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29Y1 -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 Google Patents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29Y1
KR200496229Y1 KR2020210000012U KR20210000012U KR200496229Y1 KR 200496229 Y1 KR200496229 Y1 KR 200496229Y1 KR 2020210000012 U KR2020210000012 U KR 2020210000012U KR 20210000012 U KR20210000012 U KR 20210000012U KR 200496229 Y1 KR200496229 Y1 KR 200496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body part
unfold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738U (ko
Inventor
김영선
한미숙
Original Assignee
김영선
한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한미숙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2020210000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2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각각 대향된 2개의 다리파트, 상기 다리파트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파트, 및 상기 다리파트로부터 연장된 지지결합파트를 포함하되,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지지부, 힌지부를 포함하여 접이가 가능하고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하부를 향해 오픈된 나사홀이 가공된 본체파트, 상기 본체파트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결합파트와 결합되는 본체결합파트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지지바디파트 및 상기 지지바디파트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본체파트의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돌기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상기 본체파트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지부와 본체부를 결합할 때 나사 등 복잡한 결합 방식을 최소화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힌지부를 통해 본체파트를 접고 펼 수 있어 침대 운반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많은 보관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 효율적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Bed frame having simple folding structure}
본 고안은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구로서, 가정이나 병원 또는 군대 등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에 주로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침대는 크기에 따라 더블침대, 싱글침대, 이층침대 등으로 분류되고, 연령층에 따라 성인용, 어린이용, 유아용 등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목재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제작된다.
통상 침대는 복수 개의 외곽 프레임, 외곽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브라켓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침대는 외곽 프레임을 가장자리끼리 접한 상태에서 내측에 브라켓을 덧댄 후 볼팅하여 조립하는 등 복잡한 결합 구조를 취하고 있어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병원이나 기숙사, 군대 등에는 한 번에 대량의 침대가 공급되는데 이와 같이 대량의 침대가 공급되는 곳에서는 조립 편의성을 개선하여 조립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낮출 필요가 있다.
또한, 침대의 외곽 프레임이 넓고 부피가 커 운반이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하지 않고 보관 시 많은 보관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지부와 본체부를 결합할 때 나사 등 복잡한 결합 방식을 최소화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킨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체부의 본체파트가 접힐 수 있도록 고안하여 침대 운반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많은 보관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효율적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각각 대향된 2개의 다리파트, 상기 다리파트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파트, 및 상기 다리파트로부터 연장된 지지결합파트를 포함하되,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지지부, 힌지부를 포함하여 접이가 가능하고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하부를 향해 오픈된 나사홀이 가공된 본체파트, 상기 본체파트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결합파트와 결합되는 본체결합파트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지지바디파트 및 상기 지지바디파트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본체파트의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돌기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상기 본체파트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결합파트는 상부를 향해 오픈된 상부걸이홈 및 상기 상부걸이홈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본체결합파트를 향해 돌출된 하부돌기가 형성된 지지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결합파트는 하부를 향해 오픈된 하부걸이홈 및 상기 하부걸이홈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결합파트를 향해 돌출된 상부돌기가 형성된 본체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돌기가 상기 상부걸이홈에 걸리고 상기 하부걸이홈이 상기 하부돌기에 걸려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본체파트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사각 형상을 갖는 2개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에 위치되어 2개의 상기 프레임부를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힌지부,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홀이 가공된 나사부, 및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서로 마주보고 접촉하도록 2개의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가 역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상기 지지바디파트의 상면이 2개의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에 맞닿아 상기 본체파트가 정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연결파트는 상기 다리파트의 상단 간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파트 및 상기 다리파트의 중간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단 연결파트 및 상기 중간 연결파트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목판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단 연결파트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쇠가 상기 목판파트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중간 연결파트의 하부에서 상기 중간 연결파트를 관통하고 상기 목판파트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결합하여, 상기 목판파트를 상기 연결파트에 결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사부는 폭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열된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나사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사부는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에 위치된 제3 나사부와 제4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나사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4 나사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간지지부의 상기 돌기파트는 상기 제3 나사부를 관통한 후 상기 제4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간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단이 연장되며, 상기 연장단의 하면이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본체파트가 역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지지부와 본체부를 결합할 때 나사 등 복잡한 결합 방식을 최소화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부를 통해 본체파트를 접고 펼 수 있으므로, 침대 운반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침대 미 사용 시 많은 보관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효율적인 공간 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파트가 접힌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파트가 펴진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부와 중간지지부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지지부와 본체부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지지부와 본체부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부와 중간지지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지지부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파트가 펴진 형상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부와 중간지지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파트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파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는 지지부(200), 본체부(300) 및 중간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머리판과 발판이 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쪽이 되는 제1 지지부(210)와 사용자의 발 쪽이 되는 제2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다리파트(230), 연결파트(240) 및 지지결합파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파트(230)는 2개의 대향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 예를 들어 봉 또는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파트(240)는 이러한 다리파트(230)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 적어도 한 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본체부(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리파트(230)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결합파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210)와 제2 지지부(220)는 형상이 일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210)를 구성하는 제1 다리파트(231)의 높이는 제2 지지부(220)를 구성하는 제2 다리파트(232)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머리판을 구성하는 제1 지지부(210)의 높이가 발판을 구성하는 제2 지지부(220)의 높이보다 전체적으로 높을 수 있다.
