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88Y1 -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88Y1
KR200493688Y1 KR2020200002501U KR20200002501U KR200493688Y1 KR 200493688 Y1 KR200493688 Y1 KR 200493688Y1 KR 2020200002501 U KR2020200002501 U KR 2020200002501U KR 20200002501 U KR20200002501 U KR 20200002501U KR 200493688 Y1 KR200493688 Y1 KR 200493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hose
weight
container body
spra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식
Original Assignee
강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식 filed Critical 강철식
Priority to KR2020200002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05B11/30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펌핑부;와, 상기 분사 펌핑부가 상기 용기 몸체에 결합시 상기 분사 펌핑부의 하부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까지 연장되며,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 플렉시블 호스; 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에 인접되는 단부에 구비된 중량추; 및 상기 분사 펌핑부의 하부에서 일직선을 이루며, 플렉시블 호스의 과도한 만곡을 방지하고 액상 내용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게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추는 제1추와 제2추로 나누어 조립되고, 상기 제1추의 체결 암나사부에 플렉시블 호스가 끼워지며, 중량추의 저면에는 액상 내용물 유도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사각 스프링 부재를 코일스프링 형상(압축코일스프링형상)으로 감은 코일형 판스프링과 상기 코일형 판스프링의 일측 겉면에 밀착되게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형 판스프링과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은 플렉시블 호스와 같이 조임쇠에 의해 지지대에 밀착 고정되게 하여, 플렉시블 호스의 형태 유지 효과를 높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spray apparatus with easy shoot even at little remains of contents}
본 고안은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도 끝까지 사용이 가능한 스프레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충진된 액상 내용물을 흡입, 압축하여 노즐을 통해 분사되게 하는 스프레이 기구에 있어서, 용기에 남은 액상 내용물의 잔량이 소량일 경우에도 기울거나 뒤집어도 분사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자주 리필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같은 유체를 농작물이나 잡초 등에 살포하거나 일상생활에서 물 등을 살포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주로 휴대가 간편한 스프레이 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기구는 휴대성이 좋아 길게 연결된 호스를 가지고 이동하는 것보다 이동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는 반면, 유체를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펌프를 동작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동의 자유성은 보장되나 유체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유체를 압축하여 공급하기 위해 가압력이 작용 되어야 함에 따라, 유체를 분사할 때마다 노동력 또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분무기라고도 불리는 스프레이 기구는 액상 내용물을 압축, 이송시켜 노즐을 통해 분사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스프레이 기구는 가압력이 제공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인력용(人力用), 축력용(畜力用), 동력용(動力用)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에, 일반 가정에서는 대다수 인력용에 해당되는 리필형 분무기가 이용되며, 이와 같은 리필형 분무기는 다림질 또는 화초에 물을 주는 경우, 혹은 방향제 등을 살포하는데 이용되어 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기구의 일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17610호(2018년01월22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기구는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이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기울이거나 뒤집어 분사하면 액상 내용물이 스프레이 말단 흡입부와 접촉되지 않아 분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스프레이 기구의 용기 안에 액상 내용물이 약간만 사용된 경우에도 기울여 사용하거나 뒤집어 사용할 때에는 자주 리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17610호(2018년01월22일자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에 충진된 액상 내용물을 흡입, 압축하여 노즐을 통해 분사되게 하는 스프레이 기구에 있어서, 용기에 남은 액상 내용물의 잔량이 소량일 경우에도 기울거나 뒤집어도 스프레이 말단 흡입부와 용액이 접촉되게 하여 분사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자주 리필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펌핑부;와, 상기 분사 펌핑부가 상기 용기 몸체에 결합시 상기 분사 펌핑부의 하부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까지 연장되며,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 플렉시블 호스; 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에 인접되는 단부에 구비된 중량추; 및 상기 분사 펌핑부의 하부에서 일직선을 이루며, 플렉시블 호스의 과도한 만곡을 방지하고 액상 내용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게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추는 제1추와 제2추로 나누어 조립되고, 상기 제1추의 체결 암나사부에 플렉시블 호스가 끼워지며, 중량추의 저면에는 액상 내용물 