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72Y1 - 받침대 및 그를 이용하는 액자 - Google Patents

받침대 및 그를 이용하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72Y1
KR200493872Y1 KR2020190003212U KR20190003212U KR200493872Y1 KR 200493872 Y1 KR200493872 Y1 KR 200493872Y1 KR 2020190003212 U KR2020190003212 U KR 2020190003212U KR 20190003212 U KR20190003212 U KR 20190003212U KR 200493872 Y1 KR200493872 Y1 KR 200493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oupling protrusion
frame
coupl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325U (ko
Inventor
장영미
Original Assignee
장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미 filed Critical 장영미
Priority to KR2020190003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7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기술분야/해결과제
본 고안은 세우는 봉투형 종이액자와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를 결합하여, 가로 또는 세로액자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결수단
본 고안에 의한 세우는 세우는 봉투형 종이액자는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고 액자를 지지하기 위한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세우는 봉투형 종이액자는 액자의 가로 또는 세로액자용 결합홈과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의 결합돌기를 결합하여 세울 수 있고, 또는 해제하여 본래의 봉투기능으로 돌아 갈 수 있다.
기대효과
상기 세우는 봉투형 종이액자와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가 분리되어 제작되므로 인쇄 및 톰슨 과정에서 종이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가로 또는 세로로 방향전환이 용이하여 하나의 액자로 3가지(봉투액자, 가로액자, 세로액자)의 효과를 낼 수 있어 재료의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 기존의 평범한 봉투액자에 세우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받침대 및 그를 이용하는 액자{Support and picture fr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우는 봉투형 종이액자와, 가로 또는 세로의 양방향으로 전환하여 세울 수 있는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기존 봉투형 종이액자의 경우 단순히 사진을 담아 보관하는 용도에 그쳤다. 이를 세우기 위하여 세우는 봉투형 종이액자의 뒷면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의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세우는 방식의 제품을 고안하게 되었다.
봉투형 종이액자의 뒷면을 절개, 절곡 또는 접착 또는 하여 세우는 기존의 방법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여 시간이 경과하면 휘어지거나 쓰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안정된 구조로 대체하려는 요구가 커졌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우는 봉투형 종이액자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세우는 봉투형 종이액자;
상기 액자의 본체1전면부와 본체1후면부의 중앙에 접을 수 있는 제1접이선;
액자의 후면에,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제1결합홈;
액자의 후면에,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제2결합홈;
액자의 후면에,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제3결합홈;
액자의 후면에,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제4결합홈;
세우는 착탈식 받침대의 본체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
상기 받침대의 좌측의 제2접이선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제1날개부;
상기 받침대의 우측의 제3접이선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제2날개부;
상기 받침대의 제1날개부에 형성된 제3결합돌기;
상기 받침대의 제2날개부에 형성된 제4결합돌기;
상기 받침대의 제1날개부에 형성된 제5결합홈;
상기 받침대의 제2날개부에 형성된 제5결합돌기;
상기 액자의 제1접이선을 접고 전후면을 접착한 다음, 액자를 가로로 사용할 경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을 구성하여 결합하고, 액자를 세로로 사용할 경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3결합홈과 제4결합홈을 구성하여 결합한 후, 받침대의 제3결합돌기와 제4결합돌기를 상하로 결착하여 액자를 지지하여 세우고, 세우지 않을 경우는 제3결합돌기와 제4결합돌기의 결착을 해체하고 제5결합돌기를 제5결합홈으로 삽입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결합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첫째, 액자와 받침대를 분리하여 제작함으로, 인쇄 및 톰슨 작업 시 종이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저렴한 생산이 가능하다.
둘째, 액자와 받침대를 분리하여 판매할 수 있어, 소비자 선택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셋째, 액자의 뒷면이 평탄하여 소량 다품종 프린트도 용이하다.
넷째, 소비자가 직접 조립하는 체험학습의 재료로 사용하기 좋다.
다섯째, 세우거나 접을 수 있어 휴대나 보관, 수납이 용이하다.
여섯째, 액자로부터 받침대를 착탈할 수 있어 본래의 기능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일곱째,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봉투액자도, 세우는 받침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 세우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삭제
제1도 본 고안의 받침대 실시예의 전개도.
제2도 본 고안의 제1도에서 제2, 3접이선을 중심으로 제1,2날개가 접혀지고, 제3, 4결합돌기가 상하로 체결되어, 세울 수 있도록 조립되어진 형태도.
