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384Y1 -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 Google Patents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384Y1
KR200495384Y1 KR2020200001010U KR20200001010U KR200495384Y1 KR 200495384 Y1 KR200495384 Y1 KR 200495384Y1 KR 2020200001010 U KR2020200001010 U KR 2020200001010U KR 20200001010 U KR20200001010 U KR 20200001010U KR 200495384 Y1 KR200495384 Y1 KR 200495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bottle
shaped
drinking straw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186U (ko
Inventor
윤기문
Original Assignee
윤기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문 filed Critical 윤기문
Priority to KR2020200001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38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3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23Holders for bottles facilitating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8Protective covers fo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온음료의 수용에도 내압상승에 의한 음료분출을 차단함으로서 안전성이 보장되고, 사용수명이 보장으로 신뢰성이 보장되는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물병본체의 물병입구 측 어깨구배부와 외주면 나사부와 나사체결로 조립되는 체결링에 의해 상,하부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회전링으로 조립된 양측의 손잡이, 상기 체결링에 의해 상기 물병본체의 물병입구에 플랜지판으로 조립되고 선단에 노즐을 갖는 원통체 음용빨대를 돌출한 음료배출구로서, 상기 체결링의 외주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에 의해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을 덮거나 개방하는 물병으로서,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의 노즐은 선단에서 하측으로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을 성형하여 노즐판막으로 차단되고, 상기 노즐판막의 상부에는 +자형 수축홈을 갖는 두께살이 상기 가변원홈의 내측에 돌출 성형되어 상기 노즐판막의 하측이 내압 상승시에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가 외향으로 확장하면서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이 내향으로 수축으로 상기 두께살이 +자형 수축홈에 의해 상호 내향으로 변형수축하여 상기 노즐판막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Nozzle structure of beverage outlet of water bottle}
본 고안은 물병의 음료배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병에 결합하는 음료배출구의 원통체 음용빨대에 구성된 노즐 구조를 개선하여 높은 온도(60℃ 정도)의 음료(우유, 보리차)의 수용에 따른 내압상승에도 노즐을 통한 분출을 차단하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안전성을 극대화한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온 음료의 수용으로 내압이 상승하여 음료가 안내호스를 타고 밀려올라가 있다가 갑작스런 덮개 개방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 분출되어 화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외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항상 개방되어 있으면 이를 통하여 음료가 유출되어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소아를 위한 모유와 우유를 담는 젖병이나 물병 등의 개구를 밀폐하도록 뚜껑이 구성되고, 뚜껑의 내부에는 물병의 입구에 기밀상태로 음료배출구가 조립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뚜껑에 의해 물병에 채워진 음료가 배출되거나 보관시에 외부오염을 차단하고 있다.
이러한 물병에 있어, 물병의 내부에 약 60℃ 정도의 음료가 수용될 경우에도 증기압에 의한 내압상승으로 가늘고 긴 음용빨대의 노즐구멍을 통해 분출함으로서 피부가 약한 유아나 어린이는 화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유아 및 어린이에게 적용되는 물병의 음료배출구는 사용에 따른 급작스러운의 노즐을 통해 뜨거운 음료의 분출을 차단하여 사용의 안전성을 제공하고자 다양한 노즐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본 출원인의 선등록기술로서 특허문헌 1의 넘침방기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고온 음료의 수용으로 내압이 상승하여 음료가 안내호스를 타고 밀려올라가 있다가 갑작스런 덮개 개방으로 인하여 외부로 분출되어 화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착탈가능한 안내호스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안내호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음용구에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끼워지는 상협하광의 테이퍼진 원기둥형상이되 중앙에 안내호스의 삽입을 도모하는 호스삽입공이 상하관통하여 구비된 음용구 마개와, 물병뚜껑의 상면 타측단으로부터 회절가능하게 형성된 덮개의 저면에 형성되고 음용구의 삽입 안착되어 덮개의 결합시 음용구에 의해 가압되어 밀폐를 도모하는 납작한 링형상의 음용구 패킹과, 덮개의 저면에 형성된 마개고정돌기에 결합되어 물병뚜껑에 형성된 통공을 가압하여 밀폐를 도모하는 통공마개의 구성이 제안되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453141(2011.04.01. 등록)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원기술은 고온음료의 넘침방지 기능을 제공하고 안내호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바로 마시기와 거꾸로 마시기가 모두 가능하며, 소아의 성장상태에 따라 또는 성별에 따라 음용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미사용시 음료의 유출을 방지하여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한 이점을 위한 노즐의 구성이 다수의 구성부재의 조립구성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 사용에 따른 복잡으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사용 행태에 따라서 뚜껑의 개방상태의 다각도 고정이 불필요한 단점으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더욱이 성형에 따른 노즐의 조립구조 복잡으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불량율 발생은 더욱더 제조원가가 상승시키는 단점도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간소한 단일의 노즐부 성형구조에 의해서도 고온음료의 수용에도 내압상승에 의한 음료분출을 차단함으로서 안전성이 보장되고, 간소한 성형구조에 의한 제조원가가 절감 및 장기간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노즐부의 변형을 최대한 차단함으로 사용수명이 보장으로 신뢰성이 보장되는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구조에서는,
