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07Y1 - 건축용 서포트 유닛 - Google Patents

건축용 서포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07Y1
KR200494607Y1 KR2020210000822U KR20210000822U KR200494607Y1 KR 200494607 Y1 KR200494607 Y1 KR 200494607Y1 KR 2020210000822 U KR2020210000822 U KR 2020210000822U KR 20210000822 U KR20210000822 U KR 20210000822U KR 200494607 Y1 KR200494607 Y1 KR 200494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unit
construction
suppor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준
Original Assignee
강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준 filed Critical 강석준
Priority to KR2020210000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건축용 서포트 유닛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상부 파이프와 하부 파이프 사이에 제1, 제2 조정 너트가 체결된 조정 파이프를 설치하고, 제1 조정 너트로 슬래브의 높이까지 서포트 유닛의 길이를 1차로 조정하고, 제2 조정 너트로 서포트 유닛이 길이를 미세하게 2차로 조정하도록 하여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고, 하부 및 상부 플랜지의 각 플랜지부의 모서리를 중앙부에 비하여 바닥면과 슬래브 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링 홈에 각각 지지링을 설치하여 거푸집의 높이 변화와 외부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서포트 유닛{SUPPORT UNIT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서포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브 시공을 위해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을 지지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다층 건축물은 벽체와 슬래브 시공이 기본 공사이다.
이러한 벽체 및 슬래브 시공은 벽체와 슬래브 형태에 맞추어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거푸집을 구축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거푸집을 해체하여 벽체 및 슬래브를 시공한다.
특히, 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 다수의 거푸집을 슬래브 위치로 설치하기 위해 바닥에 다수개의 서포트 유닛을 슬래브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하부 파이프(10)와 상부 파이프(20), 및 조정 너트(130)를 포함한다.
하부 파이프(10)는 상부에 양측으로 장공(111)이 형성된 나사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에 받침판(120)이 고정 설치된다.
상부 파이프(20)는 상부에 받침판(210)이 고정 설치되고, 외주면 상에는 고정핀(22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핀 홀(23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조정 너트(130)는 하부 파이프(10)의 나사부(110)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고정핀(22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즉,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상부 파이프(20)를 하부 파이프(10)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장공(111)을 통해 적정 높이의 핀 홀(230)에 고정핀(220)을 끼운다.
이러한 상태로, 해당 슬래브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위치시켜 조정 너트(130)를 회전시킴으로서, 거푸집의 높이에 맞게 하부 파이프(10)와 상부 파이프(20)가 고정된 상태로 거푸집을 지지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90409(공개일자: 2014.07.17.)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게 되는데, 이후, 거푸집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 부피가 수축되면서 거푸집의 높이가 더 높아지면서 일정 길이로 셋팅된 서포트 유닛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거푸집을 지지하지 못하고 쉽게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상부 파이프 상의 고정핀이 일정 간격의 핀 홀에 끼워져 조정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데, 고정핀이 설치되는 핀 홀의 간격이 커서 조정 너트를 통한 높이 조절이 어렵고, 조정 높이가 클 경우, 고정핀을 다시 분리하여 다른 핀 홀에 끼워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이송을 위하여 차량에 적재 시, 서포트 유닛 상호 간에 지지구조가 없어 쉽게 무너져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차량을 통한 이송 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하부 파이프에 비하여 상부 파이프의 직경이 더 작으면서도 길이는 더 길어 하중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허용 하중 이상에서는 상부 파이프의 중앙부가 쉽게 좌굴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하부 및 상부 플랜지의 각 플랜지부의 모서리를 중앙부에 비하여 바닥면과 슬래브 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링 홈에 각각 지지링을 설치하여 거푸집의 높이 변화와 외부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부 파이프와 하부 파이프 사이에 제1, 제2 조정 너트가 체결된 조정 파이프를 설치하고, 제1 조정 너트로 슬래브의 높이까지 서포트 유닛의 길이를 1차로 조정하고, 제2 조정 너트로 슬래브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서포트 유닛이 길이를 미세하게 2차로 조정하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하부 및 상부 플랜지의 각 끼움부 둘레에 복수의 리브를 형성하고, 각 플랜지부 가장자리의 라운드 면에 복수의 리브 홈을 형성하여 서포트 유닛의 적재 시, 리브 홈에 리브가 끼워지도록 적재함으로써, 서포트 유닛 상호 간에 지지가 가능하게 하여 안정적으로 적재하고, 적재공간도 최소화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부 파이프의 중앙부에 보강 파이프를 끼워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에 있어서,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하부 플랜지가 체결되고, 상단부에 하부 스토퍼가 체결되는 하부 파이프;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부 플랜지가 체결되는 상부 파이프;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외향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복열로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된 상기 상부 파이프의 하단을 지지하는 엔드 스토퍼가 하단부 내주면에 체결되는 조정 파이프; 원통형으로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내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가 내주면을 따라 복열로 형성되고, 상기 조정 파이프의 외측으로 끼워져 상기 지지돌기에 상기 걸림돌기가 회전방향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는 제1 조정 너트; 및 원통형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조정 