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54Y1 - 도어락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도어락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954Y1
KR200493954Y1 KR2020200001525U KR20200001525U KR200493954Y1 KR 200493954 Y1 KR200493954 Y1 KR 200493954Y1 KR 2020200001525 U KR2020200001525 U KR 2020200001525U KR 20200001525 U KR20200001525 U KR 20200001525U KR 200493954 Y1 KR200493954 Y1 KR 200493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door lock
cover
door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운규
Original Assignee
양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운규 filed Critical 양운규
Priority to KR2020200001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8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가 개방되어 있고 도어락의 외형에 유사한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내주부의 측면 또는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본체의 개방된 영역을 밀폐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내면 양측에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한 쌍의 가이드에 이동 레일이 삽입되어 가이드를 따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전방 커버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면에 일면이 접촉하고 타면은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 표면에 접촉하여 프레임 본체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주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상단 또는 상기 전방 커버 내측면 하단에 형성된 역방향 분리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락 보호커버 {Protection cover for doorlock}
본 고안은 도어락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락 전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밀폐식으로 도어락을 보호하며 비, 눈 등의 수분과 먼지 등으로부터 도어락을 보호할 수 있는 방수 가능 보호 수단을 제안한다.
도어락은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목적으로, 집 또는 사무실의 도어에 설치되는 방범용 기기이다. 도어락에는 특정한 형태의 열쇠를 필요로 하는 일반 잠금 장치와, 카드 접촉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개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등이 보편화되어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기계적인 방법 이외에 전기, 전자적인 방법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 및 도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출입문에 장착되는 디지털 도어락은 문 외부에서 카드를 접촉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모터를 작동시켜 잠금 해제되게 하는 것으로, 문밖에서는 개방용 카드가 없거나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면 도어락의 잠금 해제가 불가능하다.
기계식 도어락 뿐만 아니라 전자식 도어락의 경우 빗물, 눈 등의 직접적인 물기가 침투되거나, 장마철의 습기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되어야 내구성이 유지되는데 기존의 도어락은 별도의 보호수단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건물 입구 등에 설치되어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된 강화유리문, 샷시문 등에 설치된 도어락은 수분 등의 환경 조건에 매우 취약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어락을 보호하도록 별도러 설치할 수 있는 커버가 제안된 바 있는데, 예를 들어 상용화된 슬라이딩 방식의 레인커버의 경우 투명 아크릴 재질의 커버로서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 표면에 부착되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동작하는 커버부로 구성된다. 이 레인커버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도어락 전체를 보호하지 못하며, 특히 손잡이형 도어락에는 완전 커버가 안 되고 손잡이부로부터 수분 유입을 피할 수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도 1a 참조). 뿐만 아니라 이 방식의 레인커버는 강화유리문이나 샷시문에 설치된 도어락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폴딩 방식의 도어락 레인커버가 제안되었는데, 이 레인커버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 표면에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고정 본체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방식 레인커버와 동일하게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도어락 측면에 대한 밀폐 및 방수 수준도 좋지 못하며 특히 도어락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여 방수 성능이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10-1429656호에 따르면 엿보기 방지 기능을 구비한 폴더형 디지털 도어락이 제시되었는데 기존의 폴더형 레인커버와 유사한 형태로서 투명 커버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개방한 상태에서 투명 커버 전면에 부착된 보안필름을 통하여 정면에서만 키패드의 번호를 보고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측면에 위치한 사람 또는 몰래카메라 등에 의한 사용자 비밀번호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도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도어락을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476700호에 따르면 도어락 본체의 방수구조체가 제안되었는데 도어락 몸체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조작부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 커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본체의 