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81Y1 -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 Google Patents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81Y1
KR200495781Y1 KR2020200002216U KR20200002216U KR200495781Y1 KR 200495781 Y1 KR200495781 Y1 KR 200495781Y1 KR 2020200002216 U KR2020200002216 U KR 2020200002216U KR 20200002216 U KR20200002216 U KR 20200002216U KR 200495781 Y1 KR200495781 Y1 KR 200495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ame
distribution pipe
wat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09U (ko
Inventor
조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진영알엔에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진영알엔에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진영알엔에치
Priority to KR2020200002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8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7Casings or frame structures for hydraul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7Racks or shelf units with fram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24D3/1075Built up from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또는 수돗물 등을 공동주택 등의 각 세대에 분배공급하기 위한 분배관을 모듈화시킨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는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또는 수돗물을 각 세대에 분배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형 분배관이 고정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에 있어서:
지면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하단이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강도보강용 수평프레임;
상기 레일홈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는 슬라이더에 의해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고, 상기 모듈형 분배관중 어느 하나의 분배관을 고정시키는 새들형 클램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상기 새들형 클램프와 교호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레일홈에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는 서포터 타측이 전후방향의 레일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듈형 분배관중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임의거리만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분배관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기 새들형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분배관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배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multi holder for fixing pipe}
본 명세서는 분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및 수돗물 등을 공동주택 등의 각 세대에 분배공급하기 위한 분배관을 모듈화시킨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통합 분배기는 단독주택,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 빌딩 등의 건물에 시공되어 건물의 여러 장소로 온수 및 냉수, 난방수, 급수를 분배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급수 및 급탕, 보일러용 급수 및 환수, 급수관 등을 위한 관 이음매가 집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통합 거치대는
일 예로서, 통합 거치대(즉, 유량계와 열량계 등의 각종 계량기를 세대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공간에 밀집되게 설치할 때 사용될 수 있다)(20)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 패널(21,22)과, 수직 패널(21,22)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패널(23)을 포함한다.
통합 거치대(20)는 수직 패널(21,22)에 관통공(24)이 형성되어 배관이 수직 패널(21,22)을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바, 통합 거치대(20)를 제작시 배관이 관통하는 관통공(24)을 수직 패널(20,21)에 미리 가공하게 된다.
그러나, 건축의 시공 및 배관의 설치과정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되므로, 통합 거치대(20)에 미리 가공된 관통공(24)과 배관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 배관의 고정이 용이하지 못해 구멍을 다시 형성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통합 거치대(20)에 미리 가공된 관통공(24)을 통해서만 배관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배관의 배열을 작업현장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없게 되므로 작업현장 조건에 능등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90540호에 소켓과 유니온파이프가 일체화된 커넥터를 구비한 통합 분배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및 수돗물 등을 공동주택 등의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 모듈화된 분배관에 이음연결되는 세대배관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세대배관이 이음연결되는 분배관 배열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조합하여 작업성 및 공간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및 수돗물을 각 세대에 분배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형 분배관이 고정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에 있어서:
지면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하단이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강도보강용 수평프레임;
상기 레일홈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는 슬라이더에 의해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고, 상기 모듈형 분배관중 어느 하나의 분배관을 고정시키는 새들형 클램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상기 새들형 클램프와 교호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레일홈에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터 타측이 전후방향의 레일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듈형 분배관중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임의거리만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분배관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기 새들형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분배관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배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및 수돗물 등을 공동주택 등의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 모듈화된 분배관에 이음연결되는 세대배관 고정위치를 작업현장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하여 다양한 현장조건에 능등적으로 대처하여 작업할 수 있어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세대배관이 이음연결되는 분배관의 배열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조합하여 세대배관을 분배관에 이음연결시 인접한 분배관에 간섭받지않아 특히, 전후 방향의 작업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어 작업성 및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통합 거치대의 개략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배관 거치대에 계량기함이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배관 거치대의 계량기함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배관 거치대에 새들형 클램프의 장착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배관 거치대에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의 장착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는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및 수돗물을 각 세대에 분배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형 분배관이 고정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에 있어서:
지면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게 고정되는 앵글형태의 한 쌍의 받침대(10,11)(일 예로서,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10,11)에 하단이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12)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3,14)(일 예로서, 4면의 외측면이 형성된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3,14)에 양단이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강도보강용 수평프레임(15);
레일홈(1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체결부재(100)에 의해 고정되는 슬라이더(s)에 의해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고, 모듈형 분배관(16,17,18)중 어느 하나의 분배관(16 또는 18)을 고정시키는 새들형 클램프(19)(일 예로서, 반새들형 클램프 또는 양새들형 클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3,14)에 고정되는 새들형 클램프(19)와 교호적으로 고정되도록 수직프레임(13,14)의 레일홈(12)에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터(30) 타측이 전후방향의 레일홈(미 도시된 바닥면에 형성된 전후방향의 레일홈을 말함)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모듈형 분배관(16,17,18)중 어느 하나의 모듈형 분배관(17)의 고정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임의거리만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12)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20)(일 예로서, 4면이 형성된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을 구비하여,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20)에 고정되는 분배관(17)을 수직프레임(13,14)에 새들형 클램프(19)에 의해 고정된 분배관(16,18)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배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도어(22)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전술한 수직프레임(13,14) 하측에 장착되고, 레일홈(12)에 고정되는 서포터(30)에 제2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31)을 체결하되, 제2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31)의 레일홈(12)에 장착되는 새들형 클램프(19)에 의해 고정되는 수도관(21)이 수용되는 계량기함(23)을 구비하거나,
또는, 모듈형 분배관(16,17,18) 및 수도관(21)이 수용되는 계량기함(23)(미 도시)을 더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전술한 수직프레임(13,14)은
받침대(10,11)에 하단이 고정되고, 내부가 빈 사각관형태의 한 쌍의 제1 프레임(24,25);
수직프레임(13,14)의 전체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24,25)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12)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26,27);
제2 프레임(26,27)의 레일홈(12)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1 프레임(24,25)에 상하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관통공(28)에 체결되고, 제2 프레임(26,27)을 제1 프레임(24,25)의 임의위치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29)(일 예로서, 볼트 또는 나비너트(미 도시됨) 등이 사용될 수 있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단독주택,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 빌딩 등의 건물 임의위치에 시공되어 건물의 여러 장소로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및 수돗물 등을 분배공급하기 위한 분배관을 모듈화시킨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를 사용하게 된다.