너트의 하부에 나사 체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 스토퍼에 하단이 지지되는 제2 조정 너트를 포함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는 원형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파이프의 하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끼움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의 하단에 일체로 접합되며, 중앙부에 비하여 각 모서리가 바닥면 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링 홈이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링 홈에 끼워져 상기 바닥면을 탄성 지지하는 하부 지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는 원형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파이프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끼움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의 상단에 일체로 접합되며, 중앙부에 비하여 각 모서리가 슬래브 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링 홈이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링 홈에 끼워져 상기 슬래브를 탄성 지지하는 상부 지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랜지 및 상부 플랜지는 각 끼움부 둘레에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리브에 대응하여 각 플랜지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라운드 면에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복수의 리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스토퍼는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로 체결하여 고정되고,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파이프는 내부에 상부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내경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지지돌기가 외향 돌출되어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3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 파이프는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정 너트는 외주면 하부에 일정구간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주면 상의 각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외주면 상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조정단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정 너트는 내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조정단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파이프의 중앙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보강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파이프는 외주면 상의 일정구간에 야광소재의 야광띠가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에 의하면, 하부 및 상부 플랜지의 각 플랜지부의 모서리를 중앙부에 비하여 바닥면과 슬래브 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링 홈에 각각 지지링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 슬래브 측 거푸집의 높이 변화가 발생하거나 서포트 유닛에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져도 이를 흡수할 수 있어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파이프와 하부 파이프 사이에 제1, 제2 조정 너트가 체결된 조정 파이프를 구서성하여 제1 조정 너트로 슬래브의 높이까지 서포트 유닛의 길이를 1차로 조정하고, 제2 조정 너트로 슬래브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서포트 유닛이 길이를 미세하게 2차로 조정함으로써, 서포트 유닛의 높낮이 조정이 쉽고, 이로 인해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및 상부 플랜지의 각 끼움부 둘레에 복수의 리브를 형성하고, 각 플랜지부 가장자리의 라운드 면에 복수의 리브 홈을 형성하여 이송 등을 위해 서포트 유닛의 적재 시, 리브 홈에 리브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서포트 유닛 상호 간에 지지가 가능하여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공간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파이프의 중앙부에 보강 파이프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부 파이프의 중앙부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허용 하중 이상에서도 상부 파이프가 좌굴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파이프의 둘레에 야광띠를 부착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지하에서 서포트 유닛의 설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돌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고안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적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적재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하부 파이프(11), 상부 파이프(21), 조정 파이프(31), 제1, 제2 조정 너트(35)(37)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 파이프(11)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 플랜지(13)가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단부에 하부 스토퍼(15)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부 파이프(21)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부 플랜지(23)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조정 파이프(31)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외향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31a)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열로 형성된다. 또한, 내부에는 하단부 내주면에 엔드 스토퍼(33)가 체결되는데, 엔드 스토퍼(33)는 조정 파이프(31)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상부 파이프(21)의 하단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조정 너트(3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N)이 형성된다. 