방수구조체로서, 상기 도어락 몸체의 양측에는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 배수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배수라인의 종단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집수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술은 도어락 자체에 배수라인과 집수 안내부를 부가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도어락을 외부 수분에 대해 보호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거나 새로 설치하는 도어락의 외면을 보호할 수 있는 방수 수단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눈, 비 등의 수분으로부터 도어락을 보호하고, 강화유리문이나 샷시문의 도어락에도 적용할 수 있는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쉽고 조작이 간단하며 도어락의 사용에 불편이 없는 새로운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도어락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가 개방되어 있고 도어락의 외형에 유사한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내주부의 측면 또는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본체의 개방된 영역을 밀폐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내면 양측에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한 쌍의 가이드에 이동 레일이 삽입되어 가이드를 따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전방 커버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면에 일면이 접촉하고 타면은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 표면에 접촉하여 프레임 본체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주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상단 또는 상기 전방 커버 내측면 하단에 형성된 역방향 분리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적어도 두 곳 이상에 프레임 본체를 도어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프레임 본체와 접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프레임 본체에 유사한 내부 개방 영역이 있는 프레임 구조의 베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어락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 및 전방 커버는 상기 가이드 및 이동 레일을 제외한 부분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커버의 중앙부는 가장자리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 커버는 프레임 본체의 가이드를 통해 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상부 커버는 본체의 가이드를 통해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고, 전방 커버의 역방향 분리 방지턱은 상부 커버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작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눈, 비 등의 수분이나 스크래치를 야기하는 물리적인 외력으로부터 도어락을 보호하고, 강화유리문이나 샷시문의 도어락에도 적용할 수 있는 도어락 보호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보호커버는 도어락의 외면에 밀착되어 도어락 전체를 커버하며, 도어락의 외관과 유사한 형태로서 도어락과 일체화된 부품으로 기능하여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줄 뿐만 아니라 도어락과 기능적 및 형태적으로 조화될 수 있어 도어락과 세트화된 제품으로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커버는 설치가 쉽고 조작이 간단하여 도어락의 사용에 불편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도어락에 보호커버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카드키 등을 도어락 전면에 접촉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도어락 레인커버를 보인 사진
도 2a 내지 2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B-B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를 도어락에 결합 및 장착한 모습을 보인 사진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B-B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개방 동작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를 도어락에 결합 및 장착한 모습을 보인 사진
도 7a 및 7b는 본 고안의 보호커버의 분리 방지턱을 보인 모식도
도 8a 및 8b는 분리 방지턱에 의해 역방향 분리가 제한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본 고안은 도어락의 형태에 유사한 구조의 슬라이딩 개폐형 보호커버를 제안한다.
본 보안의 보호커버는 도어락의 외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구조로서, 도어락과 유사한 외관을 제공하여 전체적으로 도어락의 심미감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수분이나 먼지,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대해 도어락을 보호한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00)를 도시한 것으로, 프레임 본체(110)와 전방 커버(120) 및 접착부(130a, 130b)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는 내부가 개방되어 있고(S) 도어락의 외형에 유사한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내주부의 측면 또는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커버는 상기 프레임 본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본체의 개방된 영역을 밀폐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내면 양 측에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이동 레일(122)을 포함한다. 