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11Y1 - 야구 경기용 헬멧 - Google Patents

야구 경기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511Y1
KR200495511Y1 KR2020200002957U KR20200002957U KR200495511Y1 KR 200495511 Y1 KR200495511 Y1 KR 200495511Y1 KR 2020200002957 U KR2020200002957 U KR 2020200002957U KR 20200002957 U KR20200002957 U KR 20200002957U KR 200495511 Y1 KR200495511 Y1 KR 200495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material
baseball
buffer
helmet
wear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436U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김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진 filed Critical 김병진
Priority to KR2020200002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1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8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with means to facilitate removal, e.g. after an accid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척된 야구공이 타자가 착용한 헬멧 외면을 타격시에 그 충격에 의한 진동이 해당 헬멧 내부에서 소멸되어 타자의 머리 보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야구 경기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몸체 및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몸체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투척된 야구공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제1몸체와 분리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그 내부에 착용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몸체의 분리를 통해 상기 착용공간부 내의 진동이 소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야구 경기용 헬멧{Helmets for baseball games}
본 고안은 투척된 야구공이 타자가 착용한 헬멧 외면을 타격시에 그 충격에 의한 진동이 해당 헬멧 내부에서 소멸되어 타자의 머리 보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야구 경기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헬멧 착용자의 두부(頭部)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의미하며, 야구나 럭비 등과 같은 스포츠용도는 물론, 자전거나 오토바이, 스케이트 보드 등과 같이 지상에서 레저활동을 이용시에 착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야구경기에서 타자가 착용하는 헬멧은 투수가 투척한 야구공으로부터 머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되는 종래의 야구 헬멧은 금속 등과 같은 하드재질로 형성하거나 해당 헬멧 내부에 충격완화용 쿠션재 등이 구비되어 타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헬멧은 현실적으로 투척된 야구공에 의해 그 외면이 타격되어 충격이 발생하면 해당 타자의 머리가 삽입되는 헬멧 내부의 공간으로 진동이 가해져 뇌(Brain)가 울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야구공의 타격으로 인해 헬멧이 벗겨지지 않는 이상 그 충격에 의한 진동은 고스란히 해당 헬멧 내부의 공간부로 전달되어 타자 머리 내부의 뇌가 울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부가적인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야구 경기에서 타자가 착용한 헬멧 외면에 투척된 야구공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헬멧 내의 공간부에 전달되는 진동을 소멸시켜 타자의 머리보호 능률을 효과적으로 올리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야구 경기용 헬멧은 제1몸체 및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1몸체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투척된 야구공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제1몸체와 분리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그 내부에 착용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몸체의 분리를 통해 상기 착용공간부 내의 진동이 소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는 야구공의 충격 흡수 및 해당 야구공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착용공간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제1완충재 및 제2완충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완충재는 소정길이를 갖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탄력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몸체에 다수가 관통 삽입되되 일측은 상기 착용공간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상기 제1몸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완충재는 상기 제1완충재와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면이 상기 제1완충재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1완충재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제2완충재와 공기흡착될 수 있게 흡착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구를 통해 일면이 상기 제1완충재와 부착한 상기 제2완충재 타면은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투척된 야구공이 직접적으로 상기 제2완충재 타면을 타격시에 상기 제1완충재와 함께 해당 야구공의 진행방향을 변경과 동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투척된 야구공이 제1몸체를 타격시 상기 제1몸체와 결합한 제2몸체가 분리되어 그 충격에 의한 진동이 착용공간부 내에서 소멸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투척된 야구공이 제1몸체에 구비된 제2완충재 외면을 타격하면 상기 제2완충재와 제1완충재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 및 감쇄하여 착용공간부 내의 진동의 세기가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부과적으로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야구 경기용 헬멧의 분리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야구 경기용 헬멧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야구 경기용 헬멧에 대한 제2몸체의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야구 경기용 헬멧에 대한 결합수단의 제1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야구 경기용 헬멧에 대한 완충부가 구비된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제1몸체의 관통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대한 평면도.