또한,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내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35a)가 내주면 둘레를 따라 복열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조정 너트(3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N)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조정 너트(35)의 하부에 나사 체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 스토퍼(15)에 하단이 지지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파이프(1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플랜지(13)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끼움부(13b)와, 사각판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13a), 및 하부 지지링(17)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부 플랜지(13)는 상기 끼움부(13b)가 하부 파이프(11)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M)의 볼트 체결을 통하여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부(13a)는 상기 끼움부(13b)의 하단에 용접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비하여 각 모서리가 도면(도 5)에서 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13a)는 중앙부에 링 홈(17g)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지지링(17)은 고무소재의 링으로 상기 링 홈(17g)에 끼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파이프(2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플랜지(23)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끼움부(23b)와, 사각판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23a), 및 상부 지지링(25)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부 플랜지(23)는 상기 끼움부(23b)가 상부 파이프(21)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M)의 볼트 체결을 통하여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부(23a)는 상기 끼움부(23b)의 상단에 용접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비하여 각 모서리가 도면(도 6)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23a)는 중앙부에 링 홈(25g)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지지링(25)은 고무소재의 링으로 상기 링 홈(25g)에 끼워져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랜지(13) 및 상부 플랜지(23)는 각각 끼움부(13b)(23b) 둘레에 8개의 리브(R)가 형성되고, 상기 각 리브(R)에 대응하여 각 플랜지부(13a)(23a)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라운드 면(RF)에 상기 리브(R)가 끼워지는 리브 홈(RG)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플랜지부(13a)(23a)는 가장자리 4면에 형성된 각 라운드 면(RF)에 2개씩의 리브 홈(RG)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각 끼움부(13b)(23b) 상에 리브(R)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 유닛은 적재 시에 적재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서포트 유닛과 방향을 반대로 하여 적재되는데, 이에 따라, 하부 플랜지(13)의 플랜지부(13a) 상에 형성되는 라운드 면(RF)은 상부 플랜지(23)의 끼움부(23b)의 외경에 맞게 곡률이 형성되고, 반대로 상부 플랜지(23)의 플랜지부(23a) 상에 형성되는 라운드 면(RF)은 하부 플랜지(13)의 끼움부(13b)의 외경에 맞게 곡률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스토퍼(15)는 하부 파이프(11)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M)의 볼트 체결을 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하부 스토퍼(15)는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조정 파이프(31)의 각 지지돌기(31a)에 대응하여 홈부(15b)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조정 파이프(31)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부 파이프(21)가 삽입되도록 내경이 형성되고, 하부 파이프(11)의 내부에 조정 파이프(31)가 삽입되도록 외경이 형성된다.
또한, 조정 파이프(31)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지지돌기(31a)가 외향 돌출되어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3열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돌기(31a)가 3열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2열 또는 4열로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조정 너트(35)는 외주면 하부에 일정구간 나사산(N)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내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35a)가 내주면 둘레를 따라 3열로 형성된다. 또한, 내주면 상의 각 걸림돌기(35a)에 대응하여 외주면 상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3개의 조정단(35c)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걸림돌기(35a)가 3열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돌기(31a)의 열에 맞추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조정 너트(35)는 조정 파이프(31)의 외측으로 끼워져 지지돌기(31a)에 걸림돌기(35a)가 회전방향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조정 너트(37)는 내주면 전체에 나사산(N)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조정 너트(35)에 나사 체결된다. 또한,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3개의 조정단(37c)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파이프(21)의 중앙부에는 보강 파이프(41)가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M)의 볼트 체결을 통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보강 파이프(41)는 길이가 긴 상부 파이프(21)의 중앙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해주며, 외주면의 일정구간에 야광소재의 야광띠(FL)를 부착하여 야간 시인성을 높이도록 해준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적재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적재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서포트 유닛을 바닥면(F)과 슬래브(S) 사이에 배치한 상태로, 조정 파이프(31)와 함께 상부 파이프(21)를 들어 올려 상부 플랜지(23)가 슬래브(S) 하부의 거푸집(미도시)을 지지하도록 서포트 유닛의 길이를 1차로 조정한다.
이어서, 제1 조정 너트(35)를 약 6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조정 파이프(31)의 지지돌기(31a)에 제1 조정 너트(35)의 걸림돌기(35a)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로, 제2 조정 너트(37)를 제1 조정 너트(35)에 대하여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조정 너트(37)는 하부 스토퍼(15)에 지지된 상태로 풀린 길이(L)만큼 제1 조정 너트(35)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조정 파이프(31)와 상부 파이프(21)는 제1 조정 너트(35)와 함께 상승하여 서포트 유닛의 길이를 2차로 미세 조정한다.
