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711Y1 -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711Y1
KR200494711Y1 KR2020190001904U KR20190001904U KR200494711Y1 KR 200494711 Y1 KR200494711 Y1 KR 200494711Y1 KR 2020190001904 U KR2020190001904 U KR 2020190001904U KR 20190001904 U KR20190001904 U KR 20190001904U KR 200494711 Y1 KR200494711 Y1 KR 200494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s
horizontal
rods
b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09U (ko
Inventor
이점례
Original Assignee
이점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점례 filed Critical 이점례
Priority to KR2020190001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71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05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을 담기 위한 망부재를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농산물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토록 한 것으로, 사용시에는 손쉽게 펼쳐 세워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접철하여 접어 공간 제약없이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net with folding structure}
본 고안은 각종 농산물을 담기 위한 망의 입구를 벌어진 상태로 용이하게 거치하여, 농산물을 손쉽고 편리하게 담거나 사용시 빼낼 수 있도록 하면서, 비사용시에는 접철하여 보관 또한 용이한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농가에서 농산물(양파, 마늘, 감자, 고추 등) 수확시에 작업자는 수확용 망을 들고 다니며 밭에 쪼그리고 앉아 캐낸 농산물을 하나씩 망에 담으면서 그 망이 가득 찰 때까지 들고 다니거나 밭에 끌고 다니면서 수확 작업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자는 망이 가득 찰 때까지 들거나 끌고 다녀야 하므로 그 시간 동안 농산물을 캐는데 드는 힘보다 망을 들거나 끌고 다니는데 힘이 더 소모된다. 이로 인해 수확 작업을 하면서 쉬는 시간이 더 들게 되고 따라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현재 농촌은 심각한 고령화로 인해 거의 대부분 노인들이 농산물 수확 작업을 하고 있는데, 노인들이 망을 들거나 끌고 다니는데 힘이 부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통 농산물 수확 작업시 사용되는 망(특히 양파망, 마늘망 등)의 길이가 길고 입구가 좁아 수확된 농산물을 넣기 힘들기 때문에 바깥쪽으로 말아서 최대한 길이를 짧게 한 다음 농산물을 채워 넣어 서서히 펴나가면서 작업하고 있다. 이때 일일이 망을 마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작업시간을 줄이려면 비용을 들여 망을 말아야 하는데 이 또한 불필요한 비용 부담이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5403호(2000.06.28.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농산물을 담기 위한 다양한 망부재의 입구를 고정하여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농산물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펼쳐 망부재를 걸칠 수 있도록 하되, 비사용시에는 손쉽게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직판(16) 및 상기 수직판(16)의 상부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수평판(17)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상호간 수직판(16) 양단이 연결되며 중앙에 사각형의 빈공간(A)을 형성하는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 상기 제 1거치대(11)의 수직판(16) 양단에서,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제 1, 2거치봉(21, 22); 상기 제 1거치대(11)와 대향되는 제 3거치대(13)의 수직판(16) 양단에서,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제 3, 4거치봉(23, 24); 상기 제 1, 3거치봉(21, 23)의 중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 1, 3거치봉(21, 23)을 연결하되, 양단이 제 1, 3거치봉(21, 2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2돌출부(35, 36)를 형성하는 제 1, 2수평봉(31, 32); 상기 제 2, 4거치봉(22, 24)의 중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 2, 4거치봉(22, 24)을 연결하되, 양단이 제 2, 4거치봉(22, 2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4돌출부(37, 38)를 형성하는 제 3, 4수평봉(33, 34); 일단은 제 1수평봉(31)의 제 1돌출부(3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3수평봉(33)의 제 3돌출부(37)에 착탈가능한 제 1갈고리부(45)가 형성되는 제 1고정바(41); 일단은 제 2수평봉(32)의 제 1돌출부(3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4수평봉(34)의 제 3돌출부(37)에 착탈가능한 제 2갈고리부(46)가 형성되는 제 2고정바(42); 로 구성되어, 농산물 취구로 사용시에는, 농산물을 담기위한 망부재(50)가 빈공간(A)에 삽입된 후, 망부재(50)의 입구가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에 씌워져 고정됨으로써, 망주재(50)에 농산물의 투입/배출이 용이토록 하고, 비사용시에는 제 1, 2고정바(41, 42)의 제 1, 2갈고리부(45, 46)를 각각 제 3돌출부(37)에서 탈거시킨 후, 제 2, 4거치봉(22, 