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86Y1 - 침상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침상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86Y1
KR200493886Y1 KR2020200000387U KR20200000387U KR200493886Y1 KR 200493886 Y1 KR200493886 Y1 KR 200493886Y1 KR 2020200000387 U KR2020200000387 U KR 2020200000387U KR 20200000387 U KR20200000387 U KR 20200000387U KR 200493886 Y1 KR200493886 Y1 KR 200493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panel
attach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열
Original Assignee
강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열 filed Critical 강태열
Priority to KR2020200000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47C19/027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with means for preventing frame from sagg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07Edge stiffener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상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온열을 적용되는 전열식 동판패널을 안정적으로 받쳐 설치될 수 있도록 조합된 제1틀체 및 제1틀체의 상하부에 부착되는 상,하부판넬, 제2틀체 및 상부마감판과 테두리부마감판, 외장재의 부착조합으로 하여금 기존 침대 프레임 대비 가벼운 무게실현으로 침상의 운반 설치에 용이하고, 제1틀체 내에 간격지게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동판패널의 상부에 얹혀지는 메트리스 토퍼 혹은 온돌용 돌판두께 규격을 고려한 제작상의 제작설계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면서, 침상 사용에 따른 안정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침상용 프레임{A frame for a bed}
본 고안은 침상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온열침대, 쇼파를 겸한 평상 등을 이루는 침상의 프레임을 개선하여 프레임 내부에 안착되는 동판패널을 보다 안정적인 안착설치와 더불어 동판패널의 상부에 얹혀지는 메트리스 토퍼(topper) 혹은 온돌용 돌판두께 규격을 고려한 받침구조를 갖도록 하여 침상 사용에 따른 안정감을 높일 수 있고, 프레임 제작상의 설계가 유리하도록 한 침상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을 취하기 위한 용도에서 더욱 나아가 수면 시 피로를 풀어주고 수면 건강을 증진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돌침대, 흙침대, 나무침대, 물침대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특성과 기능을 갖춘 형태의 침대가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돌침대는 방출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해 모세혈관 확장 및 혈액순환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매트리스와 달리 세균 문제나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흙침대는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몸 속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해주며 허리나 관절이 불편한 사람들에게는 더욱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나무침대는 따로 매트리스를 쓰지 않아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수면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평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물침대는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사계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온돌에 익숙한 문화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 성인의 상당수는 동절기 중에는 침대보다는 방바닥을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근자에 들어서는 온돌 및 침대의 장점만을 혼합한 전열식 보료가 내장된 온돌침대가 제안되어 이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돌침대뿐만 아니라 흙침대에서도 열선 혹은 전열식 동판을 배치하여 보온 기능을 높인 사계절용 침대 보료를 개발하고 생산되어졌다.
이러한 온열침대 또는 방바닥에 놓여 사용되는 온열식 보료는 외피를 갖는 프레임의 내부에 열선 및 동판 등이 내장되어 있고, 표면으로는 대리석 또는 옥돌이 형성되어 있어 열선의 발열에 의한 표면의 석재판이 가온되므로 과거의 구들과 같은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프레임의 저부에 받침다리를 부착 유무에 따라 침대 또는 쇼파를 겸한 평상타입으로 제작, 사용할 수 있다.
