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76Y1 - 분리형 다용도 베개 - Google Patents

분리형 다용도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76Y1
KR200495776Y1 KR2020200002958U KR20200002958U KR200495776Y1 KR 200495776 Y1 KR200495776 Y1 KR 200495776Y1 KR 2020200002958 U KR2020200002958 U KR 2020200002958U KR 20200002958 U KR20200002958 U KR 20200002958U KR 200495776 Y1 KR200495776 Y1 KR 200495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pillow
face
user
fa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437U (ko
Inventor
서종근
Original Assignee
서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근 filed Critical 서종근
Priority to KR2020200002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7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높이 차이가 있는 머리받침부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엎드려서 얼굴을 받칠 수 있는 얼굴받침베개를 착탈식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용도로 따라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다용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다용도 베개는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일정한 높이(H1)를 갖으며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하는 제1머리받침부(20)와; 제1머리받침부(20)에 인접한 상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머리받침부(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H2)를 갖으며 중앙부분에는 일정크기로 관통된 귀눌림방지홀(3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부분과 측면얼굴을 지지하는 제2머리받침부(30)와; 하부에 형성되어 얼굴받침베개(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얼굴받침베개(50)를 수용하는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와;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를 따라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얼굴받침베개(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다용도 베개{Detachable multi-use pillow}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높이 차이가 있는 머리받침부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엎드려서 얼굴을 받칠 수 있는 얼굴받침베개를 착탈식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용도로 따라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다용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사람들이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최근 베개의 효율성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일반적인 베개에서부터 다양한 기능성 베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취침시 사용되는 베개는 'C'자 형태로 된 경추를 바른 자세로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개발되어 시판되지만 기본적으로 이런 경추 보호용 베개는 머리를 낮게 유지하면서 목 부위를 받쳐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취침전에 누워서 TV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배게의 높이가 낮아 손목 또는 손바닥을 받치는 것과 같이 불편한 자세로 인하여 베개의 사용이 어려운 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123260호(2020.06.10)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높이 차이가 있는 머리받침부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엎드려서 얼굴을 받칠 수 있는 얼굴받침베개를 착탈식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용도로 따라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다용도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다용도 베개는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일정한 높이(H1)를 갖으며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하는 제1머리받침부(20)와; 제1머리받침부(20)에 인접한 상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머리받침부(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H2)를 갖으며 중앙부분에는 일정크기로 관통된 귀눌림방지홀(3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부분과 측면얼굴을 지지하는 제2머리받침부(30)와; 하부에 형성되어 얼굴받침베개(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얼굴받침베개(50)를 수용하는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와;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를 따라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얼굴받침베개(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머리받침부(20)의 일측 끝단은 상부로 연장된 걸림턱(21)이 형성되고, 제2머리받침부(30)의 양끝단은 상부로 연장된 걸림턱(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머리받침부(20)의 상부에는 제1탄성체(22)가 위치하고, 제2머리받침부(30)의 상부면에는 제2탄성체(33)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베개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표면에 공기유동홀(10)이 형성되고, 제1탄성체(22)는 판형상의 제1탄성편(23)과, 제1탄성편(23)을 착탈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1커버(24)로 이루어지고, 제2탄성체(33)는 판형상의 제2탄성편(35)과, 제2탄성편(35)을 착탈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2커버(34)로 이루어지며, 2탄성편과 제2커버(34)는 제2머리받침부(30)의 귀눌림방지홀(31), 공기유동홀(10)에 대응되는 귀눌림관통홀,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얼굴받침베개(50)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사용자의 눈, 코, 입의 얼굴 영역이 내부를 향하도록 얼굴삽입홀(51)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되도록 공기유동홀(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분리형 다용도 베개는 수면시의 낮은 위치의 제1머리받침부를 사용하고 TV의 시청시에 뒷머리 또는 얼굴 측면을 지지하는 높은 위치의 제2머리받침부를 사용하여 자세의 변화에 따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엎드려서 얼굴을 받칠 수 있는 얼굴받침베개를 착탈식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다용도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다용도 베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다용도 베개를 하부에서 올려다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탄성체(22)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탄성체(33)의 예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이고 해당 실시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다용도 베개는 상부에는 제1머리받침부(20), 제2머리받침부(30)가 이웃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가 형성된다. 