물병본체의 물병입구 측 어깨구배부와 외주면 나사부와 나사체결로 조립되는 체결링에 의해 상,하부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회전링으로 조립된 양측의 손잡이, 상기 체결링에 의해 상기 물병본체의 물병입구에 플랜지판으로 조립되고 선단에 노즐을 갖는 원통체 음용빨대를 돌출한 음료배출구로서, 상기 체결링의 외주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에 의해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을 덮거나 개방하는 물병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의 노즐은 선단에서 하측으로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을 성형하여 노즐판막으로 차단되고, 상기 노즐판막의 상부에는 +자형 수축홈을 갖는 두께살이 상기 가변원홈의 내측에 돌출 성형되어 상기 노즐판막의 하측이 내압 상승시에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가 외향으로 확장하면서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이 내향으로 수축으로 상기 두께살이 +자형 수축홈에 의해 상호 내향으로 변형수축하여 상기 노즐판막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두께살은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의 높이 내에서 상기 노즐판막의 두께보다 1.5~2배의 두께를 갖는 높이로 성형되되,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의 내주면과 이격상태로 상기 노즐판막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자형 수축홈의 간격은 상광하협의 V자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의 선단이 상기 내향으로 수축변형과 함께 상기 두께살의 외측면에 내주면이 밀착하면서 내향으로 밀어 상기 V자형 +자형 수축홈이 상측에서 더 내향으로 변형함으로서 상기 노즐판막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독특한 노즐구조에 의해 별도의 개폐부재의 조립없이 물병에 수용되는 고온의 음료에 의해 내압상승으로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을 통해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보장하여 신뢰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일체 성형의 노즐구조로서 간소한 구조로서 고온의 음료에 의한 노즐구멍을 통해 분출을 차단하는 안전장치가 제공으로 제조원가의 절감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음료배출구의 선단 노즐 형상을 보여주는 물병의 뚜껑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물병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음료배출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음료배출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G"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원통체 음용빨대의 노즐판막에 상승된 내압 배출이 차단되면서 원통체 음용빨대의 내주면에 미치기 시작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의 "H"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원통체 음용빨대에 상승된 내압에 의해 외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노즐판막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을 차단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부 발췌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물병본체(100)는 상부의 어깨구배부(102)와 물병입구(101)의 외주면 나사부(103)에 내주면에 성형된 나사부(131)와의 나사체결로 조립되는 체결링(130)에 의해 상,하부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개재 설치되는 회전링(121)의 양측에 일체 성형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20)가 조립되고, 상기 체결링(130)의 외주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1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링(130)의 관통공(133)을 통해서 하측에서 상부로서 선단에 노즐(220)를 갖는 원통체 음용빨대(210)를 관통 돌출한 상태로 플랜지판(230)이 상기 관통공(133)으로 내향 성형된 절곡단턱(134)의 하측면과 상기 물병본체의 입구(101)에 나사조임으로 압착되어 기밀상태로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음료배출구(200)가 견고히 조립된다.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음료배출구(200)의 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노즐(220)은 선단에서 하측으로 상광하협의 가변원홈(230)을 성형하여 노즐판막(240)으로 차단되고, 상기 노즐판막(240)의 상부에는 +자형 수축홈(251)을 갖는 두께살(250)이 상기 가변원홈(230)의 내측에 돌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두께살(250)은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230)의 높이 내에서 상기 노즐판막(240)의 두께보다 1.5~2배의 두께를 갖는 높이로 성형되되,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230)의 내주면과 이격상태로 상기 노즐판막(240)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자형 수축홈(251)의 간격은 상광하협의 V자형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노즐(211)은 일체 성형으로 제공되고 사용시에 상기 +자형 수축홈(251)에 +자형 노즐구멍(252)을 절개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210)에는 스트로(211)를 결합한 상태로 물병본체(100)에 수납되고, 상기 플랜지판(230)에는 종래기술에서 주지된 것과 같이 절개에 의해 외기의 유입이 제공되는 공기유입밸브(231)을 성형하여 원통체 음용빨대(210)을 통한 음료의 음용시에 원활한 배출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용기본체(100)에 고온의 음료(60℃ 정도의 우유나 보리차)을 넣은 상태로 음료배출구(200)을 조립한 체결링(130)을 나사결합으로 닫게되면,도 7의 작동상태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노즐판막(240)에 상승된 내압 배출이 차단되면서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내주면에 미치기 시작한다.
