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50Y1 -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5150Y1 KR200495150Y1 KR2020190002418U KR20190002418U KR200495150Y1 KR 200495150 Y1 KR200495150 Y1 KR 200495150Y1 KR 2020190002418 U KR2020190002418 U KR 2020190002418U KR 20190002418 U KR20190002418 U KR 20190002418U KR 200495150 Y1 KR200495150 Y1 KR 2004951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ition limiting
- bus bar
- connection assembly
- connecting member
- bo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메인 보드를 연결시키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는 연결부 및 결합부를 포함한다. 연결부의 보드체는 탄성체를 통해 프레임체에 연결되고, 연결부의 프레임체의 가장자리에는 제1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T형 위치 제한 슬롯이 형성되며 보드체에는 제2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T형 커버체가 형성되고, 상기 T형 커버체의 측변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개방 설치된다. 결합부는 제1 연결 부재, 스토퍼 및 위치 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가 제2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위치 제한 부재가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도록 연결부는 결합부에 접합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커넥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바 라인을 연결 부재에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메인보드의 조립 과정에서, 슬로싱(sloshing)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해 커넥터구조 또는 전기적 특성이 파손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종래의 커넥터에 의한 결함을 해결하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메인 보드를 연결시키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에 따르면,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주로 박형 전자 제품에 적용되고, 특히 절곡 또는 코너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에 따르면,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프레임체, 보드체 및 탄성체를 포함하고, 탄성체는 프레임체와 보드체 사이에 설치되며, 프레임체는 금속 판재에 고정되어 보드체가 탄성체에 의해 탄성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에 따르면,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위치 제한 슬롯과 위치 제한 부재에 의해 보드체를 어느 하나의 방향 또는 어느 하나의 평면으로 이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다섯 번째 목적은, 프레임체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보드체의 강도를 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에 따르면, 본 고안의 여섯 번째 목적은,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큰(예를 들면 벨마우스 구조) 암형 연결 부재(수형 연결 부재일 수도 있음)를 제공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삽입되는 수형 연결 부재(암형 연결 부재일 수도 있음)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메인 보드를 연결시키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는 연결부 및 결합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프레임체, 보드체 및 탄성체를 포함한다. 프레임체는 보드체와 탄성체를 둘러싼다. 보드체는 탄성체를 통해 프레임체에 연결된다. 프레임체의 가장자리에는 제1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T형 위치 제한 슬롯이 형성되고 제2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T형 커버체가 형성되며, 상기 T형 커버체의 측변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개방 설치된다. 결합부는 제1 연결 부재, 스토퍼 및 위치 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는 스토퍼와 위치 제한 부재를 연결시킨다. 제1 연결 부재는 제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연결한다. 위치 제한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의 양단에 설치된다. 스토퍼는 제1 연결 부재와 위치 제한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연결 부재가 제2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위치 제한 부재가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도록 연결부는 결합부에 접합된다. 보드체는 외력에 의해 위치 제한 부재, 스토퍼 및 T형 위치 제한 슬롯의 제한을 받아 평면에서 이동된다.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는, 특히 박형화 전자 제품에 대해, 조립 과정에서 절곡 또는 코너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여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결부가 결합부에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결부가 결합부에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가 제2 연결 부재에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가 회로기판 및 메인 보드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연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결부가 결합부에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결부가 결합부에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가 제2 연결 부재에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가 회로기판 및 메인 보드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연결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일” 또는 "하나”는 본 고안에 기술된 유닛, 소자 및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일 뿐, 본 고안의 범주에는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단수는 복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용어 "포함”, "포괄”, "구비”, "함유”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 고안에 열거된 이러한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았으나 상기 어셈블리, 구조, 제품 또는 장치가 통상적으로 구비하는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명백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또는”은 배타적인 "또는”이 아닌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에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10)는 제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2)을 구비하는 제1 회로기판(2), 제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44)을 구비하는 제2 회로기판(4) 및 메인 보드(6)를 연결시키고, 전술한 제1 회로기판(2), 제2 회로기판(4) 및 메인 보드(6)는 도 5의 본 고안에 따른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가 회로기판 및 메인 보드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연결 모식도를 함께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10)는 연결부(12) 및 결합부(14)를 포함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2)와 결합부(14)는 분리식 어셈블리의 실시형태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12)와 결합부(14)는 일체형 실시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12)는 프레임체(121), 보드체(122) 및 탄성체(1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체(121), 보드체(122) 및 탄성체(126)는 레이저 조각, CNC 가공 등 방식에 의해 보드체(122)로부터 절취될 수 있다.
