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025Y1 -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 Google Patents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025Y1
KR200495025Y1 KR2020200002664U KR20200002664U KR200495025Y1 KR 200495025 Y1 KR200495025 Y1 KR 200495025Y1 KR 2020200002664 U KR2020200002664 U KR 2020200002664U KR 20200002664 U KR20200002664 U KR 20200002664U KR 200495025 Y1 KR200495025 Y1 KR 200495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heukchae
raw material
dye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273U (ko
Inventor
김두환
Original Assignee
김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환 filed Critical 김두환
Priority to KR2020200002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2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8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having applicators other than brushes or combs, e.g. rollers, ball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2019/0033Processes for treating the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흑채원료가 저장된 케이스를 구비한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로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흑채원료를 흡착한 후, 두피에 접촉시키는 도장부 및 몸체부의 타측에 회전되게 형성되어 두피의 넓은 부위에 롤링되어 접촉하는 와이드도장부를 포함하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CUTTING DEVICE FOR KIM-BAB}
본 고안은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흑채원료가 흡착된 도장부를 두피에 직접 접촉시켜 흑채원료를 복수개의 점으로 도포하면서 두피에 인접한 모발에 흑채원료를 흡착시키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는 과거 중, 장년층에 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함께 주로 과중한 스트레스, 염색, 파마 및 드라이에 의한 두발과 두피 손상, 진비듬이나 피지선(皮脂腺)의 비대에 의한 피지의 불균형,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비교적 젊은 층에서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탈모방지나 발모제로써, 국 내외를 막론하고 양약과 한방에 근원을 둔 수많은 종류의 제품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들은 주로 복용하거나 또는 두피에 직접 도포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화장과 유사한 기법을 이용해 머리숱이 없거나 숱이 가늘어져서 두피가 드러나 보이는 부분에 검은색 분말가루를 뿌려 커버 해주는 흑채라고 호칭되는 모발도포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간편하면서도 짧은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장점 때문에 탈모가 심한 사람들에게 널리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흑채는 일반적으로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되는바, 종래 흑채 저장용기는 원통 형상의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용기뚜껑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데, 이러한 종래 흑채 저장용기는 그 구조상 배출되는 흑채의 배출량이나 배출면적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흑채가 배출됨으로써 흑채가 낭비되고, 원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까지 흑채가 뿌려질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세배출통로를 통해서만 흑채가 배출되게하여 흑채를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뿌릴 수 있으나, 배출면적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머리숱이 적어 넓은 범위에 흑채를 살포하고자 할 때는 오히려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의 누르는 힘을 잘 조절해야하므로 사용이 어렵고, 흑채의 양이 조금 남은 경우에는 용기 몸체를 누르더라도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과 함께, 배출통로가 가변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배출량을 조절하는데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350호(2015.01.28. 등록)인 브러시가 구비된 염색약 튜브를 살펴보면, 브의 주둥이부에 브러시를 구비하되, 튜브와 일직선상에 튜브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브러시들 사이에 염색약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튜브를 가압하여 염색약이 배출됨과 동시에 솔질을 하여 염색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사용 후 남아 있는 염색약이 대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뚜껑을 설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염색 중 튜브가 안정적으로 직립 상태를 유지하여 튜브 내부의 염색약이 불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액체로 형성된 염색원료가 브러시를 통해 머리카락에 칠해짐으로써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튜브에 남아있는 염색원료의 상태에 따라 배출구를 막히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튜브에 흑채원료를 저장하도록 치환 하더라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흑채원료가 막히게 되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35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흑채원료가 흡착된 도장부를 두피에 직접 접촉시켜 흑채원료를 복수개의 점으로 도포하면서 두피에 인접한 모발에 흑채원료를 흡착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의 타측에 롤러부가 형성된 와이드도장부에 흑채원료를 흡착하여 두피의 넓은 부위에 접촉시켜 흑채원료를 복수개의 점으로 도포할 수 있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장부의 중앙에 돌출되는 서브도장부를 형성하여 눈썹이나 두피의 좁은 부위를 선택적으로 접촉시켜 흑채원료를 복수개의 점으로 도포할 수 있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흑채원료가 저장된 케이스를 구비한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흑채원료를 