24) 각각을 제 1, 3거치봉(21, 23)에 접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눌어 포개어 보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농산물을 담기 위한 망부재의 입구를 고정하여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망부재에 농산물의 투입 및 배출이 손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시에는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비사용시에도 접철하여 장소에 제약없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제 1, 2고정바를 연결해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를 접철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망부재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수직판(16) 및 상기 수직판(16)의 상부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수평판(17)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상호간 수직판(16) 양단이 연결되며 중앙에 사각형의 빈공간(A)을 형성하는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 상기 제 1거치대(11)의 수직판(16) 양단에서,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제 1, 2거치봉(21, 22); 상기 제 1거치대(11)와 대향되는 제 3거치대(13)의 수직판(16) 양단에서,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제 3, 4거치봉(23, 24); 상기 제 1, 3거치봉(21, 23)의 중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 1, 3거치봉(21, 23)을 연결하되, 양단이 제 1, 3거치봉(21, 2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2돌출부(35, 36)를 형성하는 제 1, 2수평봉(31, 32); 상기 제 2, 4거치봉(22, 24)의 중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 2, 4거치봉(22, 24)을 연결하되, 양단이 제 2, 4거치봉(22, 2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4돌출부(37, 38)를 형성하는 제 3, 4수평봉(33, 34); 일단은 제 1수평봉(31)의 제 1돌출부(3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3수평봉(33)의 제 3돌출부(37)에 착탈가능한 제 1갈고리부(45)가 형성되는 제 1고정바(41); 일단은 제 2수평봉(32)의 제 1돌출부(3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4수평봉(34)의 제 3돌출부(37)에 착탈가능한 제 2갈고리부(46)가 형성되는 제 2고정바(42); 로 구성되어, 농산물 취구로 사용시에는, 농산물을 담기위한 망부재(50)가 빈공간(A)에 삽입된 후, 망부재(50)의 입구가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에 씌워져 고정됨으로써, 망주재(50)에 농산물의 투입/배출이 용이토록 하고, 비사용시에는 제 1, 2고정바(41, 42)의 제 1, 2갈고리부(45, 46)를 각각 제 3돌출부(37)에서 탈거시킨 후, 제 2, 4거치봉(22, 24) 각각을 제 1, 3거치봉(21, 23)에 접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눌어 포개어 보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고정바(41, 42) 각각은
지면에 수직도록 세로로 세워진 형태이며, 갈고리부가 형성된 단부의 양측면 중 일면에, 상기 제 1, 2고정바(41, 42)와 직교를 이루는 지지편(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고정바(41)의 제 1갈고리부(45)가 제 3수평봉(33)에 결합시, 상기 제 1고정바(41)에 형성된 지지편(60)이 제 4거치봉(24)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면서, 제 1갈고리부(45)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 1고정바(41)가 제 4거치봉(24)에 직교를 이룰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 1, 2, 3, 4돌출부(35, 36, 37, 38)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는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 제 1, 2거치봉(21, 22), 제 3, 4거치봉(23, 24), 제 1, 2수평봉(31, 32), 제 3, 4수평봉(33, 34), 제 1고정바(41), 제 2고정바(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판재로써, 수직판(16) 및 수직판(16)의 중단이 길이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판(16)의 상부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수평판(17)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ㄱ'자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더불어, 이러한 각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의 각 수평판(17)은 상호간 결합시, 각 수평판(17)이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면, 다수개가 상호간 수직판(16) 양단이 연결되며 중앙에 사각형의 빈공간(A)을 형성하여, 이러한 빈공간(A)으로 농산물을 담거나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망부재(50)(ex: 양파망, 마늘망 등)가 이러한 빈공간(A)에 삽입된 후, 망부재(50)의 입구가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의 수평판(17) 외주연에서 밖으로 둘러 씌워져 고정되도록 한 후, 망부재(50)에 입구에 형성된 조임용 줄을 당겨 입구를 조여주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2거치봉(21, 22) 및 제 3, 4거치봉(23, 24)은 형상이 동일한 것이되, 결합부위만 상이한 것이다.