전방 커버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한 쌍의 가이드에 이동 레일이 삽입되어 가이드를 따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접착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면에 일면이 접촉하고 타면은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 표면에 접촉하여 프레임 본체를 도어에 고정시키며, 예를 들어 프레임형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체형 또는 분리형 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주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상단 또는 상기 전방 커버 내측면 하단에 형성된 역방향 분리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를 도어락(D)에 결합 및 장착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어락에 실질적으로 일체화되어 밀착된 상태로 도어 표면에 설치되는 보호커버는 내부의 도어락 기판에 대한 물리적 충격을 보호하며 수분 유입을 방지하고, 도어락 전체에 대해 크랙이나 변형을 방지한다. 특히 도어락의 외관에 유사한 디자인의 보호커버가 도어락 전체를 커버하고 완전히 감싸는 구조로 보호커버가 장착됨으로써 도어락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실제 사용 시 전방커버를 슬라이딩에 의해 위로 올리는 동작으로 기존 방식과 유사하게 도어락을 사용할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는 일반적인 실내 현관문 도어나 건물 내부 공간의 도어의 도어락은 물론 실외에 노출되는 도어의 도어락이나 유리문 도어락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 및 전방 커버는 상기 가이드 및 이동 레일을 제외한 부분이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재질의 본체 및 커버는 형태 및 사이즈가 상이한 도어락에 대해서 보호커버를 결합할 때 본체의 사이즈를 부분적으로 늘리거나 확장시켜 끼움 결합의 융통성을 제공하고, 규격이 일부 다른 도어락에 대해서도 본 고안의 보호커버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체 및 커버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제조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강도가 큰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전술한 한 쌍의 가이드나 이동 레일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의 중앙부는 가장자리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방 커버의 두께를 중앙부가 더 얇게 형성함으로써 잠금 해제 카드키를 도어락에 적용할 때 카드의 접촉 또는 근접 비접촉 동작 시 카드와 도어락의 전자기 신호 등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를 도시한 것으로,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전방 커버가 상부 커버(120a)와 하부 커버(120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 및 5b에 보호커버의 개방 동작을 보인 바와 같이, 하부 커버는 프레임 본체의 가이드(112)를 통해 본체 하부에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 커버는 본체의 가이드를 통해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동작한다.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는 특히 도어락 중간에 기계식 잠금 해제용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손잡이로 인하여 전방커버의 슬라이딩 동작이 간섭을 받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에 본 고안의 보호커버를 장착하기 위하여, 전방 커버의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는 결합 시 도어락 손잡이의 외경에 대한 공간을 허락할 수 있도록 각각 부분적으로 반원형 절개부가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개구공(H)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를 도어락에 결합 및 장착한 모습을 보인 사진으로, 하부 커버는 손잡이 아래쪽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 커버는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락의 키패드를 노출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보호커버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의 적어도 두 곳 이상에 프레임 본체를 도어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프레임 본체와 접착부 사이에 프레임 본체와 유사하게 내부 개방 영역이 있는 프레임 구조의 베젤부(140)가 더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베젤부는 탄성 재질이나 본체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본체에 형성된 나사공과 동일하게 체결공이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젤부를 통해 프레임 본체를 나사 결합 등에 의해 도어 표면에 고정시킬 때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프레임 본체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보호커버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의 한 쌍의 가이드는 전방 커버에 대해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의 수직 방향으로 즉 프레임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한편, 전방 커버가 프레임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 본체의 한 쌍의 가이드 상단 및/또는 상기 전방 커버 내측면 하단에 전술한 역방향 분리 방지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방향 분리 방지턱은 본체 길이 방향에 대해 전방 커버의 상방향 이동 한계를 제공한다. 도 7a 및 7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분리 방지턱을 보인 모식도로서, 이 경우 프레임 본체와 전방 커버에 각각 역방향 분리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데, 프레임 본체는 전방 커버가 진입하는 상단 근처에 분리 방지턱(114)이 마련되어 있고, 전방 커버의 역방향 분리 방지턱(124)은 상부 커버(120a)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8a 및 8b는 분리 방지턱에 의해 역방향 분리가 제한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로서, 전방 커버가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면 슬라이딩에 의한 왕복 운동은 자유롭지만 상방 이동 한계인 분리 방지턱이 상호 맞닿게 되면 전방 커버의 이동이 제한되어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용이하지 않도록 한다. 