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312Y1 -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12Y1
KR200494312Y1 KR2020170005110U KR20170005110U KR200494312Y1 KR 200494312 Y1 KR200494312 Y1 KR 200494312Y1 KR 2020170005110 U KR2020170005110 U KR 2020170005110U KR 20170005110 U KR20170005110 U KR 20170005110U KR 200494312 Y1 KR200494312 Y1 KR 200494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earing
fastening nut
crank
cra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867U (ko
Inventor
정한백
양홍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170005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1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8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는 회로차단기에 제공되어 캠 어세이의 회전에 의해 접촉되며 크랭크 어세이를 회전시키는 베어링 결합장치로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크랭크 플레이트;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는 베어링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를 관통된 상기 베어링 축을 고정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단면에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된 체결 너트; 및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의 관통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너트가 안착되고, 표면에 상기 제1돌기와 대응되게 제공되어 상기 제1돌기와 밀착되며 상기 체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2돌기가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BEARING COUPLING APPARATUS OF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회로차단기의 구동부 작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을 고정하는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측과 부하측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을 온, 오프하고, 과부하, 단락사고, 누전 및 감전 사고의 발생시 선로를 긴급하게 차단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발전소, 변전도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함에 설치되며, 통상적으로는 배전함에 고정된 크래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된다.
회로차단기는 작동 상태에 따라 크게 2가지 운전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회로차단기는 전원측과 연결된 주선로와, 부하측에 연결된 선로가 각각의 단자에 의해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 모드(Run Mode)와, 전원측의 주선로와 부하측의 선로가 각각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로 회로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테스트 모드(Test Mode) 모드로 구분된다.
회로차단기는 운전 모드에서 차지(charge), 투입 및 오픈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회로차단기는 투입 동작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며, 사고전류 발생시 오픈 동작이 진행되며 계통 및 기기 보호를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투입 스프링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캠 어세이, 크랭크 등의 각종 부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로차단기는 차지 동작시, 투입 스프링이 압축되며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투입 스프링을 차지하는 동작은 메커니즘 내부의 캠 어세이와 크랭크 어세이에 제공된 베어링의 연동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은 회로차단기가 투입 상태로 구동되는 상태로서, 이때, 투입 스프링(40)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회로차단기는 투입 동작에서 차지 동작으로 진행될 때, 캠 어세이(10)의 캠 플레이트(12)는 캠 피봇(14)에 의해 회전(도 1의 시계방향)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도 2와 같이 캠 플레이트(12)의 측면 곡면이 베어링, 일례로 캠 팔로우 베어링(20)과 접촉된다.
캠 팔로우 베어링(20)은 크랭크 어세이(30)에 설치된다. 크랭크 어세이(30)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 플레이트(32)를 포함하며, 크랭크 플레이트(32)들은 다수의 연결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캠 팔로우 베어링(20)은 캠 어세이(10)의 캠 플레이트(12)와 접촉되어 회전하며, 이에 따라 캠 어세이(10)의 회전에 연동되어 캠 팔로우 베어링(20)을 매개로 크랭크 어세이(30)가 회전하며 투입 스프링(40)을 차지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한편, 회전차단기는 투입 스프링(40)의 차지 상태가 완료된 후, 투입 스프링(40)의 에너지에 의하여 정상 투입 동작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회로 차단기의 주역할인 통전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 캠 팔로우 베어링(20)은 베어링 축(22)에 의해 크랭크 플레이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어링 축(22)은 캠 팔로우 베어링(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이 크랭크 플레이트(32)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그 단부에 체결 너트(24)가 결합되며 크랭크 플레이트(32)에 고정된다.
