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78Y1 - jamb cover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jamb cover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78Y1
KR200494478Y1 KR2020190003332U KR20190003332U KR200494478Y1 KR 200494478 Y1 KR200494478 Y1 KR 200494478Y1 KR 2020190003332 U KR2020190003332 U KR 2020190003332U KR 20190003332 U KR20190003332 U KR 20190003332U KR 200494478 Y1 KR200494478 Y1 KR 200494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m
cover
cage
elevator
sid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3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0409U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수현
Priority to KR2020190003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78Y1/en
Publication of KR20210000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0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적어도 엘리베이터 승강구 양측의 부분에서 잼 표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형을 이루면서,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를 커버하는 부분이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 가령 5도 내지 10도 더 작은 각도로 이루어져 ㄷ자의 열린 부분을 통해 잼에 끼워져 결합될 때 잼 커버의 케이지 측 모서리 각도가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에 의해 벌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잼 표면에 밀착되기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잼 커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잼 커버를 사용하면 엘리베이터의 각층 승강장에서 잼에 잼 커버를 끼워넣는 간단한 방법으로 잼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고, 잼에 잼 커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제거 교체를 위해 잼에서 잼 커버를 이탈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forms a U-shape so as to cover the jam surface at least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hatch, and the part covering the cage side edge of the jam is a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of the cage side edge of the jam, such as 5 It is made at an angle smaller than 10 degrees, and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jam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letter U, the angle of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cover is widened by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making it easier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jam by elastic restoring force. An elevator jam cover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By using the jam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decorate the jam with a simple method of inserting the jam cover into the jam at the platform of each floor of the elevator, and you can keep the jam cover stably in the jam. It can also be easily made to remove the jam cover from th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잼 커버{jamb cover for elevator}elevator jam cove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부속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각층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의 연결을 위한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인 잼(jamb)을 덮는 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ccess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ver for covering a jamb, a door frame that forms an entrance for connection with an elevator cage on each floor of the elevator.

엘리베이터는 사람이나 물건을 상자 모양의 케이지(Cage)에 싣고 건물의 층 사이를 위아래로 나르는 기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층의 잼(1)에는 외측도어(2)가 설치되고, 케이지 문틀(3)에는 내측 도어(4)가 설치되며, 내측도어(4)의 개폐시 외측도어(2)가 연동하여 함께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n elevator is a machine that loads people or things in a box-shaped cage and carries them up and down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The door frame 3 is provided with an inner door 4, and when the inner door 4 is opened and closed, the outer door 2 is interlocked to open and close together.

또한, 상기 외측도어(2)와 내측도어(4)는 일정 시간 열려 있다가 탑승자가 닫힘버튼을 누를 때 닫히거나, 닫힘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일정시간 경과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외측도어(2)와 내측도어(4)가 닫히는 도중에 탑승자 또는 물건이 끼이는 경우, 도어가 자동으로 다시 열리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door (2) and the inner door (4) are set to be ope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closed when the passenger presses the close button, or to close automaticall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pressing the close button, and the outer door ( 2) and the inner door 4 is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that automatically reopens the door when a passenger or an object is caught while the door 4 is being closed.

안전장치는 내측도어(4)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센서(5)를 이용하는 비접촉식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촉에 따른 기구적인 움직임의 변화를 이용하는 접촉식이 있으며, 통상 비접촉식과 접촉식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The safety device is installed on the inner door 4, and uses a non-contact type using a detection sensor 5 consisting of an optical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as shown in FIG. There is a contact type, and a non-contact type and a contact type are often used together.

도2는 각층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잼 및 외측도어를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개념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structural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am and the outer door of each floor elevator platform are installed.

각층 문틀 주변의 벽체(10)와 문틀을 형성하는 잼(20)과, 잼에 결합되는 외측 도어(30)를 나타내고 있다.The wall 10 around the door frame of each floor and the jam 20 forming the door frame, and the outer door 30 coupled to the jam are shown.