다만, 부품의 교체나 고장난 도어락의 수리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 프레임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을 위해 가해지는 약한 외력 대비 더 강한 외력을 전방 커버에 가하는 방법 등으로 프레임 본체로부터 전방 커버를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도어락 레인커버는 아크릴 케이스에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의 커버를 부가하였으나 하방 일부가 개방된 구조이어서 도어락에 대한 완전 방수를 실현하기 곤란하였고, 전체적인 외관이 투박하고 미관이 좋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카드기를 적용하여 접촉식 도어 잠금 해제가 불가능하고 유리문에 설치된 도어락에는 해당 레인커버를 설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락 방수커버는 도어락과 일체화된 심플한 외관을 제공하며, 유리문에도 적용될 수 있고 키패드에 접촉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것 외에도 비접촉식 카드 사용에 의한 도어락 잠금 해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락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전자식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보호커버 110:프레임 본체
112:가이드 114:분리 방지턱
120:전방 커버 120a:상부 커버
120b:하부 커버 122:이동 레일
124:분리 방지턱 130:접착부
140:베젤부 D:도어락
H:개구공 S:내부 공간

Claims (4)

  1. 내부가 개방되어 있고 도어락의 외형에 유사한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내주부의 측면 또는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본체의 개방된 영역을 밀폐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내면 양측에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한 쌍의 가이드에 이동 레일이 삽입되어 가이드를 따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전방 커버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면에 일면이 접촉하고 타면은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 표면에 접촉하여 프레임 본체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주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상단 또는 상기 전방 커버 내측면 하단에 형성된 역방향 분리 방지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로 구성되며, 하부 커버는 프레임 본체의 가이드를 통해 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상부 커버는 본체의 가이드를 통해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이 경우 전방 커버의 역방향 분리 방지턱은 상부 커버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보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적어도 두 곳 이상에 프레임 본체를 도어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와 접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프레임 본체에 유사한 내부 개방 영역이 있는 프레임 구조의 베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보호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 및 전방 커버는 상기 가이드 및 이동 레일을 제외한 부분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커버의 중앙부는 가장자리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보호커버.
  4. 삭제
KR2020200001525U 2020-05-06 2020-05-06 도어락 보호커버 KR200493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25U KR200493954Y1 (ko) 2020-05-06 2020-05-06 도어락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25U KR200493954Y1 (ko) 2020-05-06 2020-05-06 도어락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954Y1 true KR200493954Y1 (ko) 2021-07-06

Family

ID=7686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525U KR200493954Y1 (ko) 2020-05-06 2020-05-06 도어락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5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48Y1 (ko) * 2010-09-06 2011-03-21 이성근 도어락 보호케이스
KR101279872B1 (ko) * 2013-03-19 2013-07-01 오완택 디지털 도어록 보호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48Y1 (ko) * 2010-09-06 2011-03-21 이성근 도어락 보호케이스
KR101279872B1 (ko) * 2013-03-19 2013-07-01 오완택 디지털 도어록 보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2425B (zh) 具有防水触摸键盘的锁
US10829983B2 (en) Impact resistant full view door
KR200452848Y1 (ko) 도어락 보호케이스
EP1945473B1 (en) Vehicle sliding window
KR200493954Y1 (ko) 도어락 보호커버
US5916282A (en) Switch cabinet door lock
US7913460B2 (en) Observation shelter
JP3219821U (ja) 戸建住宅の窓構造
US10787858B1 (en) Window shutter
KR200387415Y1 (ko) 디지털 도어록 실외기의 덮개 승강장치
KR101993032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2192296B1 (ko) 함체용 다기능 도어장치
KR200486817Y1 (ko)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CN210637004U (zh) 一种安全型内置推拉门中门的防盗门
CN210659575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电子防盗门锁
US5924468A (en) Retractable window protection device
CN216477075U (zh) 一种高层防护窗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CN219162750U (zh) 一种具备语音识别的通行管理设备
CN210888380U (zh) 一种智能锁防污保护结构
KR101679588B1 (ko) 기밀성 확보를 위한 틈막이를 포함하는 도어
CN205840689U (zh) 反咬口实木复合新型防盗门
CN218376023U (zh) 一体成型环保门框
KR200315303Y1 (ko) 여닫이용 출입문과 문틀의 결합구조
KR102543673B1 (ko) 내충격성 단말기, 특히 출입 통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