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18Y1 - 때밀이 타월 - Google Patents

때밀이 타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18Y1
KR200494418Y1 KR2020200002147U KR20200002147U KR200494418Y1 KR 200494418 Y1 KR200494418 Y1 KR 200494418Y1 KR 2020200002147 U KR2020200002147 U KR 2020200002147U KR 20200002147 U KR20200002147 U KR 20200002147U KR 200494418 Y1 KR200494418 Y1 KR 200494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friction
towel body
assisting member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진우
Original Assignee
나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진우 filed Critical 나진우
Priority to KR2020200002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washing the back, e.g. bath str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때밀이 직물로 된 표면부와 이면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타월 본체 및 상기 타월 본체 내부에, 즉 상기 타월 본체의 상기 표면부와 상기 이면부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타월 본체가 목욕하는 사람의 피부에 마찰되는 것을 도와주는 마찰보조 부재를 포함하는 때밀이 타월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때밀이 타월에 있어서, 상기 마찰보조 부재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평면도 관점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 측면도 또는 단면도 관점에서 양 말단부는 두께가 낮고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높아서 상방향의 단방향으로 또는 상방향 및 하방향의 양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의 평평한 마루부와 평평한 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은 혼자서 등의 때를 밀때 효과적이고, 사용이 편리하며 제작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때밀이 타월{Scrubbing Towel}
본 고안은 때밀이 타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혼자서 등의 때를 밀때 효과적인 때밀이 타월에 관한 것이다.
목욕할 때 때밀이 타월이 흔히 사용된다. 때밀이 타월은 소위 이태리타월이라 불리우는데, 거친 질감의 천으로 제조되어 물리적 마찰에 의하여 피부 표면의 때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때밀이 타월은 일반형과 등밀이 형으로 구분된다. 일반형 때밀이 타월은 손을 끼워넣고 손이 직접 닿는 신체 부위의 때를 밀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장갑 형상이 제안되어 왔다. 등밀이 형은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말단부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등밀이형 때밀이 타월의 손잡이를 잡고 때밀이 타월 본체를 등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마찰을 일으켜 때를 밀게 된다.
특허등록 제10-0643872호(2006. 11. 01. 등록)는 입욕용 타올, 때밀이 수건 및 청소 도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입욕용 타올은 타올 본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주머니부에 요철 블록이 수납된 구성을 가진다. 이때, 요철 블록은 럭비공과 같은 타원형의 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 홈을 가지며 또한 복수개의 돌기를 가진다.
특허등록 제10-0738831호(2007. 07. 06. 등록)는 목욕타월을 개시한다. 개시된 목욕타월은 때밀이 타월의 개구부에 쿠션재가 삽입되고, 쿠션재가 삽입된 2개의 때밀이 타월들의 둘레가 거품타월의 양면 중앙에 각각 재봉되어 형성된다.
특허공개 제10-2011-0049202호(2011. 05. 12. 공개)는 건포마찰 마사지 겸용 때밀이 타올을 개시한다. 개시된 때밀이 타올은 2개의 스펀지를 내부에 포함하고, 스펀지가 삽입된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스펀지를 끄집어 내어 뒤집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특허공개 제10-2011-0062191호(2011. 06. 10. 공개)는 때밀이타월을 개시한다. 개시된 때밀이타월은 양단부에 파지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일정간격으로 가로지르게 돌출부설되는 다수개의 마찰부와 마찰부에 각각 충전되는 내장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때밀이 타월은 혼자서 등의 때를 밀때 유용하지만, 사용상 다소 불편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의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있으며, 또한 제작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혼자서 등의 때를 밀때 효과적이고, 사용이 편리하며 제작이 용이한 때밀이 타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때밀이 타월은 때밀이 직물로 된 표면부와 이면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타월 본체 및 상기 타월 본체 내부에, 즉 상기 타월 본체의 상기 표면부와 상기 이면부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타월 본체가 목욕하는 사람의 피부에 마찰되는 것을 도와주는 마찰보조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에 있어서, 상기 마찰보조 부재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평면도 관점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 측면도 또는 단면도 관점에서 양 말단부는 두께가 낮고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높아서 상방향의 단방향으로 또는 상방향 및 하방향의 양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의 평평한 마루부와 평평한 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마찰보조 부재에서 상기 마루부와 상기 골부는 경사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이때 상기 마루부는 