한편, 연결파트(24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단 연결파트(241)와 중간 연결파트(2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단 연결파트(241)는 다리파트(230)의 상단 간을 연결하고 중간 연결파트(242)는 다리파트(230)의 중간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은 수학적 의미의 정확한 중간 부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파트(240)의 형상도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지지부(210)는 높이가 높으므로 제1 지지부(210)를 구성하는 제1 연결파트(240)는 제1 다리파트(231)의 상단 간을 연결하는 제1 상단 연결파트(243), 제1 다리파트(231)의 중간 일 지점 간을 연결하는 제1-1 중간 연결파트(244), 제1 다리파트(231)의 중간 다른 지점 간을 연결하는 제1-2 중간 연결파트(245)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중간 연결파트(242)를 2개 포함하고, 제2 지지부(220)는 높이가 낮으므로 제2 지지부(220)를 구성하는 제2 연결파트(240)는 제2 다리파트(232)의 상단 간을 연결하는 제2 상단 연결파트(246), 제2 다리파트(232)의 중간 간을 연결하는 제2 중간 연결파트(247)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중간 연결파트(242)를 1개만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210)와 제2 지지부(22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상이해질 수 있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본체파트(310)가 접힌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본체파트(310)가 펴진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본체부(300)와 중간지지부(400)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본체부(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300)는 접히고 펴짐이 가능한 본체파트(310), 및 본체부(300)가 지지부(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결합파트(250)와 결합되는 본체결합파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파트(310)는 예를 들어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를 포함하는 프레임부(330), 상부에 위치되는 매트릭스를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부(330)의 내측에 위치되어 프레임부(330)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는 지지프레임부(340), 본체파트(310)가 접혀지고 펴질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350), 중간지지부(400)가 결합되는 나사부(360) 및 본체파트(310)의 역방향 접힘을 방지하는 접촉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부(330)는 예를 들어 "ㅁ"과 같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는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고 본체파트(310)가 펼쳐져 있을 때 서로 이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부(340)는 프레임부(330)의 내부 빈 공간에 채워질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부(330)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부에 위치되는 매트릭스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부(340)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침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부(340)는 프레임부(330)에 대하여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프레임부(330)에 "└┘" 형상의 연결부재(미도시)를 용접하고, 연결부재(미도시)에 지지프레임부(340)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지지프레임부(340)를 프레임부(33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부(331)에 결합된 제1 지지프레임부(340)와 제2 프레임부(332)에 결합된 제2 지지프레임부(340)는 모두 길이 방향을 따라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힌지부(350)는 본체파트(310)가 접혀지고 펴질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체파트(310)가 도 3과 같이 펼쳐져 있을 때 본체파트(310)의 하부를 향하는 면, 즉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의 하면에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간을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파트(310)가 접혀질 때에는 본체파트(310)가 펼쳐져 있을 때를 기준으로 본체파트(310)의 양끝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접혀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350)를 통해 본체파트(310)를 접고 펼 수 있으므로, 운송 시에는 넓이가 넓은 본체파트(310)를 접어서 운송함으로써 운송비를 최소화하고 운송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고 보관 시에도 많은 공간을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또한, 설치 시에는 본체파트(310)를 펼침으로써 침대프레임(100a)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접촉부(370)는 본체파트(310)가 펼쳐졌을 때 서로 마주보고 접촉하도록 2개의 프레임부(330) 외곽 양측 지점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부(371)는 제1 프레임부(33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접촉부(372)는 제2 프레임부(332)에 연결되어 있는데, 본체파트(310)가 펼쳐지면서 서로 인접해지다가 맞닿게 되며, 완전히 맞닿은 이후에는 역방향으로 본체파트(31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370)는 서로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금속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330)나 지지프레임부(340)와는 달리,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어 적절한 마찰력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사부(360)는 