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014B1 -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014B1
KR102114014B1 KR1020190030618A KR20190030618A KR102114014B1 KR 102114014 B1 KR102114014 B1 KR 102114014B1 KR 1020190030618 A KR1020190030618 A KR 1020190030618A KR 20190030618 A KR20190030618 A KR 20190030618A KR 102114014 B1 KR102114014 B1 KR 102114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variable
clearance
hand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종우
Original Assignee
홍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우 filed Critical 홍종우
Priority to KR102019003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0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nd an install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capable of preventing finger jam or the like in a gap (S) of a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such as an elevator.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gap (S) formed between a door (D) and a wall (W) and includes: a coupling member (10) attached to the wall (W); and a jam prevention member (20)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coupling member (10), installed in the gap (S), and preventing finger or foreign matter jam. The coupling member (10) is attached to a back surface (Wa) of the wall (W) facing a front surface (Da) of the door (D). The jam prevention member (20) includes: a variable portion (21) varying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gap (S); and an inflow blocking portion (22) formed in the variable portion (21) and blocking a finger or foreign matter from being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ice appearance is ensured and deviation or damage is prevented. In addition, universal installation is possible both in a case where gaps (S) are provided in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buildings and in a case where upper and lower gaps (S) are provided in different sizes. Finger jam or the like can be reliably prevented in any case, and thus children′s safety can be ensured.

Description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revention device of hand jamming of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installation device including sam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elevator) 등과 같은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틈새에 손가락 등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성을 확보하며, 무엇보다 이탈이나 손상되지 않고 틈새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되어 손가락 등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손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hand jamming and an install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a finger from being pinched in a gap of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uch as an elevator, and more specifically, for easy installation and exposure to the outside.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the external appearance, and above all, it is vari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without being detached or damaged. It relates to an installation device for prevention.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과 같은 고층 건물에는 엘리베이터(elevator)(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에는 도어(door)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자동 개폐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도어 개폐장치는 지하철 등에도 설치되어 있다. Generally, an elevator (elevator) is installed in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building. In addition,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in which a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is installed in an elevator. Suc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are also installed in subways and the like.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승강기)의 설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로서 도어(D)와 벽체(W)(또는 기둥)를 포함한다. 도어(D)는 레일(rail)을 따라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때, 도어(D)와 벽체(W)의 사이에는 틈새(S)가 형성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D)의 열림(open) 시, 상기 틈새(S)에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틈새(S)에는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은 물론, 우산이나 의류 등의 이물질이 끼어 도어(D)의 개폐 조작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1 and 2 show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elevator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and 2, the elevator is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ing a door (D) and a wall (W) (or pillar). The door D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long the rail. At this time, a gap S is formed between the door D and the wall W. When the elevator door D is open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children's fingers get caught in the gap S and an accident occurs. In addition, the gap (S) may be difficult to open and close the door (D), as well as the fingers of young children, foreign objects such as umbrellas or clothing.

이에, 상기 틈새(S)에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 끼임 방지장치(F)가 제안되었다. 대부분의 손 끼임 방지장치(F)는 브러쉬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선행 특허문헌에도 제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 5,794,745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862738호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0626호 등에는 위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Accordingly,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has been proposed to prevent the fingers of young children from getting caught in the gap S. Most of the hand pinching devices F adopt a brush form. This technique is also presented in the prior patent literature, for example, US Patent US 5,794,745,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62738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0626, etc., related technologies are present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브러쉬 형태의 손 끼임 방지장치(F)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F)는, 예를 들어 적어도 부품 수가 많아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brush-typ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ally complicated problem.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F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for example, at least the number of parts is high, so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installation is not easy.

또한, 일반적으로 손 끼임 방지장치(F)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틈새(S) 내에 설치하지 않고, 대부분의 경우 벽체(W)의 측면(Wb)에 설치하고 있다. 즉, 손 끼임 방지장치(F)를 틈새(S) 내에 장입시켜 벽체(W)의 배면(Wa)에 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주로 외부로 노출된 벽체(W)의 측면(Wb)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손 끼임 방지장치(F)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성이 떨어지고, 이탈이나 손상(파손)이 발생된다. 특히, 공항이나 기차역 등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부주위로 인해 화물이나 카트(cart) 등에 부딪혀 손 끼임 방지장치(F)가 벽체(W)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general, when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is installed, it is not installed in the gap S, but in most cases, it is installed on the side Wb of the wall W. That is, since it is difficult to fix the hand jamming device F in the gap S and fix it to the back surface Wa of the wall W, as shown in FIG. 1, the side surface of the wall W mainly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fixed to (Wb) and installed. However, in this case,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ppearance is deteriorated, resulting in separation or damage (breakage).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is easily detached and damaged from the wall W by hitting a cargo or a cart due to the sub-circumference of an elevator user at an airport or a train station.

무엇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F)는 어떠한 경우라도 손가락 등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외관성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손 끼임 방지장치(F)를 도어(D)와 마주하는 벽체(W)의 배면(Wa)에 설치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Above all,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F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fficult to reliably prevent the jamming of fingers or the like in any cas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consider a method of install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on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facing the door D to prevent external appearance or damage. Can be.

그러나 틈새(S)는 모든 건물에 대해 일정하지 않으며, 설치된 건물에 따라 틈새(S)의 크기(폭)은 제각기 다르다. 또한, 틈새(S)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설치 구조, 외부의 원인 및/또는 노후 등에 따라 위가 좁고 아래가 넓거나, 이와는 반대의 경우도 있다. 즉, 틈새(S)의 크기(폭)는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마다 차이가 있음은 물론이고, 동일한 엘리베이터에서도 상하 방향(위/아래쪽)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도 2는 위쪽의 틈새(S)보다 아래쪽의 틈새(S)가 넓게 발생된 엘리베이터를 예시한 것이다. However, the gap S is not constant for all buildings, and the size (width) of the gap 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talled buildings. In addition, the clearance (S) may have a narrow top and a wide bottom, or vice versa, depending on the elevator design, installation structure, external causes and / or aging. That is, the size (width) of the gap S is not only different for each eleva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but also often occurs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 down) in the same elevator. For reference, FIG. 2 illustrates an elevator in which the lower clearance S is wider than the upper clearance S.

도 2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위쪽의 틈새(S)는 좁고, 아래쪽의 틈새(S)는 넓을 때, 외관성이나 손상을 고려하여 손 끼임 방지장치(F)를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 설치한 경우, 손가락의 끼임을 완전히 방지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손 끼임 방지장치(F)는 길이 방향(도 2에서, 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므로 위쪽보다 틈새(S)가 넓은 아래쪽에는 여전히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잉여틈새(Sa)가 형성된다. 이러한 잉여틈새(Sa)로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일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 이는 손 끼임 방지장치(F)를 도 1에서와 같이 벽체(W)의 측면(Wb)에 설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As shown in Figure 2, for example, when the upper clearance (S) is narrow, and the lower clearance (S) is wide, taking into account the appearance or damage, the hand grip protection device (F) is the back surface of the wall (W) ( Wa),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prevent pinching of fingers.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has a uniform thick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2,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gap (S) is wider than the upper side, the excess gap that can still pinch fingers (Sa) ) Is formed. Safety cannot be guaranteed because the fingers of young children can get caught in the excess gap (Sa). This is the same even when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is installed on the side Wb of the wall W as shown in FIG. 1.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F)는 벽체(W)의 배면(Wa)에 설치하거나 측면(Wb)에 설치하든 간에 그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틈새(S)의 크기에 가변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틈새(S)의 크기가 다른 경우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또한 위와 같이 위/아래쪽의 틈새(S)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잉여틈새(Sa)가 형성되어 손가락 등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어렵다. Therefore,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variably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regardless of its installation position, whether it is installed on the back side Wa or the side Wb of the wall W It is difficult to do. Accordingly, when the size of the gap S is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be used universally, and when a difference occurs in the upper / lower gap S as above, a surplus gap Sa is formed to pinch fingers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reliably prevent.

한편, 위와 같은 잉여틈새(Sa)을 감안하여 손 끼임 방지장치(F)를 제조함에 있어, 예를 들어 위쪽은 가늘고 아래쪽은 두꺼운 두께로 제조(성형)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범용성이 떨어지고 성형성에도 제약이 따른다. 즉, 위쪽과 아래쪽의 틈새(S)가 동일한 엘리베이터에는 설치가 어려워 범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성형 방법 중에서 압출 성형이 생산성 및 경제성 등에서 유리한데, 위와 같이 두께 차이를 갖게 한 경우에는 압출 성형이 어려워 적어도 생산성 및 경제성 등이 낮다. On the other hand, in manufactur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in view of the surplus clearance Sa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method of manufacturing (molding) the upper side with a thin thickness and the lower side can be considered. However, in this case, the versatility is poor and the moldability is limited. That is,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the elevator having the same gap 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which is not universal. In addition, among the molding methods, extrusion molding is advantageous in productiv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when the thickness difference is as described above, extrusion molding is difficult, and at least productiv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re low.