유도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사각 스프링 부재를 코일스프링 형상(압축코일스프링형상)으로 감은 코일형 판스프링과 상기 코일형 판스프링의 일측 겉면에 밀착되게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형 판스프링과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은 플렉시블 호스와 같이 조임쇠에 의해 지지대에 밀착 고정되게 하여, 플렉시블 호스의 형태 유지 효과를 높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따르면, 용기에 충진된 액상 내용물을 흡입, 압축하여 노즐을 통해 분사되게 하는 스프레이 기구에 있어서, 용기에 남은 액상 내용물의 잔량이 소량일 경우에도 기울거나 뒤집어도 분사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자주 리필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잔량시에도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호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추가 결합된 측 단면도와 분해된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중량추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잔량시에도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를 많이 기울인 상태와 완전히 뒤집은 상태에서도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가 액상 내용물에 항상 닿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지지대로부터 플렉시블 호스와 코일형 판스프링,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이 조임쇠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이 아주 소량으로 남아있을 때에도 기울이거나 뒤집어도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몸체(100)와, 용기 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동작에 의해 용기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펌핑부(200)와, 분사 펌핑부(200)가 용기 몸체(100)에 결합시 분사 펌핑부(200)의 하부에서 용기 몸체(100)의 저면까지 연장되며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 플렉시블 호스(300)와, 플렉시블 호스(300)에서 용기 몸체(100)의 저면에 인접되는 단부에 구비된 중량추(4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용기에 충진된 액상 내용물을 흡입, 압축하여 노즐을 통해 분사되게 하는 스프레이 기구에 있어서, 용기에 남은 액상 내용물의 잔량이 아주 소량남아있을 경우에도 끝까지 분사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자주 리필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액상 내용물이 소량이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기구는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이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기울이거나 뒤집어 분사하면 스프레이 말단 흡입부와 용액이 접촉되지 않아 분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스프레이 기구의 용기 안에 액상 내용물이 약간만 사용된 경우에도 기울여 사용하거나 뒤집어 사용할 때에는 자주 리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기구에 의하면 중량추(400)의 무게에 의해 유연성이 확보된 플렉시블 호스(300)의 말단이 액상 내용물에 항상 닿을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 몸체(100)에 남은 액상 내용물의 잔량이 소량일 경우에도 분사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 호스(300)의 내부에 직사각형 형태의 얇은 스프링 강재를 코일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감아서 끼워지게 하여(310: 코일형 판스프링이라 함), 기울이거나 뒤집어 분사하더라도 플렉시블 호스(300)가‘V’자 형태로의 꺾임을 방지하고 유연한‘U’자 형태를 유지하여 액상 내용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좀 더 효과를 높이기 위해 코일형 판스프링(310)의 일측 겉면에 스프링강 소재의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320)을 추가하여 설치한다.
용기 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며,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잔량이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마련되고, 상부에는 분사 펌핑부(200)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주둥이 부분이 마련된 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몸체(100)가 원통형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00)의 형상이 대략 구체의 형상을 갖도록 약간 둥글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00)를 90도에 가깝게 기울이거나 180도로 완전히 뒤집더라도 플렉시블 호스(300)가 코일형 판스프링(310)과 중량추(400),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320)에 의해 만곡되게 굽혀지게 될 때에는 용기 몸체(100)의 내벽 면을 타고 훨씬 잘 굽혀지게 됨으로써, 플렉시블 호스(300)의 말단부가 액상 내용물에 항상 닿으며 분사시 용이하게 흡인되도록 할 수 있게 하고, 플렉시블 호스(300)가 긴 용기 몸체(100)안에서 일직선으로 형상이 유지되어야 하거나, 용기몸체(100)가 좌우로 기울어져 플렉시블 호스(300)가 뒤틀림이 생길 경우에도 복원이 쉽게 되게 한다.
분사 펌핑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주둥이 부분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게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몸체 결합부(201)가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 일측 단부에는 용기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흡인되어 외부로 분사되는 분사 노즐(210)이 구비되고, 분사노즐(210)과 액상 내용물을 흡인하는 플렉시블 호스(300)을 연결하는 지지대(230)가 구비되며, 지지대(230)는 일정길이 몸체 결합부(201) 아래로 돌출되게 하며, 지지대(230)의 겉면에는 코일형 판스프링(310)이 밀착되며, 상기 코일형 판스프링(310)의 일측 겉면에는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320)이 밀착된 상태로 플렉시블 호스(300)와 함께 조임쇠(330)에 의해 고정되게 한다.