프레임체(121)는 보드체(122) 및 탄성체(126)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체(121)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예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체(121)의 형상은 정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프레임체(121)의 재질은 금속 또는 비금속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체(121)의 가장자리에는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이 형성되고,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은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체(121)의 짧은 변 내측 가장자리 및 중앙부분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제 적용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보드체(122)는 탄성체(126)를 통해 프레임체(121)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드체(122)의 형상은 역 T형 구조로 예시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T형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보드체(122)가 결합부(14)를 조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드체(122)의 돌출된 부분을 T형 커버체(124)로 정의하고, T형 커버체(124)는 결합부(14)를 설치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SP)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T형 커버체(124)는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보드체(122)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제 적용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데, 반드시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에 대응되게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오프셋 될 수도 있다. 이 밖에, 스프링, 탄성편, 탄성암 등과 같은 탄성체(126)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예시된 4 개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 4 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126)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S형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체(121)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부(12)의 강도를 강화시킨다.
또한, T형 커버체(124)의 양측변에는 각각 개구(1242)가 개방 설치되어, 제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2)과 제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44)을 각각 삽입시킬 수 있다.
결합부(14)는 제1 연결 부재(142), 위치 제한 부재(144) 및 스토퍼(146)를 포함한다. 위치 제한 부재(144)와 스토퍼(146)는 제1 연결 부재(14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위치 제한 부재(144)와 스토퍼(146)는 제1 연결 부재(14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재(142)는 수형 단자로 예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수형 단자는 암형 단자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142)는 제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2)과 제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4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도 5를 함께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46)는 제1 연결 부재(142)와 위치 제한 부재(144) 사이에 설치된다. 이 밖에, 스토퍼(146)의 외부 가장자리는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의 외부 가장자리보다 크거나 같다. 이는 스토퍼가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의 외부 가장자리에 간섭되어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전술한 위치 제한 부재(144)의 형상 또는 크기 및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의 형상 또는 크기에 의해 결합부(14)가 제2 수용 공간(SP)에서 이동하는 방향이 결정되고, 스토퍼(146) 와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에 의해 결합부(14)가 제1 수용 공간에서 이동하는 깊이가 결정된다.
연결부(12)가 결합부(14)에 접합될 경우,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결부가 결합부에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결부가 결합부에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제1 연결 부재(142)는 제2 수용 공간(SP)에 설치되고 위치 제한 부재(144)는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된다. 보드체(122)는 외력(미도시)에 의해 위치 제한 부재(144), 스토퍼(146) 및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의 제한을 받아 XY평면에서 이동된다.
예를 들면, 연결부(12)가 결합부(14)에 접합될 경우, 제1 연결 부재(142)는 제2 수용 공간(SP)에 설치되고 위치 제한 부재(144)는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외력을 인가하여 보드체(122)를 작동시키면, 보드체(122)는 탄성체(126)의 작용을 받아, 위치 제한 부재(144)를 제1 수용 공간에서 이동시킨다. 이 밖에, 위치 제한 부재(144)는 이동 과정에서, 스토퍼(146)가 제1 수용 공간의 대응되는 T형 위치 제한 슬롯(128)에 접촉될 경우, 제한을 받아 일정한 범위 내 예를 들어, T형 커버체(124)와 T형 위치 제한 슬롯(128) 사이의 간극(d) 내에서 이동한다. 특히, 위치 제한 부재(144)의 크기가 제1 수용 공간의 내부 가장자리에 근접할 경우, 이동 범위는 예를 들면 XY 평면에만 제한될 것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10)는, 연결부(12)에 형성되어 연결부(12)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 판재(8)에 고정시키는 래치 부재(1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10)의 메인 보드(6)에 설치되고 제1 연결 부재(142)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1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부재(16)는 암형 단자로 예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부재(16)는 수형 단자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의 제2 연결 부재(16)의 확대도를 함께 참조할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142)가 제2 연결 부재(16)에 쉽게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제2 연결 부재의 구조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큰 깔때기 또는 벨마우스에 유사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로 개시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됨을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것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실시예와 동등한 변화 및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특허 출원 범위의 정의를 기준으로 한다.