아래가 폭이 넓고 위가 폭이 좁은 형상을 가지고 대응하여 상기 골부는 아래가 폭이 좁고 위가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보조 부재는 그것의 경계 영역에서 상기 타월 본체의 상기 표면부와 상기 이면부에 대하여 수행된 봉제에 의하여 상기 타월 본체 내부에서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수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상기 골부에서 수행된 봉제에 의하여 상기 타월 본체 내부에서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상기 골부에서 수행된 상기 봉제에 의하여,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상기 골부에 대응하는 상기 타월 본체의 상기 표면부 또는 상기 이면부에도 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보조 부재가 상기 타월 본체에 배치되는 위치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타월 본체의 한 말단부로부터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위치까지의 길이가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한편, 상기 타월 본체의 다른 말단부로부터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위치까지의 길이가 상가 마찰보조 부재의 길이보다 길어서, 짧은 쪽의 상기 타월 본체 부분을 상기 마찰보조 부재 위로 접은 후 긴 쪽의 상기 타월 본체 부분을 상기 마찰보조 부재 위로 접으면, 등이 아닌 다른 신체부위의 때를 밀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짧은 쪽의 상기 타월 본체 부분 및 긴 쪽의 상기 타월 본체 부분을 접지 않고 펼친 상태에서는 등의 때를 밀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은 혼자서 등의 때를 밀때 효과적이고, 사용이 편리하며 제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때밀이 타월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때밀이 타월에 적용되는 마찰보조 부재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때밀이 타월에 적용되는 마찰보조 부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때밀이 타월에서 타월 본체와 마찰보조 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때밀이 타월에서 타월 본체와 마찰보조 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에 따른 때밀이 타월에서 타월 본체와 마찰보조 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때밀이 타월(10)은 타월 본체(100), 마찰보조 부재(200) 및 손잡이(300)를 가진다.
타월 본체(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때밀이 직물로 된 표면부(110) 및 이면부(12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표면부(110)와 이면부(120)의 결합은 통상적으로는 봉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와 이면부(120) 간의 결합을 위한 봉제선(410)이 표시되어 있다. 봉제선(410)은 다양한 형태 및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타월 본체(100)에 사용되는 때밀이 직물은 때밀이 타월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상관없다.
타월 본체(100)는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타월 본체(100)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한 구체적 예가 도시되어 있다. 타월 본체(100)는 예를 들어, 길이가 450mm이고 폭이 100mm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월 본체(100)의 양 말단부에는 손잡이(300)가 마련되어 있다.
마찰보조 부재(200)는 타월 본체(100)가 사람의 피부와 마찰할 때 그러한 마찰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한 보조 역할을 한다. 즉, 마찰보조 부재(200)는 타월 본체(100) 내부에, 즉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와 이면부(120) 사이에 수용되어 타월 본체(100)가 목욕하는 사람의 피부에 마찰되는 것을 도와준다.
이를 위하여, 마찰보조 부재(200)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형성된다. 이때 합성수지 발포체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도가 너무 커서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로 등을 밀때 피부와 너무 거칠게 마찰을 일으키게 되므로 피부 손상의 우려가 있게 된다. 반면에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도가 너무 작아서 작은 힘으로도 탄성 변형이 쉽게 일어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로 등을 밀때 피부와의 마찰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마찰보조 부재(200)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마찰보조 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 관점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직사각형의 크기는 적당히 선택될 수 있는데, 도 1에는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마찰보조 부재(200)는 길이가 150mm이고 폭이 80mm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보조 부재(200)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측면도 또는 단면도 관점에서 양 말단부는 두께가 낮고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높아서 상방향의 단방향으로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 및 하방향의 양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마찰보조 부재(200)는 또한 복수개의 평평한 마루부(210)와 평평한 골부(220)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마찰보조 부재(200)에서 마루부(210)와 골부(220)는 경사부(23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때, 마루부(210)는 아래가 폭이 넓고 위가 폭이 좁은 형상을 가지고, 이에 대응하여 골부(220)는 아래가 폭이 좁고 위가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도록 경사부(230)가 형성된다.
