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90Y1 -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90Y1
KR200493690Y1 KR2020200004952U KR20200004952U KR200493690Y1 KR 200493690 Y1 KR200493690 Y1 KR 200493690Y1 KR 2020200004952 U KR2020200004952 U KR 2020200004952U KR 20200004952 U KR20200004952 U KR 20200004952U KR 200493690 Y1 KR200493690 Y1 KR 200493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ir
dust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인성
Original Assignee
(주) 인텐시브필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텐시브필터코리아 filed Critical (주) 인텐시브필터코리아
Priority to KR2020200004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산업용 집진 시설이 산업용 집진 부재와, 분진 분리탑 부재와, 에어 유동 부재와, 분리 에어 집진 부재와, 분진 처리 장치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서 수집된 먼지가 날리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Dust collector for industry and dust handling apparatus applied in the dust collector for industry}
본 고안은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집진 시설은 공장 등의 산업 시설에 적용되어 그러한 산업 시설 내의 먼지를 집진하는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산업용 집진 시설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등록특허이다.
이러한 산업용 집진 시설에서는 상기 산업 시설 내의 먼지를 집진한 후 처리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집진 시설에서는, 상기 산업 시설 내의 먼지를 집진한 후 차량 등에 실어서 처리하였는데, 이러한 과정 중에 먼지가 비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667711호, 등록일자: 20070105, 발명의 명칭: 산업용 집진장치
본 고안은 산업용 집진 시설에서 수집된 먼지가 날리지 않으면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분진 처리 장치는 산업 시설 내의 먼지를 집진하는 산업용 집진 부재를 포함하는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를 경유하면서 집진된 상기 먼지가 유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상기 먼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상기 먼지와 상기 수분 공급 부재에 의해 공급된 상기 수분을 혼합시켜 주고, 세정용 함몰홀이 형성된 한 쌍의 혼합 스크류; 및 상기 세정용 함몰홀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에 세정 에어를 분사시켜 주어,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을 세정시켜주는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의 일 측부 상공을 개폐시킬 수 있는 일 측 회전 덮개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의 타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의 타 측부 상공을 개폐시킬 수 있는 타 측 회전 덮개와, 상기 일 측 회전 덮개와 상기 타 측 회전 덮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 중 상기 일 회전 덮개와 상기 타 측 회전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개폐시킬 수 있는 부양 덮개와, 상기 일 측 회전 덮개와 상기 부양 덮개의 일 측부를 연결하되,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일 측 회전 덮개와 상기 부양 덮개의 일 측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일 측 탄성 연결체와, 상기 타 측 회전 덮개와 상기 부양 덮개의 타 측부를 연결하되,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타 측 회전 덮개와 상기 부양 덮개의 타 측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타 측 탄성 연결체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 및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의 상공을 향해 상기 세정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는 에어 분사 부양 부재와, 상기 혼합 스크류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에서 분사될 상기 세정 에어를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로 공급해줄 수 있는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는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외부로 부양되면서 돌출될 수 있는 구형(sphere)의 구형 부양체와, 상기 구형 부양체의 중앙부에 구형(sphere)으로 빈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형 중공홀과, 상기 구형 중공홀과 상기 에어 공급관을 연결하되,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서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에어 연결 탄성관과, 상기 구형 부양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구형 중공홀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구형 중공홀로부터 상기 구형 부양체의 외부로 상기 세정 에어를 분사시켜줄 수 있는 사방 에어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한 상기 세정 에어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형 부양체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 측 회전 덮개, 상기 타 측 회전 덮개 및 상기 부양 덮개는 일직선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를 덮게 되고, 상기 일 측 탄성 연결체 및 상기 타 측 탄성 연결체는 최대로 수축되고,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한 상기 세정 에어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구형 부양체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내부에서 부양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부양 덮개는 최대 높이로 부양되고 상기 일 측 회전 덮개 및 상기 타 측 회전 덮개는 최대로 회전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가 개방되고, 상기 일 측 탄성 연결체 및 상기 타 측 탄성 연결체는 최대로 신장되고,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상기 세정 에어는 상기 구형 중공홀을 경유한 다음 복수 개의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토출되어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 및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의 상공을 향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에 의하면,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이 산업용 집진 부재와, 분진 분리탑 부재와, 