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076Y1 -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 Google Patents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076Y1
KR200494076Y1 KR2020210000074U KR20210000074U KR200494076Y1 KR 200494076 Y1 KR200494076 Y1 KR 200494076Y1 KR 2020210000074 U KR2020210000074 U KR 2020210000074U KR 20210000074 U KR20210000074 U KR 20210000074U KR 200494076 Y1 KR200494076 Y1 KR 200494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rib
fixing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병석
노연형
Original Assignee
노병석
노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병석, 노연형 filed Critical 노병석
Priority to KR2020210000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2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1/26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s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125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by means of telesco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4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 B62B5/065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by means of telescop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가 각각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후방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외측에 구성되는 리브 관통홀을 포함하는 받침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수단; 및 토치 및 용접라인이 고정되고, 상기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부 이송 프레임과,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상기 리브 관통홀에 결합되는 고정리브가 형성된 하부 이송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이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Cart device for welding machine transfer}
본 고안은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소통, LPG통, 소화기통을 모두 적재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고, 용접시 사용되는 토치가 삽입되어, 토치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cart)는 짐이나 사람 등을 운반하기 위해 휠(wheel)을 달아 굴러가도록 한 수레형상의 운반기구를 총칭한다.
한편, 용접은, 전기용접과 가스용접으로 크게 나뉘어 지며, 전기용접은 전기적으로 접합부를 가열하는 방법으로, 가열 방식에 따라 저항 용접, 유도 용접, 아크 용접으로 구분되고, 이는 고정용과 휴대용으로 용접기가 구분된다.
이와 같은 용접기는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이 길어질 수 밖에 없고, 구석구석 용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하기의 특허 문헌들과 같이 운반구를 이용하여 용접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 운반구는 부피가 크고 복잡하여 이동 장소에 제약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3112호에는, 용접기를 포함하여 용접 작업에 필요한 각종 용접도구와 배터리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짊어지고 용접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하여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용접기 이송용 지게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깨에 멘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용접기와 관련된 부품들만이 수납됨에 따라 용접기와 연결되는 산소통이나 가스통은 별도의 카트장치를 통해 운반이 이루어져야만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용접기 이송용 지게를 어깨에 멘 상태에서 산소통과 가스통을 함께 운반해야하기 때문에 오히려 운반에 해당 효율성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기의 사용 이후 토치 등과 같은 부품의 잔열이 사용자의 신체로 전이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훼손시키거나, 지게의 수납부로 전이되어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3112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산소통, LPG통, 소화기통을 모두 적재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고, 용접시 사용되는 토치 및 용접기 부품들이 삽입 및 고정되어, 토치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용접 작업의 수행 및 운반이 가능한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가 각각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후방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외측에 구성되는 리브 관통홀을 포함하는 받침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수단; 및 토치 및 용접라인이 고정되고, 상기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부 이송 프레임과,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상기 리브 관통홀에 결합되는 고정리브가 형성된 하부 이송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이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의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홀 및 리브 관통홀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패널과, 상기 가이드 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과 고정홀의 축 중심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프레임 지지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에는 상기 리브 관통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리브의 내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리브와 상기 받침 프레임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리브가 삽입되는 리브 삽입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 프레임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고정 플랜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 프레임에는 상기 토치가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용접 후 토치에 남아 있는 잔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토치 고정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소통, LPG통, 소화기통을 모두 적재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고, 용접시 사용되는 토치가 삽입되어, 토치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용접 작업의 수행 및 운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의 받침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의 이송 프레임의 하단부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는 용접시 사용되는 산소통, LPG통과 같은 가스통, 화재시 사용되는 소화기를 한번에 모두 적재하여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토치 및 용접라인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용접의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용접이 완료된 후 토치의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잔열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임부, 적재 프레임(200) 및 길이 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는 적재 프레임(200)이 안착되는 받침 프레임(110)과, 받침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이송 프레임(120)과, 받침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카트장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50)과, 용접라인이 권취되는 권취바(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 프레임(110)은 카트장치의 바닥면을 이루며, 전방측 상부로 전술한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가 각각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200)이 안착되는 안착홈(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홈(114)은 적재 프레임(200)의 제1 내지 제3적재 프레임(200a, 200b, 200c)에 구성되는 하부 적재 프레임(220)이 삽입에 의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받침 프레임(110)은 안착홈(114)의 후방부에 형성되며, 이송 프레임(12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홀(112)이 형성된다.
