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96Y1 - 전차선로용 단로기 - Google Patents

전차선로용 단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96Y1
KR200494296Y1 KR2020200000866U KR20200000866U KR200494296Y1 KR 200494296 Y1 KR200494296 Y1 KR 200494296Y1 KR 2020200000866 U KR2020200000866 U KR 2020200000866U KR 20200000866 U KR20200000866 U KR 20200000866U KR 200494296 Y1 KR200494296 Y1 KR 200494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ntact
disconnector
catenary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섭
Original Assignee
이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섭 filed Critical 이강섭
Priority to KR2020200000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3/00Feeding power to supply lines in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s; Arrangements for consuming regenerative power
    • B60M3/04Arrangements for cutting in and out of individual track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60M1/135Trolley wires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8Section insulators; Section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차선로용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는, 판 형상의 도체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접촉 영역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접촉자; 블레이드 접촉자와 결합되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접촉자 지지애자; 및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블레이드가 접촉 영역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지지애자를 포함하고, 블레이드 접촉자는, 접촉 영역의 내부에서 블레이드와 선 접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에 따르면,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접촉자를 선 접촉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속 및 단락이 용이하고 접속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차선로용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of Electric Car Line}
본 고안은 전차선로용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도전부인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접촉자가 선 접촉하는 개폐방식을 사용하여 전차선로용 단로기의 내구도 및 사고방지를 할 수 있는 전차선로용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차량 기지의 검사고에 입고시킨 후 검사 또는 정비를 하게 되는데, 차량의 지붕 위에 설치된 설비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점검자가 직접 차량 지붕 위로 올라가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점검자가 차량을 점검하기 위해 고압의 전차선에 근접하게 되므로 안전한 작업을 위해 작업 중에는 전차선의 고압을 차단하고, 작업 종료시에는 전차선에 고압을 다시 연결하여 차량을 검사고에서 출고시키게 된다.
단로기는 상기와 같이 고압 전차선을 개폐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부하전류를 끊은 상태에서 회로를 격리하기 위한 장치이며, 차단기와는 달리 극히 적은 전류만 통제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점검이나 수리 등이 편리하다.
이와 같은 단로기를 이용하여 전동차를 점검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먼저 단로기를 조작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 전차선 구간을 단전시킨 후, 차량 위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구비된 이동로를 통해 점검자가 작업공간으로 이동하여 전차선에 접지장치를 설치한 후 차량의 검수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하던 단로기는 블레이드가 접촉자에 수용될 때, 면 접촉을 사용하여 블레이드와 접촉자의 위치가 정확해야만 하고, 손상으로 인해 접촉자의 형상이 변화되면 블레이드와의 접촉이 불가하여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709610호는 고리 형상의 가동대가 걸림단에 걸려서 연결되고 회동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연결되는 방식이나 파손되면 교체되기 전 까지 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425853호는 다수의 관절부를 구비하여 단로기의 부피를 축소하고, 주도체를 회전시켜 단로기의 개폐를 결정하는 방식이나 구조가 복잡하고 파손에 대한 안전대책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차선로용 단로기의 내구도 및 사고방지를 할 수 있는 전차선로용 단로기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접촉자를 선 접촉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속 및 단락이 용이하고 접속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는, 판 형상의 도체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접촉 영역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접촉자;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와 결합되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접촉자 지지애자; 및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접촉 영역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지지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접촉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와 선 접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접촉 영역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선 접촉되는 선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절결된 절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선 접촉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인입을 가이드하는 블레이드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접촉 영역의 내부에 삽입되는 일단에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 반대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된 완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된 상기 접촉 영역의 내부를 차폐하는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에 각각 결합되며, 표면에 야광물질이 도료되어 형성되는 야광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와 결합되며, 상기 접촉 영역 내부를 향하여 회전 이동하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에 따르면,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접촉자를 선 접촉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속 및 단락이 용이하고 접속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에 따르면, 블레이드 접촉자를 분할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 접촉자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전차선로용 단로기는 전체적으로 정상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에 따르면,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접촉자 각각에 야광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야간에도 전차선로용 단로기의 접속 및 단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접촉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구성하는 지지대와 베이스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접촉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접촉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10)는 블레이드(100), 블레이드 접촉자(200), 접촉자 지지애자(300), 블레이드 지지애자(400) 및 베이스(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블레이드(100)는 판 형상의 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와 선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00)는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와 선 접촉 여부에 따라 전차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00)는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에 결합되는 일단에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에 삽입이 용이한 형상의 테이퍼부(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는 상기 블레이드(100)가 삽입되는 접촉 영역(R)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100)와 선 접촉 여부에 따라 전차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영역(R)을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100)와 접촉하는 제 1접촉자(201)와 제 2접촉자(202)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 