중간지지부(4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어 본체파트(310)가 접힐 때 저촉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본체파트(310)가 펼쳐져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360)에는 본체파트(310)가 펼쳐져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하부를 향해 오픈된 나사홀(361)이 가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나사홀(361)에 중간지지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부(360)는 단수 개 또는 침대프레임(100a)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힌지부(350)도 2개, 나사부(360)도 2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지지부(200)와 본체부(300)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지지부(200)와 본체부(300)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와 본체부(300)의 결합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지지결합파트(250)와 본체부(300)의 본체결합파트(32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결합파트(250)는 다리파트(230)로부터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2개씩 제1 지지부(210)와 제2 지지부(2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결합파트(320)는 본체파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을 향해 각각 본체파트(310)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폭 방향으로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결합파트(250)와 본체결합파트(320)는 모두 4개씩 형성되어 4개 지점에서 지지부(200)와 본체부(300)를 결합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결합파트(250)는 상부를 향해 오픈된 상부걸이홈(252)이 형성된 지지결합판(251)을 포함하며 지지결합판(251)의 하부에는 본체결합파트(320)를 향해 돌출된 하부돌기(25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본체결합파트(320)는 하부를 향해 오픈된 하부걸이홈(322)이 형성된 본체결합판(321)을 포함하며 본체결합판(321)의 상부에는 지지결합파트(250)를 향해 돌출된 상부돌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300)를 지지부(200)에 결합할 때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힌지부(350)를 통해 본체파트(310)가 접힌 상태에서 펼친 상태로 변경한다. 다음, 2개의 지지부(200)를 세운 상태에서 펼쳐진 본체부(300)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리면, 본체결합파트(320)의 상부돌기(323)가 지지결합파트(250)의 상부걸이홈(252)에 안착되고 본체결합파트(320)의 하부걸이홈(322)이 지지결합파트(250)의 하부돌기(253)에 걸리면서, 본체부(300)가 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등을 통하지 않은 무체결 방식으로 본체부(300)를 지지부(200)에 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돌기(323)와 하부돌기(253)는 외측이 내측보다 폭이 넓을 수 있으며 최대폭이 상부걸이홈(252)과 하부걸이홈(322)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253, 323)는 걸이홈(252, 322)보다 폭이 좁거나 같은 제1 영역(324) 및 걸이홈(252, 322)보다 폭이 넓은 제2 영역(32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253, 323)와 걸이홈(252, 322)은 제1 영역(324)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 시 걸리적거리지 않고 잘 결합되며, 결합 된 후에는 좌우방향의 외력으로 서로 멀어지더라도 제2 영역(325)으로 인해 돌기(253, 323)가 걸이홈(252, 3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이 폭이 상이한 영역 구분이 아니라 돌기(253, 323)를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돌기(253, 323)와 걸이홈(252, 322)이 결합될 때 걸리지 않게 하면서도, 결합된 후에는 좌우방향의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돌기(253, 323)가 걸이홈(252, 322)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더욱 강한 고정을 위하여 지지결합판(251)과 본체결합판(321)을 서로 나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지결합파트(250)와 본체결합파트(320)는 서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다리파트(230) 및 본체파트(310)와 동일하게 금속으로 구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금속 간 결합으로 인한 마찰음과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결합판(251)과 본체결합판(321) 사이에 고무 등 탄성소재를 개재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본체부(300)와 중간지지부(400)가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0)와 중간지지부(400)의 결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중간지지부(400)는 지지바디파트(410) 및 돌기파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디파트(410)는 본체파트(310)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본체파트(310)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위치되어 본체파트(310)를 지지부(200)와 함께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부(200)는 본체파트(310)의 길이 방향 양단을, 중간지지부(400)는 본체파트(310)의 중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돌기파트(420)는 지지바디파트(410)의 상부에 연장될 수 있으며 나사부(360)의 나사홀(36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파트(310)를 펼친 후 중간지지부(400)의 지지바디파트(410)를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돌기파트(420)가 나사홀(361)에 점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중간지지부(400)가 본체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지지부(400)와 