미국 특허 US 5,794,745호U.S. Patent US 5,794,745 한국 등록특허 제10-0862738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62738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0626호Korean Utility Model No. 20-0480626

이에, 본 발명은 개선된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n improved hand jam prevention device and an installa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낮으면서 외관성을 확보하고, 이와 함께 이탈이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손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thereby ensuring the appearance while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with it, an apparatus for preventing hand jamming of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or damaged.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installation device for preventing hand jams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틈새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되어, 예를 들어 위/아래쪽의 틈새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의 어떠한 경우라도 손가락 등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손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for example, the hand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reliably prevent pinching of fingers, etc. in any case, such as a difference in the upper / lower gap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device for preventing pinching and a hand pinch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D)와 벽체(W)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S) 내에 삽입, 설치되며;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ap S formed between the door D and the wall W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상기 벽체(W)에 부착되는 결합부재(10); 및 A coupling member 10 attached to the wall W; And

상기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틈새(S) 내에 설치되어 손가락이나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 방지부재(20)를 포함하되, It is extended from the coupling member 10, is formed, and is provided in the gap (S) includes a pinch preventing member 20 to prevent fingers or foreign objects from being caught,

상기 결합부재(10)는 도어(D)의 정면(Da)과 마주하고 있는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제공한다. The coupling member 10 provide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hand jamming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facing the front Da of the door D.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끼임 방지부재(20)는 틈새(S) 내에 삽입, 설치되되,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ap (S),

상기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틈새(S)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부(21)와, A variable portion 21 extending and formed from the coupling member 10 and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상기 가변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손가락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 차단부(22)를 포함한다. It extends and is formed from the variable portion 21, and includes an inflow blocking portion 22 that blocks inflow of a finger or a foreign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상기 가변부(21)가 가변된 후, 상기 가변부(21)를 고정하여 상기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을 유지시키는 유격 유지수단(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예를 들어 상기 가변부(21)에 형성된 복수의 유격 조절홈(32)과, 상기 유격 조절홈(32)에 끼워져 가변부(21)를 고정하는 유격 유지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variable portion 21 is variable, by fixing the variable portion 21, the gap between the door (D) and the jam prevention member 20 (P) It may further include a play maintaining means 30 for maintaining the. The clearance maintaining means 30 is, for example, a plurality of clearance adjustment grooves 32 formed in the variable portion 21, and a clearance retention unit that is inserted into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to fix the variable portion 21 (34).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21)는 결합부재(10)와 소정의 각도(θ)를 이루고, 상기 틈새(S)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되, 상기 틈새(S) 내에 설치되어 도어(D)의 정면(Da)에 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portion 21 forms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coupling member 10, and is elastically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but the gap ( It is installed in S) may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Da) of the door (D).

또한, 본 발명은,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와,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지그(200)를 포함하되, Including the installation jig 200 for install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상기 설치 지그(200)는, The installation jig 200,

상기 틈새(S) 내에 삽입되어,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벽체(W)의 배면(Wa) 쪽으로 가압,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부(210); It is inserted into the gap (S), the pressing portion 210 for pressing and contact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toward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상기 가압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벽체(W)의 측면(Wb)의 밀착되는 벽면 밀착부(220); 및 A wall contact portion 220 extending and formed from the pressing portion 210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Wb of the wall W; And

상기 벽면 밀착부(220)에 형성된 손잡이부(230)를 포함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Provided is an installation device for preventing hand jamming of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ing a handle portion 230 formed on the wall contact portion 220.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틈새(S) 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설치방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틈새(S)의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복수개로 절단하여 설치하되, 각 설치 위치마다 상기 가변부(21)의 가변 정도를 다르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균일한 유격(P)을 갖도록 설치하는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stallation method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to the gap S, and when the size of the gap 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fferent, the hand jam The prevention device 100 is cut and installed in plural, but the variable degre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different for each installation position, so that the installation device has a uniform clearance P in the vertical direction. Provide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낮고, 실용성 및 경제성 등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성을 확보함은 물론 이탈이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practica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re improv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n effect that can secure the appearance, as well as prevent departure or da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에 따라 틈새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물론이고, 상하 방향(위/아래쪽)으로 틈새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어떠한 경우에도 손가락 등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when the size of the gap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building, as well as when the size of the gap is differ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 down), it can be universally install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pinching and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safety of young childre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손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손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보인 요부 절단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가 틈새(S)의 크기(폭)에 따라 가변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지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in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in a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ice for preventing hand jamm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width) of the gap (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elevator).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stalling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elevator).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hand jamm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elevator).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hand jamm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elevator).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hand jamming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elevator).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hand jamming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제2", "일면(일측)" 및 "타면(타측)"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 "and / 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As used herein, the term "one or more" means one or more than two. The terms "first", "second", "one si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ther si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each compon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각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두께는 확대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고, 도면에 표시된 두께, 크기 및 비율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provided only to aid i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hickness may be enlarged to express each layer and region clear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hickness, size, and ratio indicated in the drawing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general-purpose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제1형태에 따라서, 구조적 및/또는 형태적으로 개선되어 종래보다 적어도 부품 수 및 설치 공정 등이 절감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손가락 등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2형태에 따라서,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간단한 방법으로 쉽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 지그(200)(Jig)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3형태에 따라서,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 및 설치 지그(200)(Jig)를 포함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가락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형태에 따라서,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간단한 방법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지그(200),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을 함께 설명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al and / or morphological improvements have been made to at least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installation process, so that the installation is easy and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reliably prevent pinching of fingers, etc It provides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allation jig 200 (Jig) for easily install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in a simple manner.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tallation device for preventing finger jamming of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ing the hand jamming device 100 and an installation jig 200 (Ji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allation method that can easily install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in a simple manner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Hereinafter, the installation jig 200, the installation device and the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틈새(S)의 크기(폭)에 따라 가변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지그(20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gap (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state according to (width).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jig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elevator)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에 설치되며, 이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D)와 벽체(W)(또는 기둥)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S)에 손가락이나 이물질(우산이나 의류 등)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3 to 6,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which is provided with the door D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Prevents fingers or foreign objects (such as umbrellas and clothing) from being caught in the gap S formed between the walls W (or pillars).

본 발명에서, 상기 자동 도어 개폐장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도어(D)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이면 여기에 포함하며, 이는 엘리베이터(승강기)나 지하철 등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경우에 따라서 상기 자동 도어 개폐장치는 엘리베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틈새(S)에 끼일 수 있는 손가락이나 이물질(우산이나 의류 등) 등은 경우에 따라서 손가락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cluded here as long as the door (D)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which may be exemplified as being installed in an elevator (elevator) or a subw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some cases,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ll be described using an elevator as an example, and fingers or foreign substances (such as umbrellas or clothing) that may be caught in the gap S may be fingers as examples. Listen and explain.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결합부재(10)와, 상기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끼임 방지부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에 설치되되, 그 설치 위치는 도어(D)와 벽체(W)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S) 내에 삽입,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그 설치 위치에 있어서,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틈새(S) 내에 삽입된 구조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hand jamm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member 10 and a pinching prevention member 20 formed and extended from the coupling member 10.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uch as an elevator, and its installation position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gap S formed between the door D and the wall W. That is,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gap S as shown in FIG. 6 in its installation position,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결합부재(10)는 벽체(W)에 부착되고, 상기 끼임 방지부재(20)는 틈새(S) 내에 설치되어 손가락이 틈새(S)에 끼이는 것을 방지(차단)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0)는 벽체(W)에 부착되되, 틈새(S) 내에 위치한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10)는 종래와 같이 벽체(W)의 측면(Wb)에 부착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어(D)의 정면(Da)과 마주하고 있는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정면(Da), 배면(Wa) 및 측면(Wb) 등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용어는 엘리베이터의 도어(D)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The coupling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wall (W), the pinch preventing member 20 is installed in the gap (S) to prevent the fingers from being caught in the gap (S) (block). 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wall (W), it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located in the gap (S). That is, the coupling member 10 is not attached to the side Wb of the wall W as in the prior art, and the wall facing the front Da of the door 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Wa of W).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indicat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front (Da), the rear (Wa), and the side (Wb) are based on when the door (D) of the elevator is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위와 같이 결합부재(10)와 끼임 방지부재(20)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부품 수가 적어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그 설치 위치에 있어서, 틈새(S) 내에 삽입,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는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되고, 상기 끼임 방지부재(20)는 결합부재(10) 상에 형성되되, 틈새(S) 내에 삽입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외관성을 확보하고, 무엇보다 외력에 의해 이탈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항이나 기차역 등에서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부주위하게 화물이나 카트(cart) 등을 다룰지라도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틈새(S) 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화물이나 카트(cart) 등에 부딪힐 우려가 없어 이탈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cluding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jam prevention member 20 as described above, and has a simple structure and has a small number of parts and is easy to install. In addition,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ap S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6, the coupling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the jamming preventing member 20 is formed on the coupling member 10, the gap ( It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inserted in S), so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appearance of the elevator is secured, and above all, it is not separated or damaged by external force. For example, even if an elevator user inadvertently handles a cargo or a cart at an airport or a train station,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ap S, so the cargo or cart There is no fear of bumping on the back, so it is not separated or damaged.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끼임 방지부재(20)는 결합부재(10)에 일체로 형성되되, 이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압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10)와 끼임 방지부재(20)는 일체로 압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길이(도 3에서, 상하방향의 길이)는 제한되지 않으며, 시공 현장에서 적절한 길이로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member 10, which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coupling member 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jection molded or extruded, and preferably extruded. Specifically,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may be manufactured by being integrally extruded. In addition, the length (in FIG. 3,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nd may be cut and used as necessary at an appropriate length in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예를 들어 연질체, 탄성체 및/또는 부드럽고 플렉시블(flexible)한 유연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예를 들어 고무재 및/또는 실리콘재 등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또는 폴리우레탄(PU) 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플레시블(flexible)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소정의 배율로 발포 성형된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 soft body, an elastic body, and / or a soft and flexible flexible body. The device for preventing hand jamm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for example, rubber materials and / or silicone materials, or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 or polyurethane ( PU) and the like. At this time, when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flexible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example, may be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foam foam-mold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상기 결합부재(10)는 벽체(W)의 배면(Wa)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시공 현장에서 결합부재(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상기 결합부재(10)를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재(10)의 일면에는 안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에는 접착부재(40)가 접착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10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through an adhesive. At this time, the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ember 40 for attaching the coupling member 10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For example, a seating groove 1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 and an adhesive member 40 may be attached to the seating groove 12.