침대 프레임 관련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2738호(명칭: 옥돌침대, 공개일자: 2011년 03월 30일, 이하 '선원문헌 1'이라 함) 및 공개특허 제10-2005-0024902호(명칭: 온수 순환식 돌침대 가열판, 공개일자: 2005년 03월 11일, 이한 '선원문헌 2'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문헌 1은 침대 프레임; 상기 침대 프레임 상에 안착되는 보료형틀;
상기 보료형틀 내부에 배치되는 전열층; 상기 전열층 상에 배치되는 옥돌; 및 상기 옥돌의 저면에 결합되는 내충격성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옥돌침대이고,
선원문헌 2는 침대 프레임의 상부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돌판 안치홈의 저면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얹어 설치되는 돌판을 가열하게 되는 것으서, 히터가 내장된 온수가열 순환펌프가 급, 배수관에 의하여 돌침대 가열판으로부터 이격되게 분리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선헌문헌 1 및 선헌문헌 2는 상기와 같이 보료형틀 또는 돌판을 안치시키기 위해 침대프레임에 수용부를 단순히 형성한 것으로, 이는 수용부에 각 구성요소를 적층 안치시키는 타입으로 침대제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타입의 침대프레임은 대부분 목재로 가공 제작되는바, 수용부는 각 구성요소(보료형틀 혹은 돌침대가열판)와 더불어 그 상부에 안치되는 돌판(옥돌판)들이 정확히 안치되는 두께 확보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내부 적층되는 온수가열 급, 배수관, 가열판 및 배선 등등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히 낮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온열침대, 쇼파를 겸한 평상 등을 이루는 침상의 프레임을 개선하여 프레임 내부에 안착되는 동판패널을 보다 안정적인 안착설치와 더불어 동판패널의 상부에 얹혀지는 메트리스 토퍼(topper) 혹은 온돌용 돌판두께 규격을 고려한 받침구조를 갖도록 하여 침상 사용에 따른 안정감을 높일 수 있고, 프레임 제작상의 설계가 유리하도록 한 침상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로부터 내부에 수용부를 두어 전열식 동판패널이 안내 설치되고, 동판패널의 상부에는 토퍼(Topper) 또는 돌판이 안착 설치되며, 저부에 받침다리가 구비되어 침상을 이루는 침상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침상용 프레임은, 상호 대응되는 장변과 단변으로 조합되어 직사각형 틀을 이루는 제1틀체와, 상기 제1틀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제1틀체 내에 양단이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장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저부 및 제1틀체의 저부에 밀착되게 부착되어 제1틀체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판넬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게 부착되어 상기 동판패널을 안착시키기 위한 상부판넬과, 상호 대응되는 장변과 단변으로 조합되어 직사각형 틀을 이루며, 상기 상부판넬에 저부가 안착되고, 상부는 제1틀체의 상단과 동일선상이 되게 부착 설치되며, 일측에 배선공이 형성된 제2틀체와, 상기 제1틀체의 일측 내측 면과 직각되는 하부판넬에 등간격지게 부착되는 다수개의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제2틀체의 상부에 부착되며, 일측에는 온도조절기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이 형성된 상부마감판과, 상기 상부마감판을 제외한 제1틀체, 제2틀체의 장변과 단변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마감판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테두리부마감판과, 상기 제1틀체의 외측면에 덧대어 부착되는 외장재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상부마감판 및 테두리부마감판의 길이 변은 제2틀체의 장변과 단변의 내측 면보다 돌출되게 부착되어 상기 제2틀체 내부에 동판패널의 안내시 동판패널의 양측 장변 중 어느 장변을 안내하는 홈턱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침상용 프레임은, 전열식 동판패널을 안정적으로 받쳐 설치될 수 있도록 조합된 제1틀체 및 제1틀체의 상하부에 부착되는 상,하부판넬, 제2틀체 및 상부마감판과 테두리부마감판, 외장재의 부착조합으로 하여금 기존 침대 프레임 대비 가벼운 무게실현으로 침상의 운반 설치에 용이하고, 제1틀체 내에 간격지게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동판패널의 상부에 얹혀지는 메트리스 토퍼 혹은 온돌용 돌판두께 규격을 고려한 제작상의 제작설계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면서, 침상 사용에 따른 안정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침상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상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상 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상프레임에 동판패널이 적용된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상프레임에 동판패널과 돌판이 적용된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침상 프레임이 적용된 침대를 일예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프레임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부로부터 내부에 수용부를 두어 전열식 동판패널(1)이 안내 설치되고, 동판패널의 상부에는 토퍼 또는 돌판(2)이 안착 설치되며, 저부에 받침다리(3)가 구비되어 침상을 이루는 침상용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침상용 프레임(10)은, 목(木) 소재의 패널과 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대응되는 장변 및 단변을 상호 직사각형으로 조합한 제1틀체(11)가 마련되고, 상기 제1틀체(11)의 내부에는 제1지지프레임(F1)이 다수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F1)은 제1틀체(1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제1틀체 내에 양단이 고정되어 마주하는 장변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F1)의 저부 및 제1틀체(11)의 저부에는 제1틀체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판넬(12)이 밀착되게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넬(12)은 제1틀체의 외곽에 맞게 제작된 판넬이다.