즉,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내주면에 상승하는 증기압(내압)은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즐판막(240)이 상부에 일체로 성형된 두께살(250)에 의해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252)의 개방이 억제됨과 동시에 그 내압에 의해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내주면에 미치면서 확장변형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도 9의 작동상태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체 음용빨대(210)에 상승된 내압에 의해 외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상기 노즐판막(240)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252)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을 차단하게 된다.
즉, 도 10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즐판막(240)의 하측이 내압 상승시에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210)가 외향으로 확장하면서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230)이 내향으로 수축으로 상기 두께살(250)이 +자형 수축홈(251)에 의해 상호 내향으로 변형수축하여 상기 노즐판막(240)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252)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을 차단함으로서 고온의 음료가 +자형 노즐구멍(252)을 통해 분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보장된다.
이때, 상기 +자형 수축홈(251)의 간격은 상광하협의 V자형으로 성형되어,상기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선단이 상기 내향으로 수축변형과 함께 상기 두께살(250)의 외측면에 내주면이 밀착하면서 내향으로 밀어 상기 V자형 +자형 수축홈(251)이 상측에서 더 내향으로 변형함으로서 상기 노즐판막(240)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252)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의 차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음료배출구(200)를 구성하는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노즐(220)은 독특한 노즐구조, 즉 음료빨대(210)의 노즐판막(240)의 상부에 성형된 두께살(250)의 +자형 수축홈(251)의 성형에 의해 고온의 음료에 의해 발생하는 내압에 의해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확장→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210)의 가변원홈(230) 내향 수축→ 상기 가변원홈(230)의 내주면이 상기 두께살(250)의 외측면에 밀착→ 상기 V자형 +자형 수축홈(251)이 상측에서 더 내향으로 변형→ 상기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252)을 기밀을 통해 고온의 음료가 급작스럽게 분출하는 것을 차단으로 안전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100 : 물병본체 101 : 물병입구
102 : 어깨구배부 103, 131 : 나사부
120 : 손잡이 121 : 회전링
130 : 체결링 133 : 관통공 134 : 절곡단턱 140 : 뚜껑
200 : 음료배출구 210 : 원통체 음용빨대
220 : 노즐 230 : 플랜지판
231 : 공기유입밸브 240 : 노즐판막
250 : 두께살 251 : +자형 수축홈
252 : +자형 노즐구멍

Claims (2)

  1. 물병본체의 물병입구 측 어깨구배부와 외주면 나사부와 나사체결로 조립되는 체결링에 의해 상,하부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회전링으로 조립된 양측의 손잡이, 상기 체결링에 의해 상기 물병본체의 물병입구에 플랜지판으로 조립되고 선단에 노즐을 갖는 원통체 음용빨대를 돌출한 음료배출구로서, 상기 체결링의 외주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에 의해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을 덮거나 개방하는 물병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의 노즐은 선단에서 하측으로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을 성형하여 노즐판막으로 차단되고, 상기 노즐판막의 상부에는 +자형 수축홈을 갖는 두께살이 상기 가변원홈의 내측에 돌출 성형되어 상기 노즐판막의 하측이 내압 상승시에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가 외향으로 확장하면서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이 내향으로 수축으로 상기 두께살이 +자형 수축홈에 의해 상호 내향으로 변형수축하여 상기 노즐판막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살은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의 높이 내에서 상기 노즐판막의 두께보다 1.5~2배의 두께를 갖는 높이로 성형되되,