이때, 상기 하부 플랜지(13)와 상부 플랜지(23)는 각 플랜지부(13a)(23a)의 모서리가 각각 바닥면(F)과 슬래브(S)에 지지된 상태로, 반대 측으로 휘어지면서 가압과 동시에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13)와 상부 플랜지(23)의 각 플랜지부(13a)(23a) 중앙부에 설치된 하부 지지링(17) 및 상부 지지링(25)은 각각 바닥면(F)과 슬래브(S)에 대하여 압착되면서 탄성 변형되어 가압과 동시에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하부 플랜지(13) 및 상부 플랜지(23)의 각 플랜지부(13a)(23a)의 모서리를 중앙부에 비하여 바닥면(F)과 슬래브(S) 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부 플랜지(13) 및 상부 플랜지(23)의 중앙부에 형성된 각 링 홈(17g)(25g)에 각각 하부 지지링(17)과 상부 지지링(25)을 설치함으로써, 서포트 유닛이 바닥면(F)과 슬래브(S) 사이에서 가압력과 함께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과정에 발생하는 거푸집의 높이 변화 또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여도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서포트 유닛이 넘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상부 파이프(21)와 하부 파이프(11) 사이에 제1, 제2 조정 너트(35)(37)가 체결된 조정 파이프(31)를 설치하여 제1 조정 너트(35)로 슬래브(S)의 높이까지 서포트 유닛의 길이를 1차로 조정한 후, 제2 조정 너트(37)로 슬래브(S)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서포트 유닛이 길이를 미세하게 2차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면(F)과 슬래브(S) 사이에 서포트 유닛의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하부 플랜지(13)와 상부 플랜지(23)의 각 끼움부(13b)(23b) 둘레에 복수의 리브(R)를 형성하고, 각 플랜지부(13a)(23a) 가장자리의 라운드 면(RF)에 복수의 리브 홈(RG)을 형성하여 이송을 위해 차량 등에 서포트 유닛의 적재 시, 리브 홈(RG)에 리브(R)가 끼워지도록 적재함으로써, 서포트 유닛 상호 간에 지지가 가능하여 적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동시에 적재공간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상부 파이프(21)의 중앙부에 보강 파이프(41)를 끼워 상부 파이프(21)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허용 하중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상부 파이프(21)의 좌굴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파이프(41)에 야광띠(FL)가 부착되어 야간이나 지하 등에서 서포트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하부 파이프
13: 하부 플랜지
15: 하부 스토퍼
17: 하부 지지링
21: 상부 파이프
23: 상부 플랜지
25: 상부 지지링
31: 조정 파이프
31a: 지지돌기
33: 엔드 스토퍼
35, 37: 제1, 제2 조정 너트
35a: 걸림돌기
41: 보강 파이프
R: 리브
RG: 리브 홈
RF: 라운드 면
FL: 야광띠
S: 슬래브
F: 바닥면

Claims (11)

  1. 건축용 서포트 유닛에 있어서,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하부 플랜지가 체결되고, 상단부에 하부 스토퍼가 체결되는 하부 파이프;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부 플랜지가 체결되는 상부 파이프;
    내부에 상기 상부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내경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외향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가 외주면 둘레를 따라 3열로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된 상기 상부 파이프의 하단을 지지하는 엔드 스토퍼가 하단부 내주면에 체결되는 조정 파이프;
    원통형으로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내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가 내주면을 따라 복열로 형성되고, 상기 조정 파이프의 외측으로 끼워져 상기 지지돌기에 상기 걸림돌기가 회전방향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는 제1 조정 너트;
    원통형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조정 너트의 하부에 나사 체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 스토퍼에 하단이 지지되는 제2 조정 너트;
    를 포함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는
    원형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파이프의 하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끼움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의 하단에 일체로 접합되며, 중앙부에 비하여 각 모서리가 바닥면 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링 홈이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링 홈에 끼워져 상기 바닥면을 탄성 지지하는 하부 지지링;
    을 포함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는
    원형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파이프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끼움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의 상단에 일체로 접합되며, 중앙부에 비하여 각 모서리가 슬래브 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링 홈이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링 홈에 끼워져 상기 슬래브를 탄성 지지하는 상부 지지링;
    을 포함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 및 상부 플랜지는
    각 끼움부 둘레에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리브에 대응하여 각 플랜지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라운드 면에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복수의 리브 홈이 형성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토퍼는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로 체결하여 고정되고, 상단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파이프는
    알루미늄 파이프로 형성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너트는
    외주면 하부에 일정구간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주면 상의 각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외주면 상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조정단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 너트는
    내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조정단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파이프의 중앙부에 끼워진 상태로 마운팅부로 체결하여 고정되는 보강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파이프는
    외주면 상의 일정구간에 야광소재의 야광띠가 부착되는 건축용 서포트 유닛.