상기 접착부재(40)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40)는, 예를 들어 상기 안착홈(12)에 접착되는 제1접착면과, 상기 벽체(W)의 배면(Wa)에 접착되는 제2접착면과, 상기 제2접착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40)는, 다른 예를 들어 중앙의 기재(부직포 등)와,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접착층과, 상기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제2접착층과, 상기 제2접착층에 부착된 이형지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착층은 결합부재(10)의 안착홈(12)에 접착되고, 상기 제2접착층은 이형지 제거 후 벽체(W)의 배면(Wa)에 접착된다. The adhesive member 40 may be selected from double-sided adhesive tape or the like. The adhesive member 40 includes, for example, a first adhesive surface that is adhered to the seating groove 12, a second adhesive surface that is adhered to the back surface Wa of the wall W, and the second adhesive surface. Double-sided adhesive tape comprising a release paper attached to can be used. The adhesive member 40 is, for example, a central substrate (non-woven fabric, etc.),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ttached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A double-sided adhesive tape comprising release paper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layer is adhered to the seating groove 12 of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dhered to the back surface Wa of the wall W after removing the release paper.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틈새(S)는 모든 건물에 대해 일정하지 않으며, 건물에 따라 틈새(S)의 크기(폭)는 제각기 다르다. 또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엘리베이터에서도 위/아래쪽 틈새(S)의 차이가 발생되어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잉여틈새(Sa)(도 2 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D)의 개폐 시,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적절한 유격(P)(도 6 참고)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격(P)은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간격이다. 상기 유격(P)은, 구체적으로 도어(D)의 정면(Da)과 끼임 방지부재(20)의 끝단 사이의 거리(간격)이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the clearance (S) of the elevator is not constant for all buildings, and the size (width) of the clearance (S) is different for each building. 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even in the same elevator, a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s S may occur, thereby forming a surplus clearance Sa (see FIG. 2) into which fingers can be caught. In addi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appropriate clearance P (see FIG. 6) so that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ng member 20 do not directly conta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P) is the gap between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The clearance (P) is, specifically, the distance (interval) between the front (Da) of the door (D) and the end of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을 적절한 거리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틈새(S)의 크기에 상관없이 유격(P)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위/아래쪽 틈새(S)의 차이가 있더라도 잉여틈새(Sa)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상기 끼임 방지부재(20)는 틈새(S)의 크기(폭)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부(21)와, 상기 가변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입 차단부(22)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clearance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at an appropriate distanc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learance (S), the clearance (P) can be freely adjusted and installed, and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 lower clearance (S), the excess clearance (Sa) is I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s a technical means for this, the jamming preventing member 20 is a variable portion 21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width) of the gap S, and an inflow blocking portion 22 extending and formed from the variable portion 21 It includes.

상기 가변부(21)는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이는 탄성적으로 가변된다. 이러한 가변부(21)의 탄성적인 가변에 의해, 틈새(S)의 크기(폭)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잉여틈새(Sa)의 형성을 방지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부(21)는 유격(P)을 조절하는 유격 조절수단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가변부(21)에 의해 상기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The variable portion 21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oupling member 10, it is elastically variable. By the elastic variable of the variable portion 21, regardless of the size (width) of the gap (S) can be installed universally,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he excess gap (Sa) to prevent the pinching of fingers. have. In addition, the variable portion 21 acts as a gap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gap P, and the gap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is free by the variable portion 21.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서, 「가변」은 가변부(21)의 설치 모양(형상)이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변부(21)는 초기(설치 전)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결합부재(10)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모양(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설치 후에는 틈새(S)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어 설치 모양(형상)이 변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 (b) 및 (c)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가변부(21)는 틈새(S)의 크기에 대응하여 결합부재(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벌어진다. 이때, 틈새(S)의 크기가 클수록, 즉 틈새(S)가 넓을수록 가변부(21)는 넓게 벌어져 유격(P)(도 6 참고)을 조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able" means that the installation shape (shap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changed. For example, the variable portion 21 has a shape (shape)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upling member 10 as in FIGS. 3 and 4 in the initial stage (before installation). And after installation, it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and the installation shape (shape) is changed. Specifically, as shown in (a), (b) and (c) of FIG. 4, the variable portion 21 is opene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oupling member 10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 At this time, the larger the size of the gap S, that is, the wider the gap S is, the wider the variable portion 21 opens to adjust the clearance P (see FIG. 6).

도 4의 (a), (b) 및 (c)는 각각 틈새(S)의 크기에 따른 가변부(21)의 가변 정도를 예시한 것으로서, (a)보다는 (b)가, (b)보다 (c)가 많이 벌어진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즉, 틈새(S)의 크기가 작으면 (a), 틈새(S)의 크기가 중간 정도이면 (b), 그리고 틈새(S)의 크기가 크면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부(21)를 가변시켜 설치한다. (A), (b) and (c) of FIG. 4 illustrate the degree of variation of the variable portion 2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and (b) is more than (b) than (a). (c) is an illustration of how much has happened. That is, if the size of the gap S is small (a), if the size of the gap S is medium (b), and if the size of the gap S is large, as shown in (c), the variable portion ( 21) is installed by changing.

또한, 상기 유입 차단부(22)는 가변부(21)와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이는 손가락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유입 차단부(22)는 라운드부(R)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variable portion 21, which blocks the inflow of a finger or a foreign material.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may have a round portion (R).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유격 유지수단(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가변부(21)의 가변 후, 상기 가변부(21)를 고정하여 유격(P)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21)의 가변에 의해 유격(P)이 조절되면,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에 의해 가변부(21)의 가변 정도가 고정되어 유격(P)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lay retention means 30 for maintaining a constant play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jam prevention member 20. . The gap maintaining means 30, after the variable portion 21 is variable, fixes the variable portion 21 to keep the gap P constant.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earance P is adjusted by the variable of the variable portion 21, the variable degre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fixed by the gap maintaining means 30 and the clearance ( P) remains constant.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가변부(21)에 형성된 복수의 유격 조절홈(32)과, 상기 유격 조절홈(32)에 끼워지는 유격 유지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격 조절홈(32)은 가변부(21)의 일측에 형성되되, 이는 복수개로서 다단으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earance maintaining means 30 includes a plurality of clearance adjustment grooves 32 formed in the variable portion 21, and an clearance retention unit 34 fitted to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can do. 3 and 4,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ariable portion 21, which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as a plurality.