제3도 본 고안의 제2도에서 제3, 4결합돌기의 체결을 해제하고, 제5결합홈으로 제5결합돌기가 삽입되어, 보관용으로 납작하게 조립되어진 형태도.
제4도 본 고안의 액자 실시예의 전개도.
제5도 본 고안의 제4도에서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액자의 전후면이 접혀진 형태도.
제6도 본 고안의 제5도에서 액자의 전후면을 접착하고, 세로액자로 사용되는 형태도.
제7도 본 고안의 제6도에서 액자를 회전하여 가로액자로 사용되는 형태도.
제8도 본 고안의 제7도의 가로액자와, 받침대의 제1날개부가 접혀져 제1결합돌기가 노출된 상태의 형태도.
제9도 본 고안의 가로액자의 제1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를 삽입하기 위한 형태도.
제10도 본 고안의 가로액자의 제1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 일부가 삽입된 형태도.
제11도 본 고안의 가로액자의 제1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가 완전히 삽입된 형태도.
제12도 본 고안의 제11도에서 가로액자의 제1결합홈과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대의 접혔던 제1날개부를 펴고 제2날개부가 접혀져 제2결합돌기가 노출된 상태의 형태도.
제13도 본 고안의 제12도에서 가로액자의 제1결합홈과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로액자의 제2결합홈과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를 결합하기 위하여, 받침대 전면과 받침대 제2날개부를 구부린 형태도.
제14도 본 고안의 제13도에서, 가로액자의 제2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 일부가 삽입된 형태도.
제15도 본 고안의 제14도에서, 가로액자의 제1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가 완전히 삽입되고, 가로액자의 제2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가 완전히 삽입된 형태도.
제16도 본 고안의 제15도에서 받침대의 제1날개부를 먼저 접고 그 위로 제2날개부를 접어, 제1날개부의 제5결합홈으로 제2날개부의 제5결합돌기가 삽입되어 보관용도로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도.
제17도 본 고안의 제15도에서, 받침대의 제1,2날개를 모두 펼친 상태의 형태도.
제18도 본 고안의 제17도에서, 받침대의 제3,4결합돌기를 상하로 체결하여 세우는 용도로 조립된 상태도.
제19도 본 고안의 세로액자와, 받침대의 제1,2날개가 모두 접혀져 제1,2결합돌기가 노출된 상태의 받침대 형태도.
제20도 본 고안의 세로액자의 제3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를 삽입하기 위한 형태도.
제21도 본 고안의 세로액자의 제3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 일부가 삽입된 형태도.
제22도 본 고안의 세로액자의 제3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가 완전히 삽입된 형태도.
제23도 본 고안의 제22도에서, 세로액자의 제3결합홈과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세로액자의 제4결합홈과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를 결합하기 위하여 받침대를 구부린 형태도.
제24도 본 고안의 제23도에서, 세로액자의 제4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 일부가 삽입된 형태도.
제25도 본 고안의의 제24도에서, 세로액자의 제3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로액자의 제4결합홈으로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가 완전히 삽입된 형태도.
제26도 본 고안의 제25도에서, 받침대의 제1날개부를 먼저 접고 그 위에 제2날개부를 접어, 제1날개부의 제5결합홈으로 제2날개부의 제5결합돌기가 삽입되어 보관용도로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도.
제27도 본 고안의 제26도에서, 받침대의 제1,2날개를 모두 펼친 상태의 형태도.
제28도 본 고안의 제27도에서, 받침대의 제3,4결합돌기를 상하로 체결하여 세우는 용도로 조립된 상태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1 에서 도28 까지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로는 도1 부터 도3 까지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받침대의 본체부(2000)와
상기 받침대를 좌우로 접을 수 있는 제2접이선(120)과 제3접이선(130)으로 접혀지는 받침대 제1날개부(2100)와 받침대 제2날개부(2200)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2000) 좌우로 제1결합돌기(210)와 제2결합돌기(220)를 구성하고
상기 받침대의 제1날개부(2100) 및 제2날개부(2200)에 각각 구성한 제3결합돌기(230)와 제4결합돌기(240)와
상기 받침대의 제1날개부(2100)에 제5결합홈(350), 제2날개부(2200)에 제5결합돌기(250)를 구성한다.
도2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2접이선(120)과 상기 제3접이선(130)을 접는다.
상기 제3결합돌기(230)를 아랫쪽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4결합돌기(240)를 윗쪽으로 위치하여 상하로 체결한다.