지지대(230)는 몸체 결합부(201) 아래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어지는데, 액상 내용물을 흡인하는 통로가 일정한 길이 일직선으로 유지하게 하여 플렉시블 호스(300)의 과도한 만곡을 방지하고 액상 내용물이 원활하게 분사노즐(210)로 흐르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몸체 결합부(201)와 분사 노즐(210)의 사이에는 분사 펌핑부(200) 내부의 피스톤과 실린더(미도시)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피스톤이 작동되도록 하는 조작 레버(22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조작 레버(220)를 누르게 되면, 그 누름 동작에 의해 조작 레버(220)에 연동된 실린더 내에 형성된 공간의 부피는 수축되고, 그 수축된 공간의 부피만큼의 액상 내용물이 분사 노즐(21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분사 펌핑부(200)의 실린더에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 레버(220)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해진 수직 가압력이 제거되면서 분사 노즐(210)과 연통된 실린더 내의 수축된 공간이 리턴 스프링에 의해 복원되고, 이와 연동하여 실린더는 플렉시블 호스(300)를 통해 용기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그 수축된 공간의 부피 정도만큼 빨아들이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300)는, 도 1 및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등과 같이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잘 휘어지도록 구비되고, 용기 몸체(100)의 저면에 인접하는 말단부가 중량추(400)의 나사산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되므로 나사산이 맞물릴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액상 내용물이 흡인되는 통로로 사용되는 플렉시블 호스(300)가 잘 휘어지게 마련됨으로써, 용기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아서, 용기 몸체(100)를 기울이거나 뒤집어 사용하더라도 중량추(400)의 무게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300)의 말단이 항상 액상 내용물에 닿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액상 내용물의 흡인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분사가 비교적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플렉시블 호스(300)의 말단이 액상 잔액에 용이하게 접촉되게 하고 플렉시블 호스(300)의 꺾임을 방지하여 용액을 원활히 흡입하기 위하여, 코일형 판스프링(310)과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320)을 더 추가하여 설치하는데, 코일형 판스프링(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30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사각 형상의 스프링강을 코일스프링형태(압축코일스프링)로 감아 연장되어 구비하는데, 스프링 부재의 감기는 형상은 도 2에서와 같이 직사각 스프링강을 감아서 연장하되, 감겨서 연장이 될 때 직사각 스프링강과 스프링강사이가 틈이 없도록 붙여서 형성(압축코일스프링 형태)한다. 또 사각 스프링강 소재는 아주 얇게 하여 플렉시블 호스(300)와 같이 유연하게 움직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렉시블 호스(300)에 끼워져 형성된 코일형 판스프링(310)은 지지대(230)의 겉면에 끼워 조립하여, 플렉시블 호스(300)의‘V’자 꺾임을 방지한다.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320)은 코일형 판스프링(310)의 일측 겉면에 일직선으로 밀착되게 형성이 되어지며, 가느다란 스프링강 소재의 봉이나 판 형상으로 만드는데, 코일형 판스프링(310)의 겉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임쇠(330)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호스(300)와 함께 지지대(230)의 겉면에 밀착, 조립된다. 길이는 코일형 판스프링(310)의 길이와 같게 한다.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320)은 코일형 판스프링(310)과 함께 플렉시블 호스(300)가‘V’자 형태로 꺾임을 방지하고‘U’자 형태를 유지하게 하여 용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플렉시블 호스(300)가 굴곡되어 복원이 느릴 때 이의 복원을 원활하게 한다.
즉, 여기에 더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00)를 완전히 뒤집었을 때에 플렉시블 호스(300)가 중량추(400)의 무게로 인해 단순히‘V’자로 꺾이지 않고 ‘U’자의 형태로 완만히 타원 곡선을 그리며 휘어지도록 하여 분사시 액상 내용물의 흡인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호스(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형 판스프링(310)은 플렉시블 호스(300)의 내부에 꽉 끼는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약간 이격된 틈새를 갖도록 플렉시블 호스(3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추(400)는 도 1 및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거운 중량을 갖는 금속 등의 재질로 마련되며, 플렉시블 호스(300)가 용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액상 내용물에 인접하는 말단 부분에 접촉되어 플렉시블 호스(300)를 나사산 사이에 두고 조여서 결합된다.
중량추(400)의 형상 및 조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추(400)는 측 단면이 서로 좌우로 결합가능하게 제1 추(410)와 제2 추(420)로 나뉘어 구비되도록 한다.