도 8은 도 5에 대한 완충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제2완충재의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야구 경기용 헬멧(이하, 간략하게 '헬멧'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설명되는 제1몸체(100)는 본 고안인 헬멧(1)을 착용한 타자가 타석에 들어선 이후에 투수와 마주보는 면의 상기 헬멧(1)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재된 것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헬멧(1)은 크게 제1몸체(100), 상기 제1몸체(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되, 필요에 따라 속도를 갖는 야구공(BALL)이 상기 제1몸체(100)를 타격시에 그 충격의 흡수 및 진행방향을 변경시켜 해당 야구공으로부터 타자(헬멧을 착용한 자를 의미)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100)는 후술하는 제2몸체(200)와 이음부(C)를 갖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타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야구용 헬멧(1)의 형상을 갖도록 하며, 속도를 갖는 야구공을 통해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제2몸체(200)가 상기 제1몸체(100)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2몸체(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1몸체(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결합 이후에는 그 내부에 착용자의 머리에 씌어지기 위한 착용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게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는 결합수단(30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본 고안에서의 상기 결합수단(300)은 암수형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 또는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제2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300)은 돌출부(310)와 결합홈(320)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300)은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서로 면접하는 이음부(C) 또는 상기 제2몸체(200)끼리 서로 면접하는 이음부(C)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부(310)와 결합홈(320)을 형성하여 형상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도 4의 (a),(b) 참조)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300)은 이음부(C)가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될 수 있게 금속체(330) 및 자석체(340)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체(330)와 자석체(34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결합수단(300)과 같이, 해당 이음부(C)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자석체(340)의 자력에 의해 금속체(330)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도 4의 (c) 참조)
여기서, 금속체(330)는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가 자석체(34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성형된 경우에 생략도 가능하다.
하여, 투수를 통해 투척된 야구공이 제1몸체(100)를 타격시에 그 진동에 의해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300)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제1몸체(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한 제2몸체(200)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00)는 상술한 제1몸체(100)와 결합수단(300)에 의해 결합하되 상기 제1몸체(100)에 투척된 야구공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제1몸체(100)에서 분리되어 그 충격에 의한 진동이 착용공간부(S) 내에서 소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제2몸체(200)는 결합수단(300)을 통해 착용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제1몸체(100)와 대칭되게 결합하며, 상기 제1몸체(100)와 결합되는 상기 제2몸체(200)는 하나 또는 다수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제2몸체(200)가 다수로 구비되는 이유는 야구공을 통해 제1몸체(100)에 충격이 발생시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제2몸체(200)가 상기 제1몸체(100)에서 분리되어 헬멧(1) 내부에 형성된 착용공간부(S)가 그 분리된 상기 제2몸체(200)에 의해 개구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기 착용공간부(S)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진동이 용이하게 그 개구된 부분을 통해 배출되어 소멸될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4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척된 야구공에 의해 제1몸체(100)에 가해지는 1차 충격을 최소화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함과 더불어 착용공간부(S)에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완충재(410) 및 제2완충재(4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완충재(410) 및 제2완충재(420)는 모두 외력에 대해 탄성 복원 가능한 신축성과 탄력성이 존재하는 고무, 실리콘 및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흡수하거나 감쇄시켜 착용자의 머리를 그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완충재(410)는 제1몸체(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삽입되되 삽입된 이후에 그 일단은 착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타단은 후술하는 제2완충재(420)가 부착되어 상기 제2완충재(420)와 함께 외부 충격이 착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완충몸체(411), 흡착구(413) 및 스토퍼(415)를 포함한다.
완충몸체(411)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채워진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몸체(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의 개수와 대응되게 상기 관통공(110)에 관통 삽입된다.