고정홀(112)은 받침 프레임(110)의 후방부 양측부에 형성되어 이송 프레임(120)의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받침 프레임(110)의 저면으로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고정홀(112)을 관통하면서 하부 이송 프레임(120b)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받침 프레임(110)에는 고정홀(112)의 외측에 구성되며, 90°간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 구성되는 고정리브(124)가 삽입되는 리브 관통홀(112a)이 더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받침 프레임(110)은 후방부 상단으로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의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고정홀(112) 및 리브 관통홀(112a)과의 보다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패널(110a)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패널(110a)에는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이 관통하면서 고정리브(124)와 리브 관통홀(112a)의 결합을 안내하고, 고정홀(112)과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의 축 중심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프레임 지지부(116)가 더 구성된다.
이송 프레임(120)은 받침 프레임(110)에 구성되는 고정홀(112) 및 리브 관통홀(112a)과 결합되며, 적재 프레임(200)에 적재된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와 토치와 용접라인과 같은 용접수단들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상부 이송 프레임(120a) 및 하부 이송 프레임(120b)으로 구성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카트장치를 밀거나 끌고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대략적인 형상이 "n"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중앙으로 소정의 쿠션력을 제공하는 커버부재가 구성된다.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은 원통형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상단부에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하단부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받침 프레임(11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향 연장되는 다수개의 고정리브(124)가 구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고정리브(1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의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성되되, 본 고안에서는 90°간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받침 프레임(110)에 구성되는 리브 관통홀(112a)에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이송 프레임(120b)과 받침 프레임(110) 간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고정 플랜지(130)가 더 구성된다.
고정 플랜지(130)는 받침 프레임(110)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며, 바라직하게는 받침 프레임(110)에 형성된 리브 관통홀(112a)에 결합되며,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 형성된 고정리브(124)의 내면이 밀착되면서 고정리브(124)와 받침 프레임(1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고정돌기(134)가 형성된다.
고정돌기(134)는 일측면이 리브 관통홀(112a)의 내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이 고정리브(124)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리브(124)가 리브 관통홀(112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 플랜지(130)에는 리브 관통홀(112a)을 관통하는 고정리브(124)가 삽입되면서 고정 플랜지(130)가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브 삽입홈(132)이 더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 플랜지(130)는 그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홈(122)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체결수단이 고정 플랜지(130)의 중앙 관통홀과 받침 프레임(110)의 고정홀(112)을 체결에 의해 관통하면서 체결홈(122)에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는 용접수단들 중, 토치와 각각의 통들(산소통, 가스통, 소화기)을 연결하는 용접라인이 권취되는 권취바(160)가 더 구성되며, 권취바(160)는 그 단부가 축 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권취되는 용접라인이 권취바(16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이송 프레임(120)에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길이 조절부(3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하단부에 내장되게 장착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패널(320)과, 탄성패널(32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패널(320)을 가압하는 조절수단(330) 및 조절수단(330)이 관통하며,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을 고정시키는 조절공(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조절공(310)은 상부 이송 프레임(120a)에 구성되는 제1조절공(310a)과,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 구성되는 제2조절공(310b)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조절공(310a, 310b)은 서로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조절수단(330)의 관통 여부에 따라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조절공(301b)은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조절되는 길이에 대한 제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조절수단(330)은 제1 및 제2조절공(310a, 310b)을 모두 관통하는 경우,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이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제1조절공(310a)만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단부가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의 내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면서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길이 조절시 조절수단(330)이 제2조절공(310b)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패널(3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조절공(310b)을 관통하면서 소정의 고정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이송수단(150)은 받침 프레임(110)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카트장치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통상의 바퀴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수단(150)은 원형 축 부재와 베어링 부재로 구성되는 이송 지지바(152)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송 지지바(152)는 지지 플랜지(140)에 의해 받침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적재 프레임(200)은 전술한 각각의 통들이 수용되며, 수용된 각각의 통들이 카트장치의 이송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받침 프레임(110)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네는 받침 프레임(110)의 안착홈(114)에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적재 프레임(200)은 제1 내지 제3적재 프레임(200a, 200b, 200c)로 구성되어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가 각각 수용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3적재 프레임(200c)은 후방측 상부가 제1 및 제2적재 프레임(200a, 200b)의 전방부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적재 프레임(200)은 안착홈(114)에 안착되면서 적재 프레임(200)을 받침 프레임(110)에 고정시키는 하부 적재 프레임(220)과 하부 적재 프레임(220)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수용되는 각각의 통들의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상부 적재 프레임(210) 및 하부 적재 프레임(220)과 상부 적재 프레임(210)을 연결하는 연결패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적재 프레임(220)에는 바닥면으로 다수개의 유출공(222)을 형성하여 빗물 등의 유입시 외부로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적재 프레임(200)에는 제2적재 프레임(200b)에 구성되며, 토치가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용접 후 토치에 남아 있는 잔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토치 고정부(240)가 구성된다.