전술한 앵글형태의 받침대(10,11)를 공동주택 등의 건물 임의위치에 미 도시된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전술한 수직프레임(13,14)을 이루는 제1 프레임(24,25)의 하단을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 받침대(10,11)에 고정한다.
수직프레임(13,14)을 이루는 제2 프레임(26,27)의 하단을 사각관형태의 제1 프레임(24,25)에 결합하되, 제2 프레임(26,27)의 외측면에 형성된 레일홈(12)과 동일직선상으로 제1 프레임(24,25)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28)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에 체결부재(29)를 결합하여 체결할 경우, 제1 프레임(24,25)과 제2 프레임(26,27)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13,14)의 전체 길이를 가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1 프레임(24,25)에 제2 프레임(26,27)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결부재(29)로서 볼트 또는 나비너트 등을 이용할 경우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체결부재(29)를 이들로 제한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전술한 수직프레임(13,14)을 이루는 제2 프레임(26,27)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레일홈(1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부재(100)에 의해 고정된 슬라이더(s)에 고정된 새들형 클램프(19)에 모듈형 분배관(16)(일 예로서, 각 세대에서 난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사용되는 난방수 배출관을 말함)을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수직프레임(13,14)을 이루는 제2 프레임(26,27)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레일홈(1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부재(100)에 의해 고정된 슬라이더(s)에 고정된 새들형 클램프(19)에 모듈형 분배관(18)(일 예로서, 각 세대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을 말함)을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프레임(26,27)의 레일홈(1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부재(100)에 의해 고정된 슬라이더(s)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모듈형 분배관(16,18)이 고정된 새들형 클램프(19) 사이의 임의위치의 레일홈(12)에 서포터(30)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체결부재(미 도시됨)에 의해 고정되고, 서포터(30) 타측은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20)의 전후방향의 레일홈(미 도시됨)에 결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새들형 클램프(19)에 의해 모듈형 분배관(17)(일 예로서, 출수부가 모듈형 분배관(16)(난방수 배출관)의 입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각 세대에 난방수를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난방수 유입관을 말함)을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20)에 장착한다.
이로 인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수직프레임(13,14)의 제2 프레임(26,27)의 상부에 새들형 클램프(19)에 의해 장착된 모듈형 분배관(16)(난방수 배출관)과, 제2 프레임(26,27) 전면에 고정된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20)의 상면에 새들형 클램프(19)에 의해 장착된 모듈형 분배관(17)(난방수 유입관)은 전후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전술한 분배관 거치대에 장착된 모듈형 분배관(16,17)에 각 세대배관(미 도시됨)을 연통되도록 이음연결할 경우, 제2 프레임(26,27)에 장착된 모듈형 분배관(16)과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20)에 장착된 모듈형 분배관(17) 사이에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의 작업공간과, 수직프레임(13,14) 주변에 작업공간이 확보된다(이와 반면에,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수직패널(21,22)로 인해 수직패널(21,22)과 모듈형 분배관 사이에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지않아 모듈형 분배관과 세대배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이 떨어짐).