종래의 회로차단기는 반복적인 개폐작동에 의해 투입 상태에서 차지 상태로 작동하는 과정이 반복되며, 이 과정에서 캠 어세이(10)가 캠 팔로우 베어링(10)과 접촉되며 반복적으로 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종래의 회로차단기는 캠 팔로우 베어링(20)에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베어링 축(22)과 결합된 체결 너트(24)가 풀림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일반적인 체결 너트를 대체하여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너트, 일례로 유너트(U-nut)를 사용하거나, 크랭크 플레이트(32)와 체결 너트(24) 사이에 스프링 와셔를 체결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로차단기는 캠 팔로우 베어링(20)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법선 방향의 하중에 의해 베어링 체결 너트(24)의 풀림 현상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변화에 의해 체결 너트(24)의 체결 상태에 변화가 발생되며, 크랭크 캠 팔로우 베어링(20) 또는 베어링 축(22)이 반복적인 하중에 노출됨에 따라 형상 변화가 발생하여 전체적인 체결상태가 불안정해지며, 이에 따라 회로차단기의 작동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고안은 캠 어세이의 회전 작동을 크랭크 어세이로 전달하는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축과 이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체결 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베어링 축과 체결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는 회로차단기에 제공되어 캠 어세이의 회전에 의해 접촉되며 크랭크 어세이를 회전시키는 베어링 결합장치로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크랭크 플레이트;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는 베어링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를 관통된 상기 베어링 축을 고정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단면에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된 체결 너트; 및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의 관통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너트가 안착되고, 표면에 상기 제1돌기와 대응되게 제공되어 상기 제1돌기와 밀착되며 상기 체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2돌기가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체결 너트의 체결방향의 역방향으로 소정길이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단부는 수직하게 단차지는 제1단턱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체결 너트의 체결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하는 소정길이의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단부는 수직하게 단차져 상기 제1단턱면이 지지되는 제2단턱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1 내지 3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베어링 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의 주변부에 상기 체결 너트가 삽입되며 안착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베어링이 결합된 베어링 축이 체결 너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체결 너트에 역방향 회전이 전달될 때 체결 너트의 제1돌기가 크랭크 플레이트의 안착부에 형성된 제2돌기에 지지되며 체결 너트의 역회전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체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결합에 의한 베어링이나, 베어링을 고정하는 베어링 축 또는 체결 너트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투입동작에서 캠 어세이와 크랭크 어세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차징동작에서 캠 어세이와 크랭크 어세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크랭크 플레이트에서 크랭크 축과 체결 너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오픈된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오픈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메커니즘을 확대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본체 인입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차징동작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차징동작된 상태의 메커니즘을 확대한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투입동작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투입동작된 상태의 메커니즘을 확대한 측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크랭크 플레이트에서 크랭크 축과 체결 너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크랭크 플레이트에서 크랭크 축과 체결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오픈된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오픈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메커니즘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본체 인입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차징동작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차징동작된 상태의 메커니즘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투입동작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가 투입동작된 상태의 메커니즘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회로차단기(100)는 배전함(1) 에 고정된 크래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회로차단기(100)는 배전함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전원측과 부하측 사이의 전원을 온, 오프하거나, 과부하, 단락사고, 누전 및 감전 사고의 발생시 선로를 긴급하게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와 도 7을 참고하면, 회로차단기(100)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회로차단기(100)는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회로차단기(100)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테스트 위치(Test)에 위치된 상태로, 제어전원 플러그(101)가 제어전원 커넥터(102)에 분리된 상태이다.
또한, 회로차단기(100)는 모선 터미널 어세이(104)와 부하 터미널 어세이(105)가 분리된 상태이다.
회로차단기(100)의 하부에는 배전함(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장치(103)가 설치될 수 있다.
회로차단기(100)는 메커니즘(110)과 주회로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커니즘(110)의 동작을 위해 주회로부(150)의 고정부 접점(152)과 가동부 접점(154)이 떨어진 상태이다.
또한, 가동부 접점(154)과 연결된 링크부재(155)는 연결링크(156)를 매개로 샤프트(157)와 연결된다. 이때, 가동부 접점(154)은 링크부재(155)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오픈된 상태일 수 있다.
베어링(120)은 베어링 축(122)에 의해 크랭크 어세이(130)의 크랭크 플레이트(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캠 어세이(111)는 캠 플레이트(112)가 캠 피봇(1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크랭크 어세이(130)는 크랭크 어세이 피봇(1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로차단기(100)가 인입되기 전은, 투입 스프링(140)이 디스 차지된 상태로 캠 어세이(111)는 크랭크 어세이(130)의 베어링(120)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회로차단기(100)가 차징(charging)상태로 작동되는 것으로, 투입 스프링(140)을 차지하여 매커니즘(110)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투입 준비가 진행될 수 있다.