이때, 베개는 중공된 형상으로 표면에 공기유동홀(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머리받침부(20)는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일정한 높이(H1)를 갖으며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한다. 이때, 제1머리받침부(20)의 일측 끝단은 상부로 연장된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가 수면시에 움직이는 경우에도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머리받침부(20)의 상부에는 제1탄성체(2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체(22)는 판형상의 제1탄성편(23)과, 제1탄성편(23)을 착탈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1커버(24)로 이루어지고, 제1머리받침부(20)에 공기유동홀(10)가 형성된 경우에 이에 대응되는 관통홀(번호미부여)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체(22)는 사용자에 따라 다수개의 제1탄성편(23)을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머리 위치를 가변하게 된다. 이러한 제1머리받침부(20)는 사용자가 수면을 위해서 머리를 똑바르게 위치시키면 안정된 상태로 수면할 수 있게 된다.
제2머리받침부(30)는 제1머리받침부(20)에 인접한 상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머리받침부(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H2)를 갖으며 사용자의 목부분과 측면얼굴을 지지한다. 제2머리받침부(30)의 중앙부분에는 일정크기로 관통된 귀눌림방지홀(3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측면얼굴을 위치시키는 경우에 귀가 표면에 닿아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머리받침부(30)의 양끝단은 상부로 연장된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가 수면시에 움직이는 경우에도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머리받침부(30)의 상부면에는 제2탄성체(33)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체(33)는 판형상의 제2탄성편(35)과, 제2탄성편(35)을 착탈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2커버(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탄성편(35)과 제2커버(34)는 제2머리받침부(30)의 귀눌림방지홀(31), 공기유동홀(10)이 형성된 경우에 이에 대응되는 귀눌림관통홀,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체(33)는 사용자에 따라 다수개를 탄성편을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머리 위치를 가변하게 된다. 이러한 제2머리받침부(30)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기 위하여 머리의 위치를 올리거나 또는 옆으로 눕는 경우에 높은 위치에서 뒷머리 또는 얼굴을 지지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는 하부에 형성되어 얼굴받침베개(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는 공기유동홀(41)이 형성되고, 하단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는 얼굴받침베개(50)를 밀어넣으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얼굴받침베개(50)는 하부에 형성된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를 따라 착탈식으로 삽입된다. 얼굴받침베개(50)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사용자의 눈, 코, 입의 얼굴 영역이 내부를 향하도록 얼굴삽입홀(51)이 형성된다. 이때, 얼굴받침베개(50)의 표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되도록 공기유동홀(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얼굴받침베개(50)는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되면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얼굴받침베개(50)의 평상시에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에 수용된 상태이지만 손으로 당기면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에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얼굴받침베개(50)의 표면에 형성된 공기유동홀(52)을 따라 외부공기가 이동할 수 있어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다용도 베개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수면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낮은 높이가 필요한 사용자는 다용도 베개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머리받침부(20)를 사용하고, TV 등을 시청하거나 높게 머리를 받히고자 하는 사용자는 베개의 상부 타측에서 제1머리받침부(20)보다 높게 형성된 제2머리받침부(30)를 사용한다. 이때, 다용도 베개의 상부, 하부 및 측부의 표면에 형성된 공기유동홀(10)을 따라 공기가 순환되어 사용자의 두피, 얼굴에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제1머리받침부(20)와 제2머리받침부(30)의 표면에 제1탄성체(22)와 제2탄성체(33)를 위치시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제1머리받침부(20)와 제2머리받침부(30)의 양끝단에 형성된 상부로 연장된 걸림턱(21,3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가 수면시에 움직이는 경우에도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신체를 엎드리면서 얼굴을 받치고자 하는 경우에 다용도 베개의 하부에 수용된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에서 얼굴받침베개(50)를 당겨 분리하고, 얼굴받침베개(50)를 사용한 후에도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에 밀어넣으면 간단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공기유동홀 20 : 제1머리받침부
21 : 걸림턱 22 : 제1탄성체
23 : 제1탄성편 24 : 제1커버
30 : 제2머리받침부 31 : 귀눌림방지홀
32 : 걸림턱 33 : 제2탄성체
34 : 귀눌림관통홀 34 : 제2커버
35 : 관통홀 35 : 제2탄성편
40 : 얼굴받침베개 수용부 50 : 얼굴받침베개
51 : 얼굴삽입홀 52 : 공기유동홀