상기 유격 조절홈(32)은 2개 이상이다. 상기 유격 조절홈(32)은, 예를 들어 제1단 조절홈(32a), 제2단 조절홈(32b) 및 제3단 조절홈(32c) 등으로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격 조절홈(32)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is two or more.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for example, the first stage adjustment groove 32a, the second stage adjustment groove 32b and the third stage adjustment groove 32c, etc. may be formed in plural, the number of which It is not limited. 3 and 4,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may be formed in a tooth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결합부재(10)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재(10)와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결합부재(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테이퍼(taper)진 말단(34a)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말단(34a)은 유격 조절홈(32)에 끼워져 가변부(21)를 고정한다. The clearance retaining portion 34 may extend and be formed from the coupling memb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clearance retaining portion 34 is formed integrally from the coupling member 10, it may be formed, extending parallel to the coupling member 10. That is,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10. In addition,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may have a tapered end 34a, and the end 34a is fitted into the clearance adjusting groove 32 to fix the variable portion 21.

따라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틈새(S)의 크기에 따라 가변부(21)를 가변시킨 후, 유격 유지수단(30)으로 가변부(21)의 설치 모양을 고정하면 적절한 유격(P)을 갖게 할 수 있다. 즉, 가변부(21)를 소정 각도로 벌어지게 한 후, 상기 유격 조절홈(32)에 유격 유지부(34)의 말단(34a)을 끼움 고정하면, 탄성의 가변부(21)는 복원되지 않고 가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 구체적으로는 도어(D)의 정면(Da)과 가변부(21)의 끝단 간의 유격(P)을 적절하게 조절,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referring to FIGS. 4 and 5, after varying the variable portion 2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if the installation shap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fixed by the gap maintaining means 30, an appropriate gap ( P). That is, when the variable portion 21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xed end 34a of the gap maintaining portion 34 is fitted to the clearance adjusting groove 32, the elastic variable portion 21 is not restored. Without being fixed in a variable state. Accordingly, the clearance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specifically, the clearance (P) between the front end (Da) of the door (D) and the end of the variable portion (21), as appropriate, Can be maintained.

또한, 도 4의 (a), (b) 및 (c)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유격 유지부(34)와 복수개의 다단 조절홈(32a)(32b)(32c)을 통해, 가변부(21)의 가변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틈새(S)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적어도 유격(P)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a), (b) and (c) of Figure 4, through the clearance retaining portion 34 and a plurality of multi-stage adjustment groove (32a) (32b) (32c), the variable portion 21 ) Can be fixed by adjusting the variable in multiple stag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pond variab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gap S, and at least the clearance P can be freely adjusted.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21)와 유격 유지부(34)는 각각 결합부재(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이들은 평행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결합부재(10)의 수평 방향을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부(21)는 결합부재(10)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되, 유격 유지부(34)의 상부에 위치하여 평행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are formed to extend and extend integrally from the coupling member 10, respectively, and they may be parallel.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clearance retaining portion 34 is integrally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variable portion 21 is integrally formed from the coupling member 10. However, it may be formed in a parallel posi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또한, 상기 가변부(21)와 유격 유지부(34)의 사이에는 빈 공간의 중공(1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10)와 유격 유지부(34)의 사이에는 홈(groove) 형상의 노치(notch)(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15)과 노치(16)는 적어도 유격 유지부(34)의 꺾임 조작을 원활하게 하고, 이와 함께 상기 유격 조절홈(32)과 유격 유지부(34) 간의 끼움 조작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a hollow 15 of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gap holding portion 34, and a groove shape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gap holding portion 34. A notch 16 of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hollow 15 and the notch 16 at least facilitate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fitting operation between the clearance adjusting groove 32 and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Can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지그(200)는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 작업을 개선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지그(200)는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가압,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부(210)와, 상기 가압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벽면 밀착부(220)와, 상기 벽면 밀착부(220)에 형성된 손잡이부(23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jig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5 and 6, the installation jig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ortion 210 and the pressing portion 210 to pressurize and close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It includes a wall contact portion 220 and a handle portion 230 formed on the wall contact portion 220.

본 발명에서, 상기 설치 지그(2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설치 지그(200)는, 예를 들어 금속재, 플라스틱재 및/또는 세라믹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설치 지그(200)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경질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installation jig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installation jig 2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a plastic material, and / or a ceramic material. The installation jig 200 is, for exampl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aluminum (Al) alloy, or stainless steel (SUS), or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 or a hard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가압부(210)는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벽체(W)의 배면(Wa) 쪽으로 가압, 밀착시켜 부착시킨다. 도 6을 참고하면,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 시, 상기 가압부(210)는 틈새(S) 내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210)는 손 끼임 방지장치(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틈새(S) 내에 삽입된다. 이때, 가압부(210)에는 끼움돌기(214)가 형성되고,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에는 끼움홈(14)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14)은 결합부재(10)의 일측에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214)는 가압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되, 이는 끼움홈(14)의 개수와 대응된다. The pressing portion 210 is attached to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by pressing and closely contacting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Referring to Figure 6, when install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the pressing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gap (S). Specifically, the pressing part 210 is inserted into the gap S in a state where it is combined with the hand jamming prevention device 100. 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214 is formed on the pressing portion 210, and the fitting groove 14 is formed on the hand jamming preventing device 100 and may be combined. One or two or more fitting grooves 1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10. The fitting protrusion 21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210, which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fitting grooves (14).

상기 벽면 밀착부(220)는 가압부(210)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되,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210)와 90도의 직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벽면 밀착부(220)는 벽체(W)의 측면(Wb)의 밀착된다. 그리고 벽면 밀착부(22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부(2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wall contact portion 220 is integrally formed from the pressing portion 210, which may extend and form a right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pressing portion 210 as shown in FIG. The wall contact portion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Wb of the wall W. In addition, a hand grip portion 230 that a user can hold by hand is protru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contact portion 220.

위와 같은 설치 지그(200)를 이용하여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using the above installation jig 200 is as follows.

먼저, 손 끼임 방지장치(100)와 설치 지그(200)에 결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에 형성된 끼움홈(14)에 상기 가압부(210)에 형성된 끼움돌기(214)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 등의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손 끼임 방지장치(100)와 가압부(210)를 임시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First, it is coupled to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nd the installation jig 200. As described above, the fitting protrusion 214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210 may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4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10. For another example, by using an attachment means such as an adhesive tape,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nd the pressing portion 210 may be temporarily combined.

다음으로,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와 가압부(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을 틈새(S) 내에 삽입하되, 상기 결합부재(10)를 벽체(W)의 배면(Wa)에 밀착시킨다. 이는 도 6의 (a)와 같다. 그리고 손잡부(230)를 당기어 결합부재(10)를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한다. 이때, 결합부재(10)에 접착부재(40)로서 양면 접착 테이프를 접착한 경우, 양면 접착 테이프의 이형지를 제거하면서 위에서부터 아래로 부착한다. 이후, 손 끼임 방지장치(100)로부터 설치 지그(200)를 분리 제거한다. 이는 도 6의 (b)와 같다. Next, in the state in which the hand jamming prevention device 100 and the pressing portion 210 are coupled, they are inserted into the gap S, but the coupling member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Wa of the wall W. . This is as shown in Fig. 6 (a). Then, the hand member 230 is pulled to attach the coupling member 10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At this time, when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is adhered to the coupling member 10 as the adhesive member 40, it is attach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hile removing the release paper of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reafter, the installation jig 200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This is as shown in Fig. 6 (b).

위와 같이, 벽체(W)의 배면(Wa)에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부착한 후, 틈새(S)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유격(P)을 갖도록 조절한다. 즉, 상기 가변부(21)와 유격 유지부(34)의 가변, 고정을 통해 적절한 유격(P)을 갖도록 조절한다. 이때,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T)를 이용하여 유격 유지부(34)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공구(T)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driv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구(T)를 이용하여 유격 유지부(34)를 가압하되, 틈새(S)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조절홈(32a)(32b)(32c)을 선택하고, 여기에 유격 유지부(34)를 끼움 고정하여 적절한 유격(P)을 갖도록 조절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attach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to the back surface Wa of the wall W, it is adjusted to have an appropriate clearance 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That is,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are adjusted to have an appropriate clearance P through variable and fix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b), using the tool (T) it is possible to press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The tool T may use, for example, a driver. Using the tool (T) to press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learance (S) to select the appropriate adjustment groove (32a) (32b) (32c), here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It is adjusted to have proper play (P) by fixing.

