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67Y1 -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67Y1
KR200495167Y1 KR2020200000701U KR20200000701U KR200495167Y1 KR 200495167 Y1 KR200495167 Y1 KR 200495167Y1 KR 2020200000701 U KR2020200000701 U KR 2020200000701U KR 20200000701 U KR20200000701 U KR 20200000701U KR 200495167 Y1 KR200495167 Y1 KR 200495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artificial intelligence
gunpowder
intruder
vis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016U (ko
Inventor
곽덕영
Original Assignee
곽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덕영 filed Critical 곽덕영
Priority to KR2020200000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6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06Ballistically deployed systems for restraining persons or animals, e.g. ballistically deployed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3/00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로 영상인식, 음성인식으로 방문자를 식별하고, 침입자로 특정되면 경고방송과 및 경고음을 송출하고, 침입자의 동선 추적, 거리 및 위치정보를 수신, 그 정보를 바탕으로 그물발사 공정을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관련자, 경찰치안센터에 위치정보 및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며, 그물 발사 에너지로 화약의 폭발 에너지를 사용하고, 화약의 점화, 폭발 방식을 전기의 합선회로를 이용하여 화약을 점화, 폭발시키며, 화약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에너지가 그물추를 밀어내고, 그물추에 묶인 그물이 날아가면서 펼쳐져 침입자를 제압하는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use artificial intelligence net launch device security system}
본 고안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서 인공지능이 방문자를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방문자가 빅데이터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방문자를 침입자로 특정하여 그물발사를 제어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관련자, 경찰치안센터에 위치정보 및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고안은 화약의 폭발에너지를 이용하고, 화약의 점화방식은 전기의 양극(+)과 음극(-)을 합선시키는 합선회로를 채택하여 화약이 점화, 폭발되도록 하고,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가스가 그물추를 밀어내고, 그물추에 묶인 그물이 날아가면서 그물이 펼쳐지도록 구성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서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방문자를 영상인식, 음성인식으로 분류하여 침입자로 특정되면 경고방송과 경고음을 송출하여 비상모드로 전환시키는 인공지능 솔루션과, 침입자의 동선추적, 거리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그물발사를 실행하는 그물 발사 제어 프로그램과, 사회적 안전망에 지원받기 위하여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관련자, 경찰치안센터에 위치정보 및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물 발사기구의 발사 에너지로 화약을 사용하고 화약을 점화시키는 방식은 전기의 양극(+)과 음극(-)을 합선시키는 방법을 채택한다.
상기 합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불꽃과 충격에너지로 화약이 폭발되며,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가스가 그물추를 밀어내고, 그물추에 묶인 그물이 날아가면서 그물이 펼쳐지게 된다.
본 고안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방범모드로 설정하고 외부에서 방문자가 발생하면, 방문자 감지, 영상인식, 음성인식을 빅데이터가 분류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을 포함하는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방문자가 침입자로 특정되면 비상모드로 전환되면서 경고방송과 경고음을 송출하여 주위를 환기시키고, 침입자의 동선추적, 거리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그물발사를 제어하는 그물 발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은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관련자, 경찰치안센터에 위치정보 및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 사회적 안전시스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그물 발사기구의 발사 에너지는 화약을 사용하고 합선회로를 이용하여 내부에 장착된 화약을 점화, 폭발시키고 화약폭발시 발생하는 가스로 그물추가 날아가면서 그물이 펼쳐지는 그물 발사 기구를 구성하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방범모드로 설정하고 방문자가 방문하면 CCTV가 방문자를 감지하고,방문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빅데이터로 영상인식, 음성인식 딥 러닝(deep learning)분류한다.
상기 빅데이터 알고리즘(algorithm)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방문자를 침입자로 특정하고, 시스템은 비상모드로 전환되면서 경고방송 및 경고음을 송출하여 주위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침입자의 동선 추적, 거리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그물발사의 일련공정을 제어하는 방범시스템을 구성한다.