    상기 상광하협의 가변원홈의 내주면과 이격상태로 상기 노즐판막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자형 수축홈의 간격은 상광하협의 V자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원통체 음용빨대의 선단이 상기 내향으로 수축변형과 함께 상기 두께살의 외측면에 내주면이 밀착하면서 내향으로 밀어 상기 V자형 +자형 수축홈이 상측에서 더 내향으로 변형함으로서 상기 노즐판막의 절개된 +자형 노즐구멍을 밀착하여 음료분출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으로 하는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KR2020200001010U 2020-03-24 2020-03-24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KR200495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10U KR200495384Y1 (ko) 2020-03-24 2020-03-24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10U KR200495384Y1 (ko) 2020-03-24 2020-03-24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86U KR20210002186U (ko) 2021-10-05
KR200495384Y1 true KR200495384Y1 (ko) 2022-05-12

Family

ID=7807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010U KR200495384Y1 (ko) 2020-03-24 2020-03-24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3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11B1 (ko) 2023-03-29 2023-12-21 지병욱 기능성 빨대 물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244B1 (ko) 2012-10-30 2014-06-16 이용권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
US20150239599A1 (en) 2012-08-22 2015-08-27 L'oreal Transversely deformable bottle
KR102021064B1 (ko) 2019-01-22 2019-09-11 박정애 복수의 토출부를 구비한 용기
KR101984766B1 (ko) 2017-12-21 2019-09-24 (주)이너보틀 용기 내에서 탄성파우치의 확장 및 확장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커플링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41Y1 (ko) 2008-11-25 2011-04-08 윤기문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JP7221878B2 (ja) * 2017-04-28 2023-02-14 カールスバーグ ブルワリーズ アグシャセルスガーブ 圧力軽減装置を有する飲料容器および圧力軽減装置を有する飲料容器を製造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9599A1 (en) 2012-08-22 2015-08-27 L'oreal Transversely deformable bottle
KR101408244B1 (ko) 2012-10-30 2014-06-16 이용권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
KR101984766B1 (ko) 2017-12-21 2019-09-24 (주)이너보틀 용기 내에서 탄성파우치의 확장 및 확장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커플링 유닛
KR102021064B1 (ko) 2019-01-22 2019-09-11 박정애 복수의 토출부를 구비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86U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0083B (zh) 具有可防止上蓋被移除之閂鎖機構之飲料容器
CN108202915B (zh) 杯盖
US9770393B2 (en) Multifunctional feeding-bottle
JP6306172B2 (ja) こぼれない飲用容器
US11014715B2 (en) Safety cap spout
JP2013035608A (ja) 飲料ボトルまたは飲料カップ用の閉鎖システム
EP3480130A1 (en) Discharge container
KR101485171B1 (ko) 빨대삽입밸브를 구비하는 빨대컵
CN107007475B (zh) 用于饮水瓶的饮用吸嘴和瓶盖
KR200495384Y1 (ko)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KR20120026099A (ko) 누출 방지 음용 컵 및 이를 위한 다이아프램
EP2085068A1 (fr) Embout de distribution de liquide,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e liquide comprenant un tel embout
KR102165020B1 (ko) 음료용기용 빨대
JP6346229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CN205076222U (zh) 一种压动出水的不漏瓶嘴组件
ES2918953T3 (es) Cierre de receptáculo
KR20080004792U (ko) 조리용기용 뚜껑의 패킹구조
KR101961112B1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JP2019156480A (ja)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US20120223076A1 (en) Cup system with removable insulated liner
EP3698677A1 (en) Closur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JP5554967B2 (ja) 飲料用容器のキャップ
JP202305810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255388Y1 (ko) 패킹이 형성된 내열 광구 용기용 뚜껑
KR200347208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