관통공(110)에 삽입되는 복수의 완충몸체(411)는 그 삽입 길이가 서로 다르게 삽입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착용자의 머리 형상에 따라 해당 머리 부분에 상기 완충몸체(411) 일단이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삽입되어 상기 완충몸체(411)에 의해 착용자의 불편함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흡착구(413)는 완충몸체(411)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공기흡착 방식으로 그 일단은 착용자의 머리에 흡착되며, 타단은 제2완충재(420)와 탈착 가능하게 흡착되어 착용자가 헬멧(1)을 착용한 이후에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완충재(420)에 의해 외부 충격이 헬멧(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흡착구(413)는 완충몸체(411)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흡착구(413)는 다수의 상기 완충몸체(411) 일측이나 타측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토퍼(415)는 상술한 완충몸체(41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415)를 통해 제1몸체(100)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완충몸체(41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2완충재(420) 외면에 야구공이 타격시에 그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전달되는 것을 감쇄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관통공(110) 끝단에 걸리도록 한다.
즉, 제2완충재(420) 외면에 야구공이 타격하여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제2완충재(420)의 눌림에 의해 완충몸체(411)가 착용자의 머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완충몸체(411)에 다수 형성된 스토퍼(415)가 단계별로 관통공(110) 끝단에 걸리도록 이동하기에 그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완충몸체(411) 외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415)의 외경은 관통공(11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제1몸체(100)에 삽입되는 상기 완충몸체(41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거나 제2완충재(420)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완충몸체(411)가 이동시 상기 스토퍼(415)가 상기 관통공(110)의 끝단에 순차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제2완충재(420)는 상술한 제1완충재(410) 타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완충재(410)와 함께 헬멧(1)을 착용한 착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의 제2완충재(420)는 전체적으로 외면(볼이 타격하는 면)이 반구형(DOME)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면은 흡착구(413)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평탄하게 형성하여 그 재질을 통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2완충재(420) 외면이 반구형을 갖는 이유는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진 야구공이 반구형의 상기 제2완충재(420) 외면을 타격시에 해당 야구공이 진행하는 방향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튕겨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제2완충재(420)의 내면 역시, 그 외면과 동일하게 해당 외면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반구형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관통공(110)에 삽입된 완충몸체(411)가 서로 다른 노출길이를 가질 시에 흡착구(413)에 의해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제2완충재(420)는 야구공과 직접적으로 타격되는 외면에 상기 제2완충재(420)의 재질보다 더 하드(HARD)한 보강재(421)를 상기 제2완충재(420) 외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더 구비하여 야구공의 튕김 현상을 더욱 높임과 동시에 충격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8의 (c) 참조)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제2완충재(42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하고자 하는 착용자의 머리에 대한 보호면적을 넓게할 수 있도록 제1몸체(100)의 상단부 근처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해당 제1몸체(100)의 후면에 별도로 구비(미도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헬멧(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투척된 야구공이 제1몸체(100)를 타격시 상기 제1몸체(100)와 결합한 제2몸체(200)가 분리되어 그 충격에 의한 진동이 착용공간부(S) 내에서 소멸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투척된 야구공이 제1몸체(100)에 구비된 제2완충재(420) 외면을 타격하면 상기 제2완충재(420)와 제1완충재(410)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 및 감쇄하여 착용공간부(S) 내의 진동의 세기가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부과적으로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야구 경기용 헬멧
100: 제1몸체
110: 관통공
200: 제2몸체
300: 결합수단
310: 돌출부 320: 결합홈
330: 금속체 340: 자석체
400: 완충부
410: 제1완충재 411: 완충몸체
413: 흡착구 415: 스토퍼
420: 제2완충재 421: 보강재
C: 이음부
S: 착용공간부

Claims (4)

  1. 제1몸체(100); 및
    결합수단(300)에 의해 상기 제1몸체(100)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날아오는 야구공(BALL)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제1몸체(100)와 분리되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300)에 의해 결합된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제2몸체(200)는 그 내부에 착용공간부(S)를 형성하며, 상기 제2몸체(200)의 분리를 통해 상기 착용공간부(S) 내의 진동이 소멸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몸체(100)는 야구공의 충격 흡수 및 해당 야구공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완충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400)는 일측이 상기 착용공간부(S)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몸체(10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완충부(400)는 제1완충재(410) 및 제2완충재(4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완충재(410)는 소정길이를 갖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탄력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몸체(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에 다수가 관통 삽입되되 일측은 상기 착용공간부(S)에 위치하며, 타측은 상기 제1몸체(100)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단면이 채워진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완충몸체(411), 상기 완충몸체(411)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완충재(420)와 착용자의 머리에 흡착되는 공기흡착 방식의 흡착구(413) 및 상기 완충몸체(41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스토퍼(415)를 포함하며, 상기 제2완충재(420)는 일면이 상기 흡착구(413)에 의해 상기 제1완충재(410)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흡착구(413)는 상기 완충몸체(411)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공기흡착 방식으로 일단이 상기 착용공간부(S)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머리에 흡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완충재(420)와 탈착 가능하게 흡착되어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완충재(420)에 의한 외부 충격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경기용 헬멧.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413)를 통해 일면이 상기 제1완충재(410)와 부착한 상기 제2완충재(420) 타면은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투척된 야구공이 직접적으로 상기 제2완충재(420) 타면을 타격시에 상기 제1완충재(410)와 함께 해당 야구공의 진행방향을 변경과 동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경기용 헬멧.
