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99Y1 - 주류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주류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99Y1
KR200493799Y1 KR2020190000140U KR20190000140U KR200493799Y1 KR 200493799 Y1 KR200493799 Y1 KR 200493799Y1 KR 2020190000140 U KR2020190000140 U KR 2020190000140U KR 20190000140 U KR20190000140 U KR 20190000140U KR 200493799 Y1 KR200493799 Y1 KR 200493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unit
liquor
disposed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609U (ko
Inventor
유호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스원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스원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스원홀딩스
Priority to KR2020190000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9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2Funnels, e.g. for liquids without discharg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41Detail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류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공급하는 분배공급부; 상기 분배공급부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급부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류를 중앙에서 방사상의 복수 위치로 분배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부와 연결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분배되는 수량만큼 배열된 복수의 주류잔의 상부에 상기 분배공급부와 상기 분배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주류를 복수의 주류잔에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배출되는 분배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류 분배 장치 {Distributing Device of liquor}
본 고안은 주류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류를 주류잔에 따르는 구조를 개선하여 복수의 주류잔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주류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 소주 및 양주등의 알콜성 음료인 주류는 운반과 보관 및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통상 유리병 또는 페트병에 담아 판매하고 있다.
이런, 주류는 제조된 후 포장공정에서 병의 입구를 통하여 주류를 주입한 후 입구부는 병뚜껑으로 밀봉하게 되며, 주류를 음용할 때 밀봉된 병뚜껑을 제거하고, 병을 기울여 주류잔에 주류를 적당량 채워지도록 따라 마시게 된다.
이와같이 병을 기울여서 술을 잔에 따라 마시는 방식은 예나 지금이나 전혀 변함이 없는 것으로서 술을 마시는 분위기가 확일적이기 때문에 술마시는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서는 무엇인가 특별한 방식이 요구된다.
이에, 최근에는 주류의 음용에 대해서 큰 주류잔에 서로 다른 주류가 담겨진 작은 주류잔을 인입하여 서로 혼합시키는 폭탄주, 복수의 주류잔을 쌓아서 한번의 공급으로 모든 주류잔에 주류가 공급되는 탑 주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주류에 유희를 더해서 즐기는 문화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술한 다양한 주류 문화를 위해서 다양한 도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복수의 주류잔에 균등한 량의 주류를 단순한 구조로 분배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주류잔의 중앙에 올려져 지지된 상태로 공급된 주류를 분배함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하고, 복수에 잔에 정확한 분배량으로 공급되는 주류 분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분배 장치는 주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공급하는 분배공급부; 상기 분배공급부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급부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류를 중앙에서 방사상의 복수 위치로 분배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부와 연결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분배되는 수량만큼 배열된 복수의 주류잔의 상부에 상기 분배공급부와 상기 분배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주류를 복수의 주류잔에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배출되는 분배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배공급부는, 주류가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로 공급된 주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분배공급공간을 가지고, 하부로 상기 분배부가 삽입 설치되는 통공 형태의 분배구를 가지는 분배공급몸체; 및 상기 분배공급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양을 표시되는 문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공급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구의 안쪽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배부가 탈착되면서 일시 저장된 주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분배공급체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배부는, 상기 분배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서 방사상의 복수 위치로 분배되는 상기 주류잔의 수량만큼 복수 위치에 통공 형태의 분배공을 가지는 분배몸체; 상기 분배몸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의 중앙 위치에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류가 복수의 상기 분배공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가이드하는 분배돌기; 상기 분배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과 연통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서 분배된 주류가 배출되는 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분배배출부가 삽입 연결되는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의 상부에 상기 분배몸체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관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분배관으로 삽입되는 상기 분배배출부가 접촉되면서 지지되도록 구비된 분배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배몸체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급부에 탈착되면서 상기 분배공의 수량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분배공급부에 일시 저장된 주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분배체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배출부는, 상기 분배부의 방사상으로 각각 분배된 위치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주류가 배출되는 방사상 위치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결된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되는 수량만큼의 배열된 상기 주류잔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배출경사부를 가지는 분배배출관; 및 상기 분배배출관의 하부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류잔 상부에 위치 시에 상기 주류잔과 걸림 지지되도록 돌출된 잔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류 분배 장치는 복수의 주류잔의 중앙에 올려져 지지된 상태로 공급된 주류를 분배함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하고, 복수에 잔에 정확한 분배량으로 공급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에 주요 부분을 분해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에 주류가 분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가 주류잔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에 주요 부분을 분해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에 주류가 분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주류 분배 장치가 주류잔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분배 장치(100)는 주류를 복수의 주류잔에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해서 방사상의 위치로 주류잔을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설치되어 주류를 따르면 배치된 주류잔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장치이다.
이런, 주류 분배 장치(100)는 분배공급부(110), 분배부(120), 및 분배배출부(130)를 포함한다.