본체부(300) 간의 결합은, 본체파트(310)를 펼친 후 본체부(300)와 지지부(200)를 서로 결합하기 전에 수행해도 가능하고, 또는 본체부(300)와 지지부(200)를 서로 결합한 후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기파트(420)가 나사홀(361)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바디파트(410)의 상면이 본체파트(310)의 하면에 맞닿게 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디파트(410)의 폭은 본체파트(310)를 구성하는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사이의 이격 공간을 고려하더라도 충분히 넓어, 중간지지부(400)가 본체부(300)에 결합되었을 때 지지바디파트(410)의 상면이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의 하면 모두에 맞닿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파트(310)가 정방향(본체파트(31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 양단이 하부를 향해 접혀지는 것)으로 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침대프레임(100a)의 설치 이후에는 본체파트(310)가 정방향으로 접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매트릭스와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지지부(200)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부(200), 본체부(300) 및 중간지지부(400)를 포함하고 지지부(200)가 다리파트(230), 연결파트(240) 및 지지결합파트(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지지부(200)가 목판파트(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0)의 연결파트(240)는 상단 연결파트(241)와 중간 연결파트(242)를 포함하며, 목판파트(260)는 이러한 상단 연결파트(241)와 중간 연결파트(24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목판파트(260)는 상단 연결파트(241)와 중간 연결파트(242) 및 다리파트(230)가 이루는 "ㅁ" 형상의 사각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판파트(260)는 원목, MDF 등 목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목판파트(260)에 의해 전체적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100a)의 외관이 수려해지고 고급스러워질 수 있다.
목판파트(26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단 연결파트(241)의 하면에는 걸림쇠(248)를 형성하고 목판파트(260)의 상면에는 걸림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목판파트(260)를 결합할 때에는 걸림홈(미도시)에 걸림쇠(248)가 삽입되도록 목판파트(260)를 상단 연결파트(241)와 중간 연결파트(242) 사이에 안착시킨 후, 중간 연결파트(242)의 하부에서 중간 연결파트(242)를 관통하고 목판파트(260)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249)를 결합하여 목판파트(26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쇠(248)가 상단 연결파트(241)에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하단 연결파트(240)의 상면에 걸림쇠(248)를 설치하고 상단 연결파트(241)의 상부에서 고정나사(249)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파트(310)가 펴진 형상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지지부(200), 본체부(300) 및 중간지지부(400)를 포함하되, 본체부(300)의 나사부(360)가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에 폭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본체부(300)를 구성하는 본체파트(310)의 나사부(360)가 복수 개 모두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 즉 도면에서는 제1 프레임부(331)에만 위치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침대프레임(100a)에 매트릭스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눕는 행위를 반복하게 되면 제1 프레임부(331)에만 지속적으로 큰 응력이 가해져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부(360)가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에 교번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사부(360)는 복수 개, 예를 들어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나사부(362)는 침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제1 측에, 제2 나사부(363)는 침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제1 측 반대 방향인 제2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나사부(362)는 제1 프레임부(331)에, 제2 나사부(363)는 제2 프레임부(332)에 교번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해지는 응력이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가 펼쳐진 후 다시 절곡되지 않도록 연결편(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500)은 본체파트(310)가 펼쳐졌을 때 본체파트(310)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의 하면에 볼팅 결합되어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의 각도를 180°로 상호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부(300)와 중간지지부(400)가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지지부(200), 본체부(300) 및 중간지지부(400)를 포함하되, 본체부(300)의 나사부(360)가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에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한 지점에서의 나사부(360)는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지점에서는 나사부(360)가 설치된 프레임부(330)에 응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국소적인 응력 집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지점에서 나사부(360)를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모두에 설치할 수 있다.
