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76Y1 -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4276Y1 KR200494276Y1 KR2020210001376U KR20210001376U KR200494276Y1 KR 200494276 Y1 KR200494276 Y1 KR 200494276Y1 KR 2020210001376 U KR2020210001376 U KR 2020210001376U KR 20210001376 U KR20210001376 U KR 20210001376U KR 200494276 Y1 KR200494276 Y1 KR 2004942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 support member
- attachment
- rod
- scree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058 directional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7 flexi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스크린 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이격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빔이 조사되는 스크린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 회동 조인트 부재; 및 상기 제1 회동 조인트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인접한 물체에 부착되는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조인트부; 및 상기 제1 부착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조인트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조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환경에서 설치가능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한 소형 빔 프로젝트들이 많이 개발되어 이동 교육, 이동 영업 등에 이용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장소에 상관없이 휴대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장치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는 주로 탄성권취된 스크린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진 후 하단의 지지봉의 중량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 고정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하단의 지지봉이 바람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흔들릴 경우, 사용자가 빔 프로젝트에서 투영된 영상을 보는데 불편함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는 거치대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킨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추세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환경에서 설치가능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바람 등의 외부 충격에도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이격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빔이 조사되는 스크린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 회동 조인트 부재; 및 상기 제1 회동 조인트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인접한 물체에 부착되는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조인트부; 및 상기 제1 부착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조인트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조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에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바람 등의 외부 충격에도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안하게 영상을 볼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지지 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회동 조인트 부재, 제1 부착 부재 및 제1 이동 봉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지지 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지지 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회동 조인트 부재, 제1 부착 부재 및 제1 이동 봉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지지 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10)는 별도의 지지 대가 없는 환경에서도 주변의 물체를 이용하여 위치가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10)는 제1 지지 부재(100), 제2 지지 부재(200), 스크린 부재(300),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 및 제1 부착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10)는 걸이 부재 및 권취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00)는 스크린 부재(30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100)는 스크린 부재(300)의 하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00)는 제2 지지 부재(200)와 함께 스크린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100)는 스크린 부재(300)의 하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부재(300)는 제1 지지 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00)는 제1 지지 봉(110), 및 제1 이동 봉(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지지 부재(200)는 제1 지지 부재(1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부재(200)는 약 1,170mm 내지 약 1,610mm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고, 약 16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지지 부재(200)는 제1 지지 부재(100)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00)는 스크린 부재(30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부재(200)는 스크린 부재(300)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00)는 제1 지지 부재(100)와 함께 스크린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부재(200)는 스크린 부재(300)의 상단이 삽입되는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홀은 제2 지지 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 홀은 제2 지지 부재(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부재(300)의 상단은 관통 홀을 통해 제2 지지 부재(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스크린 부재(300)는 빔 프로젝트에서 투사되는 빔이 조사되는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크린 부재(300)는 울트라 매트와 같은 스크린용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크린 부재(300)는 제1 지지 부재(100)와 제2 지지 부재(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스크린 부재(300)의 상측은 제2 지지 부재(200)와 연결되고, 하측은 제1 지지 부재(10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크린 부재(300)는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크린 부재(300)는 가로: 세로의 비가 4:3 또는 16:9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는 제1 지지 부재(10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는 제1 지지 부재(100)의 제1 이동 봉(12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는 제1 지지 부재(1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는 제1 지지 부재(100)의 일단 또는 타단에만 설치될 수 있다.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2 및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부착 부재(500)는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부착 부재(500)는 제1 지지 부재(100)와 인접한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착 부재(500)는 제1 지지 부재(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부착 부재(5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2 및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걸이 부재는 제2 지지 부재(2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걸이 부재는 제2 지지 부재(200)를 제2 지지 부재(200)와 인접한 물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걸이 부재는 걸림 플레이트들(620)과 걸림 줄(61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플레이트들(620)은 제2 지지 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걸림 플레이트들(620) 각각은 못,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 홀을 가질 수 있다.