토치 고정부(240)는 토치가 삽입되는 내주면을 따라 방화시트, 또는 내열성 시트가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재 프레임(200)에는 제1적재 프레임(200a)과 제2적재 프레임(200b)을 연결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50)가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손잡이(250)는 전술한 상부 이송 프레임(120a)과 함께 파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왼손은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을 잡고, 오른손은 손잡이(250)를 잡도록 하여 무게가 무거운 카트장치를 보다 쉽게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받침 프레임 110a: 가이드 패널
112: 고정홀 112a: 리브 관통홀
114: 안착홈 116: 프레임 지지부
120: 이송 프레임 120a: 상부 이송 프레임
120b: 하부 이송 프레임 122: 체결홈
124: 고정리브 130: 고정 플랜지
132: 리브 삽입홈 140: 지지 플랜지
150: 이송수단 152: 이송 지지바
160: 권취바 200: 적재 프레임
200a: 제1적재 프레임 200b: 제2적재 프레임
200c: 제3적재 프레임 210: 상부 적재 프레임
220: 하부 적재 프레임 222: 유출공
230: 연결패널 240: 토치 고정부
250: 핸들 300: 길이 조절부
310: 제1조절공 320: 탄성패널
330: 조절수단

Claims (5)

  1.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가 각각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200);
    상기 적재 프레임(200)이 안착되는 안착홈(114)과, 상기 안착홈(114)의 후방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112)과, 상기 고정홀(112)의 외측에 구성되며 90°간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리브 관통홀(112a)을 포함하는 받침 프레임(110);
    상기 받침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수단(150);
    토치 및 용접라인이 고정되고, 상기 산소통, 가스통 및 소화기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부 이송 프레임(120a)과,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상기 리브 관통홀(112a)에 결합되는 고정리브(124)가 형성된 하부 이송 프레임(120b)과,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300)로 구성되는 이송 프레임(120); 및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 구성되며, 상기 용접라인이 권취되고, 단부측이 축 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용접라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권취바(16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 프레임(110)에는,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의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홀(112) 및 리브 관통홀(112a)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패널(110a)과, 상기 가이드 패널(110a)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120b)과 고정홀(112)의 축 중심이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프레임 지지부(116)가 더 구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300)는,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하단부에 내장되게 장착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패널(320)과, 탄성패널(32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패널(320)을 가압하는 조절수단(330)과, 상기 조절수단(330)이 관통하며,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120a)에 구성되는 제1조절공(310a)과,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 구성되는 제2조절공(3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수단(330)이 상기 제1 및 제2조절공(310a, 310b)을 모두 관통하는 경우,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이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1조절공(310a)만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단부가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120b)의 내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면서 상기 상부 이송 프레임(120a)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조절공(31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패널(320)은, 상기 조절수단(330)이 상기 제2조절공(310b)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절수단(330)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절수단(330)이 상기 제2조절공(310b)을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이송 프레임(120b)에는
    상기 리브 관통홀(112a)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리브(124)의 내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리브(124)와 상기 받침 프레임(1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고정돌기(134)와, 상기 고정리브(124)가 삽입되는 리브 삽입홈(132)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 프레임(110)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고정 플랜지(13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프레임(200)에는