본 발명에서, 상기 유격(P)은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가 부딪히지 않으면서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폭(간격)을 가지면 좋다. 상기 유격(P)은, 예를 들어 6mm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도어(D)의 개폐 시 유동성(흔들임)에 의한 끼임 방지부재(20)와의 부딪힘 방지 등을 고려한다면, 상기 유격(P)은 0.2mm ~ 5.0mm, 구체적인 예를 들어 0.5mm ~ 4.0mm로 조절, 유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P) may have a width (interval) to prevent the fingers from getting caught without colliding with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The clearance P may be adjusted to, for example, 6 mm or less. When considering the collision with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due to fluidity (shaking)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D, the clearance P is 0.2 mm to 5.0 mm, for example, 0.5 mm to 4.0 mm. Can be adjusted and maintain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도어(D)와 벽체(W) 사이에 설치되어 있되, 이는 3개로 절단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때, 도 7에서 오른쪽에 도시된 3개의 절단된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추가로 도시한 것이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7,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is installed between the door (D) and the wall (W), which shows a state of being cut into three. At this time, the three cut hand jamming prevention device 100 shown on the right in FIG. 7 is addition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틈새(S)는 위/아래쪽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 끼임 방지장치(F)를 설치한 경우에도 잉여틈새(Sa)(도 2 참고)가 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일 수 있다.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설치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이며, 이를 위해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 끼일 수 있는 잉여틈새(Sa)가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As mentioned above, the gap (S) of the elevator may have a difference above / below. In the conventional case, even when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F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 surplus gap Sa (see FIG. 2) is formed and fingers may be caught. In the installation of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afety, and for this, in any case, a surplus gap Sa that can pinch fingers of young children should not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위/아래쪽 틈새(S)의 차이가 있든간에, 그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가변부(21)를 통해 잉여틈새(Sa)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아래쪽의 유격(P)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도 4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s S, in any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he excess clearance Sa through the variable portion 21.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ly adjust the upper / lower clearance (P).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7 as follows.

엘리베이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틈새(S)의 크기가 큰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도 7에서, S1은 상측 틈새, S2는 가운데 틈새, S3는 하측 틈새이고, S1 < S2 < S3인 경우를 가정한다.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gap S is larg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s, in FIG. 7, it is assumed that S1 is an upper clearance, S2 is a central clearance, S3 is a lower clearance, and S1 <S2 <S3.

위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틈새(S)의 크기가 다른 경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복수개로 절단하여 설치하되, 각 설치 위치마다 가변부(21)의 가변 정도를 다르게 하여 설치한다. 이때, 절단은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일부 구성요소를 절단하거나 전체를 절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부(21) 및 유격 유지부(34)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절단(일부 절단)하거나, 상기 결합부재(10)를 포함한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전체를 절단할 수 있다. 도 7에는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전체 구성요소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틈새(S) 내에 3개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ze of the gap 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fferent,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is cut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but the variable degre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installed at different installation positions. At this time, the cutting may cut some components of the hand jamming prevention device 100 or may cut the whole. Specificall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clearance retaining portion 34 may be cut (part cut), or the entire hand jamming preventing device 100 including the coupling member 10 may be cut. . In FIG. 7, three components are installed in the gap S by cutting the entire component of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먼저, 틈새(S)의 크기가 작은 상측 틈새(S1)의 경우에는 도 4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부(21)의 제1단 조절홈(32a)에 유격 유지부(34)를 끼움 고정하여 적절한 유격(P)을 갖게 한다. 그리고 틈새(S)의 크기가 중간 정도인 가운데 틈새(S2)의 경우에는 도 4의 (b) 및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부(21)의 제2단 조절홈(32b)에 유격 유지부(34)를 끼움 고정하여 적절한 유격(P)을 갖게 한다. 또한, 틈새(S)의 크기가 큰 하측 틈새(S3)의 경우에는 도 4의 (c) 및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부(21)의 제3단 조절홈(32c)에 유격 유지부(34)를 끼움 고정하여 적절한 유격(P)을 갖게 한다. First, in the case of the upper clearance (S1) having a small size of the clearance (S), as shown in FIGS. 4A and 7A, the first end adjustment groove 32a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adjusted. To fit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to have an appropriate clearance (P). And, in the case of the gap S2 in the middle of the size of the gap S, the second stage adjustment groove 32b of the variable portion 21 as shown in Figs. 4B and 7B. ) To secure the clearance (P) by fitting the clearance retention portion (34).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ower clearance S3 where the size of the clearance S is large, as shown in FIGS. 4 (c) and 7 (c), the third step adjustment groove 32c of the variable portion 21 To fit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to have an appropriate clearance (P).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틈새(S)의 크기가 다른 경우(S1 < S2 < S3)라도 가변부(21)의 가변 정도를 조절하게 되면, 균일한 유격(P)을 갖게 할 수 있다.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큰 폭으로 틈새(S)가 넓게 형성되어도 가변부(21)의 다단 조절홈(32a)(32b)(32c)을 통해 상측/가운데/하측의 전체 구간(세로 방향)에 걸쳐 균일한 유격(P)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잉여틈새(Sa)가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어린 아이들의 안정을 보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size of the gap 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fferent (S1 <S2 <S3), if the variable degre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adjusted, a uniform clearance P can be obtained. have. That is, even if the gap S is formed to be wid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entire section of the upper / middle / lower sid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multi-stage adjusting grooves 32a, 32b, 32c of the variable portion 21 It can be made to have a uniform play (P) ov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pinching of the fingers because the surplus gap Sa, which can be pinched by the fingers, is not generated as in the related art, and the stability of young children can be guaranteed.

이하, 첨부된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는 용어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이는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한 바와 같다. Hereinafter, the second to sixth embodiments of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5. In describing the second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dicate the same func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f there is a part that is not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this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가변부(21)에 형성된 복수의 유격 조절홈(32)과, 상기 유격 조절홈(32)에 끼워지는 유격 유지부(34)를 포함하되,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별개의 부재로서 도 8에서와 같이 결합부재(10)와 가변부(21)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결합부재(10) 상에 설치되되, 이는 틈새(S)의 크기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변부(21)의 가변 정도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유격 유지부(34)에는 유격 조절홈(32)에 끼워지는 돌기(34b)가 형성될 수 있다. 8 shows a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holding part 34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member. Specifically, the clearance maintaining means 30 includes a plurality of clearance adjustment grooves 32 formed in the variable portion 21, and an clearance retention unit 34 fitted to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the clearance distance The holding part 34 is a separate member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variable part 21 as shown in FIG. 8.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member 10, which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to fix the variable degre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n addition, a protrusion 34b fitted into the clearance adjusting groove 32 may be formed in the clearance holding part 34.

상기 가변부(21)는 초기(설치 전)에 결합부재(10)와 평행을 이루며, 설치 후에는 틈새(S)의 크기에 따라 소정 각도로 벌어진다. 이와 같이 틈새(S)의 크기에 따라 가변부(21)를 소정 각도로 벌어지게 한 후, 상기 유격 조절홈(32)에 유격 유지부(34)의 돌기(34b)을 끼움 고정하면, 탄성의 가변부(21)는 복원되지 않고 가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 구체적으로는 도어(D)와 유입 차단부(22) 간의 유격(P)을 적절하게 조절, 유지할 수 있다. The variable portion 21 is parallel to the coupling member 10 at the initial stage (before installation), and after installation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When the variable portion 21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jection 34b of the gap holding portion 34 is fitted into the gap adjusting groove 32, it is elastic. The variable portion 21 is fixed in a variable state without being restored. Accordingly, the clearance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specifically, the clearance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maintained.

[제3실시예][Example 3]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10의 (a)는 설치 지그(200)를 통해 설치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10의 (b)는 설치된 후의 모습이다. 9,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in FIG. 10,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elevator). ) Is installed. At this time, Figure 10 (a) is a state that is installed through the installation jig 200, Figure 10 (b) is a state after installation.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제3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결합부재(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대략 반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 차단부(22)는 가변부(21)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가변부(2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룬다. 유입 차단부(22)는, 예를 들어 가변부(21)와 60도 내지 12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며, 이는 결합부재(10) 쪽으로 꺽이여 각도를 이룬다. 도면에서는 유입 차단부(22)와 가변부(21)가 대략 직각(90도)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예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유입 차단부(22)의 일측에는 곡선부(2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곡선부(22a)에 손가락이 맞닿아 손가락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9 and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clearance retaining portion 34 is formed to extend integrally from the coupling member 10, may have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In addition,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variable portion 21, and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variable portion 21.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forms an angle of, for example, 60 degrees to 120 degrees with the variable portion 21, which is bent toward the coupling member 10 to form an angle. In the drawing,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and the variable portion 21 are illustrated to form a substantially right angle (90 degrees). In addition, a curved portion 22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and a finger may contact the curved portion 22a to block the inflow of the finger.