분배공급부(110)는 주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분배공급부(110)는 분배공급몸체(111), 분배공급체결체(114), 및 문양부(115)를 포함한다.
분배공급몸체(111)는 주류가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로 공급된 주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분배공급공간(112)을 가지고, 하부로 분배부(120)가 삽입 설치되는 통공 형태의 분배구(113)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즉, 분배공급부(110)는 주류병에서 공급되는 주류를 분배공급공간(112)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분배구(113)에 설치된 분배부(120)를 통해서 분배되어 분배배출부(130)를 통해서 주류잔으로 배출된다.
분배공급체결체(114)는 분배공급몸체(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배구(113)의 안쪽면에 구비되어 분배부(120)가 탈착되면서 일시 저장된 주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분배공급체결체(114)는 분배구(113)에 설치되는 분배부(120)가 체결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분배수량에 따라서 교체되는 분배부(120)가 일시 저장된 주류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분배공급체결체(114)는 통상적으로 나사 형태로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오링이나 방수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문양부(115)는 분배공급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양을 표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문양부(115)는 도면에서 양각 형태의 문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문양부(115)는 음각 문양이나, 다양한 광고가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분배부(120)는 분배공급부(110)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분배공급부(110)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류를 중앙에서 방사상의 복수 위치로 분배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분배부(120)는 분배몸체(121), 분배돌기(123), 분배체결체(124), 분배관(125), 및 분배걸림턱(126)을 포함한다.
분배몸체(121)는 분배공급몸체(111)의 하부에 분배구(113)에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서 방사상의 복수 위치로 분배되는 주류잔의 수량만큼 복수 위치에 통공 형태의 분배공(12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분배돌기(123)는 분배몸체(12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배공(122)의 중앙 위치에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류가 복수의 분배공(122)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가이드한다.
분배체결체(124)는 분배몸체(121)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배공급체결체(114)에 탈착되면서 분배공(122)의 수량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고, 분배공급몸체(111)에 일시 저장된 주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분배몸체(121)는 도면에서 4개의 분배공(122)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분배몸체(121)는 분배구(113)의 분배공급체결체(114)와 분배체결체(124)의 체결 결합에 의해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의 분배공(122)이 형성된 분배몸체와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분배공(122)이 2개, 3개, 및 5개 이상도 사용될 수 있다.
분배관(125)은 분배몸체(1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배공(122)과 연통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서 분배된 주류가 배출되는 관형태로 구비되어 분배배출부(130)가 삽입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분배걸림턱(126)은 분배관(125)의 상부에 분배몸체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분배관(125)보다 큰 직경으로 분배관(125)으로 삽입되는 분배배출부(130)가 접촉되면서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분배배출부(130)는 분배공급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배부(120)와 연결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분배되는 수량만큼 배열된 복수의 주류잔의 상부에 분배공급부(110)와 분배부(1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주류를 복수의 주류잔에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분배배출부(130)는 분배배출관(131), 및 잔걸림돌기(133)를 포함한다.
분배배출관(131)은 방사상으로 복수로 구비된 분배관(125)에 각각 삽입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배관(125)의 위치된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배공(122)에서 분배되는 수량만큼의 배열된 주류잔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배출경사부(132)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즉, 분배배출관(131)은 분배공급몸체(111)의 하부에 분배공의 위치에 따라 방사상의 위치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방사상의 위치로 배열된 주류잔에 상부에 안치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복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주류잔의 상부에 안치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잔걸림돌기(133)는 분배배출관(131)의 하부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분배관(125)에 연결된 상태에서 주류잔 상부에 위치 시에 주류잔과 걸림 지지되도록 돌출되로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분배 장치 110 : 분배공급부
111 : 분배공급몸체 112 : 분배공급공간
113 : 분배구 114 : 분배공급체결체
115 : 문양부 120 : 분배부
121 : 분배몸체 122 : 분배공
123 : 분배돌기 124 : 분배체결체
125 : 분배관 126 : 분배걸림턱
130 : 분배배출부 131 : 분배배출관
132 : 배출경사부 133 : 잔걸림돌기

Claims (6)

  1. 주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공급하는 분배공급부;
    상기 분배공급부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급부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류를 중앙에서 방사상의 복수 위치로 분배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부와 연결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분배되는 수량만큼 배열된 복수의 주류잔의 상부에 상기 분배공급부와 상기 분배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주류를 복수의 주류잔에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배출되는 분배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배출부는,
    상기 분배부의 방사상으로 각각 분배된 위치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주류가 배출되는 방사상 위치의 하부에 연결되어 연결된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되는 수량만큼의 배열된 상기 주류잔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배출경사부를 가지는 분배배출관; 및
    상기 분배배출관의 하부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류잔 상부에 위치 시에 상기 주류잔과 걸림 지지되도록 돌출된 잔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주류 분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공급부는,
    주류가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로 공급된 주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분배공급공간을 가지고, 하부로 상기 분배부가 삽입 설치되는 통공 형태의 분배구를 가지는 분배공급몸체; 및
    상기 분배공급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양을 표시되는 문양부;를 포함하는
    주류 분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공급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구의 안쪽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배부가 탈착되면서 일시 저장된 주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분배공급체결체;를 더 포함하는
    주류 분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분배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서 방사상의 복수 위치로 분배되는 상기 주류잔의 수량만큼 복수 위치에 통공 형태의 분배공을 가지는 분배몸체;
    상기 분배몸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의 중앙 위치에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 주류가 복수의 상기 분배공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가이드하는 분배돌기;
    상기 분배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과 연통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서 분배된 주류가 배출되는 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분배배출부가 삽입 연결되는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의 상부에 상기 분배몸체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관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분배관으로 삽입되는 상기 분배배출부가 접촉되면서 지지되도록 구비된 분배걸림턱;을 포함하는
    주류 분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몸체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공급부에 탈착되면서 상기 분배공의 수량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분배공급부에 일시 저장된 주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분배체결체;를 더 포함하는
    주류 분배 장치.