도 2에는 마찰보조 부재(200)에 대한 치수가 예시되어 있다. 즉, 마찰보조 부재(200)에서, 마루부(210)의 상단 폭은 7mm이고, 마루부(210)의 하단 폭은 11mm이다. 마루부(210)의 하단 폭이라 함은 마루부(210)의 상단 폭과 그것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부(230)의 수직 폭을 합친 것을 의미한다. 경사부(230)의 수직 폭은 2mm이다. 골부(220)의 폭은 12mm이다. 골부(220)의 폭이 마루부(210)의 하단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골부(220)의 두께는 2mm이고, 복수개의 마루부(210)의 두께는 5mm, 7mm, 9mm, 11mm, 9mm, 7mm, 5mm의 순으로 형성된다. 즉 마루부(210)의 두께는 양측 말단부에서 낮고 중앙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도 2에 도시된 마찰보조 부재(200)는 상방향의 단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과 비교하여 도 3에 도시된 마찰보조 부재(200)는 상방향 및 하방향의 양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2의 것과 다르다. 따라서, 도 3의 마찰보조 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치수의 2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마찰보조 부재(200)에서, 마루부(210)의 상단 폭은 7mm이고, 마루부(210)의 하단 폭은 11mm이며, 경사부(230)의 수직 폭이 2mm이고, 골부(220)의 폭이 12mm이며, 골부(220)의 두께는 2mm인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복수개의 마루부(210)의 두께는 10mm, 14mm, 18mm, 22mm, 18mm, 14mm, 10mm의 순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2에서 복수개의 마루부들(210)에 대하여 마루부(210)의 상단 폭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경사부(230)의 각도는 양측 말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커진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루부(210)의 두께 내지 높이는 양측 말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커진다.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마루부들(210)은 두께 내지 높이가 높을수록 때밀이를 할 때, 즉 마찰보조 부재(200)에 외력을 가할 때 상대적으로 변형률이 커지게 되지만, 경사부(230)의 경사각 차이로 인하여 마루부들(210)에 힘이 고르게 분산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마루부들(210)에 대하여 경사부(230)의 각도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마루부(210)의 상단 폭은 양측 말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마루부들(210)은 두께 내지 높이가 높을수록 그리고 마루부(210)의 상단 폭이 좁을수록 때밀이를 할 때, 즉 마찰보조 부재(200)에 외력을 가할 때 상대적으로 변형률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중앙의 마루부(210)에서의 마찰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10)은 복수개의 마루부들(210)에 대한 상기 2가지 경우들 중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대하여 고르게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신속한 때밀이 작업에 유리하고, 후자의 경우는 중앙의 마루부(210) 위주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세밀한 때밀이 작업에 유리할 것이다. 어떠한 경우이든 간에,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10)에서 복수개의 마루부들(210)은 중앙으로 갈수록 그 두께 내지 높이가 커지므로, 등의 굴곡진 부위들에 잘 대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10)은 등에 접촉하여 때밀이를 할 때, 제1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 말단부에서 중앙까지의 영역에 있는 복수개의 마루부들(210)의 상단 및 그 마루부들(210)의 상단에 인접한 경사부(230) 영역이 등의 피부에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각 마루부들(210)은 독립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양 말단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탄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마루부들(210)의 작용에 의하여 마루부들(210)은 적당한 힘으로 피부와 마찰을 일으키게 되고, 그러면 때밀이가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제2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2 말단부에서 중앙까지의 영역에 있는 복수개의 마루부들(210)의 상단 및 그 마루부들(210)의 상단에 인접한 경사부(230) 영역이 등의 피부에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때밀이 타월들에서 타월 본체(100)와 마찰보조 부재(200)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 및 도 1을 참조하면, 마찰보조 부재(200)는 그것의 경계 영역에서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와 이면부(120)에 대하여 수행된 봉제에 의하여 타월 본체(100) 내부에서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수용된다. 도 1 및 도 4에는 마찰보조 부재(200)의 경계 영역에 봉제선(42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봉제선(420)은 마찰보조 부재(200)가 타월 본체(100) 내부에서 가급적 움직이지 않도록 마찰보조 부재(200)의 경계 영역에 타이트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못하면, 때밀이 동안에 마찰보조 부재(200)가 타월 본체(100) 내부에서 약간씩 움직이게 되어 때밀이 효과가 반감되고 또한 사용자에게 사용상 불편을 주게 된다.