삭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관련자, 경찰치안센터에 위치정보 및 문자메시지를 발송, 사회적 안전시스템의 지원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물 발사기구의 발사 에너지는 화약을 사용하고 화약을 점화, 폭발시키는 방식을 전기의 음극(-)과 양극(+)을 합선시키는 합선회로를 이용하면, 발사기구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약실 내의 화약에 불꽃과 충격에너지를 발생시켜, 화약을 점화, 폭발시키고, 화약폭발시 발생하는 폭발가스로 그물추를 밀어내면, 그물추에 묶인 그물이 날아가면서 그물이 펼쳐지는 발사기구로 구성한다면 과제해결의 수단이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은 사용자가 방범모드로 설정하고 외부에서 방문자가 방문하면, 방문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로 영상인식, 음성인식의 분류하여 방문자를 식별하고 침입자로 특정하면, 시스템은 비상모드로 전환되면서 인공지능이 경고방송 및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침입자 동선추적, 거리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그물을 발사하는 일련의 공정을 제어함으로서 침입자에 불편한 방범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 안전한 주거생활 제공 및 재산보호를 할 수 있다.
삭제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관련자, 경찰치안센터에 위치정보 및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회적 안전시스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능도 준비하여 보다 더 안전한 방범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그물 발사기구의 발사 에너지는 화약을 사용하고 합선회로를 이용하여 내부에 장착된 화약을 점화, 폭발시키고 화약폭발시 발생하는 가스로 그물추가 날아가면서 그물이 펼쳐져 침입자를 억압하는 물리적 방범시스템이므로 사용자재산과 신체보호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 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물추 발사각도 30도의 궤적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공정도.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 기구 방범시스템의 그물 발사 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그물 발사 기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01), 배출 통로(1a), 연결부(02), 본체(03), 약실cover(04), 약실(05), 화약(2a), 그물추(06), 전선(07), 그물 및 그물보관 공간(08), 고정치구(09)로 구성하였다.
상기 전면부(01)는 몸체 앞부분의 바깥쪽 둘레의 4곳에 배출 통로(1a)가 구성되고, 상기 전면부(01)의 배출 통로(1a) 안쪽 중앙에는 그물 보관 공간(08)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 통로(1a)의 앞 끝부분에는 4개의 그물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그물추 구멍에 상기 그물추(06)가 배치 구성된다. 상기 그물추 구멍은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어 그물이 펼쳐지는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02)는 전면부(01)의 뒷부분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부에 약실(05)을 장착 약실cover(04)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배치하였으며, 화약(2a)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가스 배출 공간을 확보하여 전면부(01) 배출 통로(1a)와 연결하였다.
상기 약실(05)은 금속 재질로써 내부에 화약(2a)이 장전되어 연결부(02) 뒷면에 약실cover(04)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본체(03)는 연결부(02)에 원통 모양으로 연결 조립되며, 뒷면에 전선(07)을 배치하였다.
상기고정치구(09)는 본체(03)의 바깥쪽으로 좌, 우에 나사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그물 보관 공간(08)은 전면부(01)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4개의 그물추(06)가 조립되어 있다. 사용그물은 극세사 그물이다.
상기 시스템 작동은 사용자가 방범모드로 설정한 후, 외부에서 방문자가 방문하면, CCTV의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고 인공지능이 방문자를 영상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분류하고 알고리즘(algorithm)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방문자를 침입자로 특정한다.
상기 침입자로 특정되면, 시스템은 비상모드로 전환되면서 인공지능이 경고방송 및 경고음을 송출하여 주위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인공지능 제어 프로그램이 침입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거리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바탕으로 그물발사 공정을 실행한다.
상기 공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발사 명령을 실시하면 전선(07)에 전기가 흐르면서 약실(05)에 전기가 통전되고 양극(+)과 음극(-)전기가 합선되어 불꽃과 충격에너지가 화약(2a)을 터뜨린다.
상기 화약(2a)의 폭발가스가 배출통로(1a)를 지나 전면부(01) 배출구에 장착된 그물추(06)를 사출시키고, 그물추(06)에 묶여있는 그물이 날아가면서 그물이 펼쳐져 침입자를 덮어씌워 억압하는 것으로 방범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한다.