도 9 및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0)에는 2개의 끼움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 지그(200)의 가압부(210)에는 2개의 끼움돌기(2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부(21)는 초기(설치 전)에 결합부재(10)와 평행을 이루며, 설치 후에는 틈새(S)의 크기에 따라 소정 각도로 벌어진다. 이와 같이 틈새(S)의 크기에 따라 가변부(21)는 소정 각도로 벌어진 후, 상기 유격 조절홈(32)에 유격 유지부(34)가 끼움 고정되면, 탄성의 가변부(21)는 복원되지 않고 가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도 10의 (b)에 보인 바와 같이, 공구(T)를 이용하여 유격 유지부(34)를 가압하되, 틈새(S)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유격 조절홈(32)을 선택하고, 여기에 유격 유지부(34)를 끼움 고정하여 적절한 유격(P)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9 and 10, two fitting grooves 14 are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10, and two fitting protrusions 214 are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210 of the installation jig 200. Can be. In addition, the variable portion 21 is parallel to the coupling member 10 at the initial stage (before installation), and after installation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portion 21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and when the gap holding portion 34 is fixed to the clearance adjusting groove 32, the elastic variable portion 21 is restored. It is not fixed to a variable stat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0 (b), using the tool (T) to press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the appropriat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learance (S), and here It can be adjusted to have a suitable clearance (P) by fixing the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제4실시예][Example 4]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12의 (a)는 설치 지그(200)를 통해 설치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12의 (b)는 설치된 후의 모습이다. 11 shows a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shows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elev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installed. At this time, Figure 12 (a) is a state that is installed through the installation jig 200, Figure 12 (b) is a state after installation.

먼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가변부(21)는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본 제4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21)는 결합부재(10)와 소정의 각도(θ)를 이룬다. 즉, 상기 가변부(21)는 초기(설치 전)에 결합부재(10)와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며 벌어져 있다. 그리고 설치 시에는 틈새(S)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어 도어(D)의 정면(Da)과 접촉된다. 즉, 도 12의 (b)에 보인 바와 같이, 가변부(21)는 틈새(S) 내에 설치되어 도어(D)의 정면(Da)과 접촉된다. 이때, 가변부(21)의 끝단(21a)이 도어(D)의 정면(Da)과 접촉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1, the variable portion 21 is formed extending and extending from the coupling member 1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variable portion 21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oupling member 10 ( θ). That is, the variable portion 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coupling member 10 in the initial stage (before installation). In addition, upon installation, it is elastically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Da of the door D. That is, as shown in Figure 12 (b), the variable portion 21 is installed in the gap (S)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Da) of the door (D). At this time, the end (21a)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Da) of the door (D).

상기 가변부(21)는, 예를 들어 결합부재(10)와 20도 내지 60도의 각도(θ)를 갖는다. 가변부(21)는,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시 결합부재(10)와 20도 내지 60도의 각도(θ)를 갖도록 결합부재(10)와 일체로 압출 성형된다. 또한, 가변부(21)는 틈새(S)의 크기에 따라 압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The variable portion 21 has, for example, an angle θ of 20 to 60 degrees with the coupling member 10. The variable portion 21 is extrud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member 10 so as to have an angle θ of 20 degrees to 60 degrees with the coupling member 10 during extrusion molding, for example. In addition, the variable portion 21 has elasticity to be compres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도 12의 (a)를 참고하면, 엘리베이터에 설치 시, 상기 설치 지그(200)의 가압부(210)를 가변부(21)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가변부(21)는 가압부(210)의 가압에 의해 결합부재(10) 쪽으로 압착되어(오므라들어) 결합부재(10)에 거의 밀착된다. 이후, 도 12의 (b)에 보인 바와 같이, 설치 지그(200)를 제거하면, 가변부(21)는 탄성적으로 가변되어 도어(D)의 정면(Da)에 밀착된다. 즉, 설치 지그(20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가변부(21)는 탄성에 의해 복원되고(벌어지고), 상기 가변부(21)의 끝단(21a)은 도어(D)의 정면(Da)과 접촉된다. 그리고 유입 차단부(22)는 틈새(S)를 차단한다. Referring to (a) of FIG. 12, when installed in an elevator, the pressing portion 210 of the installation jig 2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ariable portion 21. At this time, the variable portion 21 is pressed against the coupling member 10 by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ortion 210 (obscur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member 10.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2B, when the installation jig 200 is removed, the variable portion 21 is elastically chang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Da of the door D. That is, when the installation jig 200 is removed, the variable portion 21 is restored (opened) by elasticity, and the end 21a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the front side Da of the door D Is in contact with. In addition,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blocks the gap S.

따라서, 본 제4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경우, 상기 가변부(21)는 초기(설치 전)에 결합부재(10)와 소정의 각도(θ)(예를 들어, θ = 30도)로 벌어져 있다가 설치 시에는 가압부(210)에 의해 결합부재(10)에 밀착(예를 들어, θ = 0도)된다. 그리고 설치된 후에는, 즉 설치 지그(200)의 제거 후에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도어(D)의 정면(Da)과 접촉(예를 들어, θ = 15도)된다. 이에 따라, 틈새(S)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변부(21)의 탄성적인 가변에 의해 틈새(S)를 차단하여 손가락 끼임을 방지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variable portion 21 is initially coupled (before installation) with the coupling member 10 and a predetermined angle (θ) (for example, θ = 30 degrees), and when installed, is in close contact (eg, θ = 0 degrees) to the coupling member 10 by the pressing portion 210. And after installation, that is, after removal of the installation jig 200 is elastically restored to contact the front (Da) of the door (D) (for example, θ = 15 degrees).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gap S, the gap S is blocked by the elastic variation of the variable portion 21 to prevent pinching of the fingers.

또한,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가변부(21)와 결합부재(1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의 중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15)은 가변부(21)의 탄성적인 가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an empty space hollow 15 may be formed between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coupling member 10. The hollow 15 may facilitate elastic variation of the variable portion 21.

[제5실시예][Example 5]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자동 도어 개폐장치(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14의 (a)는 설치 지그(200)를 통해 설치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14의 (b)는 설치된 후의 모습이다. 13,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FIG. 14 shows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installed. At this time, Figure 14 (a) is a state that is installed through the installation jig 200, Figure 14 (b) is a state after installation.

먼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제5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21)는 결합부재(10)와 소정의 각도(θ)를 이루거나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변부(21)는 초기(설치 전)에 결합부재(10)와 20도 내지 60도의 각도(θ)를 이루며 벌어져 있거나, 결합부재(10)와 평행을 이루어도 좋다. 따라서, 상기 가변부(21)와 결합부재(10)가 이루는 각도(θ)는 20도 내지 60도이거나, O도(평행)일 수 있다. 도 13에서는 가변부(21)와 결합부재(10)가 소정의 각도(θ)로 벌어져 있는 모습을 예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0)의 일면(상부 표면)에는 가변부(21)의 가변을 용이하게 하는 노치(16)가 형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3,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embodiment, the variable portion 21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ngle θ or parallel to the coupling member 10. That is, the variable portion 21 may be open at an angle (θ) of 20 to 60 degrees with the coupling member 10 in the initial stage (before installation), or may be parallel to the coupling member 10. Therefore, the angle θ formed between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coupling member 10 may be 20 degrees to 60 degrees or O degrees (parallel). In FIG. 13, the variable part 21 and the coupling member 10 are illustrated as being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In addition, a notch 16 that facilitates the change of the variable portion 2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

또한, 본 제5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격 조절홈(32)은 유입 차단부(2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유격 조절홈(32)은 유입 차단부(22)의 일측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clearance adjusting groove 32 may be formed in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That is, as shown in FIG. 13,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may be formed in plural on one side of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And the clearance holding part 34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oupling member 10.

도 14의 (a) 및 (b)를 참고하면, 엘리베이터에 설치 시, 설치 지그(200)를 이용하여 벽체(W)의 배면(Wa)에 가압, 부착한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40)를 통해 부착한 다음 가압력을 해제하면, 가변부(21)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초기에 θ = 20도 내지 60도인 경우)되어 벌어지거나, 결합부재(10)에 밀착된 상태(초기에 θ = O도(평행)인 경우)가 된다. 이후, 틈새(S)의 크기에 따라 가변부(21)를 가변시켜 도어(D)의 정면(Da)와 가변부(21) 간의 유격(P)을 조절한 다음, 상기 유입 차단부(22)에 형성된 유격 조절홈(32)에 유격 유지부(34)를 끼움 고정하여 적절한 유격(P)을 갖도록 설치한다. Referring to (a) and (b) of FIG. 14, when installed in an elevator, the mounting jig 200 is used to pressurize and attach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For example, when attaching through the adhesive member 40 and then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the variable portion 21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in the case of θ = 20 degrees to 60 degrees initially), and opens, or the bonding member 10 It is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in the case where θ = O degree (parallel) at the beginning). Thereafter, the variable portion 21 is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to adjust the clearance P between the front portion Da and the variable portion 21 of the door D, and then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Install the fixed clearance (34) in the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formed in the fitting to have an appropriate clearance (P).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유격(P)은 가압부(210)의 두께(T2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b)를 참고하면, 상기 유격(P)의 조절 시, 설치 지그(20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부(210)를 도어(D)의 정면(Da)에 밀착시키고, 이와 함께 상기 가변부(21)를 가변시키되, 가변부(21)의 끝단(21a)을 가압부(210)의 일면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유격 조절홈(32)에 유격 유지부(34)를 끼움 고정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P may be determined by the thickness T210 of the pressing portion 210. Specifically, referring to (b) of FIG. 14, when adjusting the clearance P, the pressing portion 2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Da of the door D without removing the installation jig 200. Then, the variable portion 21 is varied together, but the end portion 21a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10, and then there is a clearance holding portion 34 in the clearance adjusting groove 32. ).