  6. 삭제
KR2020190000140U 2019-01-10 2019-01-10 주류 분배 장치 KR200493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40U KR200493799Y1 (ko) 2019-01-10 2019-01-10 주류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40U KR200493799Y1 (ko) 2019-01-10 2019-01-10 주류 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09U KR20200001609U (ko) 2020-07-20
KR200493799Y1 true KR200493799Y1 (ko) 2021-06-09

Family

ID=7183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40U KR200493799Y1 (ko) 2019-01-10 2019-01-10 주류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9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246A (en) 1983-03-18 1985-01-01 Weyerhaeuser Company Seed supply system for multiple row sower
US4823848A (en) 1988-02-25 1989-04-25 Sentmore Sr Darryl J Multipurpose funnel
US5381839A (en) 1992-07-22 1995-01-17 Dowd; Tracy J. Liquid disburser device
JP3053872B2 (ja) * 1994-06-23 2000-06-19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1r)−シス−3−オキソ−2−ペンチル−1−シクロペンタン酢酸の製造法
KR100557424B1 (ko) 2004-06-03 2006-03-06 최형선 생맥주 인출용 콕크 밸브의 거품 보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248U (ko) * 1995-08-04 1997-03-29 압축기 파이프의 연결구조
JP3053872U (ja) * 1998-05-08 1998-11-17 佐々木硝子株式会社 ドリンクディストリビュータ
KR20110052005A (ko) * 2009-11-12 2011-05-18 이치원 혼합주 제조기
KR101815293B1 (ko) * 2016-01-04 2018-01-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류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246A (en) 1983-03-18 1985-01-01 Weyerhaeuser Company Seed supply system for multiple row sower
US4823848A (en) 1988-02-25 1989-04-25 Sentmore Sr Darryl J Multipurpose funnel
US5381839A (en) 1992-07-22 1995-01-17 Dowd; Tracy J. Liquid disburser device
JP3053872B2 (ja) * 1994-06-23 2000-06-19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1r)−シス−3−オキソ−2−ペンチル−1−シクロペンタン酢酸の製造法
KR100557424B1 (ko) 2004-06-03 2006-03-06 최형선 생맥주 인출용 콕크 밸브의 거품 보충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5387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09U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5421A (en) Pour spout adapter
US8387816B2 (en) Dual use beverage cup
US7523840B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KR20080016879A (ko) 액체용기
US20120024903A1 (en) Multiple beverage dispenser with spigot
RU2017141814A (ru) Цифровой стол
JP2009528956A (ja) 底部から注ぐことができる飲用容器及びそれに飲料を分配する装置
BR112012022724A2 (pt) máquina automática para distribuição de bebidas e processo para distribuição de uma bebida preparada por uma máquina automática
US7654413B2 (en) Supporting device for package water dispenser
CN103003191A (zh) 饮料分配组件
KR200482767Y1 (ko)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KR200493799Y1 (ko) 주류 분배 장치
US8602253B2 (en) Keg cup holder
JP5054235B2 (ja) 流体下降装置及びその支持具
US6745802B2 (en) Bottle drainage coupler
US11033131B2 (en) Glassware
US20110315698A1 (en) Multiple Straw Fluid Dispenser
US4936984A (en) Consumer water filtering apparatus
US2749004A (en) Refreshment dispenser
US20150056332A1 (en) Beverage Packaging Configuration with a Short Fill Level for Mixed Drinks
WO2020021412A3 (en) A liquid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and a flavored beverage
US5944232A (en) Water bottle for water cooler type dispensing apparatus
US20180086622A1 (en) Counter Water Bottle Dispenser
CN208740707U (zh) 一种接水盘及饮水机
CN203767329U (zh) 酒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