KR2020200002957U 2020-08-12 2020-08-12 야구 경기용 헬멧 KR200495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57U KR200495511Y1 (ko) 2020-08-12 2020-08-12 야구 경기용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57U KR200495511Y1 (ko) 2020-08-12 2020-08-12 야구 경기용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36U KR20220000436U (ko) 2022-02-21
KR200495511Y1 true KR200495511Y1 (ko) 2022-06-10

Family

ID=8047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57U KR200495511Y1 (ko) 2020-08-12 2020-08-12 야구 경기용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453A1 (ko) * 2021-12-09 2023-06-15 김병진 야구 경기용 헬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37B1 (ko) * 2014-06-26 2016-11-09 이정원 반탄 완충용 헬멧
KR101823058B1 (ko) * 2017-11-21 2018-01-29 (주)대산플랜트 외장재의 움직임을 활성화한 방탄용 헬멧
US20190000173A1 (en) * 2017-05-21 2019-01-03 Keith Thorpe Full-Flex Helme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140B1 (en) * 2001-09-07 2002-04-30 Carl J. Abraham Impact and energy absorbing product for helmets and protective ge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37B1 (ko) * 2014-06-26 2016-11-09 이정원 반탄 완충용 헬멧
US20190000173A1 (en) * 2017-05-21 2019-01-03 Keith Thorpe Full-Flex Helmet System
KR101823058B1 (ko) * 2017-11-21 2018-01-29 (주)대산플랜트 외장재의 움직임을 활성화한 방탄용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36U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6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aptive impact absorbing helmet system
US20220061447A1 (en) Impact absorbing apparatus
US20160021965A1 (en) Multi-layer safety helmet assembly
US7089602B2 (en) Multi-layered, impact absorbing, modular helmet
EP1941807B1 (en) Shock-absorbing facemask attachment assembly
US5713082A (en) Sports helmet
US6000062A (en) Protective headband for soccer players
US20150320134A1 (en) Protective lightweight helmet
JP2015151667A (ja) 変化する衝撃吸収性を有するヘルメット
CA2941601A1 (en) Impact absorption padding for contact sports helmets
US9717297B2 (en) Shell for a protective helmet
US20140020157A1 (en) Soft safe helmet
KR200495511Y1 (ko) 야구 경기용 헬멧
US9332799B1 (en) Protectiv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sipating force
US10306944B1 (en) Modular helmet apparatus and system
US20100282554A1 (en) Multi-chamber impact absorption system to protect individual
JP2004321209A (ja) 武道用具
KR200493012Y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헬멧
WO2023106453A1 (ko) 야구 경기용 헬멧
US103274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sipating force
KR200453052Y1 (ko) 야구 포수용 프로텍터
KR200211946Y1 (ko) 안전모
WO2018150626A1 (ja) ヘルメット
KR20240062568A (ko) 라켓용 상대 보호 장치
KR200289622Y1 (ko) 운동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