사이에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제 3접속자(203)와 제 4접속자(204)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블레이드(100)에 접촉하는 선 접촉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 접촉부(205) 사이의 거리가 상기 블레이드(100)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면서 상기 블레이드(201)가 상기 접촉 영역에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선 접촉부(205)와 상기 블레이드(100)의 접촉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는 상기 제 3접속자(203)와 제 4접속자(204)와 접하는 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완충부(B)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B)는 상기 접촉영역(R)의 폭이 상기 블레이드(100)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블레이드(100)가 상기 접촉영역(R)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가 벌어지는 각도를 감소시켜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00)가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에 부딪치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 접촉부(205)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블레이드 가이드(2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가이드(206) 사이의 거리는 상기 블레이드(100)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00)가 상기 블레이드 가이드(206)의 경사를 따라 상기 접촉 영역(R)에 인입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는 상기 블레이드(100)의 인입방향과 평행하게 절결되는 절결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는 상기 절결부(207)에 의해 분할되어 각각의 접촉자가 상기 선 접촉부(205)를 구비하여 각각의 접촉자가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10)는 상기 제 1접촉자(201)와 상기 제 2접촉자(202)에 상단 절결부(207A)와 하단 절결부(207B)가 형성되어 총 6개의 접촉자(201A, 201B, 201C, 202A, 202B, 202C)로 분할되고 하나의 접촉자(201A)가 파손되어 상기 블레이드(100)에 접촉하지 못하여도 그 외 다른 접촉자(201B, 201C, 202A, 202B, 202C)가 상기 블레이드(100)에 접촉되어 파손으로 인해 전차선로에 전류가 갑자기 차단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는 상단에 상기 블레이드(100)가 삽입된 상기 접촉 영역(R)의 내부를 차폐하는 보호커버(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10)는 상기 블레이드(100)와 상기 선 접촉자(205) 사이에 빗물, 먼지, 모래 등 이물질들을 차폐하여 전류의 흐름을 보호하고 상기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가 녹이 스는 것을 늦춰줄 수 있다.
상기 접촉자 지지애자(300)는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5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자 지지애자(300)는 일단에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와 결합되는 접속자 연결부(30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는 상기 블레이드(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5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100)를 상기 접촉 영역(R)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는 일단에 상기 블레이드(100)와 결합되는 블레이드 연결부(40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촉자 지지애자(300)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는 상기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를 절연하고 고정하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를 구성하는 지지대와 베이스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는 타단에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지지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10)는 일단의 외면이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500)와 결합되는 회전 연결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410)는 타단이 상기 베이스(5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가 회전할 때 일단이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 반경을 제한하며,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가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500)는 내부가 빈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접지되어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접촉자 지지애자(300) 및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500)의 외면에 지면과 평행한 지지돌기(5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502)는 나사홀(503)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홀(503)에 나사 또는 못을 박아 상기 베이스(50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500) 내부에 상기 지지대(410)와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의 힌지축(501)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에 결합되며, 표면에 야광물질이 도료되어 있는 야광 플레이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야광 플레이트(600)는 상기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의 측면에 결합되는 판 형상(602)과 상기 판형상에 결합되며 표면에 야광물질이 도료 된 화살표 형상(60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살표 형상(601)은 상기 블레이드(100)가 상기 접촉 영역(R)에 삽입되면 화살표 방향 끝이 서로 접하게 형성되어 야간에 단로기(10)의 접속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에 결합되며 안전한 방전로를 유도하는 아킹혼(7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전차선로에 벼락이나 전압에 이상이 발생하면 애자의 표면에 아크 방전이 발생하는 섬락현상으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 및 상기 접촉자 지지애자(300)에 손상이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킹혼(700)을 상기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에 결합하여 상기 아킹혼(700) 표면에 아크 방전이 발생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 및 상기 접촉자 지지애자(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차선로용 단로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용 단로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평상시에는 상기 블레이드(100)가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에 삽입되어 전차선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달리, 전차의 점검 및 수리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전자 또는 수동으로 상기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가 이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를 회전시켜 전차선로의 전류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410)가 지면에 닿아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를 회전된 상태로 고정한다.
작업완료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를 회전시켜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는 상기 블레이드 가이드(206)의 경사면을 타고 중심으로 인도되고 상기 선 접촉부(205)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면서 상기 블레이드(100)가 상기 접촉 영역(R)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벌어진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100)와 상기 선 접촉자(205)가 강하게 밀착하여 외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야간에 작업할 때는, 상기 블레이드(100) 및 상기 블레이드 접속자(200)에 결합된 상기 야광 플레이트(600)의 상기 화살표 형상(601)이 서로 접해 있으면 상기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 접속자(200)가 연결되어 전차선로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고 사용자는 전자 또는 수동으로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를 회전시켜 상기 화살표 형상(601)이 이격되는 것을 보고 전차선로에 전류가 차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차선로용 단로기(10)에 번개 또는 과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아크혼(700)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섬락을 발생시켜 상기 접촉자 지지애자(300)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400)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블레이드 200 : 블레이드 접촉자
201 : 선 접촉부 202 : 블레이드 가이드
210 : 보호커버 300 : 접촉자 지지애자
400 : 블레이드 지지애자 410 : 지지대
500 : 베이스 501 : 힌지축
600 : 야광 플레이트 700 : 아킹혼
A : 블레이드 일단 B : 완충부
R : 접촉 영역