Claims (5)

  1.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일정한 높이(H1)를 갖으며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하는 제1머리받침부(20)와;
    제1머리받침부(20)에 인접한 상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머리받침부(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H2)를 갖으며 중앙부분에는 일정크기로 관통된 귀눌림방지홀(3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부분과 측면얼굴을 지지하는 제2머리받침부(30)와;
    하부에 형성되어 얼굴받침베개(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얼굴받침베개(50)를 수용하는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와;
    얼굴받침베개 수용부(40)를 따라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얼굴받침베개(50)를 포함하고,
    제1머리받침부(20)의 상부에는 제1탄성체(22)가 위치하고, 제2머리받침부(30)의 상부면에는 제2탄성체(33)가 위치하고,
    베개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표면에 공기유동홀(10)이 형성되고, 제1탄성체(22)는 판형상의 제1탄성편(23)과, 제1탄성편(23)을 착탈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1커버(24)로 이루어지고, 제2탄성체(33)는 판형상의 제2탄성편(35)과, 제2탄성편(35)을 착탈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2커버(34)로 이루어지며, 제2탄성편(35)과 제2커버(34)는 제2머리받침부(30)의 귀눌림방지홀(31), 공기유동홀(10)에 대응되는 귀눌림관통홀,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머리받침부(20)의 일측 끝단은 상부로 연장된 걸림턱(21)이 형성되고, 제2머리받침부(30)의 양끝단은 상부로 연장된 걸림턱(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베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얼굴받침베개(50)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사용자의 눈, 코, 입의 얼굴 영역이 내부를 향하도록 얼굴삽입홀(51)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되도록 공기유동홀(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베개.
KR2020200002958U 2020-08-12 2020-08-12 분리형 다용도 베개 KR200495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58U KR200495776Y1 (ko) 2020-08-12 2020-08-12 분리형 다용도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58U KR200495776Y1 (ko) 2020-08-12 2020-08-12 분리형 다용도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37U KR20220000437U (ko) 2022-02-21
KR200495776Y1 true KR200495776Y1 (ko) 2022-08-16

Family

ID=8047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58U KR200495776Y1 (ko) 2020-08-12 2020-08-12 분리형 다용도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636B1 (ko) * 2022-10-25 2024-02-23 문채림 경추 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11Y1 (ko) * 2013-04-22 2014-05-22 정병준 베개
KR101574902B1 (ko) * 2014-10-13 2015-12-04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가슴받침 안면 베개 겸용 디스크 감압견인 장치
KR101964689B1 (ko) * 2018-01-30 2019-04-02 주식회사 온누리헬스케어 경추 견인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베개
KR102123260B1 (ko) * 2019-08-20 2020-06-26 주식회사 다모아케어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11Y1 (ko) * 2013-04-22 2014-05-22 정병준 베개
KR101574902B1 (ko) * 2014-10-13 2015-12-04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가슴받침 안면 베개 겸용 디스크 감압견인 장치
KR101964689B1 (ko) * 2018-01-30 2019-04-02 주식회사 온누리헬스케어 경추 견인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베개
KR102123260B1 (ko) * 2019-08-20 2020-06-26 주식회사 다모아케어 기능성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37U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519B1 (ko) 기능성 베개
US11051640B2 (en) Pillow
KR1021543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JP2017525450A (ja)
US11141010B1 (en) Wedge shaped unitary lateral support cushion
KR100982080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0495776Y1 (ko) 분리형 다용도 베개
KR100839364B1 (ko) 안면 쿠션
KR200471847Y1 (ko) 기능성 베개
JP2007125087A (ja) 伏臥用枕
KR20160006927A (ko) 기능성 베개
KR102400087B1 (ko) 기능성 베개
KR101820357B1 (ko)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안마베개
KR200413143Y1 (ko) 안면베개겸용 쿠션
KR20170025906A (ko) 베개
KR20140130885A (ko) 경추베개
KR200469631Y1 (ko) 안면 주름방지용 베개
KR101768611B1 (ko) 체압 분산형 인체공학 베개
KR200440193Y1 (ko) 통풍 구멍을 구비한 쿠션
KR200441285Y1 (ko) 경추베개
CN220756997U (zh) 一种颈枕
KR200427394Y1 (ko) 안면 받침구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KR102577337B1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