여기서 각층의 잼(20)은 철근콘크리트 건물 벽체(10)에 스테인레스 브라켓을 씌워 형성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런 예와 달리 건물벽체에 별도의 스테인레스 프레임으로 잼을 형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jam 20 of each floor represents a form formed by covering the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all 10 with a stainless bracket, but unlike this example, a jam may be formed on the building wall with a separate stainless frame.

잼(20)이 형성되는 부위의 벽체의 폭이 좁은 경우 잼은 쪽잼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200mm 이상의 벽체에서는 광폭잼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width of the wall of the part where the jam 20 is formed is narrow, the jam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jjokjam, and in a wall of 200 mm or more,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ide jam.

최근 건물 내부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하면서 각층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벽체(10)를 꾸밀 때 잼(20)의 외관도 그에 따라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해 잼의 드러난 표면에 장식 시트를 덧대거나 코팅하는 작업, 잼(20)을 이루는 금속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Recently, when decorating the wall 10 of the elevator platform on each floor while beautify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dding or coating a decorative sheet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jam in order to decorate the appearance of the jam 20 accordingly, jam (20) ),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work of beautifully processing the metal surface is made.

외관 측면 외에도 기능 면에서, 잼은 기본적 엘리베이터 승강 공간을 형성하는 외에, 외측 도어(30) 구성과 함께 화재시 방화 차단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appearance aspect, in terms of function, the jam may form a fire prevention blocking means in case of a fire together with the outer door 30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forming a basic elevator hoisting space.

한편, 최근 잼(20) 및 외측도어(30) 구성과 관련하여 손이 작고 얇은 아이들이 외측도어 표면에 손을 대고 있을 때 승강장 외측도어(30)가 열리면서 외측도어(30) 표면과 잼(20)의 사이 공간 혹은 틈새(G)로 사람의 손이 딸려 들어가 큰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는 것이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Meanwhile, in relation to the recent construction of the jam 20 and the outer door 30, when children with small and thin hands are putting their hands on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the outer door 30 of the platform opens and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30 and the jam 20 ) between the spaces or the gaps (G), where a person's hand may get caught and cause serious injury, preventing this from happening has also become a problem.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875035호 엘리베이터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75035 Elevator door closing prevention device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0339호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방화도어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0339 Fire door for elevator platform

본 고안은 기존의 엘리베이터의 각층 승강장에서 잼을 간단한 방법으로 미려하게 꾸미기에 적합한 잼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am cover suitable for beautifully decorating jam in a simple way on each floor platform of an existing elevator.

본 고안은 잼에 설치하기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교체에도 용이한 구성을 가지는 잼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am cover having a configuration that is easy to install in a jam,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is easy to replace.

본 고안은 추가적 측면에서 잼에 설치할 때 외측도어 표면과 잼 커버의 불규칙적인 접촉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외측 도어 표면에 손을 대고 있을 때 외측 도어가 열리면서 손이 외측도어와 잼 사이의 틈새로 딸려 들어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잼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additional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irregular contact between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and the jam cover when installing it in the jam, and when the outer door is opened when you put your han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your hand can enter the gap between the outer door and the ja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am cover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ressing the accompanying probl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잼 커버는,The elevator jam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적어도 엘리베이터 승강구 양측의 부분에서 잼 표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형을 이루면서,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를 커버하는 부분이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 가령 5도 내지 10도 더 작은 각도로 이루어져 ㄷ자의 열린 부분을 통해 잼에 끼워져 결합될 때 잼 커버의 케이지 측 모서리 각도가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에 의해 벌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잼 표면에 밀착되기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forms a U-shape so as to cover the jam surface at least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hatch, and the part covering the cage side edge of the jam is a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of the cage side edge of the jam, for example 5 It is made at an angle smaller than 10 degrees, and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jam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letter U, the angle of the cage side edge of the jam cover is widened by the cage side edge of the jam, and it is formed to easil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jam by elastic restoring force. characterized by being

본 고안의 잼 커버에서 상기 ㄷ자형 단면의 케이지 측 변에 해당하는 부분의 내측면에는 잼 커버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엠보가 형성될 수 있다. 엠보는 이때 케이지 측 변의 끝단 쪽이 모서리 쪽보다 더 큰 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jam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ssing for increasing friction with the jam cov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ge side side of the U-shaped cross-section. In this case, the embossing may be formed with a greater density than the edge of the side of the cage side.