에어 유동 부재와, 분리 에어 집진 부재와, 분진 처리 장치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서 수집된 먼지가 날리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집진 시설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 장치의 내부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 장치에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이 작동 중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집진 시설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 장치의 내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집진 시설(100)은 산업용 집진 부재(110)와, 분진 분리탑 부재(120)와, 에어 유동 부재(135)와, 분리 에어 집진 부재(130)와, 분진 처리 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는 공장 등의 산업 시설 내의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산업 시설 내의 먼지를 집진하는 것으로서, 상기 산업 시설 내의 상기 에어를 흡입한 다음 그 내부에 설치된 필터를 통해 상기 먼지를 집진하여 걸러내는 것이다.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에서 집진되어 상기 먼지가 함유된 상태인 상기 에어는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의 하부와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상부를 연결하는 에어 유동관(101)를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는 복수 개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각 산업용 집진 부재(110)가 상기 에어 유동관(10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는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에서 집진되어 상기 먼지가 함유된 상태인 상기 에어가 유입되어, 상기 먼지와 상기 에어가 분리되면서, 상기 먼지는 그 하부로 하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상부에 상기 에어 유동 부재(135) 및 상기 분리 에어 집진 부재(130)가 연결되고,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하부에 상기 분진 처리 장치(15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내부를 따라 하강되는 상기 먼지가 함유된 상태의 상기 에어에서 상기 먼지가 분리되고, 상기 먼지가 분리된 상기 에어는 상기 분리 에어 집진 부재(130) 및 상기 에어 유동 부재(135)를 통해 유동되고, 상기 먼지는 하강을 지속하여 상기 분진 처리 장치(150)로 유입된다.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상부에 상기 분리 에어 집진 부재(130)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에어 집진 부재(130)로부터 에어 토출관(102)이 연장되고, 상기 에어 토출관(102) 상에 상기 에어 유동 부재(135)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 유동 부재(135)는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에서 상기 먼지와 분리된 다음 상기 에어 토출관(102)을 통해 유동된 상기 에어를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내부에 부압(negative pressure)를 걸어주는 에어 펌프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에어 집진 부재(130)는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와 상기 에어 유동 부재(135) 사이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필터 등이 구비되어,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에서 상기 에어 유동 부재(135) 쪽으로 유동되는 상기 에어 중에 잔여된 상기 먼지를 제거시켜주는 것이다.
상기 분진 처리 장치(150)는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에서 상기 에어와 분리되어 하강된 상기 먼지가 유입되어, 상기 먼지에 수분을 공급하면서 혼합시켜, 상기 먼지를 제거시켜주는 것으로서, 케이스(151)와, 수분 공급 부재(170)와, 한 쌍의 혼합 스크류(165, 16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51)는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를 경유하면서 집진되고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에서 분리된 상기 먼지가 유입되는 것으로, 그 설치면에 대해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52는 상기 케이스(151)의 일 측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와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를 연결시켜줌으로써,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로부터 낙하된 상기 먼지가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먼지 유입구이다.
도면 번호 153은 상기 케이스(151)의 타 측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를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수분과 혼합된 상기 먼지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먼지 토출구이다.
도면 번호 154는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51)의 측면을 개방시킬 수 있는 케이스 도어로서, 상기 케이스 도어(154)는 상기 케이스(151)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케이스 도어(154) 중 요구되는 것이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열리면, 해당 케이스 도어(154)를 통해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로 접근하여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 구성에 대한 교체, 수리, 정비 등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수분 공급 부재(170)는 상기 케이스(15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51) 내로 유입된 상기 먼지에 상기 수분을 공급하는것이다.
상기 수분 공급 부재(170)는 상기 각 혼합 스크류(165, 166)의 상공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51)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 수조(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상기 수분을 상기 각 혼합 스크류(165, 166)의 상공에서 분사시켜주는 것이다.
상기 수분 공급 부재(17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서, 상기 각 혼합 스크류(165, 166)의 상공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51)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 수조에서 상기 각 수분 공급 부재(170)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펌프와 개폐 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혼합 스크류(165, 166)는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51) 내로 유입된 상기 먼지와 상기 수분 공급 부재(170)에 의해 공급된 상기 수분을 혼합시켜 주는 것이다.