이러한 제 1, 2거치봉(21, 22)은 상기 제 1거치대(11)의 수직판(16) 양단에서,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봉이며, 제 3, 4거치봉(23, 24)은 상기 제 1거치대(11)와 대향되는 제 3거치대(13)의 수직판(16) 양단에서,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봉이다.
이러한 제 1, 2거치봉(21, 22) 및 제 3, 4거치봉(23, 24)은 연결부위가 회전이 가능한 회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3거치대(11, 13)에서 제 1, 2거치봉(21, 22) 또는 제 3, 4거치봉(23, 24)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결합공(15)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제 1, 2, 3, 4거치봉(21, 22, 23, 24) 상단에도 이러한 결합공(15)과 연통되는 끼움공(26)이 형성되도록 봉 부재가 납작해지는 납작부(25)를 상단에 형성하고, 별도의 고정수단(B)(ex: 볼트, 너트 등)에 의해 상호간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제 1, 2거치봉(21, 22)은 제 1거치대(11)의 하단 양측에, 제 3, 4거치봉(23, 24)은 제 3거치대(13)의 하단 양측에서 각각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제 1, 2수평봉(31, 32) 및 제 3, 4수평봉(33, 34)은 동일한 형상의 봉으로서, 연결부위만 상이한 것이다.
상기 제 1, 2수평봉(31, 32)은 제 1, 3거치봉(21, 23)의 중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 1, 3거치봉(21, 23)을 연결하되, 양단이 제 1, 3거치봉(21, 2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2돌출부(35, 36)를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 3, 4수평봉(33, 34)은 제 1, 3거치봉(21, 23)과 대향되어 있는 상기 제 2, 4거치봉(22, 24)의 중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 2, 4거치봉(22, 24)을 연결하되, 양단이 제 2, 4거치봉(22, 2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4돌출부(37, 38)를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 1, 2, 3, 4돌출부(35, 36, 37, 38)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2고정바(41, 42)와 너트에 의해 조여지도록 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 1고정바(41)는 납작한 형태의 판재로써, 일단은 제 1수평봉(31)의 제 1돌출부(35)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B)(ex: 볼트, 너트 등)에 의해 연결되고, 이를 위해서 일단에는 제 1연결공(43)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 3수평봉(33)의 제 3돌출부(37)에 착탈가능한 갈고리 형상의 제 1갈고리부(45)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고정바(42)는 납작한 형태의 판재로써, 일단은 제 2수평봉(32)의 제 1돌출부(35)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수단(B)(ex: 볼트, 너트 등)에 의해 연결되고, 이를 위해서 일단에는 제 2연결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 4수평봉(34)의 제 3돌출부(37)에 착탈가능한 갈고리 형상의 제 2갈고리부(46)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편(60)은 전술된 제 1, 2고정바(41, 42)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제 1고정바(41) 또는 제 2고정바(42)의 경우, 지면에 수직도록 세로로 세워진 바 형태이며, 갈고리부가 형성된 단부의 양측면 중 일면에, 상기 제 1, 2고정바(41, 42)와 직교를 이루는 형태로 지지편(6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정바(41)의 제 1갈고리부(45)가 제 3수평봉(33)에 결합시, 상기 제 1고정바(41)에 형성된 지지편(60)이 제 4거치봉(24)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면서, 제 1갈고리부(45)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 1고정바(41)가 제 4거치봉(24)에 직교를 이룰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편(60)은 제 1고정바(41)와 제 2고정바(42)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고정바(41)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제 3, 4거치봉(23, 24)을 연결고정하는 형태의 경우, 제 1고정바(41)에 형성된 지지편(60)은 제 1고정바(41)의 제 1갈고리부(45) 좌측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 4거치봉(24)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것이고,
삭제