권취 부재는 제2 지지 부재(2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권취 부재는 제2 지지 부재(200)의 관통 홀을 통해 삽입된 스크린 부재(30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취 부재는 스크린 부재(300)를 권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권취 부재는 롤 형태의 권취 봉과, 권취 봉을 회전시키는 회동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 봉은 제2 지지 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권취 부재는 권취 봉의 회전 방향을 변화시켜 스크린 부재(300)를 감거나 풀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는 연결 조인트부(420), 및 회동 조인트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조인트부(410)는 제1 부착 부재(500)와 결합될 수 있다. 회동 조인트부(410)는 연결 조인트부(4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 조인트부(410)는 제2 지지 부재(2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회동 조인트부(410)는 제1 커넥터부(411) 및 회동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411)는 부착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411)는 부착 부재가 삽입되는 제1 중공(4115)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중공(4115)은 제1 커넥터부(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커넥터부(411)를 관통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중공(4115)은 제1 커넥터부(41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411)는 일 방향으로 길쭉한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커넥터부(4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411)는 제1 중공(4115)을 둘러싸는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 돌기(4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커넥터부(411)는 2개의 결합 돌기들(4113)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결합 돌기들(4113)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결합돌기들은 제1 커넥터부(411)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제1 커넥터부(411)의 내측면을 따라 이어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412)는 제1 커넥터부(411)와 연결될 수 있다. 회동부(412)는 제1 커넥터부(411)로부터 연결 조인트부(4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회동부(412)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동부(412)의 직경은 제1 커넥터부(411)와 연결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갈수록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412)는 중간영역에 최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1 커넥터부(411)와 연결되는 일측 영역에 최소 직경을 가실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412)는 연결 조인트부(4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다. 회동부(412)는 내부에 제1 중공(4115)과 연결되는 홀을 가질 수 있다. 회동부(412)의 홀은 회동부(412)를 관통할 수 있다.
연결 조인트부(420)는 제1 지지 부재(10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조인트부(420)는 제1 지지 부재(100)의 끝단과 회동 조인트부(4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조인트부(420)는 제2 커넥터부(421), 수용부(422) 및 연결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421)는 제1 지지 부재(100)와 연결부(423)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421)는 제1 지지 부재(100)가 삽입되는 제2 중공(4215)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중공(4215)에는 제1 이동 봉(1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이동 봉(120)은 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부(421)는 제2 중공(4215)에 삽입된 제1 이동 봉(120)을 통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커넥터부(421)는 제1 이동 봉(12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부(42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부(421)는 제1 이동 봉(120)에서 제공받은 회전력에 의해 연결부(423)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421)는 몸체부(4211), 연장부(4213) 및 끼움 돌기부(4217)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211)는 제2 중공(4215)을 둘러쌀 수 있다. 즉, 제2 중공(4215)은 몸체부(42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중공(4215)은 몸체부(4211)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중공(4215)은 제1 지지 부재(100)를 바라보는 몸체부(4211)의 일측으로부터 회동 조인트부(410)를 향해 함몰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421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부(42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부(4213)는 몸체부(4211)로부터 수용부(42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4213)는 연결부(423) 내에 위치된 제4 중공(4235)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421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장부(4213)는 내부에 제2 중공(4215)과 제4 중공(4235)에 연결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 돌기부(4217)는 연장부(4213)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끼움 돌기부(4217)는 후술할 연결부(423)의 끼움 홈(4233)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끼움 돌기부(4217)는 연장부(4213)를 둘러싸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부(421)가 제1 이동 봉(120)에 의해 회전될 때, 끼움 돌기부(4217)는 끼움 홈(42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회전할 수 있다.