도3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2접이선(120)으로 제1날개부(2100)를 먼저 접고, 상기 제3접이선(130)으로 제2날개부(2200)를 이어 접는다.
상기 제1날개부(2100)의 제5결합홈(350)으로 상기 제2날개부(2200)의 제5결합돌기(250)을 삽입한다.
제2실시예로는 도4 부터 도7 까지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4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액자의 본체1전면부(1000)에 이어진 본체1 후면부(1100)과, 상기 본체1 전면부(1000)과 본체1 후면부(1100) 사이에 제1접이선(110)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1 후면부(1100)의 상하로 제1결합홈(310)과 제2결합홈(320)을, 좌우로 제3결합홈(330)과 제4결합홈(340)을 구성한다.
도5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 전면부(1000)과 본체1후면부(1100) 사이의 제1접이선(110)을 중심으로 접는다.
도6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본체1전면부(1000)과 본체1후면부(1100)를 접착하고, 세로액자 용도로 위치시킨다.
도7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본체를 좌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로액자 용도로 위치시킨다.
제3실시예로는 도8 부터 도18까지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8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가로액자 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에, 제2접이선(120)에 의해 접힌 받침대 제1날개부(2100)로 인해 제1결합돌기(210)가 노출된 받침대를 위치시킨다.
도9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1결합홈(310) 우측에,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210)가 놓이도록 받침대를 위치시킨다.
도10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1결합홈(310) 아래로,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 (210)의 일부를 삽입시킨다.
도11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1결합홈(310)에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 (210)를 완전히 삽입시킨다.
도12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1결합홈(310)에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 (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대 제1날개부(2100)를 다시 펴고, 제3접이선(130)을 접어 받침대 제2날개부(2200)를 꺾어 제2결합돌기(220)를 노출시킨다.
도13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1결합홈(310)에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대 전면(2000)과 받침대 제2날개부(2200)을 동시에 휘어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220)를 본체의 제2결합홈(320) 좌측에 위치시킨다.
도14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2결합홈(320) 아래로, 상기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220)의 일부를 삽입시킨다.
도15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2결합홈(320)에 상기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220)를 완전히 삽입시킨다.
도16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1결합홈(310)과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210)가 결합되고 2결합홈(320)과 상기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접이선(120)으로 제1날개부(2100)를 먼저 접고, 상기 제3접이선(130)으로 제2날개부(2200)를 이어 접고, 상기 제1날개부(2100)의 제5결합홈(350)으로 상기 제2날개부(2200)의 제5결합돌기(250)를 삽입한다.
도17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1결합홈(310)과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210)가 결합되고 2결합홈(320)과 상기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날개부(2100)와 제2날개부(2200)를 다시 펼친다.
도18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받침대의 제2접이선(120)과 상기 제3접이선(130)을 접어, 받침대 제1날개부(2100)의 제3결합돌기(230)를 아랫쪽으로 위치하고, 받침대 제2날개부(2200)의 제4결합돌기(240)를 윗쪽으로 위치하여 상하로 체결한다.
제4실시예로는 도19 부터 도28까지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9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세로액자 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액자 본체1후면부(1100) 에, 받침대의 제3접이선(130)에 의해 접힌 받침대 제2날개부(2200) 위로, 제2접이선(120)에 의해 받침대 제1날개부(2100)를 접어 제1결합돌기(210)와 제2결합돌기(220)가 노출된 받침대를 위치시킨다.
도20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3결합홈(330) 우측에,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210)가 놓이도록 받침대를 위치시킨다.
도21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3결합홈(330) 아래로,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 (210)의 일부를 삽입시킨다.
도22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3결합홈(330)에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 (210)를 완전히 삽입시킨다.
도23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3결합홈(330)에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2000)와 받침대 제2날개부(2200)와 받침대 제1날개부(2100)를 동시에 휘어, 받침대의 노출된 제2결합돌기(220)를 본체의 제4결합홈(340) 좌측에 위치시킨다.
도24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4결합홈(340) 아래로, 상기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220)의 일부를 삽입시킨다.
도25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4결합홈(340)에 상기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220)를 완전히 삽입시킨다.
도26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1날개부(2100)의 제5결합홈(350)으로 상기 제2날개부(2200)의 제5결합돌기(250)을 삽입한다.
도27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후면부(1100) 의 제3결합홈(330)과 상기 받침대의 제1결합돌기(210)가 결합되고 4결합홈(340)과 상기 받침대의 제2결합돌기(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날개부(2100)와 제2날개부(2200)를 다시 펼친다.