상기 제 2고정바(42)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제 3, 4거치봉(23, 24)을 연결고정하는 형태의 경우, 제 2고정바(42)에 형성된 지지편(60)은 제 2고정바(42)의 제 2갈고리부(46) 우측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경우, 농산물 취구로 사용시에는, 농산물을 담기위한 망부재(50)가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 사이의 빈공간(A)에 삽입되도록 한 후, 이러한 망부재(50)의 개방된 입구가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에 벌려 씌운다움, 망부재(50)의 사전에 입구에 형성되어 있던 조임용 줄을 조여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망부재(50)는 일정길이로 지면에 수직 설치되어 있는 본 고안의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에서,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에 입구가 고정되어 세워지는 형태가 되어, 다양한 농산물(ex: 양파, 마늘 등)을 망부재(50) 내에 투입하거나, 투입되어 있던 망부재(50)를 세워, 상부에서부터 하나씩 꺼내는 것이 가능토록 하고,
이러한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를 비사용시에는, 제 1, 2고정바(41, 42)의 제 1, 2갈고리부(45, 46)를 각각 제 3돌출부(37)에서 탈거시킨 후, 제 2, 4거치봉(22, 24) 각각을 제 1, 3거치봉(21, 23)에 접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눌어 포갬으로서, 판자형태로 만들어, 공간의 제약없이 보관 및 이동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제 1거치대 12: 제 2거치대
13: 제 3거치대 14: 제 4거치대
15: 결합공 16: 수직판
17: 수평판 21: 제 1거치봉
22: 제 2거치봉 23: 제 3거치봉
24: 제 4거치봉 25: 납작부
26: 끼움공 31: 제 1수평봉
32: 제 2수평봉 33: 제 3수평봉
34: 제 4수평봉 35: 제 1돌출부
36: 제 2돌출부 37: 제 3돌출부
38: 제 4돌출부 41: 제 1고정바
42: 제 2고정바 43: 제 1연결공
44: 제 2연결공 45: 제 1갈고리부
46: 제 2갈고리부 50: 망부재
60: 지지편
A: 빈공간 B: 고정수단

Claims (4)

  1. 수직판(16) 및 상기 수직판(16)의 상부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수평판(17)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상호간 수직판(16) 양단이 연결되며 중앙에 사각형의 빈공간(A)을 형성하는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
    상기 제 1거치대(11)의 수직판(16) 양단에서,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제 1, 2거치봉(21, 22);
    상기 제 1거치대(11)와 대향되는 제 3거치대(13)의 수직판(16) 양단에서,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제 3, 4거치봉(23, 24);
    상기 제 1, 3거치봉(21, 23)의 중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 1, 3거치봉(21, 23)을 연결하되, 양단이 제 1, 3거치봉(21, 2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2돌출부(35, 36)를 형성하는 제 1, 2수평봉(31, 32);
    상기 제 2, 4거치봉(22, 24)의 중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설치되어 제 2, 4거치봉(22, 24)을 연결하되, 양단이 제 2, 4거치봉(22, 2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4돌출부(37, 38)를 형성하는 제 3, 4수평봉(33, 34);
    일단은 제 1수평봉(31)의 제 1돌출부(3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3수평봉(33)의 제 3돌출부(37)에 착탈가능한 제 1갈고리부(45)가 형성되는 제 1고정바(41);
    일단은 제 2수평봉(32)의 제 1돌출부(3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4수평봉(34)의 제 3돌출부(37)에 착탈가능한 제 2갈고리부(46)가 형성되는 제 2고정바(42); 로 구성되어,
    농산물 취구로 사용시에는, 농산물을 담기위한 망부재(50)가 빈공간(A)에 삽입된 후, 망부재(50)의 입구가 제 1, 2, 3, 4거치대(11, 12, 13, 14)에 씌워져 고정됨으로써, 망주재(50)에 농산물의 투입/배출이 용이토록 하고,
    비사용시에는 제 1, 2고정바(41, 42)의 제 1, 2갈고리부(45, 46)를 각각 제 3돌출부(37)에서 탈거시킨 후, 제 2, 4거치봉(22, 24) 각각을 제 1, 3거치봉(21, 23)에 접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눌어 포개어 보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고정바(41, 42) 각각은
    지면에 수직도록 세로로 세워진 형태이며, 갈고리부가 형성된 단부의 양측면 중 일면에, 상기 제 1, 2고정바(41, 42)와 직교를 이루는 지지편(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고정바(41)의 제 1갈고리부(45)가 제 3수평봉(33)에 결합시, 상기 제 1고정바(41)에 형성된 지지편(60)이 제 4거치봉(24)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면서, 제 1갈고리부(45)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 1고정바(41)가 제 4거치봉(24)에 직교를 이룰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4돌출부(35, 36, 37, 38)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4. 삭제