또한, 모듈형 분배관(16,17,18)과 세대배관을 이음연결하는 커넥터(또는 소켓) 사용갯수를 줄임에 따라 이음부위를 통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듈형 분배관(16,17,18) 및 수도관(21)을 세대배관에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20)의 레일홈(12)에 새들형 클램프(19)를 전후 방향으로 임의거리만큼 위치이동시킬 수 있어 모듈형 분배관(19)을 고정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분배관 거치대의 모듈형 분배관(16,17,18)과 세대배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수직프레임(13,14)의 제1 프레임(24,25)에 도어(22)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기함(23)을 장착하되, 수직프레임(13,14)의 제1 프레임(24,25)의 레일홈(12)에 장착되는 서포터(30)에 체결되는 제2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31)과, 제2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31)의 레일홈(12)에 새들형 클램프(19)에 의해 장착되는 수도관(21)이 계량기함(23)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계량기함(23)에 위치하는 수도관(21)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계량기함(23) 내측에 단열재(미 도시됨) 등이 설치되고, 모듈형 분배관(16,17,18)과 세대배관(미 도시됨)이 연통되도록 커넥터, 연결소켓 등을 이용하여 원터치방식으로 이음연결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모듈형 분배관(16,17,18)은 분배관 거치대가 설치되는 현장조건에 따라 그 갯수가 가감될 수 있다. 또한 계량기함(23)의 장착위치는 수직프레임(13,14)의 상측에 장착되어 모듈형 분배관(16,17,18)을 수용하거나, 또는 모듈형 분배관(16,17,18) 및 수도관(21)을 수용하는 크기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1; 받침대
12; 레일홈
13,14; 수직프레임
15; 수평프레임
16,17,18; 모듈형 분배관
19; 새들형 클램프
20;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
21; 수도관
22; 도어
23; 계량기함
24,25; 제1 프레임
26,27; 제2 프레임
28; 관통공
29; 체결부재
30; 서포터
31; 제2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

Claims (3)

  1. 난방수 공급 및 환수, 온수 공급 및 수돗물을 각 세대에 분배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형 분배관이 고정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에 있어서:
    지면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하단이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강도보강용 수평프레임;
    상기 레일홈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는 슬라이더에 의해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고, 상기 모듈형 분배관중 어느 하나의 분배관을 고정시키는 새들형 클램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상기 새들형 클램프와 교호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레일홈에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는 서포터 타측이 전후방향의 레일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듈형 분배관중 어느 하나의 고정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임의거리만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분배관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기 새들형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분배관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배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홈에 고정되는 서포터에 제2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을 체결하되, 상기 제2 분배관 조합형 프레임의 레일홈에 장착되는 새들형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수도관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모듈형 분배관이 하나 이상 수용되는 계량기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받침대에 하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체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레일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레일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제1 프레임의 임의위치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KR2020200002216U 2020-06-26 2020-06-26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KR200495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16U KR200495781Y1 (ko) 2020-06-26 2020-06-26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16U KR200495781Y1 (ko) 2020-06-26 2020-06-26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09U KR20220000009U (ko) 2022-01-04
KR200495781Y1 true KR200495781Y1 (ko) 2022-08-18

Family

ID=7934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16U KR200495781Y1 (ko) 2020-06-26 2020-06-26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8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528Y1 (ko) 2006-08-22 2006-11-23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교체가 용이한 온수분배기
CN108679684A (zh) 2018-05-30 2018-10-19 崔党营 一种多功能的地暖管的安装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609A (ko) * 2003-10-16 2005-04-20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난방 코일 받침대
KR20190030132A (ko) * 2017-09-13 2019-03-21 홍성정 계량기가 구비된 종합배관 설치대
KR200491761Y1 (ko) * 2018-11-20 2020-06-02 엄세준 온수 분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528Y1 (ko) 2006-08-22 2006-11-23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교체가 용이한 온수분배기
CN108679684A (zh) 2018-05-30 2018-10-19 崔党营 一种多功能的地暖管的安装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09U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770B1 (en) Modular manifold
KR200495781Y1 (ko) 난방수, 온수 및 수도용 분배관 거치대
US11802394B2 (en) Distributor pipe for a distributor pipeline
JPH10160099A (ja) メータボックス内の配管工法及び配管構造
CN113187027B (zh) 一种建筑用双圆弧扁平管道给水系统
KR102565029B1 (ko) 조립식 배관 지지가대
KR200473804Y1 (ko) 냉온수 분배기
KR100777643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JP2002013749A (ja) 冷暖房用パネルユニット
JP2001159169A (ja) 給水・給湯用ヘッダーの固定装置
SI9200305A (en) Arrangement of duct elements
CN218883318U (zh) 一种一体式多接口型接头
CN210032739U (zh) 整体卫浴室
CN220565368U (zh) 一种工程排水管万向接头稳定连接结构
KR100807145B1 (ko) 벽체 매립형 냉,온수용연질관의 분기 및 합침이 용이한와이형분배관의 구조
CN214949840U (zh) 一种壁挂式锅炉安装架
CN214789456U (zh) 组合式吊架系统
CN110873352B (zh) 一种壁挂式紧凑型楼宇热交换机组
AU2003213464B2 (en) Combined hot-water supply system
KR101972543B1 (ko) 배관 고정용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거치대
JP3160117B2 (ja) 配管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方法
JPH09151499A (ja) パイプ・スペース・ハウジング内に設置されるユニット及びパイプ・スペース施工方法
AU2003213465A1 (en) Combined hot-water supply system
JPH0553124B2 (ko)
JPH1137821A (ja) ガスメータ配管構造及びガスメータ接続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