위와 같이 설치하는 경우, 도어(D)의 정면(Da)와 가변부(21) 간의 유격(P)은 가압부(210)의 두께(T210)에 따라 결정된다. 즉, 도 14의 (b)에서 P = T210가 된다. 이 경우, 가압부(210)의 두께(T210)가 유격(P)을 결정하여, 어떠한 경우라도 유격(P)을 모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210)의 두께(T210)가 2mm인 설치 지그(200)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건물이 다른 경우에나 같은 건물 내에 2개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경우에는 물론, 동일한 엘리베이터의 위/아래쪽 틈새(S)가 다른 경우에도 상기 설치 지그(200)를 동일하게 사용하게 되면, 모든 엘리베이터의 유격(P)를 2mm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When installed as above, the clearance (P) between the front (Da) of the door (D) and the variable portion 2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T210) of the pressing portion 210. That is, P = T210 in FIG. 14B. In this case, the thickness T210 of the pressing portion 210 determines the clearance P, and in any case, the clearance P can be kept constant.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nstallation jig 200 having a thickness T210 of the pressing portion 210 is 2 mm. When two or more elevators are installed in the same building or in different buildings, as well as when the upper / lower clearance (S) of the same elevator is different, if the installation jig 200 is used identically, the clearance of all elevators ( P) can be kept constant at 2 mm.

[제6실시예][Example 6]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15 shows a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제6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5실시예의 변형예이다. 상기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부(21)는 초기(설치 전)에 결합부재(10)와 소정의 각도(θ)를 이루거나 평행(θ = 0도)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is sixth embodiment is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in the fifth embodiment, the variable portion 2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or parallel (θ = 0 degrees) with the coupling member 10 in the initial stage (before installation). .

도 15를 참고하면, 본 제6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결합부재(10)와 가변부(21)에 내입된 금속 심재(35)(3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결합부재(10)에 내입된 제1심재(35)와, 상기 가변부(21)에 내입된 제2심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심재(35)와 제2심재(36)는 일체로 구성되며, 이들은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거나 평행(θ = 0도)하다. 상기 제1심재(35)와 제2심재(36)가 이루는 각도(θ1)는, 예를 들어 20도 ~ 60도로서, 이는 상기 가변부(21)와 결합부재(10)가 이루는 각도(θ)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15에서, θ1 = θ일 수 있다. 도 13에서는 제1심재(35)와 제2심재(36)가 소정의 각도(θ1)로 벌어져 있는 모습으로서, 대략 "<"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금속 심재(35)(36)를 예시하였다.Referring to FIG. 15,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clearance maintaining means 30 may include a metal core material 35 and 36 embedded in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variable portion 21. That is, the clearance maintaining means 30 may include a first core material 35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10 and a second core material 36 embedded in the variable portion 21. At this time, the first core material 35 and the second core material 36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y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1 or are parallel (θ = 0 degrees). The angle (θ 1 ) formed by the first core material 35 and the second core material 36 is, for example, 20 degrees to 60 degrees, which is the angle formed by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coupling member 10 ( θ). That is, in FIG. 15, θ 1 = θ. In FIG. 13, the first core 35 and the second core 36 are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1 , exemplifying a metal core 35 and 36 having a substantially “<” shaped cross-sectional shape. Did.

상기 금속 심재(35)(36)는 가변부(21)의 가변 정도가 조절되면, 가변부(21)의 형태를 유지시켜 적절한 유격(P)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가변된 가변부(21)는 금속 심재(35)(36) 자체의 금속성에 의해 복원되지 않고 가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심재(35)(36)는 가변부(21)의 복원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이면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철(Fe) 및 이들의 합금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When the degree of variation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adjusted, the metal cores 35 and 36 maintain the shape of the variable portion 21 so that an appropriate clearance P is maintained. That is, the variable variable portion 21 can maintain a variable state without being restored by the metallicity of the metal core materials 35 and 36 itself. The metal core 35, 36 may be any metal that can prevent the restoration of the variable portion 21, which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aluminum (Al), iron (Fe), and alloys thereof.

또한, 본 제6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예를 들어 이중 압출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압출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10)와 가변부(21)의 내부에 금속 심재(35)(36)가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제6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예를 들어 대략 "<"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금속 심재(35)(36)를 압출 성형(1차 압출)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심재(35)(36)의 표면에 가변부(21)와 결합부재(10)가 피복되도록 압출 성형(2차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압출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for example, through double extrusion. Through the double extrusion, a metal core material 35 and 36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variable portion 21.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for example, extruding (primary extrusion) a metal core material 35 and 36 having a substantially “<” cross-sectional shape, and It can be produced by a double extrus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xtrusion molding (secondary compression) to cover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coupling member 10 on the surface of the metal core 35, 36.

부가적으로, 도 14의 (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6실시예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설치 지그(200)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 가압부(210)의 두께(T210)에 의해 유격(P)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격(P)의 조절 시, 설치 지그(20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부(210)를 도어(D)의 정면(Da)에 밀착시키고, 이와 함께 상기 가변부(21)를 가변시키되, 가변부(21)의 끝단(21a)을 가압부(210)의 일면에 밀착시킨다. 이후, 설치 지그(200)를 제거하더라도 가변부(21)는 금속 심재(35)(36)에 의해 복원되지 않고 가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설치 지그(200)의 제거 후, 가변부(21)의 끝단(21a)과 도어(D)의 정면(Da) 간의 거리가 유격(P)이 되고, 상기 유격(P)은 가압부(210)의 두께(T210)에 따라 결정된다. Additionall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b) of FIG. 14, when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installed using the installation jig 200, the pressing part 210 The play distance P may be determined by the thickness T210. Specifically, when the clearance P is adjusted, the pressing portion 2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Da of the door D without removing the installation jig 200, and the variable portion 21 together therewith. The variable, but the end (21a)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10). Subsequently, even if the installation jig 200 is removed, the variable portion 21 is not restored by the metal core materials 35 and 36 and maintains a variable state. At this time, after removal of the installation jig 200,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Da) of the end (21a) of the variable portion 21 and the door (D) becomes the play (P), the play (P) is the pressing part ( 2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T21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낮고, 실용성이 개선된다. 구체적으로,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가 최소화되고 구조적 및/또는 형태적으로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높은 경제성을 가지면서 실용적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practicality is improved. Specifically,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finger pinch prevention device 100 is minimized, and it is structurally and / or simple in shape, and is easy to install.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it is practical while having high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된 형태로서, 틈새(S) 내에 삽입된 구조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등의 외관성을 확보하고 화물, 카트(cart) 및 골프채 등에 부딪힐 우려가 없어 이탈이나 손상되지 않아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form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serted in the gap (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appearance of an elevator or the like is secured, and there is no fear of bumping into a cargo, a cart, a golf club, and the like, and thus has excellent durability without being damaged or damaged.

무엇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틈새(S)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그 어떠한 경우에도 손가락 등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틈새(S)의 크기(폭)은 엘리베이터의 설치 장소(건물 등)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또한 틈새(S)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설치 구조, 외부의 원인 및/또는 노후 등에 따라 위/아래쪽의 상하 방향으로 크기(폭)가 서로 달라 잉여틈새(Sa)가 형성될 수 있다. Above al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pinching of fingers or the like in any case by variably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As described above, the size (width) of the gap 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building, etc.) of the elevator, and the gap S is also the design of the elevator, the installation structure, external causes and / or aging, etc. Accordingly, the size (width) of th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 surplus gap Sa may be form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끼임 방지부재(20)를 구성하는 상기 가변부(21)는 유입 차단부(22)와 함께 틈새(S) 내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틈새(S) 내에서 틈새(S)의 크기(폭)에 따라 가변되어, 틈새(S)의 크기(폭)에 상관없이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을 적절하게 조절한다는 점에서 그의 기술적 의의가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portion (21) constituting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ap (S) together with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but within the gap (S) It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width) of the clearance (S), regardless of the size (width) of the clearance (S), in terms of properly adjusting the clearance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There is a technical significanc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틈새(S) 내에 삽입, 설치된 가변부(21)가 틈새(S)의 크기(폭)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어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고, 이와 함께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portion 21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ap S is elastically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width) of the gap S to prevent pinching of fingers, and Together, the clearance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can be uniformly maintained.

