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40Y1 -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Google Patents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4640Y1 KR200494640Y1 KR2020210001298U KR20210001298U KR200494640Y1 KR 200494640 Y1 KR200494640 Y1 KR 200494640Y1 KR 2020210001298 U KR2020210001298 U KR 2020210001298U KR 20210001298 U KR20210001298 U KR 20210001298U KR 200494640 Y1 KR200494640 Y1 KR 2004946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e
- billiard
- brackets
- guide groov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당구공을 타격하기 위한 스트로크와 타격 과정에서 게임자의 완력조절 미흡으로 상기 큐대에서 손이 미끄럼됨을 방지시켜 미끄럼에 의해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부에는 당구대의 바닥에 지지 가능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부 및 전후로 개방되는 확장 안내홈을 갖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양측에는 플레이어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지지구 몸체, 및 상기 확장 안내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큐대의 진출을 안내 및 탄성에 의해 큐대의 둘레를 잡아주는 전후 길이를 갖는 스프링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스프링관은 금속 와이어가 전후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면서 단면상 원형을 이루게 구성하며, 확장 안내홈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하여 확장 안내홈의 내부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되는 당구용 큐대 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큐대의 타측에 구성되어, 스트로크 또는 타격시 미끄럼이 발생됨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부에는 당구대의 바닥에 지지 가능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부 및 전후로 개방되는 확장 안내홈을 갖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양측에는 플레이어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지지구 몸체, 및 상기 확장 안내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큐대의 진출을 안내 및 탄성에 의해 큐대의 둘레를 잡아주는 전후 길이를 갖는 스프링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스프링관은 금속 와이어가 전후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면서 단면상 원형을 이루게 구성하며, 확장 안내홈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하여 확장 안내홈의 내부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되는 당구용 큐대 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큐대의 타측에 구성되어, 스트로크 또는 타격시 미끄럼이 발생됨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구공을 타격하기 위한 스트로크와 타격 과정에서 게임자의 완력조절 미흡으로 상기 큐대에서 손이 미끄럼됨을 방지시켜 미끄럼에 의해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당구는 당구대 위에서 적색, 백색 등의 공을 당구 큐대(Cue)로 쳐서 각자의 점수를 겨루는 레저 스포츠의 일종이다. 당구의 경기종목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를 크게 나누면 캐럼 게임과 포켓 게임으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케럼 게임으로는 4구, 보크라인, 스리쿠션 등이 있다.
또한, 당구게임에 이용되는 큐대는 상대 및 하대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긴 막대봉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목재(또는 철재)를 재료로 하여 구성된 것으로, 당구 게임을 할 때에는 당구대 위에 놓여진 셋 이상의 당구공 중에 큐대로 타격하는 수구와, 상기 수구가 이동하면서 부딪치는 제1목적구 및 제2목적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당구의 기본요소는 크게 큐대로 수구의 당점을 정확하게 때리는 것과, 수구와 제1목적구가 어느 정도의 두께로 부딪치는 것과, 부딪친 수구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이는 타격시 정확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당구의 기본요소 중에 수구를 때리기 위해서는 한 손에 큐대의 후방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은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고리 형태로 만든 후, 큐대의 전방을 걸어 지지한 상태에서 준비(스트로크; stroke)동작과 타격(샷; shot)동작을 수행하되, 그 준비와 타격시 큐대의 전후 이동이 동일한 직선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초보자나 중하수의 경우에는 큐대의 스트로크와 타격시 큐대의 전방 지지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큐대가 좌우로 흔들려서 정확한 위치로의 타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초보자의 경우 당구를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큐 지지 과정에서 손가락과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해 손가락에 분가루를 바르게 되는데, 이러한 분가루는 플레이어의 손은 물론, 당구장 환경의 오염과 당구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가루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장갑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갑의 사용은 그 관리가 불편하였으며, 초보자로 하여금 손가락의 촉감이 떨어져 지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자에 들어 그 큐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보조구를 사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당구큐용 보조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조구는 큐대 지지 과정에서 분가루 등의 사용 없이 타격이 가능한 장점은 있었으나, 단순히 관체 형태로 구성된 특성상 기존과 마찬가지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걸어 지지하여야 하는 등 초보자들로 하여금 두꺼워진 직경으로 인해 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 제20-490652호의 당구용 큐대 지지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당구대의 바닥에 지지 가능한 지지부(110)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110)의 상부에는 상부 및 전후로 개방되는 확장 안내홈(121)을 갖는 가이드부(120)가 형성되며, 가이드부(120)의 양측에는 플레이어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130)(130')가 돌출 형성된 지지구 몸체(100) 및 상기 확장 