본 고안에서 잼 커버의 재질은 착탈의 용이성을 위해 유연성,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잼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탄성 복원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탄성 있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도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가 발생할 때 후속적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jam cover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and stretchable material for eas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exert elastic restoring force well in order to maintain close contact with the jam. ,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synthetic rubber material to facilitate subsequent processing when scratches due 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occur.

본 고안의 잼 커버를 사용하면 엘리베이터의 각층 승강장에서 잼에 잼 커버를 끼워넣는 간단한 방법으로 잼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고, 잼에 잼 커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제거 교체를 위해 잼에서 잼 커버를 이탈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By using the jam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decorate the jam with a simple method of inserting the jam cover into the jam at the platform of each floor of the elevator, and the jam cover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jam. It can also be easily made to remove the jam cover from the.

본 고안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잼에 설치할 때 외측도어 표면과 잼 커버의 불규칙적인 접촉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외측 도어 표면에 손을 대고 있을 때 외측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도 잼 커버의 케이지 측 모서리에서의 잼 커버의 변형이 손이 외측도어와 잼 사이의 틈으로 쉽게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irregular contact between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and the jam cover when installing in a jam, and even when the outer door is opened when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is touched, it can be removed from the cage side edge of the jam cover. Make sure that the deformation of the jam cover of the machine prevents the hand from easily entering the gap between the outer door and the jam.

도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적 설명도
도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각층 잼 및 외측도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 구성개념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잼 커버 및 잼과 그 주변부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각층 잼, 잼 커버 및 외측도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단면도인 구성개념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잼 커버의 일 단면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vator;
2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concept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floor jam and the outer door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jam cover and jam and its periph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floor jam, jam cover and oute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levator jam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먼저 전제로서, 여기서 잼 커버(120)가 결합되는 잼(20)의 표면도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수평 단면)에서는 도2와 같은 종래의 구성과 비슷하게 전체적으로 볼 때 대략 ㄷ 자형을 이루어 승강구 주변 벽체(10)를 감싸며, 여기서 각을 이루는 두 모서리 부분은 90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3 and 4, first as a premise, here, the surface of the jam 20 to which the jam cover 120 is coupled is also generally similar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When viewed, it forms an approximately U-shape and surrounds the wall 10 around the hoistway, wherein the two corner portions forming an angle are assumed to be formed at 90 degrees.

본 실시예에서 잼 커버(120)는 승강구 양 측 기둥부분에 잼(20) 표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그 길이와 수직한 단면이 ㄷ 자형 구거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잼 커버(120)의 ㄷ 자형에서 케이지 측(엘리베이터 내부 공간 측)에 위치하는 모서리(129)와 승강장 측(외부 공간 측)에 위치하는 모서리(127)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다. 가령, 잼 커버(120)의 ㄷ 자형 단면에서 케이지 측 변(125: 선형 부분)과 중간의 선형 부분인 연결변(123)은 서로 90도보다 작은 예각, 가령 80도 내지 85도의 예각을 이룬다. In this embodiment, the jam cover 12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surface of the jam 20 on both sides of the hoistway, and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thereof is made in the form of a U-shaped trough. At this time, in the C-shape of the jam cover 120 , the corner 129 positioned on the cage side (the elevator inner space side) and the corner 127 positioned on the platform side (outer space side) are formed at different angles. For example, in the C-shaped cross section of the jam cover 120 , the cage side side 125 (linear part) and the connecting edge 123 , which is a linear part in the middle, form an acute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n acute angle of 80 degrees to 85 degrees.

잼 커버(120)는 여기서 고무나 탄성 있는 합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모서리를 이루는 두 변을 벌리면 외력에 의해 모서리 각도가 탄성 범위 내에서 일부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잼 커버 모서리가 먼저 일정 각을 이루도록 성형된 것이므로, 완전히 잼의 해당 모서리 각에 맞게 변화하는 것이 아니고 도4와 같이 모서리 각이 일정하게 유지되려는 상황에서 주변부의 조건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다소 복잡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When the jam cover 120 is made of rubber or elastic synthetic plastic and spreads the two sides forming the corner, the angle of the corner is partially changed within the elastic range by an external force. However, since this change is made so that the edge of the jam cover is first formed to form a certain angle, it does not completely change to fit the corresponding edge angle of the jam, but is made by the conditions of the surrounding area in a situation where the edge angle is kept constant as shown in FIG. Therefore, it has a rather complicated form.