2: 제1 회로기판 22: 제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4: 제2 회로기판
44: 제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6: 메인 보드
10: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12: 연결부
121: 프레임체 122: 보드체 124: T형 커버체
1242: 개구 126: 탄성체
128: T형 위치 제한 슬롯 1210: 래치 부재
14: 결합부 142: 제1 연결 부재 144: 위치 제한 부재
146: 스토퍼 16: 제2 연결 부재 SP: 제2 수용 공간
44: 제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6: 메인 보드
10: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12: 연결부
121: 프레임체 122: 보드체 124: T형 커버체
1242: 개구 126: 탄성체
128: T형 위치 제한 슬롯 1210: 래치 부재
14: 결합부 142: 제1 연결 부재 144: 위치 제한 부재
146: 스토퍼 16: 제2 연결 부재 SP: 제2 수용 공간
Claims (10)
- 제1 및 제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을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메인 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로서,
프레임체, 보드체 및 탄성체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제1 연결 부재, 스토퍼 및 위치 제한 부재를 구비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보드체 및 상기 탄성체를 둘러싸며, 상기 보드체는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프레임체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체의 가장자리에는 제1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T형 위치 제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보드체에는 제2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T형 커버체가 형성되고, 상기 T형 커버체의 측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개방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위치 제한 부재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 제한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위치 제한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 제한 부재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도록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에 접합되고, 상기 보드체는 외력에 의해 상기 위치 제한 부재, 상기 스토퍼 및 상기 T형 위치 제한 슬롯의 제한을 받아 평면에 이동되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금속 판재에 고정시키는 래치(latch)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 탄성편 또는 탄성암인,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S형 구조인,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T형 위치 제한 슬롯의 외부 가장자리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T형 위치 제한 슬롯의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구조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큰 형상인,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8203337 | 2019-03-18 | ||
TW108203337U TWM581316U (zh) | 2019-03-18 | 2019-03-18 | 浮動式匯流排連接組件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119U KR20200002119U (ko) | 2020-09-29 |
KR200495150Y1 true KR200495150Y1 (ko) | 2022-03-15 |
Family
ID=6753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2418U KR200495150Y1 (ko) | 2019-03-18 | 2019-06-14 |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222567U (ko) |
KR (1) | KR200495150Y1 (ko) |
CN (1) | CN210779068U (ko) |
TW (1) | TWM581316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97157B (zh) * | 2019-03-18 | 2020-06-21 |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 浮動式匯流排連接組件 |
TWI847353B (zh) * | 2022-11-10 | 2024-07-01 |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 連接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33697A (ja) | 2015-07-30 | 2017-02-09 | 山一電機株式会社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プラグ |
US20170237190A1 (en) | 2016-02-16 | 2017-08-17 |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8550Y2 (ja) * | 1988-01-14 | 1996-03-06 |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US8911250B2 (en) | 2012-10-05 | 2014-12-16 | Facebook, Inc. | Floating bus bar connector |
-
2019
- 2019-03-18 TW TW108203337U patent/TWM581316U/zh unknown
- 2019-05-24 CN CN201920755229.4U patent/CN210779068U/zh active Active
- 2019-05-29 JP JP2019001915U patent/JP3222567U/ja active Active
- 2019-06-14 KR KR2020190002418U patent/KR20049515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33697A (ja) | 2015-07-30 | 2017-02-09 | 山一電機株式会社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プラグ |
US20170237190A1 (en) | 2016-02-16 | 2017-08-17 |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M581316U (zh) | 2019-07-21 |
CN210779068U (zh) | 2020-06-16 |
KR20200002119U (ko) | 2020-09-29 |
JP3222567U (ja) | 2019-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012400A1 (en) | Holding frame for a plug-type connector | |
JP6325501B2 (ja) | コネクタ | |
KR200495150Y1 (ko) | 플로팅 버스바 연결 어셈블리 | |
US9325093B2 (en) |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
JP6656317B2 (ja) | コネクタ | |
WO2008044324A1 (en) | Connector | |
CN107408782B (zh) | 线缆连接器 | |
US20120238133A1 (en) | Connector mounting apparatus with emi shielding clip | |
US20210091498A1 (en) | Floating connector | |
JP6824703B2 (ja) | コンタクトデバイス止めばね、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アセンブリおよび電気コネクタ | |
JP5748378B2 (ja) |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 | |
CN102904086A (zh) | 连接器及包括该连接器的性能板、母板、半导体测试装置 | |
WO2018216523A1 (ja) | 端子モジュール | |
US9766415B2 (en) | Panel mount header connector | |
WO2018034325A1 (ja) | コネクタ | |
US9768559B2 (en) | Shield housing and socket connector | |
EP4042517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EP3769373B1 (en) | Multi-pole electric connection device | |
EP3217479B1 (en) | Electrical connector limiter structure of wire connection terminal | |
TWI697157B (zh) | 浮動式匯流排連接組件 | |
CN102740665A (zh) | 防电磁干扰弹片及采用该防电磁干扰弹片的电子装置 | |
KR20200002458U (ko) | 버클 커넥터 | |
JP5626106B2 (ja) | 電子装置の筐体構造 | |
CN111107721B (zh) | 面板组件和电气连接装置 | |
US9642291B1 (en) | EMI proof server chas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