수용부(422)는 제2 커넥터부(421)와 이격될 수 있다. 수용부(422)는 수용부(422)가 삽입되는 제3 중공(4225)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422)는 제3 중공(4225)을 둘러싸는 내측면이 회동부(412)의 외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422)의 내측면은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412)는 제3 중공(42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중공(4225)은 수용부(422)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중공(4225)은 연결부(423)의 제4 중공(4235)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3 중공(4225)은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수용부(422)의 외측면은 그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부(42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422)는 플랙서블한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중공(4225)은 제1 커넥터부(411)를 향한 일측의 직경(이하, 제1 직경이라고 한다.)이 제1 커넥터부(41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직경은 회동부(412)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회동부(412)의 최소 직경보다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412)는 제3 중공(4225)에 억지 삽입된 후에 제3 중공(4225)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부(423)는 제2 커넥터부(421)와 수용부(42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23)는 제2 커넥터부(421)와 수용부(4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423)는 내부에 제1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4 중공(4235) 및 끼움 홈(4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중공(4235)에는 제2 커넥터부(421)의 연장부(4213)와 제1 끼움돌기부가 위치될 수 있다. 제4 중공(4235)은 연결부(423)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 홈(4233)은 제4 중공(4235)을 둘러싸는 연결부(423)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끼움 홈(4233)은 끼움 돌기부(4217)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끼움 홈(4233)은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착 부재(500)는 부착부(510)와 결합 삽입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착 부재(50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부착 부재(5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삽입부(520)는 일측이 부착부(5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중공(4115) 내에 삽입되는 제1 커넥터부(411)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삽입부(520)는 제1 커넥터부(411)의 결합 돌기(4113)가 삽입되는 돌기 홀(5)을 가질 수 있다.
부착부(510)는 회동 조인트부(410)와 이격될 수 있다. 부착부(510)는 제1 지지 부재(100)와 인접한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부착부(510)는 일측으로부터 결합 삽입부(520)를 향해 함몰된 부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510)는 부착 홈을 감싸는 내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510)의 폭은 결합 삽입부(52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부착부(510)의 폭이 클 수록 물체와의 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1 지지 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봉(110), 제1 이동 봉(120) 및 스토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봉(110)은 스크린 부재(30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 봉(110)은 내부에 이동 홀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봉(110)은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봉(110)은 원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홀은 제1 지지 봉(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동 홀은 제1 지지 봉(110)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동 홀은 제1 지지 봉(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 봉(120)은 제1 지지 봉(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이동 봉(120)의 일측은 제2 커넥터부(421)의 제2 중공(421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이동 봉(120)의 타측은 제1 지지 봉(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이동 봉(120)의 폭은 이동 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봉(120)은, 제1 지지 봉(1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봉(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 봉(120)은 타측에 제1 이동 봉(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나사 결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 결합부(123)는 원통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사 결합부(123)의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100)는 한 쌍의 제1 이동 봉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이동 봉들(120)은 제1 지지 봉(110)의 양단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부(150)는 제1 이동 봉(12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150)는 제1 이동 부의 회동에 따라 제1 이동 봉(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부(150)는 제1 이동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제1 지지 봉(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 이동 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50)는 제1 이동부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제1 지지 봉(110)의 내측면과 분리되어 제1 이동부의 이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150)는 이동 스토퍼(151) 및 고정 스토퍼(15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토퍼(153)는 제1 이동 봉(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 스토퍼(153)는 제1 이동 봉(120)의 나사 결합부(123)를 둘러쌀 수 있다. 