상기와 같이 배열 부착된 제1지지프레임(F1)의 상부에는 상기 동판패널(1)을 안착시키기 위한 상부판넬(13)이 안착되어 부착된다. 여기서 상부판넬(13)은 제1틀체(11)의 내부에서 일부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1지지프레임(F1)의 상부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판넬(13)이 부착되고 남은 제1틀체(11) 내부의 일부공간은 온도조절기(C) 설치공간확보 및 제작완료된 침상 이용시 베개가 놓이는 위치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제1틀체(11)의 내측 공간에는 제2지지프레임(F2)들이 하부판넬에 간격지게 부착된다.
한편, 상기 제1틀체(11) 내에 상부판넬(13)의 상부에는 제1틀체(11)의 장변과 단변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고, 일측은 상기 상부판넬(13)이 종단되는 부분과는 일치되는 제2틀체(14)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틀체(14)의 상단은 제1틀체의 상단과 동일 높이가 되게 일치되는 직사각형의 틀이며, 일측에는 제2지지프레임(F2)이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제2틀체 내부에 놓이게 되는 동판패널(1)측의 전기배선 및 커넥터가 통과되기 위한 배선공(14a)가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F2), 제1틀체(11), 제2틀체(14)의 상단부에는 일측에 온도조절기(C)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15a)이 형성된 상부마감판(15)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마감판(15)을 제외한 제1틀체(11)의 장변과 단변, 제2틀체(14)의 상단부에는 테두리부마감판(16)이 부착되어 상기 상부마감판(15)과 동일선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제1틀체(11)의 외측면에는 외장재(17)가 덧대어 부착됨으로써, 침상의 프레임을 완성한다. 상기 외장재(17)는 요철 또는 다양한 문양이 음각 혹은 양각으로 조각된 문양판 등의 부착으로 상기 상부마감판(15) 및 테두리마감판(16)과의 상호 부착으로 미려한 외관을 이루는 침상 프레임(10)을 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마감판(15) 및 테두리부마감판(16)의 길이 변은 제2틀체(14)의 장변과 단변의 내측 면보다 돌출되게 부착되어 상기 제2틀체(14) 내부에 동판패널(1)의 안내시 동판패널의 양측 장변 중 어느 장변을 안내하는 홈턱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조합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각 프레임 및 패널간의 부착은 목재 조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타카 핀을 박아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침상프레임의 조합이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a는 하부판넬(12)의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감판(15)측 설치공(15a)과 대응되는 통공을 나타내며, 이 통공을 통해 온수조절기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코드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침상용 프레임(10)은, 각 프레임 및 판넬의 조합으로써, 상부로부터 동판패널(1)이 안착되기 위한 수용부(상부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가 형성되는 것이며, 동판패널(1)은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판넬(13)의 상부, 즉, 제2틀체(14) 내에 안착되고, 제2틀체의 내측에 마련된 홈턱공간부(S)에는 별도의 밀봉마감재로 마감처리되며, 상기 동판패널의 상부에는 토퍼 또는 돌판(2)이 안착되어 동판패널로부터 전열방식으로 통상의 온열침대, 보료와 같이 침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동판패널(1)의 폭은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상기 테두리부마감판(16) 사이의 폭보다 넓게 제작되고, 그 저부에 방열판재가 일체로 부착된 것으로써, 상기 제2틀체(14) 내부에 동판패널(1)의 안내시 동판패널의 양측 장변 중 어느 장변을 먼저 제2틀체(14)와 테두리부마감판(17) 사이에 형성된 홈턱공간부(S)에 밀어 넣으면서 안착시키고, 상기 동판패널의 반대측은 상기 홈턱공간부(S)와 마주하는 홈턱공간부에 안내시켜 주는 방식으로 안착시킨다.