01; 전면부
02; 연결부
03; 본체
04; 약실 cover
05; 약실
06; 그물추
07; 전선
08; 그물 및 그물 보관 공간
09; 고정치구
1a; 배출 통로
2a; 화약

Claims (1)

  1. 그물 발사기구 몸체 앞측의 바깥쪽 둘레에 배출 통로(1a) 4개를 배치하고 중앙 공간에 그물 보관 공간(08)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 통로(1a)의 앞측 끝부분에 그물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그물추 구멍에 그물추(06)가 배치된 전면부(01)와, 상기 전면부(01)의 뒷부분에 연결되고 내부에 약실(05)을 장착하며 화약(2a) 폭발시 발생하는 폭발가스 통로를 확보하여 배출 통로(1a)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02)와, 상기 연결부(02) 뒷면에 조립되어 금속 재질로써 내부에 화약(2a)이 장전되어 있는 약실(05)과, 상기 약실(05)을 고정시키는 금속 재질의 약실 커버(cover; 04)와, 상기 연결부(02)에 원통 모양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전선(07)을 끼워 넣을 수 있게 구성되고 좌우측에 고정치구(09)를 배치한 본체(03);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03)의 좌, 우에 나사로 체결되고 금속 소재로 제작된 고정치구(09);
    상기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이 방범모드로 설정된 후 방문자가 방문하면, CCTV의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고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방문자를 영상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식별 분류하고, 알고리즘(algorithm)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방문자를 침입자로 특정하며, 침입자가 특정되면 비상모드로 전환되면서 경고방송 및 경고음을 송출하는 인공지능 솔루션;
    상기 인공지능 솔루션에서 방문자가 침입자로 특정되면 침입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거리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그물발사를 제어하는 그물발사 제어 프로그램;
    상기 그물발사 제어 프로그램에서 발사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선(07)이 통전되면서 상기 약실(05)의 양극(+)과 음극(-)이 합선되어 불꽃과 충격에너지가 상기 화약(2a)을 터뜨리고 상기 화약(2a)의 폭발가스가 상기 배출통로(1a)를 지나 상기 전면부(01)의 그물추 구멍에 장착된 그물추(06)를 사출시키고, 상기 그물추(06)에 묶여있는 그물이 날아가면서 그물이 펼쳐지는 그물 발사기구; 및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관련자, 경찰치안센터에 위치정보 및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는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KR2020200000701U 2020-02-28 2020-02-28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KR200495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701U KR200495167Y1 (ko) 2020-02-28 2020-02-28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701U KR200495167Y1 (ko) 2020-02-28 2020-02-28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16U KR20210002016U (ko) 2021-09-08
KR200495167Y1 true KR200495167Y1 (ko) 2022-03-18

Family

ID=7778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701U KR200495167Y1 (ko) 2020-02-28 2020-02-28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6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909B1 (ko) * 2014-06-11 2015-06-19 (주) 아이오티솔루션 지능형 cctv 및 제어기술을 이용한 불법 무단 침입자 물리적 방지 방법
CN108583889A (zh) * 2018-04-28 2018-09-28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无人机机载气动抛网装置
KR200489374Y1 (ko) * 2017-11-30 2019-06-11 곽덕영 그물 발사용 솔레노이드 코일 격발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909B1 (ko) * 2014-06-11 2015-06-19 (주) 아이오티솔루션 지능형 cctv 및 제어기술을 이용한 불법 무단 침입자 물리적 방지 방법
KR200489374Y1 (ko) * 2017-11-30 2019-06-11 곽덕영 그물 발사용 솔레노이드 코일 격발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방범 시스템
CN108583889A (zh) * 2018-04-28 2018-09-28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无人机机载气动抛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16U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2390B1 (en) Autonomous safety and security device on an unmanned platform under command and control of a cellular phone
JP4808782B2 (ja) 展開ユニット検出を有する電子兵器類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8247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or remote controlled destruction of stored information or components
US9016888B2 (en) Non combustible, tactical flash device
US8113689B2 (en) Non-lethal projectile for disorienting adversaries
US90253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weaponry
US5207579A (en) Antipersonnel training mine
US10288398B1 (en) Non-lethal smart weapon with computer vision
US5243894A (en) Light gun
JPH11513108A (ja) 目に安全なレーザー防御装置
KR102116883B1 (ko)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0495167Y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방범시스템
JP2012032150A (ja) 多機能電子兵器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233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rearm Cartridge Management
WO2006093527A2 (en) Modular autonomous perimeter security and non-lethal defense system
US9058730B2 (en) Intruder deterrent system
KR200496870Y1 (ko) 플라스마를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CN108680064B (zh) 一种部署型主动防御系统
CN215491356U (zh) 催泪瓦斯安防装置
CN213335799U (zh) 榴状强光炫目突入和警戒装置
CN214120948U (zh) 一种emp电磁弹
CN215864899U (zh) 遥控式催泪瓦斯装置
RU2439480C2 (ru) Боеприпас нелета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RU2122954C1 (ru) Охранная система
WO2016012646A1 (es) Método y sistema para control de activación remo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