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08Y1 -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08Y1
KR200494508Y1 KR2020210002431U KR20210002431U KR200494508Y1 KR 200494508 Y1 KR200494508 Y1 KR 200494508Y1 KR 2020210002431 U KR2020210002431 U KR 2020210002431U KR 20210002431 U KR20210002431 U KR 20210002431U KR 200494508 Y1 KR200494508 Y1 KR 200494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awning
fixing member
driving uni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률
Original Assignee
이덕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률 filed Critical 이덕률
Priority to KR2020210002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일사량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어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막을 구동하는 구동부의 좌우 수평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조물의 수직 또는 수평 좌우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00)과,
일측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100)로 삽입되고, 타측부는 인출되어 차양막(230)을 구동하는 구동부(220)가 설치되는 한 쌍의 가드(200)와,
상기 구동부(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차양막(230)으로 이루어지되,
레일로 삽입된 가드(200)에는 가드(200)의 전후이동을 조절하여 구동부(220)의 수평을 일치 시킬 수 있는 수평조절 유닛(3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Awning system}
본 고안은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일사량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어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막을 구동하는 구동부의 좌우 수평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 커튼월(curtain wall)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외피를 통한 냉난방 부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무공간에서의 시각적 개방감 등을 고려하여 외피에서의 유리 사용 면적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여름철 창문을 통한 직달 일사의 실내 유입이 냉방 부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창문을 통해 일사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의 과도한 휘도 차이로 인한 현휘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실내에 차양장치(예를 들어, 롤스크린이나 블라인드, 버티컬 등)를 설치하여 일사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다.
첨부 도면 도 1은 널리 사용되는 어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의 어닝 시스템은 구조물(1)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0)과, 상기 레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드(20) 및 상기 가드의 내측으로 구동부(22)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2)로 일사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막(23)이 구비된다.
상기한 종래의 어닝 시공을 간편하게 설명하면, 어닝의 중량에 의해 조립된 자체를 설치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중량 문제로 구조물에 좌우 한 쌍의 레일(10)을 어느 정도 수평을 유지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레일로 가드(2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가드의 설치의 매우 중요하다. 즉, 레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드(구동부 센터)센터가 정확해야만 차양막의 구동이 수평지게 작동이 이루어진다.
예컨데, 구조물(10)에 설치된 레일(10)에는 이미 가드가 설치될 위치가 정해져 있으며, 좌우 레일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서로 상이한 위치로 설치된 레일에 가드를 설치하게 되면, 당연히 가드 역시 정확한 수평을 이룰 수 없으며, 가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역시 좌우 중심축이 불일치하다.
그러므로 추후 구동부의 작동시 차양막이 서로 뒤틀려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문제가 계속 발생시 어닝 시스템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치후 좌우 센터가 불명확하여 오작동이 발생되면 센터를 맞추기 위하여 설치된 어닝을 분해하여 센터교정을 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을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1784302호 특허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1266800호
본 고안은 종래의 어닝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사를 차단하는 어닝을 설치함에 있어, 초기 설치시나 설치후에도 차양막 구동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좌우 수평을 견고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구동부의 좌우 수평을 견고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양막의 온/오픈시 작동시 오작동(뒤틀림 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어닝의 원활한 작동을 통해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일사를 효율적으로 차단해 줌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조물의 수직 또는 수평 좌우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일측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로 삽입되고, 타측부는 인출되어 차양막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가드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차양막으로 이루어지되,
레일로 삽입된 가드에는 가드의 전후이동을 조절하여 구동부의 수평을 일치 시킬 수 있는 수평조절 유닛이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수평조절 유닛은, 레일로 고정 설치되는 레일고정부재와, 가드로 고정 설치되는 가드고정부재와, 상기 레일고정부재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드고정부재로 연결되는 스크류봉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스크류봉은, 레일고정부재를 관통하여 가이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몸체와, 상기 레일고정부재로 근접하게 구비되며,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봉을 회전시키 수 있는 머리부와, 레일고정부재를 타측으로 스크류봉의 후진을 방지하는 링부재 및 몸체의 끝단으로 스크류봉이 가드고정부재로 부터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구동에 의해 가드고정부재 및 가드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가드가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수평조절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어닝의 초기 설치시나 설치후에도 차양막 구동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좌우 수평을 견고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차양막의 온/오픈시 작동시 오작동(뒤틀림 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어닝의 원활한 작동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일사를 효율적으로 차단해 줌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닝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닝 시스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닝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닝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닝의 특징부는, 구조물의 수직 또는 수평 좌우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00)과,
일측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100)로 삽입되고, 타측부는 인출되어 차양막(230)을 구동하는 구동부(220)가 설치되는 한 쌍의 가드(200)와,
상기 구동부(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차양막(230)으로 이루어지되,
레일로 삽입된 가드(200)에는 가드(200)의 전후이동을 조절하여 구동부(220)의 수평을 일치 시킬 수 있는 수평조절 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조절 유닛(300)은, 레일(100)로 고정 설치되는 레일고정부재(310)와, 가드(200)로 고정 설치되는 가드고정부재(320)와, 상기 레일고정부재(310)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드고정부재(320)로 연결되는 스크류봉(3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봉(330)은, 레일고정부재를 관통하여 가이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몸체(331)와, 상기 레일고정부재로 근접하게 구비되며,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봉을 회전시키 수 있는 머리부(332)와, 레일고정부재(310)를 타측으로 스크류봉의 후진을 방지하는 링부재(333) 및 몸체의 끝단으로 스크류봉이 가드고정부재(320)로 부터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334)로 구비된다.