이는 상기 동판패널(1)의 안착시 테두리부마감판(17)의 내측에 긁힘을 방지하면서 안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홈턱공간부(S)는 상기와 같이 동판패널의 안착시 동판패널(1)에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배선 및 커넥터를 상기 홈턱공간부에 안내시키면서 상기 제2틀체(14)측 배선공(14a)에 통과하여 그 내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상부마감판(15)의 설치공(15a)에 탑재되는 온도조절기(C)측의 커넥터와 연결 접속시켜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홈턱공간부(S)는 동판패널(1)을 제2틀체(14)의 정위치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장자리에 시공되는 밀봉마감재를 홈턱공간부(S)에 유효하게 메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동판패널의 상부에 안착되는 토퍼 또는 돌판(2)의 안착은 상부마감판(15)과 테두리부마감판(16)의 내측 변에 토퍼 또는 돌판(2)의 가장자리가 일치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틀체(11)의 외부에 부착되는 외장재(17)는 원목을 사용하여 모던한 디자인의 친환경적인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으며, 제1틀체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그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생산이 가능하고, 다양한 디자인설계가 가능하다.
상기 동판패널(1)이 안착되는 상부판넬(13)의 저면은 하부판넬(12)상에 다수개 등간격으로 마련된 제1지지프레임(F1)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부판넬을 지지함으로써, 침상에 대한 안정감을 제공함은 물론, 전반적인 침상무게를 줄일 수 있어, 운반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침상용 프레임(10)의 조합에 있어, 상기 제1틀체(11)로부터 등간격지게 배열된 제1지지프레임(F1)은, 그 높이설계에 따라 상부판넬(14)의 상부측 공간에 안착되는 동판패널(1)의 두께, 토퍼 또는 돌판(2)의 두께를 감안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침상의 제작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침상용 프레임은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뒷판을 구비하여 통상의 침대와 같은 형상이거나, 혹은 쇼파를 겸한 평상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침상용 프레임(10)의 하부측 받침다리(3) 사이에는 별도의 수납박스를 인출방식으로 두어 침상과 더불어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동판패널 2: 토퍼 또는 돌판
3: 받침다리 10: 침상용 프레임
11: 제1틀체 12: 하부판넬
13: 상부판넬 14: 제2틀체
14a: 배선공 15: 상부마감판
15a: 설치공 16: 테두리마감판
17: 외장재 F2: 제2지지프레임
C: 온도조절기 S: 홈턱공간부

Claims (2)

  1. 상부로부터 내부에 수용부를 두어 전열식 동판패널(1)이 안내 설치되고, 동판패널의 상부에는 토퍼(Topper) 또는 돌판(2)이 안착 설치되며, 저부에 받침다리(3)가 구비되어 침상을 이루는 침상용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침상용 프레임(10)은,
    상호 대응되는 장변과 단변으로 조합되어 직사각형 틀을 이루는 제1틀체(11)와,
    상기 제1틀체(1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제1틀체 내에 양단이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장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F1)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F1)의 저부 및 제1틀체(11)의 저부에 밀착되게 부착되어 제1틀체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판넬(1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F1)의 상부에 안착되게 부착되어 상기 동판패널(1)을 안착시키기 위한 상부판넬(13)과,
    상호 대응되는 장변과 단변으로 조합되어 직사각형 틀을 이루며, 상기 상부판넬(13)에 저부가 안착되고, 상부는 제1틀체의 상단과 동일선상이 되게 부착 설치되며, 일측에 배선공(14a)이 형성된 제2틀체(14)와,
    상기 제1틀체(11)의 일측 내측 면과 직각되는 하부판넬(12)에 등간격지게 부착되는 다수개의 제2지지프레임(F2)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F2)과 제2틀체(14)의 상부에 부착되며, 일측에는 온도조절기(C)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15a)이 형성된 상부마감판(15)과,
    상기 상부마감판(15)을 제외한 제1틀체(11), 제2틀체(14)의 장변과 단변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마감판(15)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테두리부마감판(16)과,
    상기 제1틀체(11)의 외측면에 덧대어 부착되는 외장재(17)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마감판(15) 및 테두리부마감판(16)의 길이 변은 제2틀체(14)의 장변과 단변의 내측 면보다 돌출되게 부착되어 상기 제2틀체(14) 내부에 동판패널(1)의 안내시 동판패널의 양측 장변 중 어느 장변을 안내하는 홈턱공간부(S)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용 프레임.