가령, 잼 커버의 케이지 측 모서리는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에 비해 약간 외부도어쪽으로 혹은 약간 승강구 중심을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4의 A부분 및 B 부분에서는 잼 커버와 잼 사이가 일부 이격되면서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cover may be moved slightly toward the outside door or slightly toward the center of the hatch compared to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and accordingly, in parts A and B of FIG.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m.

이동한 잼 커버 모서리와 외부도어 사이의 틈새 간격은 도2에 표시된 종래의 틈새 G에 비해 조금 줄어드는 G'가 되기 쉽고, 이에 따라 잼 커버와 외부도어 사이의 틈새는 줄어들어 외부도어가 열릴 때 이 틈새로 사람의 손이 딸려 들어가는 것은 좀 더 용이하게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잼 커버의 케이지 측 모서리가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에 비해 약간 외부도어쪽으로 이동하든 혹은 약간 승강구 중심을 향해 이동하든 어느 경우든 잼 커버 모서리 형태는 사람의 손이 외부도어와 잼 커버 사이의 틈새로 끼어들어가는 것을 어렵게 한다. The gap between the moved jam cover edge and the outer door is likely to be sligh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ap G shown in FIG. 2, and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jam cover and the outer door is reduced, and this gap It can be more easily prevented from getting people's hands into it. And whether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cover moves slightly toward the outside door or slightly toward the center of the hatch compared to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in either case,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jam cover is designed to allow a person's hand to move into the gap between the outside door and the jam cover. makes it difficult to intervene.

물론, 이때 잼 커버의 모서리와 외부도어 사이의 틈새(G')가 줄어들면서 외부도어 표면에 잼 커버가 닿을 가능성도 커지고, 이런 경우, 외부도어가 움직이면서 그 표면에 스크래치가 날 가능성도 커진다고 볼 수도 있다. Of course, at this time, as the gap (G') between the edge of the jam cover and the outer door is reduced, the possibility of the jam cover touching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increases. have.

그러나, 종래에는 ㄷ자형 잼 커버의 케이지 측 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면 전체가 외부도어와 닿을 가능성이 있어서 그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도를 모두 관리해야 했지만, 본 고안과 같은 구성에서는 잼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케이지 측 모서리만 중점 관리하면 되므로 잼 커버 제조 과정과 시공 과정에서 잼 커버와 외부도어 사이의 스크래치의 가능성 관리는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cage side of the U-shaped jam cove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door, so all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had to be managed. In the process, only the edge of the cage needs to be managed, so the possibility of scratches between the jam cover and the exterior door can be managed more easily during the jam cover manufacturing process and construction process.

한편, 일단 도4와 같이 승강장의 잼에 잼 커버가 결합된 경우, ㄷ 자형 잼 커버의 케이지측 모서리는 원래의 각도보다 더 벌어진 상태이고, 잼 커버를 이루는 합성수지, 합성고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80 내지 85도 정도의 예각으로 돌아오려고 하면서 이 모서리를 이루는 케이지측 변 부분을 잽의 케이지측 변 부분에 밀착시키려고 하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once the jam cover is coupled to the jam of the platform as shown in FIG. 4, the cage side edge of the C-shaped jam cover is wider than the original angle, While trying to return to an acute angle of about 80 to 85 degrees, the cage-side edge forming this corner has a tendency to adhere to the cage-side edge of the jab.

잼 커버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일단 잼에 결합된 잼 커버는 쉽게 잼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잼 커버를 잼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 부착시키기 위해 별도의 기구적 결합부재를 이용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성도 없어지게 된다.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jam cover, the jam cover once joined to the jam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jam surface.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mechanical coupling member or an adhesive to stably fix and attach the jam cover to the jam surface.