마찰보조 부재(200)가 타월 본체(10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봉제선(420)이 타이트하게 형성된다면, 타월 본체(100)의 이면부(120)는 마찰보조 부재(20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한편,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는 마찰보조 부재(200)의 마루부들(210)과 밀착되게 된다. 이때,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는 마찰보조 부재(200)의 골부(220)를 덮을 뿐이고, 골부(220)에 밀착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 골부(220)를 덮는 표면부(110) 영역은 비어있는 골부(220)로 인하여 마루부(210)를 덮는 표면부(110) 영역에 비하여 탄성적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10)은 마루부(210) 상의 표면부(110)에 의한 마찰을 위주로 때밀이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마루부(210)의 탄성적 변형에 의하여 때밀이를 위한 마찰이 너무 과하지도 않고 너무 약하지도 않게, 즉 적당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때밀이가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그러나, 골부(220) 전체가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에 의해 타이트하게 덮여있기 때문에 마루부(210)의 탄성적 변형은 제약을 받게 되어 때밀이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때밀이 과정 중에 발생한 때가 표면부(110) 상에 잔존하게 되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마찰효과가 발생하지 못하고 때로 인하여 구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로부터 때를 털어내는 일을 자주 수행해 주어야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보조 부재(200)의 골부(220)에서 봉제를 수행하여 마찰보조 부재(200)가 타월 본체(100) 내부에서 아예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는 마찰보조 부재(200)의 골부(220)에 형성된 봉제선(430)이 도시되어 있다. 즉, 마찰보조 부재(200)는 봉제선(430)에 의하여 타월 본체 내부에서 고정된다. 한편, 마찰보조 부재(200)에 수행된 봉제에 의하여, 즉 봉제선(430)에 의하여 마찰보조 부재(200)의 골부(220)에 대응하는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에도 골(112)이 형성된다.
도 5에 따른 본 고안의 때밀이 타월(10)은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에 형성된 골(112)로 인하여 마루부(210)의 탄성적 변형이 크게 제약받지 않게 되기 때문에 마루부(210)의 탄성적 변형에 의하여 효과적인 때밀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때밀이 타월(10)은 때밀이 과정 중에 발생한 때가 표면부(110) 상에 머무르지 않고 표면부(110)에 형성된 골(112)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타월 본체(100)의 표면부(110)로부터 때를 털어내는 일을 자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때밀이를 더욱 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의 때밀이 타월(10)에서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보조 부재(200)의 골부(220)에서 봉제를 수행할 때, 한 직선에 따라 봉제선(430)을 형성하지 않고, 두 개의 직선에 따라 봉제선(432 및 434)을 형성한다면 가장 이상적이다. 이때, 봉제선(432 및 434)은 골부(220)가 경사부(230)와 만나는 경제선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구성은 이상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는데, 골부(220)의 폭이 두 개의 직선에서 봉제를 하기에 충분하다면 도 6의 구성은 형성할 수 있지만, 골부(220)의 폭이 두 개의 직선에서 봉제를 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어쩔 수 없이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직선에서 봉제를 수행해야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보조 부재(200)가 타월 본체(100)에 배치되는 위치를 특정하게 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타월 본체(100)의 한 말단부로부터 마찰보조 부재(200)의 위치까지의 길이(도 1에서 100mm)가 마찰보조 부재(200)의 길이(도 1에서 150mm)보다 짧은 한편, 타월 본체(100)의 다른 말단부로부터 마찰보조 부재(200)의 위치까지의 길이(도 1에서 200mm)가 마찰보조 부재(200)의 길이(도 1에서 150mm)보다 길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면, 짧은 쪽의 타월 본체(100) 부분을 마찰보조 부재(200) 위로 접은 후 긴 쪽의 타월 본체(100) 부분을 마찰보조 부재(200) 위로 접으면, 등이 아닌 다른 신체부위의 때를 밀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짧은 쪽의 타월 본체(100) 부분 및 긴 쪽의 타월 본체(100) 부분을 접지 않고 펼친 상태에서는 등의 때를 밀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마찰보조 부재(200)가 타월 본체(100)의 정 중앙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때밀이 타월(10)은 혼자서 등의 때를 밀 때 효과적이고, 또한 사용이 편리하며 제작이 용이하다.