회로차단기(100)의 차징상태는 메커니즘(110) 내부의 캠 어세이(111)와 크랭크 어세이(130)에 제공된 베어링(120)의 연동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회로차단기(100)가 차징되는 작동에서 캠 어세이(111)는 캠 피봇(114)의 수동 또는 전동 조작에 의해 일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 어세이(111)의 회전에 의해 캠 플레이트(112)의 외곽 곡면부가 크랭크 어세이(130)에 제공된 베어링(120), 구체적으로 캠 팔로우 베어링(120)을 매개로 크랭크 어세이(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크랭크 어세이(130)는 크랭크 어세이 피봇(134)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투입 스프링(140)을 압축하여 투입 스프링(140)이 차지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회로차단기(100)는 도 11과 도 12와 같이, 차지된 투입 스프링(140)의 에너지에 의하여 정상 투입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회로차단기(100)는 정상 투입 동작에 의해 전원과 부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차단기(100)는 투입 스프링(140)의 에너지에 의해 메카샤프트(158)가 일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157)에 연결된 연결링크(156)가 샤프트(157)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승 이동한다. 또한, 연결링크(156)는 상승이동하는 과정에서, 링크부재(155)를 상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링크부재(155)와 연결된 가동부 접점(154)이 상승하여 고정부 접점(152)과 접촉되며 통전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회로차단기(100)의 크랭크 어세이(130)는 투입 스프링(140)을 차징하는 과정에서 캠 어세이(111)로부터 베어링(120), 즉 캠 팔로우 베어링(120)에 반복적으로 하중이 인가된다.
크랭크 어세이(1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랭크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 플레이트(132)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중 일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플레이트(132) 중 어느 관통홀에는 크랭크 어세이 피봇(134)이 설치될 수 있다. 크랭크 플레이트(132)는 크랭크 어세이 피봇(134)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플레이트(132) 중 다른 어느 관통홀에는 베어링 축(122)을 매개로 베어링(120), 즉 캠 팔로우 베어링(120)이 설치될 수 있다.
캠 팔로우 베어링(120)은 캠 어세이(111)의 회전시, 캡 플레이트(112)의 외곽 곡면에 접촉되며 하중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매개로 크랭크 어세이(130)가 크랭크 어세이 피봇(134)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크랭크 플레이트에서 크랭크 축과 체결 너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크랭크 플레이트에서 크랭크 축과 체결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크랭크 플레이트(132)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플레이트(132)는 다수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는 베어링 축(122)이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 축(122)에는 캠 어세이(111)와 접촉되는 베어링(120), 크랭크 캠 팔로우 베어링(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축(122)은 크랭크 캠 팔로우 베어링(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크랭크 플레이트(132)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베어링 축(122)의 단부에는 체결 너트(124)가 결합되어 베어링 축(122)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 너트(124)는 베어링 축(122)에 체결되며 크랭크 플레이트(132)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다. 체결 너트(124)는 베어링 축(122)이 캠 어세이(111)와 접촉하며 반복적인 하중이 전달됨에 따른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체결 너트(124)에는 크랭크 플레이트(132)와 접촉하는 단면에 다수의 제1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플레이트(132)에는 체결 너트(124)가 안착되는 위치에, 제1돌기(125)와 대응되는 다수의 제2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133)는 체결 너트(124)의 조임 회전에 의해 제1돌기(125)와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결 너트(124)가 캠 어세이(111)와 접촉됨에 따라 전달되는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체결 너트(124)에 역회전방향의 힘이 작용될 경우 제1돌기(125)가 제2돌기(133)에 걸림되어 역회전되며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돌기(125)는 체결 너트(124)의 체결 방향의 역방향으로 소정길이의 제1경사면(125a)이 형성될 수 있고, 단부는 수직하게 단차지는 제1단턱면(125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133)는 체결 너트(124)의 체결방향으로 제1경사면(125a)과 대응하는 소정길이의 제2경사면(133a)이 형성될 수 있고, 단부는 수직하게 단차지는 제2단턱면(133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133)의 제2단턱면(133b)과, 제1돌기(125)의 제1단턱면(125b)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체결 너트(124)에 역회전 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경우 제1단턱면(125b)이 제2단턱면(133b)에 지지되며 역회전 방향으로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125a)은, 1 내지 30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제2경사면(133a)은 도 1 내지 30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125a) 및 제2경사면(133a)은 기울기가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울기가 점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굴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크랭크 플레이트(132)에는 체결 너트(124)가 안착되는 안착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32a)는 베어링 축(122)이 삽입되는 관통홀의 주변부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안착부(132a)에 체결 너트(124)가 삽입되며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133)는 안착부(132a)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크랭크 플레이트(132)의 안착부(132a)에 형성되는 제2돌기(133)는 체결 너트(124)와의 결합시 제1돌기(125)와 마찰되는 과정에서 쉽게 뭉그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는 크랭크 플레이트(132)의 관통홀에, 베어링(120)이 결합된 베어링 축(122)이 삽입된다.
베어링 축(122)는 크랭크 플레이트(132)에 삽입된 일단에, 체결 너트(124)가 체결되어 크랭크 플레이트(132)의 안착부(132a)에 안착된다.