고정 스토퍼(153)는 나사 결합부(123)가 삽입되는 결합 홀(15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스토퍼(151)는 나사 결합부(123)와 고정 스토퍼(15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 스토퍼(151)는 결합 홀(153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 스토퍼(151)는 제1 이동 봉(120)의 나사 결합부(123)가 삽입되는 나사 홀(15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스토퍼(151)는 나사 홀(1515)을 둘러싸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스토퍼(151)와 나사 결합부(123)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스토퍼(151)는 제1 이동 봉(120)의 회전에 따라 제1 지지 봉(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이동 봉(120)이 제자리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스토퍼(151)는 나사 결합부(123)의 나사산을 따라 제1 이동 봉(12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봉(120)이 제자리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스토퍼(151)는 나사 결합부(123)의 나사산을 따라 제1 이동 봉(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스토퍼(151)는 제1 이동 봉(120)을 향해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100)의 길이 방향, 제1 지지 봉(110)의 길이 방향 및 제1 이동 봉(120)의 길이 방향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동 스토퍼(151)가 결합 홀(1535) 내에서 제1 이동 봉(120)을 향해 이동하면, 고정 스토퍼(153)는 벌어질 수 있다. 즉, 결합 홀(1535) 일부의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스토퍼(153)는 제1 지지 봉(11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 스토퍼(153)가 제1 지지 봉(110)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서, 제1 이동 봉(120)의 회전이 제한되고, 제1 이동 봉(120)의 제1 지지 부재(100)의 길이 방향의 이동도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스토퍼(151)가 결합 홀(1535) 내에서 제1 이동 봉(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벌어졌던 고정 스토퍼(153)가 오므라 들 수 있다. 즉, 직경이 증가했던 결합 홀(1535) 일부가 원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스토퍼(153)는 제1 지지 봉(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 스토퍼(153)가 제1 지지 봉(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1 이동 봉(120)의 이동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회동 조인트 부재, 제1 부착 부재 및 제1 이동 봉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지지 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 중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11)는 제1 지지 부재(100), 제2 지지 부재(200), 스크린 부재(300),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 및 제1 부착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11)는 재2 회동 조인트 부재(700), 제2 부착 부재(800), 걸이 부재 및 권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00)는 제1 지지 봉(110), 및 한 쌍의 제1 이동 봉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봉(110)은 내부에 제1 이동 봉들(120)이 삽입되는 이동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봉(110)은 이동 홀을 둘러싸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이동 봉들(120)은 제1 지지 봉(110)의 양단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1 이동 봉들(120) 각각은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봉들(120)의 각각은 제1 지지 봉(1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봉(120)은 회전을 통해 제1 지지 봉(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는 연결 조인트부(420)와 회동 조인트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조인트부(410)는 제1 커넥터부(411) 및 회동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조인트부(420)는 제2 커넥터부(421), 연결부(423) 및 수용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착 부재(500)는 부착부(510)와 결합 삽입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삽입부(52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부착부(510)는 회동 조인트부(410)와 이격될 수 있다. 부착부(510)는 제1 지지 부재(100)와 인접한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부착부(510)는 일측으로부터 결합 삽입부(520)를 향해 함몰된 부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510)는 자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 재질의 물체에 부착부(510)는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어서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삽입부(520)는 제1 관부(521), 제2 관부(522) 및 제3 관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부(521)는 돌기 홀(5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부(521)는 제2 관부(522)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홀(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부(522)는 제1 관부(521)의 제1 슬라이딩 홀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 관부(522)는 내부에 