흡착한 후, 두피에 접촉시키는 도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회전되게 형성되어 두피의 넓은 부위에 롤링되어 접촉하는 와이드도장부를 포함하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실리콘돌기부; 및 상기 실리콘돌기부를 둘러싸고 상기 헤드부에 나선 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돌기부는 일단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사지볼이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볼에 상기 흑채원료를 흡착하여 상기 두피에 접촉 시키는 경우, 상기 두피에 상기 흑채원료를 복수개의 점으로 도포하고, 상기 두피에 인접한 모발에 상기 흑채원료를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도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와이드헤드부; 상기 와이드헤드부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며 연장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를 서로 연결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원통형 몸체로 형성된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실리콘재질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도장부는 상기 측벽부를 둘러싸고 상기 와이드헤드부에 나선결합되는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의 일면 중 중앙부분이 돌출되고, 상기 두피의 좁은 부위에 접촉되어 복수개의 흑채원료 점을 형성한 서브도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장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된 축부; 상기 축부의 일단에 대응하여 상기 도장부의 일면 중앙이 관통된 홀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의 타단에 연결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축부가 직선왕복 이동하여 상기 도장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축부를 돌출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흑채원료가 흡착된 모발을 정돈하는 빗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는 흑채원료가 흡착된 도장부를 두피에 직접 접촉시켜 흑채원료를 복수개의 점으로 도포하면서 두피에 인접한 모발에 흑채원료를 흡착시킴으로써, 모발을 풍성하게 보일 수 있고, 흑채원료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는 실리콘돌기부에 마사지볼이 형성되어 모발의 간섭 없이 흑채원료를 원하는 두피 부위에 접촉시켜 수월하게 도포할 수 있어 모리 모양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주변에 흑채원료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깨끗하고 호흡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되는 롤러부가 형성된 돌기부에 흑채원료를 흡착시킨 후, 두피의 넓은 부위를 광범위하게 접촉시켜 도포함으로써, 신속하게 흑채원료를 사용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장부의 중앙에 촐둘되는 서브도장부를 형성하여 눈썹이나 두피의 좁은 부위를 선택적으로 접촉시켜 흑채원료를 도포하기 때문에 정교한 미용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의 도장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장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의 와이드도장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의 서브도장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의 도장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장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의 와이드도장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의 서브도장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10)는 몸체부(100), 도장부(200) 및 와이드도장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10)는 흑채원료가 저장된 케이스(11)를 구비한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로 형성된 몸체부(100),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흑채원료를 흡착한 후, 두피에 접촉시키는 도장부(200) 및 몸체부의 타측에 회전되게 형성되어 두피의 넓은 부위에 롤링되어 접촉하는 와이드도장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11)는 흑채원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 상부를 개폐하는 캡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장부(200) 또는 와이드도장부(300)가 흑채원료를 찍어낼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1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흑채용기를 뿌려서 탈모된 부위에 살포하는 대신에 두피에 흑채원료를 찍어서 모발을 풍성하게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사각기둥, 타원기둥 등 도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도장부(200)를 두피에 접촉하여 찍거나 와이드도장부(300)를 롤링하여 두피에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장부(200)는 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흑채원료를 흡착한 후, 두피에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장부(200)는 헤드부(210), 실리콘돌기부(220) 및 커버부(230)를 더 포함한다.
헤드부(210)는 몸체부(100)의 일측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즉, 헤드부(21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탈모가 진행된 두피의 원하는 부위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리콘돌기부(220)는 헤드부(210)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다.
즉, 실리콘돌기부(220)는 소정의 굵기로 형성되어 모발의 간섭을 받지 않고 두피에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210)를 파지하여 두피방향으로 이동 시, 실리콘돌기부(220)는 누르는 힘에 대응하여 탄성을 가지게 되어 두피에 자극을 최소화 한다.
특히, 실리콘돌기부(220)는 일단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사지볼(221)이 형성되고, 마사지볼(221)에 흑채원료를 흡착하여 두피에 접촉 시키는 경우, 두피에 흑채원료를 복수개의 점으로 도포하고, 두피에 인접한 모발에 흑채원료를 흡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탈모가 진행된 두피에 복수개의 흑채원료의 점을 도포하여 모발을 풍성하게 해준다. 또한, 흑채원료가 두피에 접촉되면서 일부가 두피에 인접한 모발에 흡착되어 모발을 더욱 풍성하게 해준다.