    상기 토치가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용접 후 토치에 남아 있는 잔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토치 고정부(24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KR2020210000074U 2021-01-11 2021-01-11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KR200494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74U KR200494076Y1 (ko) 2021-01-11 2021-01-11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74U KR200494076Y1 (ko) 2021-01-11 2021-01-11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076Y1 true KR200494076Y1 (ko) 2021-07-28

Family

ID=7712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074U KR200494076Y1 (ko) 2021-01-11 2021-01-11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076Y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596U (ko) * 1995-12-18 1997-07-24 용접기 이송대
JP2001039309A (ja) * 1999-07-27 2001-02-13 Kamimaru Co Ltd 溶接、溶断用ガスボンベの運搬車
KR200308905Y1 (ko) * 2002-11-02 2003-03-31 오은환 모바일 유틸리티 카트
US7273216B1 (en) * 2006-07-24 2007-09-25 Hohrman Harlan W Welding tank cart system
KR200437068Y1 (ko) * 2006-12-28 2007-10-31 동문산업(주) 가스용접기용 케리어
CA2422134C (en) * 2003-03-14 2008-05-06 Edward G. Gutwein Welding cart
KR101309226B1 (ko) * 2012-05-15 2013-09-16 주식회사 에스엔씨케어 핸드 카트
KR20170002527U (ko) * 2016-01-04 2017-07-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충전장비 이동장치
CN107598326A (zh) * 2017-09-30 2018-01-19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安全气焊车
US20190210134A1 (en) * 2018-01-11 2019-07-11 Michael J. Stanton Portable welding carriage with fire extinguisher retaining means
KR102017034B1 (ko) * 2018-09-01 2019-09-02 우창국 용접장치 운반용 대차
KR102163112B1 (ko) 2019-03-04 2020-10-13 주식회사 미성 용접기 이송용 지게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596U (ko) * 1995-12-18 1997-07-24 용접기 이송대
JP2001039309A (ja) * 1999-07-27 2001-02-13 Kamimaru Co Ltd 溶接、溶断用ガスボンベの運搬車
KR200308905Y1 (ko) * 2002-11-02 2003-03-31 오은환 모바일 유틸리티 카트
CA2422134C (en) * 2003-03-14 2008-05-06 Edward G. Gutwein Welding cart
US7273216B1 (en) * 2006-07-24 2007-09-25 Hohrman Harlan W Welding tank cart system
KR200437068Y1 (ko) * 2006-12-28 2007-10-31 동문산업(주) 가스용접기용 케리어
KR101309226B1 (ko) * 2012-05-15 2013-09-16 주식회사 에스엔씨케어 핸드 카트
KR20170002527U (ko) * 2016-01-04 2017-07-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충전장비 이동장치
CN107598326A (zh) * 2017-09-30 2018-01-19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安全气焊车
US20190210134A1 (en) * 2018-01-11 2019-07-11 Michael J. Stanton Portable welding carriage with fire extinguisher retaining means
KR102017034B1 (ko) * 2018-09-01 2019-09-02 우창국 용접장치 운반용 대차
KR102163112B1 (ko) 2019-03-04 2020-10-13 주식회사 미성 용접기 이송용 지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31872A1 (en) Portable compressor
US4544173A (en) Self-storing LPG tank cart
KR20140027417A (ko) 판스프링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량용 대차
US6799769B2 (en) Welding cylinder dolly
US6554300B1 (en) Welding cylinder dolly
US9573608B2 (en) Torch cart
US8505691B2 (en) Forklift shipping and handling apparatus
KR200494076Y1 (ko) 용접기 이송용 카트장치
US6532990B1 (en) Air compressor assembly including a lifting handle
CN213199749U (zh) 可分离式氧气乙炔车
GB2499586A (en) Folding bicycle frame and bicycle
CN102427910B (zh) 用于保护焊接部件的壳体的设备
CN204355112U (zh) 一种运输小车
US20150084297A1 (en) Dolly for Moving, Stacking, and Storing Tubular Truss
JP4789134B2 (ja) 搬送装置
JP2008132854A (ja) 運搬台車のストッパー
JP7037322B2 (ja) 運搬機
US20110223002A1 (en) Method for handling welding gas bottles
KR20080002188U (ko) 가스 용접 장치용 운반대차
JP2006256799A5 (ko)
US6170855B1 (en) Web roll cart
CN110480215B (zh) 用于焊接应用的可移除焊丝卷筒装置
US20080054581A1 (en) Hand truck having a collapsible and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KR200497238Y1 (ko) 용접기 이송용 카트
JP5886079B2 (ja) 低床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