그러므로, 이런 형태의 잼 커버를 잼에 결합시키는 시공을 할 때에는 ㄷ 자형 단면을 가진 잼 커버의 열린 입구 부분을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좀 더 벌린 상태에서 이 열린 입구를 통해 잼 커버를 잼 쪽으로 단순히 밀어넣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잼 커버를 교체하거나 제거할 때에는 외부 도어를 완전히 열어 잼 커버의 케이지 측 부분이 완전히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ㄷ 자의 케이지 측 변의 끝단을 케이지 측으로 당겨 열린 입구 부분을 벌리면서 결합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잼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잼에서 잼 커버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constructing this type of jam cover to jam, simply slide the jam cover toward the jam through this open opening with the open mouth part of the jam cover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spread out a little more with your hands or tools. It can be installed easily by pushing it in. When replacing or removing the jam cover, open the outer door completely to expose the cage side of the jam cover completely, and then pull the end of the C-shaped cage side toward the cage to widen the open entrance. The jam cover can be simply removed from the jam by pulling it away from the jam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en it was joined.

그리고, 이런 경우, 결합부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잼 커버는 합성수지나 합성고무와 같은 연질의 재료이고 잼은 스테인레스나 철판과 같은 단단한 재료인 경우가 많아 서로 닿아 마찰되는 경우에도 잼 표면에 스크래지가 남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기존 잼 커버를 제거해도 잼 표면은 매끈하고 깨끗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And, in this case, without using a bonding member or adhesive, the jam cover is a soft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r synthetic rubber, and the jam is often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iron plate. Since it is common for no paper to remain, even if the existing jam cover is removed, the jam surface can remain smooth and clean.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잼 커버의 일 단면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앞선 도3, 4의 실시예와 달리 여기서는 잼 커버의 내측면에 엠보가 형성되어 엠보가 닿는 부분에서 잼 커버의 내측면과 잼 표면 사이의 밀착력을 높이고, 잼 커버가 잼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Figure 5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levator jam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of FIGS. 3 and 4, here, an embossin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jam cover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jam cover and the jam surface at the part where the embossing touches, and to prevent the jam cover from being easily peeled off from the jam. play a role

그리고, 잼 커버의 단면의 ㄷ 자형에서 케이지 측 모서리는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이들을 결합시킬 때 잼 커버의 이 모서리는 벌어지고, 잼 커버의 케이지 측 변에서도 끝단이 가장 많이 변위하게 된다. 따라서, 복원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부분도 이 부분이며, 케이지 측 변에서 모서리 근처보다는 끝단에 엠보를 더 많이 더 높은 밀도로 형성하여 잼 커버와 잼 사이의 마찰력이 더 커지고, 잼 커버가 별도의 기구적 결합수단이나 접착제가 없이도 잼에서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And, in the U-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jam cover, the cage-side edge is formed smaller than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so this edge of the jam cover is widened when combining them, and the end is displaced the most from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cover. . Therefore, this is also the part where the restoring force acts the most, and the embossing is formed at the end with a higher density than near the edge on the side of the cage, an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jam cover and the jam is larger, and the jam cover is a separate mechanism. It can be fixed more stably in the jam without the use of adhesive bonding means or adhesives.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고안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limit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따라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or application exampl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or application example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 문틀 2: 외측도어
3: 케이지 문틀 4: 내측도어
5: 감지센서 10: 벽체
20: 잼(Jamb) 120: 잼 커버(jamb cover)
121: 승강장 측 변 123: 연결변
125: 케이지 측 변 127: 승강장 측 모서리
129: 케이지 측 모서리
1: Door frame 2: Outside door
3: cage door frame 4: inner door
5: detection sensor 10: wall
20: jam (Jam) 120: jam cover (jamb cover)
121: platform side side 123: connection side
125: cage side side 127: platform side edge
129: cage side edge

Claims (5)

