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817Y1 -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 Google Patents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817Y1
KR200486817Y1 KR2020160007217U KR20160007217U KR200486817Y1 KR 200486817 Y1 KR200486817 Y1 KR 200486817Y1 KR 2020160007217 U KR2020160007217 U KR 2020160007217U KR 20160007217 U KR20160007217 U KR 20160007217U KR 200486817 Y1 KR200486817 Y1 KR 200486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igital door
cover member
glass doo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844U (ko
Inventor
인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Priority to KR2020160007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1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Weather or dir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 노출된 유리문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에 덧씌워져 디지털도어록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그 후면에는 디지털도어록의 상측에 해당하는 도어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힌지축이 관통 결합되는 관형태의 힌지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 및; 그 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양측에는 각각 힌지축 및 힌지결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힌지구조를 통해 회전 개폐되게 설치되어 디지털도어록에 덧씌워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RAIN COVER OF DIGITAL DOOR ROCK FOR GLASS DOOR}
본 고안은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화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유리문에 장착되는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환경에서,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에 덧씌워져 해당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사무실이나 상점, 학교나 병원 등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출입문이 설치되는데, 상기 강화유리는 일반유리와 투시성이 동일하면서도 충격에 매우 강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파손 시에도 입자가 날카롭지 않은 조각으로 부서지는 등의 많은 장점이 있으므로, 출입문으로 폭넓게 적용되어지고 있다.
또, 상기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출입문, 즉 유리문에는 잠금장치의 작용을 통해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도어록이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전기적인 제어작용에 의해 출입문의 괘.해정을 단속하는 디지털도어록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도어록은 전원부와, 키입력이나 지문인식 등이 가능한 입력수단과, 저장부와, 구동부 및 개폐스위치, 그리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 및 외부몸체에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유리문이 실내가 아닌 실외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 경우, 우천 시의 빗물이나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제품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빗물이 디지털도어록의 몸체에 스며드는 경우에는 제품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471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79872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에 노출된 유리문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에 덧씌워져 디지털도어록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유리문에 접착되는 부위가 최소화 되도록 설계되어 유리문의 투명도 및 심미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에 레인 커버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그 후면에는 디지털도어록의 상측에 해당하는 도어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힌지축이 관통 결합되는 관형태의 힌지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 및; 그 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양측에는 각각 힌지축 및 힌지결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힌지구조를 통해 회전 개폐되게 설치되어 디지털도어록에 덧씌워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의 힌지결합부는 중앙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구성되며, 그 제거된 부분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그 하면이 개방되고, 전면의 상측부분은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성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전면에는 상기 커버부재 후단이 맞닿는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안착부가 형성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과 인접한 위치의 상기 커버부재 후단 중앙부분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안착부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유리문의 외부 노출 시 특정 구조의 레인 커버가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에 덧씌워져 해당 디지털도어록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우천 시 디지털도어록 몸체에 빗물이 유입되거나 각종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고장이나 제품수명 단축, 오작동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레인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유리문에 접착되는 부위가 최소화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유리문의 투명도 및 심미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를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가 유리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가 유리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는, 외부에 노출된 유리문(100)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200)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덧씌워져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200)가 직접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는, 대략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강화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유리문(100)의 외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0) 및, 상기 고정부재(10)에 개폐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200)를 보호하는 커버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10) 및 커버부재(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0)는 그 후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소정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제공되는 접착부재(16)를 갖는 대략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해당 유리문(100)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록 외부몸체(200)의 상측에 해당하는 도어 표면에 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단 중앙부분에는 상기 커버부재(20)의 회동 개폐를 위한 힌지축(30)이 관통 결합되도록 대략 관형태를 갖는 힌지결합부(12)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때 상기 고정부재(10)의 힌지결합부(12) 중앙은 그 일부분이 제거된 형태로 구성되고, 그 제거된 부분에는 토션스프링(40)이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재(20)의 개방상태에서 원활한 복귀를 위한 외력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고정부재(10)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부재(20) 후단이 맞닿는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안착부(14)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20)가 안정적으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는 그 후면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단 양측에는 각각 힌지축 및 힌지결합부(2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0)의 힌지결합부(12) 및 상기 커버부재(20)의 힌지결합부(22)에 걸쳐 장착되는 힌지축(30)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단에 회전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해당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200)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0)는 그 하면이 개방되고, 그 전면의 상측부분은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24)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우천 시 빗물 등이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단과 인접한 위치의 상기 커버부재(20) 후단 중앙부분에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안착부(14)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부(26)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20)의 폐쇄 시 상기 돌출부(26)가 해당 유리문(100)의 표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는 유리문(100)에 적용되는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200)를 보호하도록 해당 유리문(100)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록 외부몸체(200) 상단에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단이 위치하도록 부착부재(16)를 매개로 도어 표면에 부착 고정된다.
이에, 상기 유리문(100)의 일정 지점에 고정된 레인 커버는 상기 커버부재(20)가 그 상단의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 유리문(100)에 장착된 상기 디지털도어록 외부몸체(200)는 상기 커버부재(20) 내에 내장된 상태가 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각종 오염물질이 흡착되거나 우천 시 빗물이나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는 그 전면의 상측부분에 일정 기울기의 경사부(24)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면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우천 시 상기 경사부(24)를 따라 빗물이 원할하게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됨은 물론, 레인 커버 내부에 형성된 습기나 수분 등은 개방된 하면을 통해 용이하게 흘려내리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인 커버에 내장된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200)를 조작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커버부재(20)의 하측부분을 파지하고 전방을 향해 외력을 인가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0)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되어 상기 디지털도어록 외부몸체(200)를 외부로 노출시켜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게 되며, 외력의 해제 시에는 상기 힌지축(30)에 장착된 토션스프링(40)의 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폐쇄상태로 복귀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커버부재(20)의 폐쇄 시에는 상기 고정부재(10)에 구비된 안착부(14) 및 상기 커버부재(20)의 돌출부(26)를 매개로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고정부재(10) 전면 및 해당 유리문(100)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고정부재, 12,22: 힌지결합부,
14: 안착부, 16: 접착부재,
20: 커버부재, 24: 경사부,
26: 돌출부, 30: 힌지축,
40: 토션스프링, 100: 유리문,
200: 디지털도어록 외부몸체.