KR2020210000822U 2021-03-17 2021-03-17 건축용 서포트 유닛 KR200494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22U KR200494607Y1 (ko) 2021-03-17 2021-03-17 건축용 서포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22U KR200494607Y1 (ko) 2021-03-17 2021-03-17 건축용 서포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607Y1 true KR200494607Y1 (ko) 2021-11-11

Family

ID=7852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822U KR200494607Y1 (ko) 2021-03-17 2021-03-17 건축용 서포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0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409A (ko) 2013-01-09 2014-07-17 빙인섭 건축용 서포트
KR101568290B1 (ko) * 2015-07-15 2015-11-11 김남수 안전 서포트
KR20170082218A (ko) * 2016-01-06 2017-07-14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409A (ko) 2013-01-09 2014-07-17 빙인섭 건축용 서포트
KR101568290B1 (ko) * 2015-07-15 2015-11-11 김남수 안전 서포트
KR20170082218A (ko) * 2016-01-06 2017-07-14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게 되는데, 이후, 거푸집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 부피가 수축되면서 거푸집의 높이가 더 높아지면서 일정 길이로 셋팅된 서포트 유닛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거푸집을 지지하지 못하고 쉽게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상부 파이프 상의 고정핀이 일정 간격의 핀 홀에 끼워져 조정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데, 고정핀이 설치되는 핀 홀의 간격이 커서 조정 너트를 통한 높이 조절이 어렵고, 조정 높이가 클 경우, 고정핀을 다시 분리하여 다른 핀 홀에 끼워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이송을 위하여 차량에 적재 시, 서포트 유닛 상호 간에 지지구조가 없어 쉽게 무너져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차량을 통한 이송 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서포트 유닛은 하부 파이프에 비하여 상부 파이프의 직경이 더 작으면서도 길이는 더 길어 하중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허용 하중 이상에서는 상부 파이프의 중앙부가 쉽게 좌굴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1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조립형 채널
US11454218B2 (en)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EP07841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buildings from earthquakes
KR102216138B1 (ko) 내진기능을 구비한 패드 일체형 물탱크
KR101020061B1 (ko)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KR200494607Y1 (ko) 건축용 서포트 유닛
KR101804495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및 그 조립식 보호방벽 설치방법
KR101127923B1 (ko) 합성 결합구조를 갖는 사장교 주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23541B1 (ko)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KR102169045B1 (ko) 건물벽체내 3중체결용 클라이밍 앵커
KR101140408B1 (ko) 보강수단을 구비한 빔
KR20050115214A (ko) 건축용 서포트
KR101843362B1 (ko) 조적벽 내진 보강용 고정장치
KR101500066B1 (ko) 콘크리트 케이지를 포함하는 연결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강관말뚝과 강재기둥의 연결부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시공방법
KR101044022B1 (ko) 지지 구조물
KR20200094353A (ko) 수직벽 지지 장치용 지지 조립체
US20230235524A1 (en) Strut connector
KR102427444B1 (ko) 서포트 일체형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1194410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KR101141150B1 (ko) 무앵커 가로등 기초
KR20170113497A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및 그 조립식 보호방벽 설치방법
KR100972230B1 (ko) 호안블럭
KR200378167Y1 (ko) 전신지주 보강구조
US6921501B2 (en) Method of forming a circumferentially closed concrete wall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over the entire height thereof
KR102126280B1 (ko) 수직벽용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