적어도 엘리베이터 승강구 양측의 부분에서 잼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형을 이루면서,
상기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를 커버하는 부분이 상기 잼의 케이지측 모서리의 각도보다 5도 내지 10도 더 작은 각도로 이루어져 ㄷ자의 열린 부분을 통해 상기 잼에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를 커버하는 부분의 각도가 상기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에 의해 벌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잼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를 커버하는 부분은 상기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에 비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쪽으로 혹은 승강구 중심을 향해 변형되어 상기 잼의 케이지 측 모서리를 커버하는 부분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사이의 틈새가 줄어들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잼 커버.
At least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hoistway,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s a U-shape as a whole so as to cover the surface of the jam.
When the portion covering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is made at an angle that is 5 to 10 degrees smaller than the angle of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and is inserted into the jam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C shape and coupled,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The angle of the covering part is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jam by elastic restoring force while being widened by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and the part covering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is larger than the cage-side edge of the jam. Elevator jam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outer door of the elevator and the portion that is deformed toward the outer door of the elevator or the center of the hoistway to cover the cage side edge of the jam is formed to be reduc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서 나타나는 ㄷ자에서 케이지 측 변에 해당하는 부분의 내측면에 상기 잼의 대응 표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엠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잼 커버.
The method of claim 1,
Elevator jam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ing for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ja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cage in the U-shape appearing in the cross section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가 상기 내측면에 형성될 때 상기 케이지 측 변에서 상기 케이지 측 모서리 부근보다 끝단 쪽에 더 큰 형성 밀도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잼 커버.
3. The method of claim 2,
Elevator jam cov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mbossin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have a larger forming density at the end side than near the cage side edge at the cage side side.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잼 커버는 엘리베이터 각층의 외측도어나 잼과 접촉될 때에도 외측도어 표면이나 잼 표면에 스크래치를 남기지 않는 신축성 있는 연질의 탄성재로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잼 커버.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jam cover is an elevator jam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synthetic rubber material as a flexible and soft elastic material that does not leave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outer door or the jam even when in contact with the outer door or jam of each floor of the elevator.
KR2020190003332U 2019-08-12 2019-08-12 jamb cover for elevator KR2004944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332U KR200494478Y1 (en) 2019-08-12 2019-08-12 jamb cover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332U KR200494478Y1 (en) 2019-08-12 2019-08-12 jamb cover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09U KR20210000409U (en) 2021-02-22
KR200494478Y1 true KR200494478Y1 (en) 2021-10-20

Family

ID=7471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332U KR200494478Y1 (en) 2019-08-12 2019-08-12 jamb cover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78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29Y1 (en) * 2016-02-22 2017-02-27 홍종우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339Y1 (en) 2005-04-26 2005-07-20 수림엘리베이터(주) Fireproof door for entrance of elevtor
KR101875035B1 (en) 2017-02-17 2018-07-06 김수현 Door Closing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29Y1 (en) * 2016-02-22 2017-02-27 홍종우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09U (en)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8345B1 (en) Lineal
KR200482729Y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494478Y1 (en) jamb cover for elevator
KR101875035B1 (en) Door Closing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KR101974193B1 (en) Apparatus for finger Protection at Sliding Door
KR101817345B1 (en) Device for protecting hand jamming in the elevator door and jamb
JPH0626530Y2 (en) Sliding door device for elevator
KR102252988B1 (en) Elevator door
KR200169249Y1 (en) Elevator safety device
KR102114014B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332674Y1 (en) Safety Struction For Preventing From Person's Finger Jammed In a Door Of Elevator
KR101882204B1 (en) Door Waterproofing Device
JP2001316067A (en)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er
KR102528730B1 (en) Separable door structure of elevator
KR102518060B1 (en) Inner material structure of elevator
JP5455410B2 (en) Passenger conveyor balustrade
KR20180017763A (en) Niche pinch protection structures for elevators
KR100518195B1 (en) Hanger type of sliding door
JP6769585B1 (en) Elevator doors and elevator door maintenance parts
KR200492548Y1 (en) Structure for covering edges of button panel for elevator
KR101981984B1 (en) Finger insertion prevention device for elevator with preventing door failure
JP2007320696A (en) Elevator door pulling-in preventive device, and elevator device
KR20170075157A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of an elevator
JP2011026821A (en) Device for preventing finger and the like from being accidentally pinched by automatic opening/closing door
JPH09310563A (en) Doo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