또한, 상하 방향으로 틈새(S)의 크기(폭)가 다른 경우(도 7에서, S1 < S2 < S3)에도 가변부(21)의 가변 정도를 다르게 하면, 틈새(S)의 크기에 상관없이 잉여틈새(Sa)가 형성되지 않고 손가락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위/아래쪽 상하 방향의 전체 구간에 걸쳐 유격(P)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size (width) of the gap 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fferent (in FIG. 7, S1 <S2 <S3), even if the variable degre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differen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gap S Surplus gap (Sa) is not formed and can block the inflow of fingers. In addition, the clearance (P) can be maintained uniformly over the entire section in the up / down direc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틈새(S)의 크기(폭)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잉여틈새(Sa)가 형성되지 않아 그 어떠한 경우에도 손가락 등의 끼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and jam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size (width) of the gap S, and the surplus gap Sa is not form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pinching, thus ensuring the safety of young children.

D : 도어 W : 벽체
S : 틈새 P : 유격
10 : 결합부재 20 : 끼임 방지부재
21 : 가변부 22 : 유입 차단부
30 : 유격 유지수단 32 : 유격 조절홈
34 : 유격 유지부 35, 36 : 금속 심재
40 : 접착부재 100 : 손 끼임 방지장치
200 : 설치 지그 210 : 가압부
220 : 벽면 밀착부 230 : 손잡이부
D: Door W: Wall
S: clearance P: clearance
10: coupling member 20: pinch prevention member
21: variable portion 22: inlet blocking portion
30: clearance maintenance means 32: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4: clearance holding part 35, 36: metal core material
40: adhesive member 100: hand jam prevention device
200: mounting jig 210: pressing part
220: wall contact portion 230: handle portion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D)와 벽체(W)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S) 내에 삽입, 설치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로서,
상기 벽체(W)에 부착되는 결합부재(10); 및
상기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틈새(S) 내에 설치되어 손가락이나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 방지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10)는 도어(D)의 정면(Da)과 마주하고 있는 벽체(W)의 배면(Wa)에 부착되고,
상기 끼임 방지부재(20)는,
상기 결합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틈새(S)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부(21)와,
상기 가변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손가락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 차단부(22)를 포함하되,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상기 가변부(21)가 가변된 후, 상기 가변부(21)를 고정하여 상기 도어(D)와 끼임 방지부재(20) 간의 유격(P)을 유지시키는 유격 유지수단(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is inserted into the gap (S) formed between the door (D) and the wall (W)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 coupling member 10 attached to the wall W; And
It extends from the coupling member 10, is formed, and is provided in the gap (S) includes a pinch preventing member 20 to prevent fingers or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The coupling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facing the front (Da) of the door (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A variable portion 21 extending and formed from the coupling member 10 and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S,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variable portion 21, and includes an inflow blocking portion 22 to block the inflow of fingers or foreign substances,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After the variable portion 21 is variable, further comprising a gap maintaining means 30 for fixing the variable portion 21 to maintain the gap P between the door D and the pinch prevention member 20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of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상기 가변부(21)에 형성된 복수의 유격 조절홈(32)과,
상기 가변부(21)가 가변된 후, 상기 가변부(21)의 유격 조절홈(32)에 끼워져 가변부(21)를 고정하는 유격 유지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
According to claim 3,
The clearance maintaining means 30,
A plurality of clearance adjustment groove 32 formed in the variable portion 21,
After the variable portion 21 is variabl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p holding portion 34 that is fitted to the gap adjusting groove 32 of the variable portion 21 to fix the variable portion 21 Device for preventing hand jamming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상기 유입 차단부(22)에 형성된 복수의 유격 조절홈(32)과,
상기 결합부재(10)에 형성된 유격 유지부(34)를 포함하고,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상기 가변부(21)가 가변된 후, 상기 유입 차단부(22)의 유격 조절홈(32)에 끼워져 가변부(21)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
According to claim 3,
The clearance maintaining means 30,
A plurality of clearance adjusting grooves 32 formed in the inflow blocking portion 22,
It includes a clearance retention portion 34 formed on the coupling member 10,
The clearance holding part 34, after the variable part 21 is variable, is inserted into the clearance adjusting groove 32 of the inflow blocking part 22 to fix the variable part 21, an automatic door Hand jam prevention device of the switchgear (10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유지부(34)는 결합부재(1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상기 가변부(21)와 결합부재(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별개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4,
The clearance holding part 34 is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extended or formed on the engaging member 10 or is a separate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variable part 21 and the engaging member 10.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 유지수단(30)은 결합부재(10)와 가변부(21)에 내입된 금속 심재(35)(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
According to claim 3,
The clearance maintaining means 30 is a locking device 100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tal core material 35 and 36 embedded in the coupling member 10 and the variable portion 21.
삭제delete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와,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지그(200)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지그(200)는,
상기 틈새(S) 내에 삽입되어,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벽체(W)의 배면(Wa) 쪽으로 가압,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부(210);
상기 가압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벽체(W)의 측면(Wb)의 밀착되는 벽면 밀착부(220); 및
상기 벽면 밀착부(220)에 형성된 손잡이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용 설치장치.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and
Including the installation jig 200 for install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The installation jig 200,
It is inserted into the gap (S), the pressing portion 210 for pressing and contact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toward the rear surface (Wa) of the wall (W);
A wall contact portion 220 extending and formed from the pressing portion 210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Wb of the wall W; And
Installation device for preventing pinching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portion (230) formed on the wall contact portion (220).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자동 도어 개폐장치의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틈새(S) 내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설치방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틈새(S)의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손 끼임 방지장치(100)를 복수개로 절단하여 설치하되, 각 설치 위치마다 상기 가변부(21)의 가변 정도를 다르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균일한 유격(P)을 갖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끼임 방지장치(100)의 설치방법.
As an installation method for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into the gap (S),
When the size of the gap 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fferent, the hand jamming prevention device 100 is cut and installed in plural, but the variable degree of the variable portion 21 is different for each installation position to be uniform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tallation method of the hand jam prevention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have a play (P).
KR1020190030618A 2019-03-18 2019-03-18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114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18A KR102114014B1 (en) 2019-03-18 2019-03-18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18A KR102114014B1 (en) 2019-03-18 2019-03-18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014B1 true KR102114014B1 (en) 2020-05-22

Family

ID=7091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618A KR102114014B1 (en) 2019-03-18 2019-03-18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0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211B1 (en) 2022-08-10 2023-04-24 황인정 Sliding door apparatus having jamming preven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745A (en) 1995-03-16 1998-08-18 Kleeneze Sealtech Limited Finger guard for a door of an elevator
JP2005132517A (en) * 2003-10-28 2005-05-26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door modification method
KR100862738B1 (en) 2007-12-20 2008-10-10 주식회사 한테크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 elevator
KR200480626Y1 (en) 2016-04-04 2016-06-16 박지환 Device for prtecting finger from elevevator door
KR200482729Y1 (en) * 2016-02-22 2017-02-27 홍종우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745A (en) 1995-03-16 1998-08-18 Kleeneze Sealtech Limited Finger guard for a door of an elevator
JP2005132517A (en) * 2003-10-28 2005-05-26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door modification method
KR100862738B1 (en) 2007-12-20 2008-10-10 주식회사 한테크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 elevator
KR200482729Y1 (en) * 2016-02-22 2017-02-27 홍종우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480626Y1 (en) 2016-04-04 2016-06-16 박지환 Device for prtecting finger from elevevator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211B1 (en) 2022-08-10 2023-04-24 황인정 Sliding door apparatus having jamming preven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3508A (en) Edge protector
US8151519B2 (en) Power sliding window assembly with caps
US20080083517A1 (en) Door shutter
KR100836478B1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KR102114014B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482729Y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491281Y1 (en) Furniture Door Frame Handle Door Frame
KR101162551B1 (en) Safety Device of Glass Door
KR200454552Y1 (en) Door handle
KR101226087B1 (en) A member for preventing breakaway of window
JP2008150925A (en) Sliding door
KR200486939Y1 (en) Sliding door handle for easy removal and detachment
KR20180117395A (en) filling piece installation structure of sliding window
JP5002782B2 (en) Door stopper
JPH1029783A (en) Sill device for elevator
KR101886121B1 (en) Guide apparatus for screen and blind comprising the same
KR101161082B1 (en) A door protector structure
JP3668841B2 (en) Sash airtight material
KR200279148Y1 (en) Windbreak brush which can also be used as Absortion rubber frame for strengnthened glass door
KR102327306B1 (en) Window locking device
KR101960495B1 (en) Hand protection device
JP2500278Y2 (en) Door stop device
KR101445018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door frame
KR102125482B1 (en) Finger protector for hinged door
GB2503934A (en) Guide rail with reinforcing member for a window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