도면 번호 160은 상기 혼합 스크류(165, 16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 등의 스크류 구동 수단이고, 도면 번호 161은 상기 스크류 구동 수단(160)에 벨트 등에 의해 맞물려 회전되는 원동축이고, 도면 번호 162는 상기 원동축(161)과 맞물려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축이다.
상기 원동축(161)의 말단과 상기 종동축(162)의 말단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163, 164)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원동축(161)이 회전될 때, 상기 종동축(162)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혼합 스크류(165, 166) 중 하나(165)가 상기 원동축(161) 중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 부분에 스크류 날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혼합 스크류(165, 166) 중 다른 하나(166)가 상기 종동축(162) 중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 부분에 스크류 날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동축(161) 및 상기 종동축(162)이 서로 맞물려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각 혼합 스크류(165, 166)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스(151) 내로 유입된 상기 먼지와 상기 수분 공급 부재(170)에 의해 공급된 상기 수분을 혼합시켜 주게 된다.
도면 번호 156은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혼합 스크류(165, 166)의 하측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먼지 혼합 베이스로, 상기 먼지 혼합 베이스(156)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51)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먼지가 상기 수분과 혼합되면서 상기 혼합 스크류(165, 166)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혼합 스크류(165, 166)는 상기 케이스(151) 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스(151) 내로 유입된 상기 먼지(분진)와 상기 수분 공급 부재(170)에 의해 공급된 수분을 혼합시켜 줌과 함께, 상기와 같이 상기 수분이 혼합된 상기 먼지를 상기 먼지 토출구(153) 쪽으로 이송시킨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집진 시설(100)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100)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15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장 등의 상기 산업 시설 내에서 발생된 상기 먼지는 상기 에어에 혼합된 상태로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를 경유하면서 집진된다.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에서 집진되어 상기 먼지가 함유된 상태인 상기 에어는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의 하부와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기 에어 유동관(101)를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에서는,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의 내부를 따라 하강되는 상기 먼지가 함유된 상태의 상기 에어에서 상기 먼지가 분리되고, 상기 먼지가 분리된 상기 에어는 상기 분리 에어 집진 부재(130) 및 상기 에어 유동 부재(135)를 통해 유동되고, 상기 먼지는 하강을 지속하여 상기 먼지 유입구(152)를 통해 상기 분진 처리 장치(150)로 유입된다.
상기 분진 처리 장치(150)로 유입된 상기 먼지 쪽으로 상기 수분 공급 부재(170)에서 상기 수분이 공급되고, 상기 먼지와 상기 수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각 혼합 스크류(165, 166)에 의해 혼합되면서 상기 먼지 토출구(153) 쪽으로 이송된 다음, 상기 먼지 토출구(153)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100)이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110)와, 상기 분진 분리탑 부재(120)와, 상기 에어 유동 부재(135)와, 상기 분리 에어 집진 부재(130)와, 상기 분진 처리 장치(15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100)에서 수집된 상기 먼지가 날리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 장치에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이 작동 중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 장치는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280)을 더 포함하고, 혼합 스크류(265)에는 세정용 함몰홀(267)이 형성된다.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은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상면이 일정 깊이로 함몰된 것이다.
상기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280)은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표면에 세정 에어를 분사시켜 주어,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표면을 세정시켜주는 것으로, 일 측 회전 덮개(281)와, 타 측 회전 덮개(282)와, 부양 덮개(283)와, 일 측 탄성 연결체(284)와, 타 측 탄성 연결체(285)와, 에어 분사 부양 부재(290)와, 에어 공급관(286)을 포함한다.
