US9713736B2 (en) Dumbbell with detachable weights
US20120302409A1 (en) Weight-lifting bars,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weight-lifting bars, and a method of weight-lifting
CN105896376A (zh) 防震锤复位装置
US11951347B2 (en) Weight member and the use in barbell and dumbbell devices
US20170056703A1 (en) Exercising Weight System
DE102017113777B4 (de) Kugelhantel mit verstellbarem Gewicht
JP4147541B2 (ja) 運動補助具
US10736801B2 (en) Wheelchair
CN109346359B (zh) 机械键盘及其安装方法
TWI723869B (zh) 工具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