10: 때밀이 타월 100: 타월 본체
110: 표면부 112: 골
120: 이면부 200: 마찰보조 부재
210: 마루부 220: 골부
230: 경사부 300: 손잡이
410,420,430,432,434: 봉제선

Claims (5)

  1. 때밀이 직물로 된 표면부와 이면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타월 본체 및 상기 타월 본체 내부에, 즉 상기 타월 본체의 상기 표면부와 상기 이면부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타월 본체가 목욕하는 사람의 피부에 마찰되는 것을 도와주는 마찰보조 부재를 포함하는 때밀이 타월에 있어서,
    상기 마찰보조 부재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평면도 관점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 측면도 또는 단면도 관점에서 양 말단부는 두께가 낮고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높아서 상방향의 단방향으로 또는 상방향 및 하방향의 양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의 평평한 마루부와 평평한 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마찰보조 부재에서 상기 마루부와 상기 골부는 경사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이때 상기 마루부는 아래가 폭이 넓고 위가 폭이 좁은 형상을 가지고 대응하여 상기 골부는 아래가 폭이 좁고 위가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골부의 하단 폭은 상기 마루부의 상단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타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부의 하단 폭은 상기 마루부의 하단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타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보조 부재는 그것의 경계 영역에서 상기 타월 본체의 상기 표면부와 상기 이면부에 대하여 수행된 봉제에 의하여 상기 타월 본체 내부에서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수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상기 골부에서 수행된 봉제에 의하여 상기 타월 본체 내부에서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타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상기 골부에서 수행된 상기 봉제에 의하여,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상기 골부에 대응하는 상기 타월 본체의 상기 표면부 또는 상기 이면부에도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타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보조 부재가 상기 타월 본체에 배치되는 위치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타월 본체의 한 말단부로부터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위치까지의 길이가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한편, 상기 타월 본체의 다른 말단부로부터 상기 마찰보조 부재의 위치까지의 길이가 상가 마찰보조 부재의 길이보다 길어서, 짧은 쪽의 상기 타월 본체 부분을 상기 마찰보조 부재 위로 접은 후 긴 쪽의 상기 타월 본체 부분을 상기 마찰보조 부재 위로 접으면, 등이 아닌 다른 신체부위의 때를 밀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짧은 쪽의 상기 타월 본체 부분 및 긴 쪽의 상기 타월 본체 부분을 접지 않고 펼친 상태에서는 등의 때를 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타월.
KR2020200002147U 2020-06-19 2020-06-19 때밀이 타월 KR200494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47U KR200494418Y1 (ko) 2020-06-19 2020-06-19 때밀이 타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47U KR200494418Y1 (ko) 2020-06-19 2020-06-19 때밀이 타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418Y1 true KR200494418Y1 (ko) 2021-10-07

Family

ID=7807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147U KR200494418Y1 (ko) 2020-06-19 2020-06-19 때밀이 타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1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367Y1 (ko) * 2003-02-19 2003-07-22 오천수 등밀이 타월
KR100643872B1 (ko) * 2005-04-28 2006-11-10 아키오 카네다 입욕용 타올, 때밀이 수건 및 청소 도구
KR200436756Y1 (ko) * 2007-01-12 2007-10-04 주식회사 아이엔피 목욕타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367Y1 (ko) * 2003-02-19 2003-07-22 오천수 등밀이 타월
KR100643872B1 (ko) * 2005-04-28 2006-11-10 아키오 카네다 입욕용 타올, 때밀이 수건 및 청소 도구
KR200436756Y1 (ko) * 2007-01-12 2007-10-04 주식회사 아이엔피 목욕타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508B2 (en) Motorized cleaning implement
US4364142A (en) Body squeegee
US7536743B2 (en) Multi-surfaces cleaning implement
US20080250594A1 (en) Wall mountable back body scrubbing device
US4910825A (en) Liquid applicator attachment for a squeegee
KR200494418Y1 (ko) 때밀이 타월
US6740052B1 (en) Foot scrubber
US20030059571A1 (en) Loofah washcloth with gripping area
TW200529933A (en) Liquid absorbent pad for using in an implement for applying a liquid to a surface
JP2006006598A (ja) 身体用手入れ具
JPH068790Y2 (ja) 洗浄用具
JP2774077B2 (ja) あかすり具
CN215777679U (zh) 洗面组件及洗脸扑
KR102720567B1 (ko)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
KR102587164B1 (ko) 다용도 목욕타올
JP3038641U (ja) 爪あか指あかとりブラシ
JP2540835Y2 (ja) 擦洗具
KR102666799B1 (ko) 목욕용 때밀이기구
JP3035373U (ja) ブラシを植え込んだスポンジ
JPH0436715Y2 (ko)
JPH029803Y2 (ko)
JP3006084U (ja) 垢すり具
KR200147600Y1 (ko) 광택용 폴리셔
JP3033706U (ja) 浴用変形軽石
KR200259541Y1 (ko) 목욕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