상기 일 측 회전 덮개(281)는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입구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입구의 일 측부 상공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타 측 회전 덮개(282)는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입구의 타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입구의 타 측부 상공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양 덮개(283)는 상기 일 측 회전 덮개(281)와 상기 타 측 회전 덮개(28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입구 중 상기 일 회전 덮개와 상기 타 측 회전 덮개(282)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일 측 탄성 연결체(284)는 상기 일 측 회전 덮개(281)와 상기 부양 덮개(283)의 일 측부를 줄 형태로 연결하되,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일 측 회전 덮개(281)와 상기 부양 덮개(283)의 일 측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타 측 탄성 연결체(285)는 상기 타 측 회전 덮개(282)와 상기 부양 덮개(283)의 타 측부를 줄 형태로 연결하되,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타 측 회전 덮개(282)와 상기 부양 덮개(283)의 타 측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290)는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표면 및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표면의 상공을 향해 상기 세정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에어 공급관(286)은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290)에서 분사될 상기 세정 에어를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290)로 공급해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공급관(286)은 원동축을 통해 에어 유동 부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에어 유동 부재에서 토출되는 것이 상기 세정 에어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290)는 구형 부양체(291)와, 구형 중공홀(292)과, 에어 연결 탄성관(293)과, 사방 에어 분사관(294)을 포함한다.
상기 구형 부양체(291)는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외부로 부양되면서 돌출될 수 있는 구형(sphere)의 것이다.
상기 구형 중공홀(292)은 상기 구형 부양체(291)의 중앙부에 구형(sphere)으로 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 연결 탄성관(293)은 상기 구형 중공홀(292)과 상기 에어 공급관(286)을 연결하되,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서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관이다.
상기 사방 에어 분사관(294)은 상기 구형 부양체(291)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구형 중공홀(292)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구형 중공홀(292)로부터 상기 구형 부양체(291)의 외부로 상기 세정 에어를 분사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공급관(286)을 통한 상기 세정 에어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형 부양체(291)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 측 회전 덮개(281), 상기 타 측 회전 덮개(282) 및 상기 부양 덮개(283)는 일직선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입구를 덮게 되고, 상기 일 측 탄성 연결체(284) 및 상기 타 측 탄성 연결체(285)는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표면과 그 주변 부분에 대한 세정이 요구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286)을 통한 상기 세정 에어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방 에어 분사관(294) 중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내부를 향하는 것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세정 에어의 분사 압력에 의해, 상기 구형 부양체(291)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내부에서 부양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로 인해 상기 구형 부양체(291)에 의해 밀어올려진 상기 부양 덮개(283)는 최대 높이로 부양되고 상기 일 측 회전 덮개(281) 및 상기 타 측 회전 덮개(282)는 최대로 회전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267)의 입구가 개방되고, 상기 일 측 탄성 연결체(284) 및 상기 타 측 탄성 연결체(285)는 최대로 신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 공급관(286)을 통해 공급된 상기 세정 에어는 상기 구형 중공홀(292)을 경유한 다음 복수 개의 상기 에어 공급관(286)을 통해 토출되어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표면 및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표면의 상공을 향해 분사되면서, 상기 혼합 스크류(265)의 표면과 그 주변 부분을 세정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에 의하면, 산업용 집진 시설에서 수집된 먼지가 날리지 않으면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산업용 집진 시설
110 : 산업용 집진 부재
120 : 분진 분리탑 부재
135 : 에어 유동 부재
130 : 분리 에어 집진 부재
150 : 분진 처리 장치
151 : 케이스
165, 166 : 혼합 스크류
170 : 수분 공급 부재
280 :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

Claims (3)

  1. 삭제
  2. 산업 시설 내의 먼지를 집진하는 산업용 집진 부재를 포함하는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산업용 집진 부재를 경유하면서 집진된 상기 먼지가 유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상기 먼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 유입된 상기 먼지와 상기 수분 공급 부재에 의해 공급된 상기 수분을 혼합시켜 주고, 세정용 함몰홀이 형성된 한 쌍의 혼합 스크류; 및
    상기 세정용 함몰홀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에 세정 에어를 분사시켜 주어,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을 세정시켜주는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크리닝 유닛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의 일 측부 상공을 개폐시킬 수 있는 일 측 회전 덮개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의 타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의 타 측부 상공을 개폐시킬 수 있는 타 측 회전 덮개와,