  2. 삭제
KR2020200000387U 2020-01-30 2020-01-30 침상용 프레임 KR200493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87U KR200493886Y1 (ko) 2020-01-30 2020-01-30 침상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87U KR200493886Y1 (ko) 2020-01-30 2020-01-30 침상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886Y1 true KR200493886Y1 (ko) 2021-06-21

Family

ID=7660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87U KR200493886Y1 (ko) 2020-01-30 2020-01-30 침상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8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179Y1 (ko) * 2004-04-06 2004-07-14 조무현 경량화 구조를 갖는 매트 일체형 온돌침대
KR101065290B1 (ko) * 2011-05-11 2011-09-16 임호웅 조립식 돌침대
KR20160031866A (ko) * 2014-09-15 2016-03-23 주식회사 리스톤 스톤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및 그 매트리스
KR20190000011U (ko) * 2017-06-22 2019-01-03 김종기 침대용 온열 깔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179Y1 (ko) * 2004-04-06 2004-07-14 조무현 경량화 구조를 갖는 매트 일체형 온돌침대
KR101065290B1 (ko) * 2011-05-11 2011-09-16 임호웅 조립식 돌침대
KR20160031866A (ko) * 2014-09-15 2016-03-23 주식회사 리스톤 스톤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및 그 매트리스
KR20190000011U (ko) * 2017-06-22 2019-01-03 김종기 침대용 온열 깔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886Y1 (ko) 침상용 프레임
KR101159200B1 (ko) 라텍스 쿠션부재와 온수호스에 의한 발열수단이 내장된 침대용 스프링 매트리스
KR200437382Y1 (ko) 열전달을 위한 공기층을 갖는 온수 매트
CN213931121U (zh) 一种架空式集成地暖结构
KR200438935Y1 (ko) 면상발열체가 내장된 조립식 침대
CN101785614B (zh) 一种水循环冷热式床垫体
KR20210107286A (ko) 소금블록을 적용한 온돌침대
KR101217141B1 (ko) 냉난방 매트
KR100428493B1 (ko) 건강옥돌매트
KR200436884Y1 (ko) 온수관 이탈방지를 위한 돌기를 갖는 온수매트
KR102391193B1 (ko) 온열소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92694Y1 (ko) 분리 가능한 온돌 침대
KR200325058Y1 (ko) 원적외선 램프가 부설된 침대
KR20160120015A (ko) 온수소파
KR200353537Y1 (ko) 온수로가 내설된 온수매트리스 및 온수매트리스가 구비된기능성 돌침대
KR101634112B1 (ko) 스톤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및 그 매트리스
KR200398736Y1 (ko) 침대 및 소파용 대나무판 매트
KR200178952Y1 (ko) 침대용 돌매트리스
CN210276587U (zh) 一种铝合金保温保健床板
KR200327988Y1 (ko) 침대겸용 소파
KR20230149642A (ko) 온열침대
KR200148162Y1 (ko) 돌방석
JP3131266U (ja) 岩盤浴用ボックス
KR200370026Y1 (ko) 조립식 침대
KR200336334Y1 (ko) 돌 침대용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