Claims (9)

  1. 판 형상의 도체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접촉 영역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접촉자;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와 결합되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접촉자 지지애자; 및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접촉 영역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지지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접촉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와 선 접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접촉 영역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선 접촉되는 선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절결된 절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선 접촉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인입을 가이드하는 블레이드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접촉 영역의 내부에 삽입되는 일단에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 반대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된 완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는,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된 상기 접촉 영역의 내부를 차폐하는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 접촉자에 각각 결합되며, 표면에 야광물질이 도료되어 형성되는 야광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와 결합되며, 상기 접촉 영역 내부를 향하여 회전 이동하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애자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용 단로기.
KR2020200000866U 2020-03-12 2020-03-12 전차선로용 단로기 KR200494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66U KR200494296Y1 (ko) 2020-03-12 2020-03-12 전차선로용 단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66U KR200494296Y1 (ko) 2020-03-12 2020-03-12 전차선로용 단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296Y1 true KR200494296Y1 (ko) 2021-09-08

Family

ID=7778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866U KR200494296Y1 (ko) 2020-03-12 2020-03-12 전차선로용 단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70Y1 (ko) 2020-10-26 2021-05-17 주식회사 톱스톡 강도 보강형 창문 프레임
KR200494240Y1 (ko) 2020-10-26 2021-09-02 주식회사 톱스톡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창문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701A (ja) * 2001-07-03 2003-01-15 Tokyo Metropolis 電車線の支持構造及び昇降型電車線支持装置
WO2012095895A1 (ja) * 2011-01-14 2012-07-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回路遮断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
KR20160003650U (ko) * 2015-04-13 2016-10-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단로기의 얼라인먼트 장치
KR20170027908A (ko) * 2015-09-02 2017-03-13 (주)바이브록 전동차량용 자동 절연구간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701A (ja) * 2001-07-03 2003-01-15 Tokyo Metropolis 電車線の支持構造及び昇降型電車線支持装置
WO2012095895A1 (ja) * 2011-01-14 2012-07-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回路遮断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
KR20160003650U (ko) * 2015-04-13 2016-10-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단로기의 얼라인먼트 장치
KR20170027908A (ko) * 2015-09-02 2017-03-13 (주)바이브록 전동차량용 자동 절연구간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70Y1 (ko) 2020-10-26 2021-05-17 주식회사 톱스톡 강도 보강형 창문 프레임
KR200494240Y1 (ko) 2020-10-26 2021-09-02 주식회사 톱스톡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창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296Y1 (ko) 전차선로용 단로기
US4926286A (en) Enclosed switchboard
CA2502809C (en) Efficient venting means for a circuit breaker
CN101465236B (zh) 真空绝缘开关机构
TWI469176B (zh) Lead-out circuit breaker and switchboard
CN103730268A (zh) 线性致动的接地开关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US7450364B2 (en) Automatic static grounding device for electrical components
US10020643B2 (en) Structure of switchgear with arc eliminator
CN102985989B (zh) 电力开关
US9843172B2 (en) Switchboard with position-indicating apparatus
US5181164A (en) Compartment barrier for padmounted switchgear
US4202028A (en) Ground and test apparatus with indicia means
KR200297023Y1 (ko) 감전 방지형 컷 아웃 스위치 조작봉
KR102007779B1 (ko) 접지스위치를 갖는 개폐장치
KR102158249B1 (ko) 배전선로의 보호캡 시스템
KR101227614B1 (ko) 검전기, 피뢰기 및 접지스위치가 장착된 부하개폐기
KR102569202B1 (ko) 직류용 회로 차단기용 고정 접촉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용 회로 차단기
JP2010057315A (ja) アークホーンを備えた電気車両
JP4264094B2 (ja) 短絡接地工具
KR101798997B1 (ko) 전동차 선로의 전원개폐장치
KR102406039B1 (ko) 철도 차량용 접지스위치 인터록 장치
KR102400307B1 (ko) 전차선 자동접지장치
JP7344394B2 (ja) 真空遮断器用プラグ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2358058B1 (ko) 회로 차단기용 단자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