여기서, 마사지볼(221)은 실리콘돌기부(220)의 지름보다 크거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와이드도장부(300)의 돌기부(34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사지볼(221)은 실리콘돌기부(2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흑채원료가 묻은 상태로 두피를 찍어 복수개의 점을 두피에 형성한다. 그리고 흑채원료가 두피에 반복적으로 접촉되게 하여 두피를 흑채원료의 색상으로 염색해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230)는 실리콘돌기부(220)를 둘러싸고 헤드부(210)에 나선 결합되는 뚜껑이다.
즉, 커버부(230)는 실리콘돌기부(220)를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흑채원료를 두피에 도포하지 않을 때 헤드부(210)의 일측에 나선 결합되어 장시간 보관하고, 휴대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와이드도장부(300)는 몸체부(100)의 타측에 회전되게 형성되어 두피의 넓은 부위에 롤링되어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와이드도장부(300)는 와이드헤드부(310), 측벽부(320), 롤러부(330) 및 돌기부(340)를 더 포함한다.
와이드헤드부(310)는 몸체부(100)의 타측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즉, 와이드헤드부(310)는 롤러부(3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헤드부(210)보다 더 넓은 지름 또는 영역으로 형성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320)는 와이드헤드부(310)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며 연장된다.
다시 설명하면, 측벽부(320)는 와이드헤드부(310)의 일측의 테두리 양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중앙에 공간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러부(330)는 측벽부(320)를 서로 연결한 회전축과 회전축에 결합된 원통형 몸체로 형성된다.
특히, 롤러부(330)는 외주면이 측벽부(320)의 일단보다 더 돌출되게 위치하여 두피 부위에서 롤링 시, 측벽부(320)가 두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340)는 롤러부(33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실리콘재질의 돌기이다.
여기서, 돌기부(340)는 두피에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 일단에 실리콘돌기부(220)에 형성된 마사지볼(221)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케이스(11)에 저장된 흑채원료를 돌기부(340)에 묻히고 몸체부(100)를 파지하여 탈모가 더욱 진행되어 모발이 상대적으로 없는 두피의 넓은 부위에 롤러부(33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돌기부(340)가 두피에 완전히 접촉되도록 누르면서 밀면 돌기부(340)에 형성된 마사지볼(221)이 두피에 접촉되어 복수개의 흑채원료 점을 형성하여 두피를 광범위하게 염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10)에 있어서 와이드도장부(300)는 캡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350)는 측벽부(320)를 둘러싸고 와이드헤드부(310)에 나선결합되는 뚜껑이다.
이러한 캡부(350)는 전술한 커버부(230)의 역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10)는 서브도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도장부(400)는 도장부(200)의 일면 중 중앙부분이 돌출되고, 두피의 좁은 부위에 접촉되어 복수개의 흑채원료 점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서브도장부(400)는 축부(410), 홀부(420), 버튼(430) 및 작동부(440)를 더 포함한다.
축부(4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몸체부(100)의 내부에 내장된다.
홀부(420)는 축부(410)의 일단에 대응하여 도장부(200)의 일면 중앙이 관통된다.
즉, 홀부(420)는 축부(410)의 지름 또는 일단의 넓이에 대응하여 도장부(200)의 헤드부(21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로 인해, 축부(410)의 일단이 헤드부(210)의 일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하게 되고, 홀부(420)를 통해 헤드부(210)의 일면 보다 더 연장되도록 직선왕복 이동이 가능해진다.
버튼(430)은 몸체부(1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축부(4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작동부(440)는 버튼(430)의 동작에 따라 축부(410)가 직선왕복 이동하여 도장부(200)의 일면으로부터 축부(410)를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작동부(440)는 홀더(441) 및 스프링(442)를 더 포함한다.
홀더(441)는 축부(410)의 타단에 결합되고, 몸체부(200)의 외주면에 도출된 버튼(430)의 일부가 연결된다.