즉, 상기 스크류봉(330)의 회전구동에 의해 가드고정부재(320)및 가드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가드(200)가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인 어닝 시스템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표보기로 한다.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레일(100)은 건축물의 구조물로 설치되되, 일사를 차양할 방향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우 한 쌍을 수평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레일(100)은 중앙 격벽을 통해 일측부로 가드(200)가 삽입설치되는 가드설치공(101)이 형성되고 타측은 차양막(23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가 내장되는 차양막 레일(102)이 형성되되, 내측으로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드(200)는 일단은 수평조절 유닛(300)이 결합되어 상기 가드설치공(101)으로 유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타단은 브라켓(210)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으로는 차양막(230)을 회동시켜 구동하는 구동부(220)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10)과 구동부(220)와 수평조절 유닛(300)이 결합된 가드(200)는 건축물 구조물에 설치된 좌우 레일(100)로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조절 유닛(300)은 레일(100)로 고정설치되는 레일 고정부재(310)와, 가드(200)에 고정설치되는 가드 고정부재(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 고정부재(310)를 관통하여 가드 고정부재(320)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는 스크류봉(33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봉(330)은 외주연으로 스크류가 형성되는 몸체(331) 및 머리부(332)로 구비되되, 상기 머리부(332)는 레일 고정부재(310)의 일측면과 근접하게 조립되며, 상기 레일 고정부재(310)의 타측은 링부재(333)가 결합된다.
즉, 상기 머리부(332)와 링부재(333)가 레일 고정부재(310)의 좌우면을 밀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스크류봉(330)의 회전시 몸체(331)가 레일 고정부재(310)의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고, 가드 고정부재(320)만 전후 이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가드 고정부재(320)를 관통한 몸체의 끝단에는 스크류봉(330)의 회전작동시 스크류봉의 몸체에서 가드 고정부재(320)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33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어닝 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공구(전동 및 수동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봉(330)의 머리부(332)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봉(330)이 회전되고 스크류봉의 몸체(331)와 결합된 가드 고정부재(320)가 몸체를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즉, 상기 가드 고정부재의 전후 이동에 따라 가드 고정부재와 고정 설치된 가드(200) 또한, 전후 이동되므로 타측부재와 정확한 수평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드(200)에는 좌우 한 쌍의 설치되는 가드의 수평 조절을 하기 위한 수평조절 표시부가 형성된다.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좌우 수평 조절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레일은 수평하고 가드가 미 수평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에 설치되는 레일(100)은 구조물의 구조상에 따라 또는 미 숙련 작업자에 의해 정확한 좌우 수평으로 설치가 불가능하다.
도 5a와 같이, 좌우 레일이 수평지게 설치되었다 하더라고 구동부가 설치되는 가드(200)가 미 수평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봉(330)의 머리부(332)를 회전시키면 스크류봉의 몸체(331)와 연동 설치된 가드 고정부재(320)가 몸체(331)를 따라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와 결합된 가드(200) 또한, 동시에 전후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동을 통해 좌우의 구동부(220)가 설치된 브라켓(210)의 중심축을 일치시켜, 도 5b와 같이 구동부(220)의 정확한 센터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정확한 센터 조절이 이루어진 어닝 시스템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차양막이 작동시 튀틀려 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레일이 미 수평시>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에 설치되는 레일(100)이 좌우 미 수평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레일로 체결되는 가드(200) 또한 수평 설치가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봉(330)의 머리부(332)를 회전시키면 스크류봉의 몸체(331)와 연동 설치된 가드 고정부재(320)가 몸체(331)를 따라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와 결합된 가드(200) 또한, 동시에 전후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동을 통해 좌우의 구동부(220)가 설치된 브라켓(210)의 중심축을 일치시켜, 도 6b와 같이 구동부(220)의 정확한 센터 조절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7은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닝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구조물의 수직 또는 수평 좌우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00)과,
일측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100)로 삽입되고, 타측부는 인출되어 차양막(230)을 구동하는 구동부(220)가 설치되는 한 쌍의 가드(200)와,
상기 구동부(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차양막(230)으로 이루어지되,