나사부(360)는 예를 들어 제3 나사부(364)와 제4 나사부(36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나사부(364)는 제1 프레임부(331)에, 제4 나사부(365)는 제2 프레임부(33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폭 방향으로 동일한 지점에 제3 나사부(364)와 제4 나사부(365)가 설치된 것이므로 서로 저촉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제3 나사부(364)와 제4 나사부(365)의 높이를 서로 달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3 나사부(364)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제4 나사부(365)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본체파트(310)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제3 나사부(364)와 제4 나사부(365)가 서로 저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중간지지부(400)의 돌기파트(420)는 제3 나사부(364)와 제4 나사부(365)에 모두 삽입될 수 있는데, 낮게 위치한 제3 나사부(364)에 먼저 삽입된 후 높게 위치한 제4 나사부(365)에 삽입되어 중간지지부(400)는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모두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부(360)가 설치된 모든 지점에서 응력이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국소적 응력 집중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파트(310)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부(200), 본체부(300) 및 중간지지부(400)를 포함하되, 본체부(300)의 2개의 프레임부(330) 중 적어도 하나에 연장단(334)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부(331)에 연장단(334)이 연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연장단(334)은 본체파트(310)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제2 프레임부(33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단(334)의 하면은 제2 프레임부(332)의 상면에 맞닿을 수 있으며, 이에 본체파트(310)가 역방향으로 접히는 것(본체파트(310)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본체파트(310)의 양단이 상부로 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의 본체파트(3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앞선 실시예들과 같이 지지부(200), 본체부(300) 및 중간지지부(400)를 포함하되, 본체부(300)를 구성하는 본체파트(310)에 격자부(38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격자부(380)는 복수개의 횡지지봉(381)와 종지지봉(38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격자부(380)에 의해 응력이 퍼져 지지프레임부(340)에만 응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상부의 매트릭스 및 사용자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a :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200 : 지지부 230 : 다리파트
240 : 연결파트 250 : 지지결합파트
300 : 본체부 310 : 본체파트
320 : 본체결합파트 330 : 프레임부
340 : 지지프레임부 350 : 힌지부
360 : 나사부 370 : 접촉부
380 : 격자부 400 : 중간지지부
410 : 지지바디파트 420 : 돌기파트

Claims (5)

  1. 각각 대향된 2개의 다리파트, 상기 다리파트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파트, 및 상기 다리파트로부터 연장된 지지결합파트를 포함하되,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지지부;
    힌지부를 포함하여 접이가 가능하고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하부를 향해 오픈된 나사홀이 가공된 본체파트, 상기 본체파트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결합파트와 결합되는 본체결합파트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지지바디파트 및 상기 지지바디파트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본체파트의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돌기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상기 본체파트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결합파트는 상부를 향해 오픈된 상부걸이홈 및 상기 상부걸이홈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본체결합파트를 향해 돌출된 하부돌기가 형성된 지지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결합파트는 하부를 향해 오픈된 하부걸이홈 및 상기 하부걸이홈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결합파트를 향해 돌출된 상부돌기가 형성된 본체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돌기가 상기 상부걸이홈에 걸리고 상기 하부걸이홈이 상기 하부돌기에 걸려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본체파트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사각 형상을 갖는 2개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에 위치되어 2개의 상기 프레임부를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힌지부,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홀이 가공된 나사부, 및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서로 마주보고 접촉하도록 2개의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가 역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상기 지지바디파트의 상면이 2개의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에 맞닿아 상기 본체파트가 정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방지되며,
    2개의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연결파트는 상기 다리파트의 상단 간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파트 및 상기 다리파트의 중간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단 연결파트 및 상기 중간 연결파트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목판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단 연결파트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쇠가 상기 목판파트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중간 연결파트의 하부에서 상기 중간 연결파트를 관통하고 상기 목판파트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결합하여, 상기 목판파트를 상기 연결파트에 결합하고,
    상기 나사부는 폭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열된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나사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위치되는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각각 대향된 2개의 다리파트, 상기 다리파트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파트, 및 상기 다리파트로부터 연장된 지지결합파트를 포함하되,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지지부;