안내홈(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큐대의 진출을 안내 및 탄성에 의해 큐대의 둘레를 잡아주는 전후 길이를 갖는 스프링관(2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스프링관(200)은, 금속 와이어가 전후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면서 단면상 원형을 이루게 구성하며, 확장 안내홈(12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하여 확장 안내홈(121)의 내부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탄성을 가지며, 와이어의 단부가 지지구 몸체(100)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스프링관의 양측에 플레이어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구성된 것인바, 큐대 지지 과정에서 손과의 마찰이 필요 없이 간접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초보자들로 하여금도 소정의 힘만으로 지지가 가능하여 당구 실력의 향상 및 재미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정의 길이와 탄성을 통해 큐대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큐대의 둘레를 견고하게 잡아주어 스트로크와 타격 과정에서 직진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른 정확한 당점의 타격이 가능하며, 동시에 타격시 힘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상하좌우 다양한 당점 위치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당구용 큐대 지지구에 의해 큐대를 스트로크와 타격시 큐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초보자 등은 규대를 잡는완력조절이 미숙하여 정확한 타격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완력조절 미숙에 의해 미끄러진 손이 당구대의 모서리에 부딪쳐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당구공을 타격하기 위한 스트로크와 타격 과정에서 게임자의 완력조절 미흡으로 상기 큐대에서 손이 미끄럼됨을 방지시켜 미끄럼에 의해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에는 당구대의 바닥에 지지 가능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부 및 전후로 개방되는 확장 안내홈을 갖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양측에는 플레이어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지지구 몸체, 및 상기 확장 안내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큐대의 진출을 안내 및 탄성에 의해 큐대의 둘레를 잡아주는 전후 길이를 갖는 스프링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스프링관은 금속 와이어가 전후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면서 단면상 원형을 이루게 구성하며, 확장 안내홈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하여 확장 안내홈의 내부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되는 당구용 큐대 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큐대의 타측에 구성되어, 스트로크 또는 타격시 미끄럼이 발생됨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구는, 반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호 계합에 의해 큐대의 일측을 압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브라켓과; 계합되는 제1 및 제2브라켓을 체결력에 의해 확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브라켓에는, 상기 체결너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2브라켓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브라켓의 삽입홈에는, 큐대에 확고한 고정 및 스크래치가 발생됨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브라켓의 일단에는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의 타단이 회동에 의해 계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당구공을 타격하기 위한 스트로크와 타격 과정에서 게임자의 완력조절 미흡으로 상기 큐대에서 손이 미끄럼됨을 방지시켜 미끄럼에 의해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큐대의 일측에 구성된 미끄럼 방지구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으로 초보자라 하더라도 균형적인 스트로크를 유지할 수 있어 강한 타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당구용 큐대 지지구의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큐대 지지구와 미끄럼 방지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의 결합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일례를 보인 미끄럼 방지구의 고정 전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의 고정 후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례를 보인 미끄럼 방지구의 고정 전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의 고정 후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큐대 지지구와 미끄럼 방지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의 결합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일례를 보인 미끄럼 방지구의 고정 전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의 고정 후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례를 보인 미끄럼 방지구의 고정 전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의 고정 후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당구용 큐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와, 미끄럼 방지구(30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는 큐대(10)의 선단에 구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구(300)는 큐대(10)의 후단 즉, 타격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립되어지는 부분에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는 지지구 몸체와, 스프링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 몸체에는 하부에 당구대의 바닥에 지지 가능한 지지부(110)가 구성된 것으로, 지지부(110)는 소정 높이를 갖는 수직 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구 몸체에는 큐대(10)의 진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부(120)는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에 연장되게 구성된다.
또한, 지지구 몸체에는 큐대(10)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지지구 몸체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플레이어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130)(130')가 구성된다.