제3 관부(523)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홀(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부(521)의 제1 슬라이딩 홀 내에는 탄성 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관부(522)는 제1 슬라이딩 홀 내에 위치될 때,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는 제2 관부(522)를 제1 부착 부재(500)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착 부재(500)가 제1 지지 부재(100)와 인접한 물체에 부착될 경우, 탄성 부재는 제1 부착 부재(500)가 물체에 더 잘 부착되도록 제2 관부(522)를 가압하여 제1 부착 부재(500)가 물체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관부(523)는 제2 관부(522)의 제2 슬라이딩 홀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3 관부(523)는 부착 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관부(522) 및/또는 제3 관부(523)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제1 부착 부재(5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2 회동 조인트 부재(700)는 제2 지지 부재(20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회전 조인트 부재는 제2 지지 부재(2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재2 회동 조인트 부재(700)는 연결 조인트부(420)와 회동 조인트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재2 회동 조인트 부재(700)의 구성과 구조는 도 6의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의 구성과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부착 부재(800)는 부착부(510)와 결합 삽입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부착 부재(800)의 구성과 구조는 도 6의 제1 부착 부재(500)의 구성과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부착 부재(800)의 구성과 구조는 도 3의 제1 부착 부재(500)의 구성과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00)는 제2 지지 봉(210)과 한 쌍의 제2 이동 봉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 봉들(220)은 제2 지지 봉(210)의 양단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부재(200)의 구성과 구조는 도 7의 제1 지지 부재(100)의 구성과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부재(200)의 구성과 구조는 도 4의 제1 지지 부재(100)의 구성과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10)를 큰 창문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큰 창문 상에 부착된 걸이 부재에 걸이 부재의 걸림 줄(610)을 걸 수 있다. 하지만, 스크린 장치(10)는 걸림 부재(600)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며,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릴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이동 봉(120)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지지 봉(110)에 밀착된 고정 스토퍼(153)를 제1 지지 봉(110)의 내측면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봉(120)의 이동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지지 부재(100)의 제1 이동 봉(120)을 제1 지지 부재(100)와 인접한 물체(O)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봉(120)은 제1 지지 봉(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이동 봉(120)을 상기 물체(O)를 향해 이동시켜 제1 이동 봉(120)과 연결된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를 물체(O)와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재1 회동 조인트 부재(400)의 회동부(412)를 회동시켜 제1 부착 부재(500)를 상기 물체(O)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 부착 부재(500)가 상기 물체(O)에 부착되면, 사용자는 제1 이동 봉(1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부(150)의 고정 스토퍼(153)를 제1 지지 봉(1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봉(120)의 이동이 제한되고,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잇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11: 스크린 장치 100: 제1 지지 부재
110: 제1 지지 봉 115: 이동 홀
120: 제1 이동 봉 123: 나사 결합부
150: 스토퍼부 151: 이동 스토퍼
1515: 나사 홀 153: 고정 스토퍼
1535: 결합 홀 200: 제2 지지 부재
210: 제2 지지 봉 220; 제2 이동 봉
300: 스크린 부재 400: 제1 회동 조인트 부재
410: 회동 조인트부 411: 제1 커넥터부
4113: 결합 돌기 4115: 제1 중공
412: 회동부 420: 연결 조인트부
421: 제2 커넥터부 4211: 몸체부
4213: 연장부 4215: 제2 중공
4217: 끼움 돌기부 422: 수용부
4225: 제3 중공 423: 연결부
4233: 끼움 홈 4235: 제4 중공
500: 제1 부착 부재 510: 부착부
520: 결합 삽입부 525: 돌기 홀
600: 걸림 부재 700: 제2 회동 조인트 부재
800: 제2 부착 부재 O: 물체
110: 제1 지지 봉 115: 이동 홀
120: 제1 이동 봉 123: 나사 결합부
150: 스토퍼부 151: 이동 스토퍼
1515: 나사 홀 153: 고정 스토퍼
1535: 결합 홀 200: 제2 지지 부재
210: 제2 지지 봉 220; 제2 이동 봉
300: 스크린 부재 400: 제1 회동 조인트 부재
410: 회동 조인트부 411: 제1 커넥터부
4113: 결합 돌기 4115: 제1 중공
412: 회동부 420: 연결 조인트부
421: 제2 커넥터부 4211: 몸체부
4213: 연장부 4215: 제2 중공
4217: 끼움 돌기부 422: 수용부
4225: 제3 중공 423: 연결부
4233: 끼움 홈 4235: 제4 중공
500: 제1 부착 부재 510: 부착부
520: 결합 삽입부 525: 돌기 홀
600: 걸림 부재 700: 제2 회동 조인트 부재
800: 제2 부착 부재 O: 물체
Claims (8)
-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이격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빔이 조사되는 스크린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 회동 조인트 부재; 및
상기 제1 회동 조인트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인접한 물체에 부착되는 제1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조인트부; 및