KR2020190001904U 2019-05-09 2019-05-09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KR200494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04U KR200494711Y1 (ko) 2019-05-09 2019-05-09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04U KR200494711Y1 (ko) 2019-05-09 2019-05-09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09U KR20200002509U (ko) 2020-11-18
KR200494711Y1 true KR200494711Y1 (ko) 2021-12-03

Family

ID=7357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904U KR200494711Y1 (ko) 2019-05-09 2019-05-09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71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6621A (en) 1992-08-13 1993-07-13 James Skoff Convertible collection device and work table combination
US20040195467A1 (en) 2003-04-07 2004-10-07 Christopher Passage Collapsible handheld holder for bags
JP2004284816A (ja) 2003-03-24 2004-10-14 Yoshiaki Nakazawa ゴミ袋ハンガー
CN201280243Y (zh) 2008-07-26 2009-07-29 徐林波 一种可折叠的塑胶袋支撑架
US20150144750A1 (en) 2011-07-06 2015-05-28 Allen Moses Support structure for and method of using plastic bags
US9902518B1 (en) 2017-05-19 2018-02-27 Earnest Richardson Collapsible refuse bag support sta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403Y1 (ko) 2000-04-24 2000-09-01 박정기 농산물 포장용 그물망 포대
KR20190046360A (ko) * 2017-10-26 2019-05-07 서영대 포대용 포집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6621A (en) 1992-08-13 1993-07-13 James Skoff Convertible collection device and work table combination
JP2004284816A (ja) 2003-03-24 2004-10-14 Yoshiaki Nakazawa ゴミ袋ハンガー
US20040195467A1 (en) 2003-04-07 2004-10-07 Christopher Passage Collapsible handheld holder for bags
CN201280243Y (zh) 2008-07-26 2009-07-29 徐林波 一种可折叠的塑胶袋支撑架
US20150144750A1 (en) 2011-07-06 2015-05-28 Allen Moses Support structure for and method of using plastic bags
US9902518B1 (en) 2017-05-19 2018-02-27 Earnest Richardson Collapsible refuse bag support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09U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2518B1 (en) Collapsible refuse bag support stand
US6006696A (en) Clam shell style large hay bale feeding apparatus
CN101804890A (zh) 一种低损水果存放器具
CN204737124U (zh) 一种多面折叠式托盘
KR200494711Y1 (ko) 접철식 농산물 망 거치장치
US4032023A (en) Apparatus for loading tobacco in barns
CA2165145C (en) Fish or crustacean trap
GB2264924A (en) Collapsible support rack
US3249232A (en) Folding rack
CN106144778A (zh) 一种便携式接地线收纳架
US5657887A (en) Storage/shipping rack for fence section
US3227284A (en) Collapsible rack for refuse containers
KR101201634B1 (ko) 농산물 수확용 망 걸이대
CN208594807U (zh) 一种防护装置
US9221571B1 (en) Weighted bag support
CN207260751U (zh) 一种变电站折叠式围栏架
CN207550247U (zh) 一种苗木运输小推车
KR200474487Y1 (ko) 뗏장 수집포대의 지지장치
CN103519707B (zh) 一种便携式组装烧烤架
CN220965972U (zh) 一种可折叠的动物笼架
KR200380414Y1 (ko) 복합기능을 가지는 과일 운반 트레일러
CN109348773B (zh) 一种方便搬运的晒种装置
KR20060124540A (ko) 어로용 통발
CN215246818U (zh) 一种转运器具
CN217260154U (zh) 一种布料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