이때, 손잡이(130)(130')는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플레이어의 손잡이 유형 즉, 왼손잡이나 오른손 잡이의 선택 파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관(200)은 큐대(10)의 진출을 안내 및 그 진출되는 큐대(10)의 안정된 지지로 원활한 스트로크와 타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확장 안내홈의 내측에서 전후 길이를 이루면서 중앙이 관통되는 관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스프링관(200)은 금속 와이어로 구성된 것으로, 그 금속 와이어가 전후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전후 길이를 이루는 원형 관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스프링관(200)은 각각의 와이어 열이 전후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큐대(10)의 전후 스트로크 과정에서 옆으로 치우쳐짐 없이 그 직진성이 확보되게 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구(3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브라켓(310)(320)과 체결볼트 및 너트(330)(3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계합에 의해 완전한 원형이 형성됨에 큐대(10)의 그립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중앙에는 반원형의 삽입홈(312)(3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에는 상기 삽입홈(312)(32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큐대(10)에 고정될 때 상기 큐대(10)의 표면에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미끄럼이 발생됨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마찰패드(314)(324)가 구성된다.
상기 마찰패드(314)(324)는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삽입홈(312)(322)에 구성되되,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구(300)를 큐대(10)에 고정시킬 때 고정력에 의해 상기 큐대(10)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314)(324)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큐대(10)에 미끄럼 방지구(300)가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마찰패드(314)(324)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이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314)(324)는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삽입홈(312)(324)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마찰패드(314)(324)는 제1 및 제2브라켓(310)(320)를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성형할 때 일체형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310)의 양단 각각에는 체결너트(340)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3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316)은 상기 제1브라켓(310)의 양단 각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체결너트(340)가 안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안착홈(316)은 상기 체결너트(3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340)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체결볼트(330)와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브라켓(320)에는 체결볼트(330)의 나사부가 삽입되어, 체결너트(340)와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32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26)은 제2브라켓(320)의 양단 각각에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체결볼트(330)의 나사부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320)에는 상기 체결공(326)에 삽입된 체결볼트(330)의 머리부가 상기 제2브라켓(320)의 외주연으로 돌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볼트(330)의 머리부가 안착된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310)의 제1안착홈(316)에 체결너트(340)가 고정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제2브라켓(320)의 체결공(326)을 통해 체결볼트(330)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것이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310)의 일단에 체결너트(340)가 구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브라켓(320)에서 체결볼트(330)가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제1브라켓(310)의 타단에 체결너트(340) 대신에 체결볼트(330)가 삽입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브라켓(320)에 체결너트(340)가 구성되는 방식이다.
미설명부호 20은 당구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구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90652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어,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본 고안의 미끄럼 방지구(300)는 상기 큐대(10)를 기준으로 삽입홈(312)(322)으로 상기 큐대(10)의 일측이 상호로 계합되도록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을 체결볼트(330)와 체결너트(340)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브라켓(320)의 체결공(326)으로 체결볼트(330)의 나사부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310)의 제1안착홈(316)에 체결너트(340)가 안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체결볼트(330)를 조임시키면 상기 체결볼트(330)와 체결너트(340)의 상호 체결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이 큐대(10)의 일측에 확호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게임자가 큐대(10)를 스트로크 및 타격시 완력조절 미흡으로 미끄럼이 발생되어도 상기 큐대(10)에 고정된 미끄럼 방지구(300)에 의해 손의 미끄럼을 방지시킴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미끄럼 방지구(300)의 다른 일례를 살펴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일단에는 힌지축(350)이 구성된다.
상기 힌지축(350)은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타단이 회동에 의해 계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구(300)는 큐대(10)의 일측에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을 위치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일단에 힌지축(35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타단이 개방되도록 회동시킨다.
그리고, 개방된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타단으로 큐대(10)를 삽입시킨 후, 개방된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을 닫힘시킨다.