레일로 삽입된 가드(200)에는 가드(200)의 전후이동을 조절하여 구동부(220)의 수평을 일치 시킬 수 있는 수평조절 유닛(3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조절 유닛(300)은 레일(100)로 고정설치되는 레일 고정부재(310)와, 가드(200)로 고정설치되는 가드 고정부재(320) 및 상기 레일 고정부재와 가드 고정부재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렉봉(330-1) 및 렉봉을 작동시키는 피니언(330-2)로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의 구동하는 조절핀(330-2a)으로 구비되되, 상기 조절핀은 레일(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어닝 시스템의 수평조절이 필요시,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핀(330-2a)을 회전시키면, 피니언(330-2)이 회동되고 상기 피니언과 치압된 렉이 전후로 이동되며, 후방의 가드 고정부재(320) 및 이와 결합된 가드(200)가 함께 전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구동부(220)의 좌우 센터를 견고하게 일치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어닝 시스템에 의하면, 설치시 내지 설치 후에도 간편한 조작을 통해 수평조절을 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레일 101: 가드 설치공
102: 차양막 레일 200: 가드
210: 브라켓 220: 구동부
300: 수평조절 유닛 310: 레일고정부재
320: 가드고정부재 330: 스크류봉
331: 몸체 332: 머리부
333: 링부재 334: 스토퍼

Claims (5)

  1. 구조물의 수직 또는 수평 좌우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00)과,
    일측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100)로 삽입되고, 타측부는 인출되어 차양막(230)을 구동하는 구동부(220)가 설치되는 한 쌍의 가드(200)와,
    상기 구동부(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차양막(230)으로 이루어지되,
    레일로 삽입된 가드(200)에는 가드(200)의 전후이동을 조절하여 구동부(220)의 수평을 일치 시킬 수 있는 수평조절 유닛(3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 유닛(300)은,
    레일(100)로 고정 설치되는 레일고정부재(310)와,
    가드(200)로 고정 설치되는 가드고정부재(320)와,
    상기 레일고정부재(310)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드고정부재(320)로 연결되는 스크류봉(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330)은,
    레일고정부재를 관통하여 가이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몸체(331)와,
    상기 레일고정부재로 근접하게 구비되며,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봉을 회전시키 수 있는 머리부(332)와, 레일고정부재(310)를 타측으로 스크류봉의 후진을 방지하는 링부재(333) 및 몸체의 끝단으로 스크류봉이 가드고정부재(320)로 부터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334)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330)의 회전구동에 의해 가드고정부재(320)및 가드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가드(200)가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수평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200)에는 좌우 한 쌍의 설치되는 가드의 수평 조절을 하기 위한 수평조절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KR2020210002431U 2021-08-03 2021-08-03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KR200494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431U KR200494508Y1 (ko) 2021-08-03 2021-08-03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431U KR200494508Y1 (ko) 2021-08-03 2021-08-03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508Y1 true KR200494508Y1 (ko) 2021-10-26

Family

ID=7826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431U KR200494508Y1 (ko) 2021-08-03 2021-08-03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0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035B1 (ko) * 1994-06-08 1999-01-15 전성원 시트 셔터
KR20060101136A (ko) * 2005-06-21 2006-09-22 한정화 이동식 방범창
KR101266800B1 (ko) 2012-12-31 2013-05-28 임서정 계절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광량으로 자동 작동하는 차양장치
KR101784302B1 (ko) 2014-07-23 2017-10-12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전동 차양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035B1 (ko) * 1994-06-08 1999-01-15 전성원 시트 셔터
KR20060101136A (ko) * 2005-06-21 2006-09-22 한정화 이동식 방범창
KR101266800B1 (ko) 2012-12-31 2013-05-28 임서정 계절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광량으로 자동 작동하는 차양장치
KR101784302B1 (ko) 2014-07-23 2017-10-12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전동 차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067B1 (ko)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EP2788573B1 (en) Auto-calibration of blinds systems in buildings
KR20200102027A (ko) 환기창용 시스템 루버
KR200494508Y1 (ko) 차양막 구동부의 수평조절이 가능한 어닝 시스템
US20120132374A1 (en) Insulated glass with integral blind - manually controllable
KR101136112B1 (ko) 블라인드 하이브리드 난간
KR102032838B1 (ko)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DE19709546A1 (de) Regelungssystem und -verfahren zur Belichtung/Beschattung von Räumen
JP2008231759A (ja) 被覆装置
KR101844967B1 (ko) 교체형 블라인드 창호
CN109707298B (zh) 一种遮光窗
KR101442124B1 (ko) 슬라이드 블럭형 발코니 블라인드
CN204457380U (zh) 一种轨道运行的电动铝合金卷帘产品
KR20210025370A (ko) 블라인드 내장 이중창호
US8590208B1 (en) Gap cover for window shutter assembly
KR20210052719A (ko) 전동 루버 시스템
KR200410638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CN214740994U (zh) 一种防窜动的百叶帘系统用磁力装置
KR200353808Y1 (ko)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창호
KR102397830B1 (ko) 성능 가변형 창호 일체형 시스템
KR102610275B1 (ko) 조립식 커튼형 블라인드
KR200349174Y1 (ko) 암막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492236Y1 (ko)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KR101093106B1 (ko) 가동형 격자 루버시스템
KR102357153B1 (ko) 중공 프레임 연결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