도28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받침대의 제2접이선(120)과 상기 제3접이선(130)을 접어, 받침대 제1날개부(2100)의 제3결합돌기(230)를 아랫쪽으로 위치하고, 받침대 제2날개부(2200)의 제4결합돌기(240)를 윗쪽으로 위치하여 상하로 체결한다.
110 : 제1접이선 120 : 제2접이선 130 : 제3접이선
210 : 제1결합돌기 220 : 제2결합돌기 230 : 제3결합돌기
240 : 제4결합돌기 250 : 제5결합돌기
310 : 제1결합홈 320 : 제2결합홈 330 : 제3결합홈
340 : 제4결합홈 350 : 제5결합홈
1000 : 본체1전면부
1100 : 본체1후면부
2000 : 본체부 2100 : 1날개부 2200 : 2날개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본체부;
    상기 본체부 좌우에 각각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1날개부 및 2날개부;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1날개부 및 상기 2날개부를 각각 접도록 구성한 제2접이선 및 제3접이선;
    상기 제2접이선 및 상기 제3접이선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의 외부방향으로 칼선을 구성하여 상기 제2접이선 및 상기 제3접이선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의 방향으로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를 접었을 경우에 외부로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돌기부는 각각 제1결합돌기부 및 제2결합돌기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의 좌우측 단부에는 각각 반대방향으로 칼선을 두어 제3결합돌기 및 제4결합돌기를 구성하되,
    상기 제2접이선 및 상기 제3접이선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의 방향으로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를 접었을 경우에 상기 제3결합돌기와 상기 제4결합돌기가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는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도록 상기 제2접이선 및 상기 제3접이선으로부터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 각각의 단부로 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테이퍼형태로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4결합돌기의 하단부를 제5결합돌기로 구성하되,
    상기 제5결합돌기를 구성한 날개부의 반대편 날개부에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를 각각 접었을 경우에 날개부가 결합상태로 있도록 상기 제5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5결합홈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의 받침대 재질은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의 받침대;
    상기 제1결합돌기가 액자의 이면에서 결합하도록 상기 액자의 이면에 구성한 제1결합홈;
    상기 제2결합돌기가 상기 액자의 이면에서 결합하도록 구성한 제2결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은 각각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구성하여 상기 액자를 가로 또는 세로로 세울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받침대의 상기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돌기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9. 제7항에 있어서 재질은 종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20190003212U 2019-08-02 2019-08-02 받침대 및 그를 이용하는 액자 KR200493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12U KR200493872Y1 (ko) 2019-08-02 2019-08-02 받침대 및 그를 이용하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12U KR200493872Y1 (ko) 2019-08-02 2019-08-02 받침대 및 그를 이용하는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25U KR20210000325U (ko) 2021-02-10
KR200493872Y1 true KR200493872Y1 (ko) 2021-06-21

Family

ID=7456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12U KR200493872Y1 (ko) 2019-08-02 2019-08-02 받침대 및 그를 이용하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72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486A (ko) * 2015-06-02 2016-12-13 장영미 스탠딩 양방향 종이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25U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848A (en) Portable display board
US5787621A (en) Display stand
KR200470742Y1 (ko)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3872Y1 (ko) 받침대 및 그를 이용하는 액자
KR101435735B1 (ko) 진열용 선반
CN102509527A (zh) 具有一个或多个图像显示面的主体活动展示架和方法
CN107822385A (zh) 一种快速收纳和展开的展示柜
CN207912488U (zh) 一种快速收纳和展开的展示柜
KR101806744B1 (ko) 접기 및 조립식 책받침대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CN201201733Y (zh) 一种包装盒
CN209360184U (zh) 一种方便储存、运输的展示架
KR102160280B1 (ko) 접이식 액자와 그 제조 방법 및 전개판지
KR20160142486A (ko) 스탠딩 양방향 종이액자
JP3139622U (ja) 折り畳み式広告体
JP2007097855A (ja) 組立て式フレーム
JP2006326280A (ja) 組立式花器
JP2010110384A (ja) 折りたたみ眼鏡ケース
CN201812438U (zh) 纸质广告立柱
CN214633999U (zh) 一种基于积木拼接式的多功能面板
CN201998735U (zh) 一种带有可折叠支架的数字油画板
CN216984363U (zh) 一种便于装配的大相框支架
CN211365574U (zh) 一体成型式纸质支架
CN109043973A (zh) 一种方便储存、运输的展示架
JPS5846424Y2 (ja) デイ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