    상기 일 측 회전 덮개와 상기 타 측 회전 덮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 중 상기 일 회전 덮개와 상기 타 측 회전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개폐시킬 수 있는 부양 덮개와,
    상기 일 측 회전 덮개와 상기 부양 덮개의 일 측부를 연결하되,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일 측 회전 덮개와 상기 부양 덮개의 일 측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일 측 탄성 연결체와,
    상기 타 측 회전 덮개와 상기 부양 덮개의 타 측부를 연결하되,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타 측 회전 덮개와 상기 부양 덮개의 타 측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타 측 탄성 연결체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 및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의 상공을 향해 상기 세정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는 에어 분사 부양 부재와,
    상기 혼합 스크류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에서 분사될 상기 세정 에어를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로 공급해줄 수 있는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양 부재는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외부로 부양되면서 돌출될 수 있는 구형(sphere)의 구형 부양체와,
    상기 구형 부양체의 중앙부에 구형(sphere)으로 빈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형 중공홀과,
    상기 구형 중공홀과 상기 에어 공급관을 연결하되,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서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에어 연결 탄성관과,
    상기 구형 부양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구형 중공홀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구형 중공홀로부터 상기 구형 부양체의 외부로 상기 세정 에어를 분사시켜줄 수 있는 사방 에어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한 상기 세정 에어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형 부양체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 측 회전 덮개, 상기 타 측 회전 덮개 및 상기 부양 덮개는 일직선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를 덮게 되고, 상기 일 측 탄성 연결체 및 상기 타 측 탄성 연결체는 최대로 수축되고,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한 상기 세정 에어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구형 부양체가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내부에서 부양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부양 덮개는 최대 높이로 부양되고 상기 일 측 회전 덮개 및 상기 타 측 회전 덮개는 최대로 회전되어 상기 세정용 함몰홀의 입구가 개방되고, 상기 일 측 탄성 연결체 및 상기 타 측 탄성 연결체는 최대로 신장되고,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상기 세정 에어는 상기 구형 중공홀을 경유한 다음 복수 개의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토출되어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 및 상기 혼합 스크류의 표면의 상공을 향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처리 장치.
  3. 삭제
KR2020200004952U 2020-12-31 2020-12-31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 KR200493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52U KR200493690Y1 (ko) 2020-12-31 2020-12-31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52U KR200493690Y1 (ko) 2020-12-31 2020-12-31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690Y1 true KR200493690Y1 (ko) 2021-05-20

Family

ID=7614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52U KR200493690Y1 (ko) 2020-12-31 2020-12-31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9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013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수분혼합 장치
KR100667711B1 (ko) 2004-10-28 2007-01-15 이병호 산업용 집진장치
KR20180108250A (ko) * 2017-03-24 2018-10-04 조용래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013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수분혼합 장치
KR100667711B1 (ko) 2004-10-28 2007-01-15 이병호 산업용 집진장치
KR20180108250A (ko) * 2017-03-24 2018-10-04 조용래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336B1 (ko) 필터부재 청소장치
KR101401358B1 (ko) 천정형 에어컨 세척장치
KR102148149B1 (ko)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KR200493690Y1 (ko) 산업용 집진 시설 및 상기 산업용 집진 시설에 적용되는 분진 처리 장치
CN111892115A (zh) 一种废水处理用气浮池
JP2011036815A (ja) 洗浄装置
KR20080007995A (ko) 이물질 여과장치
KR101833162B1 (ko)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KR100668478B1 (ko)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100574370B1 (ko) 수면 부상식 부유물질 제거장치
KR101584242B1 (ko) 기체 내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1943027B1 (ko) 집진장치
KR101979002B1 (ko) 유해가스 분진 제거장치
KR102152388B1 (ko) 중력 및 원심력을 이용한 오염가스 처리장치
KR102055520B1 (ko)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KR100412999B1 (ko) 정미공장용 순환 세정식 집진장치
KR101767442B1 (ko) 폐수 정화용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KR20070043598A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KR200406313Y1 (ko)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200257653Y1 (ko) 폭기식 정화장치
CN220683709U (zh) 一种耐火材料输送装置
JP2003080113A (ja) 立型デカンタ式遠心分離機
KR101512986B1 (ko) 화력발전소용 이동형 습식 집진장치
CN216240766U (zh) 露天采石场生产线喷雾除尘装置
KR102175241B1 (ko) 스테인레스강 산세 슬러지 필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