상기 제1 부착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조인트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조인트부는,
상기 제1 부착 부재가 삽입되는 제1 중공을 갖는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1 커넥터부로부터 상기 연결 조인트부를 향해 연장되는 구 형상의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조인트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제2 중공을 갖는 제2 커넥터부;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이격되고, 상기 회동부가 삽입되는 제3 중공을 갖는 수용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커넥터부가 삽입되는 제4 중공과 상기 제4 중공을 둘러싸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끼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되며,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끼움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3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스크린 부재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지지 봉; 및
일측은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지지 봉 내에 삽입되는 제1 이동 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봉은, 상기 제1 지지 봉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이동 봉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동 봉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 이동 봉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이동 봉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커넥터부가 삽입되는 제4 중공; 및
상기 제4 중공을 둘러싸는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끼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중공을 둘러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4 중공에 삽입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되는 끼움 돌기부를 포함하는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중공을 둘러싸는 상기 제1 커넥터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상기 회동 조인트부와 이격되고, 상기 물체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일측이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중공 내에 삽입되는 결합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삽입부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홀을 갖는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재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376U KR200494276Y1 (ko) | 2021-04-30 | 2021-04-30 |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376U KR200494276Y1 (ko) | 2021-04-30 | 2021-04-30 |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4276Y1 true KR200494276Y1 (ko) | 2021-09-08 |
Family
ID=7778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1376U KR200494276Y1 (ko) | 2021-04-30 | 2021-04-30 |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4276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928Y1 (ko) * | 2002-09-18 | 2002-12-31 | 최해용 | 벽걸이용 스크린 |
KR20050039343A (ko) * | 2003-10-24 | 2005-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용 설치키트 |
KR20080006526A (ko) * | 2007-12-28 | 2008-01-16 | 장세권 | 파이프 부재용 길이조절장치 |
KR102093882B1 (ko) | 2019-11-11 | 2020-03-26 | 주식회사 브이엠 | 빔스크린 일체형 승하강식 이중 블라인드 |
-
2021
- 2021-04-30 KR KR2020210001376U patent/KR20049427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928Y1 (ko) * | 2002-09-18 | 2002-12-31 | 최해용 | 벽걸이용 스크린 |
KR20050039343A (ko) * | 2003-10-24 | 2005-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용 설치키트 |
KR20080006526A (ko) * | 2007-12-28 | 2008-01-16 | 장세권 | 파이프 부재용 길이조절장치 |
KR102093882B1 (ko) | 2019-11-11 | 2020-03-26 | 주식회사 브이엠 | 빔스크린 일체형 승하강식 이중 블라인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190428A (zh) | 带有整体背带连接器的相机机体 | |
JP2013535706A (ja) | ロールタイプの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ー装置 | |
JP2007511320A (ja) | 傘 | |
US10801660B1 (en) | Support frame | |
WO2020108625A1 (zh) | 铰接件、折叠机构及终端设备 | |
KR200494276Y1 (ko) | 빔 프로젝트용 스크린 장치 | |
JP7096950B2 (ja) | 手持ち振とう防止安定装置及び撮影スタビライザー | |
KR100983308B1 (ko) | 어깨 거치대용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 |
EP2463578B1 (en) | Device for securing fixtures | |
US9952484B2 (en) | Photographic background assembly | |
CN204717306U (zh) | 便携式手机自拍杆 | |
US20090032632A1 (en) | Reel structure | |
CN110324472B (zh) | 手机固定装置 | |
TWI646254B (zh) | Curtain rotation structure | |
KR200480127Y1 (ko) | 차량용 차광막 | |
US9169963B1 (en) | Stand device | |
US8151384B2 (en) | Shower expander | |
KR101807402B1 (ko) | 절첩식 간이 텐트용 설치유닛 | |
JPH08277981A (ja) | 快速パイプ継手 | |
KR20120017612A (ko) | 카메라 지지장치 | |
KR101170508B1 (ko) | 캐빈텐트의 프레임 | |
CN205781896U (zh) | 一种小型相机视频拍摄稳定器 | |
US11278090B2 (en) | Portable compact umbrella | |
CN212928431U (zh) | 一种伸缩杆 | |
CN101689011B (zh) | 一种柔光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