이때, 체결 너트(124)는 베어링 축(122)에 체결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체결 너트(124)는 바닥면에 형성된 제1돌기(125)가 회전하면서, 안착부(132a)에 형성된 제2돌기(133)와 밀착된다.
체결 너트(124)는 베어링 축(12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돌기(125)의 제1경사면(125a)이 안착부(132a)의 제2돌기(133)에 형성된 제2경사면(133a)을 따라 회전되고, 제1단턱면(125b)이 제2돌기(133)의 제2단턱면(133b)에 지지되며 역방향으로 회전, 즉 풀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체결 너트(124)는 베어링 축(122)과 결합시, 체결방향으로는 쉽게 회전할 수 있으나, 풀림되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120)은 캠 어세이(111)에 의해 반복적인 하중이 전달될 경우, 체결 너트(124)는 베어링 축(122)는 더욱 강하게 체결되는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나, 풀림 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므로 체결 너트(124)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결합에 의한 베어링(120)이나, 베어링(120)을 고정하는 베어링 축(122) 또는 체결 너트(124)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회로차단기 111: 캠 어세이
120: 베어링 122: 베어링 축
124: 체결 너트 125: 제1돌기
125a: 제1경사면 125b: 제1단턱면
130: 크랭크 어세이 132: 크랭크 플레이트
132a: 안착부 133: 제2돌기
133a: 제2경사면 133b: 제2단턱면

Claims (5)

  1. 회로차단기에 제공되어 캠 어세이의 회전에 의해 접촉되며 크랭크 어세이를 회전시키는 베어링 결합장치로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크랭크 플레이트;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는 베어링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를 관통된 상기 베어링 축을 고정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단면에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된 체결 너트; 및
    상기 크랭크 플레이트의 관통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너트가 안착되고, 표면에 상기 제1돌기와 대응되게 제공되어 상기 제1돌기와 밀착되며 상기 체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2돌기가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베어링 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의 주변부에 상기 체결 너트가 삽입되며 안착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체결 너트의 체결방향의 역방향으로 소정길이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단부는 수직하게 단차지는 제1단턱면으로 형성되는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체결 너트의 체결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하는 소정길이의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단부는 수직하게 단차져 상기 제1단턱면이 지지되는 제2단턱면으로 형성되는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1 내지 3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5. 삭제
KR2020170005110U 2017-09-28 2017-09-28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KR200494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10U KR200494312Y1 (ko) 2017-09-28 2017-09-28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10U KR200494312Y1 (ko) 2017-09-28 2017-09-28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67U KR20190000867U (ko) 2019-04-05
KR200494312Y1 true KR200494312Y1 (ko) 2021-09-09

Family

ID=6610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110U KR200494312Y1 (ko) 2017-09-28 2017-09-28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12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054Y1 (ko) * 1996-07-30 1999-06-15 양재신 볼트/너트 풀림방지장치
KR101015296B1 (ko) * 2008-12-31 2011-02-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67U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2804B1 (en) Electrical connection and interlock circuit system for vehicule electric drive
KR101910462B1 (ko)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US10003157B2 (en) Service plug unit, device unit, and power cutting-off system for electric car comprising same
EP2884606B1 (en) Withdrawable-type circuit breaker
US6943655B1 (en) Direct current contactor assembly
US20110079494A1 (en) Battery for hybrid vehicles with a safety device for interrupting a high-voltage circuit
US8939797B2 (en) Connection system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device for automotive industry and at least one pair of cables
CN108598770B (zh) 一种可靠盲插的电连接器及盲插方法
EP3322051B1 (en) Interlock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KR200494312Y1 (ko)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CN100517914C (zh) 具有旋转位置检测器的电机装置
EP3651174B1 (en) Battery pack
JP4810837B2 (ja) 電気系ユニットのカバー構造
JP2002133979A (ja) 安全プラグボックス
JPH08279321A (ja) 電動車両の動力開閉装置
US7897275B2 (en) Electrical rechargeable battery
RU2538837C2 (ru) Гнездо зарядного разъ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JP2010246321A (ja) 高圧ユニットケース
CA2628277A1 (en) Fuse and truck cable assembly for a rail vehicle third rail current collector
US9931938B2 (en) Vehicle battery relay assembly
KR101542100B1 (ko) 단로기의 스위칭장치
KR101325179B1 (ko)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구동장치
CN116799568B (zh) 电气连接装置和电动卡车
KR102608744B1 (ko) 진공차단기
CN113454861B (zh) 极部件及包括该极部件的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