이어서, 닫힘된 제1 및 제2브라켓(310)(320)의 타단에 체결볼트(330)와 체결너트(340)를 이용하여 체결시킴으로써, 큐대(10)에 미끄럼 방지구(30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0: 미끄럼 방지구 310: 제1브라켓
312: 삽입홈 314: 마찰패드
316: 제1안착홈 320: 제2브라켓
322: 삽입홈 324: 마찰패드
326: 체결공 328: 제2안착홈
330: 체결볼트 340: 체결너트
350: 힌지축
312: 삽입홈 314: 마찰패드
316: 제1안착홈 320: 제2브라켓
322: 삽입홈 324: 마찰패드
326: 체결공 328: 제2안착홈
330: 체결볼트 340: 체결너트
350: 힌지축
Claims (6)
- 삭제
- 하부에는 당구대의 바닥에 지지 가능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부 및 전후로 개방되는 확장 안내홈을 갖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양측에는 플레이어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지지구 몸체, 및 상기 확장 안내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큐대의 진출을 안내 및 탄성에 의해 큐대의 둘레를 잡아주는 전후 길이를 갖는 스프링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스프링관은 금속 와이어가 전후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면서 단면상 원형을 이루게 구성하며, 확장 안내홈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하여 확장 안내홈의 내부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되는 당구용 큐대 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큐대의 타측에 구성되어, 스트로크 또는 타격시 미끄럼이 발생됨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구는,
반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호 계합에 의해 큐대의 일측을 압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브라켓과;
계합되는 제1 및 제2브라켓을 체결력에 의해 확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체결너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
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공;
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의 삽입홈에는,
큐대에 확고한 고정 및 스크래치가 발생됨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마찰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의 일단에는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의 타단이 회동에 의해 계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298U KR200494640Y1 (ko) | 2021-04-25 | 2021-04-25 |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298U KR200494640Y1 (ko) | 2021-04-25 | 2021-04-25 |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4640Y1 true KR200494640Y1 (ko) | 2021-11-22 |
Family
ID=7871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1298U KR200494640Y1 (ko) | 2021-04-25 | 2021-04-25 |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4640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4531A (ko) * | 2010-06-09 | 2011-12-15 | 주진현 | 미끄럼 방지 당구 큐 |
KR101267908B1 (ko) | 2012-04-11 | 2013-05-27 | 신재청 | 자세 교정용 당구 큐 |
KR101815083B1 (ko) | 2017-08-31 | 2018-01-04 | 이치연 | 당구큐용 보조기 |
KR200490652Y1 (ko) * | 2019-07-16 | 2019-12-12 | 조헌 | 당구용 큐대 지지구 |
-
2021
- 2021-04-25 KR KR2020210001298U patent/KR20049464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4531A (ko) * | 2010-06-09 | 2011-12-15 | 주진현 | 미끄럼 방지 당구 큐 |
KR101267908B1 (ko) | 2012-04-11 | 2013-05-27 | 신재청 | 자세 교정용 당구 큐 |
KR101815083B1 (ko) | 2017-08-31 | 2018-01-04 | 이치연 | 당구큐용 보조기 |
KR200490652Y1 (ko) * | 2019-07-16 | 2019-12-12 | 조헌 | 당구용 큐대 지지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49036B2 (en) |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 |
US5127650A (en) | Golf putter and method for putting | |
US4438925A (en) | Handle for racquetball racquet | |
US4848746A (en) | Tennis racket grip | |
US20080113832A1 (en) |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 |
US1676270A (en) | Golf club | |
JP6313462B2 (ja) | 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機器 | |
US8894503B2 (en) | Golf swing training aid | |
US20060079341A1 (en) | A safe swinging method and device for accurate playing and training of swinging sports such as golf, baseball, hockey, cricket, tennis, racquetball, and squash. | |
CN112912149A (zh) | 带有可调节把手的手持式球杆引导件 | |
TW201711729A (zh) | 高爾夫球桿的握把 | |
US20200074881A1 (en) | Centerline face-forward method of putting | |
US7658684B2 (en) | Golf club grip | |
KR200494640Y1 (ko) | 당구 큐대용 미끄럼 방지구 | |
KR200490652Y1 (ko) | 당구용 큐대 지지구 | |
US9802111B2 (en) | Stroker's a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CN101272831B (zh) | 高尔夫球棒把手 | |
KR200437769Y1 (ko) | 스윙용 보조기구 및 골프클럽 | |
JP5053875B2 (ja) | ゴルフスイング練習用バット | |
JP3236221U (ja) | ゴルフ練習器具 | |
KR101944369B1 (ko) | 당구 스트로크 훈련장치 | |
KR200376174Y1 (ko) | 골프채용 그립 | |
JP2020096709A (ja) | 打撃練習用具 | |
JP4445157B2 (ja) | ゴルフクラブ | |
KR20110006506U (ko) | 골프 스윙 연습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