스프링(442)은 홀더(441)의 내측에 결합되고, 축부(410)의 타단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작동부(430)는 버튼(430)을 눌러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홀더(441)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축부(410)를 헤드부(2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여기서, 작동부(43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볼펜의 머리부분의 구성을 대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10)는 빗(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빗(500)은 몸체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흑채원료가 흡착된 모발을 정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빗(500)은 커버체(510)를 구비하여 보관하거나 휴대 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11 : 케이스
100 : 몸체부
200 : 도장부
210 : 헤드부
220 : 실리콘돌기부
221 : 마사지볼
230 : 커버부
300 : 와이드도장부
310 : 와이드헤드부
320 : 측벽부
330 : 롤러부
340 : 돌기부
350 : 캡부
400 : 서브도장부
410 : 축부
420 : 홀부
430 : 버튼
440 : 작동부
500 : 빗

Claims (6)

  1. 흑채원료가 저장된 케이스를 구비한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흑채원료를 흡착한 후, 두피에 접촉시키는 도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회전되게 형성되어 두피의 넓은 부위에 롤링되어 접촉하는 와이드도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실리콘돌기부; 및
    상기 실리콘돌기부를 둘러싸고 상기 헤드부에 나선 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돌기부는 일단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사지볼이 형성되고, 상기 마사지볼에 상기 흑채원료를 흡착하여 상기 두피에 접촉 시키는 경우, 상기 두피에 상기 흑채원료를 복수개의 점으로 도포하고, 상기 두피에 인접한 모발에 상기 흑채원료를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도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와이드헤드부;
    상기 와이드헤드부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며 연장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를 서로 연결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원통형 몸체로 형성된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실리콘재질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의 일면 중 중앙부분이 돌출되고, 상기 두피의 좁은 부위에 접촉되어 복수개의 흑채원료 점을 형성한 서브도장부를 더 포함하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장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된 축부;
    상기 축부의 일단에 대응하여 상기 도장부의 일면 중앙이 관통된 홀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의 타단에 연결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축부가 직선왕복 이동하여 상기 도장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축부를 돌출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흑채원료가 흡착된 모발을 정돈하는 빗을 더 포함하는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KR2020200002664U 2020-07-22 2020-07-22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KR200495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64U KR200495025Y1 (ko) 2020-07-22 2020-07-22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64U KR200495025Y1 (ko) 2020-07-22 2020-07-22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73U KR20220000273U (ko) 2022-02-03
KR200495025Y1 true KR200495025Y1 (ko) 2022-02-15

Family

ID=8025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664U KR200495025Y1 (ko) 2020-07-22 2020-07-22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2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15Y1 (ko) * 2008-01-03 2010-04-09 (주)에스엔피월드 화장도구
KR101615149B1 (ko) 2014-11-27 2016-05-12 이재원 진동 두피 모발 마사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350B1 (ko) 2012-12-07 2015-02-04 윤이중 브러시가 구비된 염색약 튜브
KR20140006456U (ko) * 2013-06-19 2014-12-30 최철원 건강빗
KR20170090745A (ko) * 2016-01-29 2017-08-08 이광준 화장 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15Y1 (ko) * 2008-01-03 2010-04-09 (주)에스엔피월드 화장도구
KR101615149B1 (ko) 2014-11-27 2016-05-12 이재원 진동 두피 모발 마사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73U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9381C (en) Topical applicator for liquid
US5931591A (en) Lotion applicator
US6244776B1 (en) Applicators for health and beauty products
US6213129B1 (en) Cradle cap kit
US3406694A (en) Combination hairbrush-applicator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5857796A (en) Applicator with reservoir
US6126352A (en) Applicators for health and beauty products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US8974134B2 (en) Package for applying a personal care product
JP5635630B2 (ja) パーソナルケア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容器
KR200495025Y1 (ko) 두피 염색을 위한 도장기구
US20120152270A1 (en) Method & apparatus for applying hair root concealer
US20020153020A1 (en) Hairbrush with attached spray bottle
KR102219425B1 (ko) 헤어스타일링 및 헤어케어용 헤어브러쉬
CA2061609A1 (en) Nail varnish applicator
JP2002253333A (ja) 毛髪用製品を収容し塗布するための装置
JP5652796B1 (ja) 薬液塗布用具
US20040261808A1 (en) Brush dispensing aplicator device
KR102111364B1 (ko) 헤어스타일링용 헤어브러쉬
US6390101B1 (en) Self-contained applicator for applying fluid
JP3644733B2 (ja) エアゾール装置
KR20080000138U (ko) 퍼프 일체형 고상 화장품 용기
JPH01110304A (ja) 化粧料の吹付方法
US20030015210A1 (en) Self-contained applicator for applying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