    힌지부를 포함하여 접이가 가능하고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하부를 향해 오픈된 나사홀이 가공된 본체파트, 상기 본체파트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결합파트와 결합되는 본체결합파트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지지바디파트 및 상기 지지바디파트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본체파트의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돌기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상기 본체파트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결합파트는 상부를 향해 오픈된 상부걸이홈 및 상기 상부걸이홈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본체결합파트를 향해 돌출된 하부돌기가 형성된 지지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결합파트는 하부를 향해 오픈된 하부걸이홈 및 상기 하부걸이홈의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결합파트를 향해 돌출된 상부돌기가 형성된 본체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돌기가 상기 상부걸이홈에 걸리고 상기 하부걸이홈이 상기 하부돌기에 걸려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본체파트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사각 형상을 갖는 2개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에 위치되어 2개의 상기 프레임부를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힌지부,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홀이 가공된 나사부, 및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서로 마주보고 접촉하도록 2개의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가 역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파트가 펼쳐졌을 때 상기 지지바디파트의 상면이 2개의 상기 프레임부의 하면에 맞닿아 상기 본체파트가 정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방지되며,
    2개의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연결파트는 상기 다리파트의 상단 간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파트 및 상기 다리파트의 중간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단 연결파트 및 상기 중간 연결파트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목판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단 연결파트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쇠가 상기 목판파트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중간 연결파트의 하부에서 상기 중간 연결파트를 관통하고 상기 목판파트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결합하여, 상기 목판파트를 상기 연결파트에 결합하고,
    상기 나사부는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에 위치된 제3 나사부와 제4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나사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4 나사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간지지부의 상기 돌기파트는 상기 제3 나사부를 관통한 후 상기 제4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간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KR2020210000012U 2021-01-05 2021-01-05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KR200496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12U KR200496229Y1 (ko) 2021-01-05 2021-01-05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12U KR200496229Y1 (ko) 2021-01-05 2021-01-05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38U KR20220001738U (ko) 2022-07-12
KR200496229Y1 true KR200496229Y1 (ko) 2022-12-02

Family

ID=8239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012U KR200496229Y1 (ko) 2021-01-05 2021-01-05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2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421Y1 (ko) * 2001-03-03 2001-07-19 유광열 고탄성 프레임에 의한 절첩식 간이침대
KR100470154B1 (ko) * 2002-05-10 2005-02-05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KR101700266B1 (ko) * 2016-05-24 2017-02-14 주식회사 대건가구 탈부착가능한 침대독서대
KR102157463B1 (ko) * 2020-04-01 2020-09-17 김영선 간편 체결식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416B1 (ko) * 2018-01-24 2020-03-05 주식회사 소프시스 절첩 가능한 침대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421Y1 (ko) * 2001-03-03 2001-07-19 유광열 고탄성 프레임에 의한 절첩식 간이침대
KR100470154B1 (ko) * 2002-05-10 2005-02-05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KR101700266B1 (ko) * 2016-05-24 2017-02-14 주식회사 대건가구 탈부착가능한 침대독서대
KR102157463B1 (ko) * 2020-04-01 2020-09-17 김영선 간편 체결식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38U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9254B2 (en) Bedding/seating product with locked corners
EP1765120A2 (en) T-shaped side rails for bed frame
JP3238591U (ja) 多段ベッド
KR200496229Y1 (ko) 간편 접이식 침대프레임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KR102157463B1 (ko) 간편 체결식 침대
US8112834B1 (en) Connecting arrangement for spring deck holder for a crib mattress
US7069605B2 (en) Cabinet-crib combination apparatus
KR101188797B1 (ko) 식탁
WO2017163330A1 (ja) 組替え可能なベビーベッド
US20050022302A1 (en) Convertible bed system
JP2022133377A (ja) 組み立て式ロフトベッド
KR101718861B1 (ko) 서랍장에 의한 지지면적 확장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US2589947A (en) Garment rack
US20100013363A1 (en) Collapsible Cabinet with Fabric Drawers
KR102339257B1 (ko) 조립식 가구
KR102556451B1 (ko) 간편히 조립되는 침대프레임
KR102617094B1 (ko) 안전 기능을 가진 다목적 가구 어셈블리
KR200339132Y1 (ko) 조립식 침대
JP2005124742A (ja) ベッドーデスクコンビネーション
JP2008067820A (ja) ベッド装置
US4622705A (en) Toddler bed construction utilizing crib converter kit
US7895687B2 (en) Cross bar system for a bed frame
JP2020110559A (ja) 組立ベッド
KR200497382Y1 (ko) 마감판 체결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