Claims (5)

  1. 강화유리와 같은 유리문에 설치되는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를 보호하기 위한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에 있어서;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그 후면에는 디지털도어록의 상측에 해당하는 유리문의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힌지축이 관통 결합되는 관형태의 힌지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 및; 그 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양측에는 각각 힌지축 및 힌지결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힌지구조를 통해 회전 개폐되게 설치되어 디지털도어록에 덧씌워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힌지결합부는 중앙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구성되며, 그 제거된 부분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전면에는 상기 커버부재 후단이 맞닿는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안착부가 형성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과 인접한 위치의 상기 커버부재 후단 중앙부분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안착부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해당 유리문의 표면에 맞닿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그 하면이 개방되고, 전면의 상측부분은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성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7217U 2016-12-12 2016-12-12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KR200486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17U KR200486817Y1 (ko) 2016-12-12 2016-12-12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17U KR200486817Y1 (ko) 2016-12-12 2016-12-12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44U KR20180001844U (ko) 2018-06-20
KR200486817Y1 true KR200486817Y1 (ko) 2018-07-04

Family

ID=6274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17U KR200486817Y1 (ko) 2016-12-12 2016-12-12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345B1 (ko) * 2022-12-09 2023-06-05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 보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48Y1 (ko) * 2010-09-06 2011-03-21 이성근 도어락 보호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8424A (ja) 2003-01-24 2004-08-12 Nec Tokin Corp チップ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79872B1 (ko) 2013-03-19 2013-07-01 오완택 디지털 도어록 보호 커버
KR20140135516A (ko) * 2013-05-16 2014-11-26 오완택 도어록 손잡이 보호용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48Y1 (ko) * 2010-09-06 2011-03-21 이성근 도어락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44U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16817A1 (en) Vehicle access system with sensor
TWI687581B (zh) 具有防水觸控鍵盤的鎖
US7375299B1 (en) Door handle
EP2055875B1 (en) Actuating arrangement
US20080016772A1 (en) Revolving Door
KR20080011654A (ko) 구동 장치
KR200452848Y1 (ko) 도어락 보호케이스
KR200486817Y1 (ko)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US7786884B1 (en) Alarm equipped door safety device
KR101797677B1 (ko) 디지털도어록용 레인 커버
GB2528747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20070000449A1 (en) Multiflap animal door
KR101279872B1 (ko) 디지털 도어록 보호 커버
US8794683B2 (en) Slide access and latch engagement for a door
US20050183342A1 (en) Finger safe shield
KR200388641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PL1527920T3 (pl) Zespół zamykający otworu okiennego karoserii
EP2082908A1 (en) Actuating device
KR200294880Y1 (ko)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EP2011936B1 (en) Removable handle for windows or doors
JP7072732B2 (ja) 自動ドアの安全システム
KR101241953B1 (ko) 디지털 도어락 보호 커버
KR200493954Y1 (ko) 도어락 보호커버
KR102382839B1 (ko) 손 끼임 방지 겸용 도어 고정 장치
KR20040009320A (ko) 안전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