도 3의 (a)는 제1 추(410) 및 제2 추(420)가 결합된 중량추(400)의 측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제1 추(410) 및 제2 추(420)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이때, 제1 추(410)와 제2 추(420)는 각각 상호 단변 측 부분이 서로 접촉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호스(300)에 중량추(400)의 조립 및 결합이 손쉽고 간편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추(410)의 단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 수나사부(411)가 돌출 형성되고, 제2 추(420)의 단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 암나사부(421)가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추(410)와 제2 추(420)에서 각각 상대편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접촉되는 측 단면상 단변 부분에 형성된 체결 수나사부(411)와 체결 암나사부(421) 상호 간의 나사 방식의 결합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호스(300)에 중량추(400)가 용이하게 조립 및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먼저 제2 추(420)를 플렉시블 호스(300)의 말단부 측을 통해 끼워넣은 다음, 제1 추(410)를 플렉시블 호스(300)의 말단부 측을 통해 끼워넣고 제1 추(410)가 플렉시블 호스(300)의 말단부와 접촉할 때까지 밀어 넣고, 체결 암나사부(421)와 체결 수나사부(411) 사이에 플렉시블 호스(300)가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함으로써, 플렉시블 호스(300)에 중량추(400)가 조립 및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호스(300)가 체결 암나사부(4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 수나사부(411)에 조립이 되게 되는데, 이 역시 플렉시블 호스(300)는 아주 얇은 형태로 신축성과 유연성이 있으므로, 충분히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된 후에는 플렉시블 호스(300)의 신축성으로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추(400)는 육각, 또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중량추(400)가 쉽게 이동되어 액상 내용물과 접촉이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중량추(400)의 저면에 액상 내용물 유도부(412)가 구비되어 중량추(400)가 용기 몸체(100)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액상 내용물이 액상 내용물 유도부(412)를 따라 흡인될 수 있다.
이렇게 되어, 본 고안은 용기 몸체(100)의 내부에 남은 액상 내용물의 잔량이 소량이 되더라도 용이하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주 리필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높아지게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을 나타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용기 몸체 200 : 분사 펌핑부
210 : 분사노즐 220 : 조작레버
230 : 지지대 201 : 몸체 결합부
300 : 플렉시블 호스 310 : 코일형 판스프링
320 :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 330 : 조임쇠
400 : 중량추 412 : 액상 내용물 유도부

Claims (2)

  1.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몸체(100);
    상기 용기 몸체(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펌핑부(200);
    상기 분사 펌핑부(200)가 상기 용기 몸체(100)에 결합시 상기 분사 펌핑부(200)의 하부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까지 연장되며,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 플렉시블 호스(300);
    상기 플렉시블 호스(300)에서 상기 용기 몸체(100)의 저면에 인접되는 단부에 구비된 중량추(400); 및
    상기 분사 펌핑부(200)의 하부에서 일직선을 이루며, 플렉시블 호스(300)의 과도한 만곡을 방지하고 액상 내용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게하는 지지대(230); 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추(400)는 제1추(410)와 제2추(420)로 나누어 조립되고, 상기 제1추(410)의 체결 암나사부(421)에 플렉시블 호스(300)가 끼워지며, 중량추(400)의 저면에는 액상 내용물 유도부(412)를 더 형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30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사각 스프링 부재를 코일스프링 형상(압축코일스프링형상)으로 감은 코일형 판스프링(310)과 상기 코일형 판스프링(310)의 일측 겉면에 밀착되게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320)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형 판스프링(310)과 탄성유지 강선 또는 강판(320)은 플렉시블 호스(300)와 같이 조임쇠(330)에 의해 지지대(230)에 밀착 고정되게 하여, 플렉시블 호스(300)의 형태 유지 효과를 높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2. 삭제
KR2020200002501U 2020-07-13 2020-07-13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KR200493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01U KR200493688Y1 (ko) 2020-07-13 2020-07-13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01U KR200493688Y1 (ko) 2020-07-13 2020-07-13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688Y1 true KR200493688Y1 (ko) 2021-05-17

Family

ID=7614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01U KR200493688Y1 (ko) 2020-07-13 2020-07-13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68Y1 (ko) 2021-10-15 2022-09-29 강철식 잔량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KR20230002310U (ko) 2022-05-27 2023-12-05 강철식 잔량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12A (ja) * 1991-05-30 1994-01-18 Jun Yanagida 噴霧器における噴霧液吸入装置
KR0113549Y1 (ko) * 1995-02-07 1998-04-10 정진우 분무기
KR101817610B1 (ko) 2016-02-24 2018-01-29 윤진철 일회용 용기를 이용한 전동 분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12A (ja) * 1991-05-30 1994-01-18 Jun Yanagida 噴霧器における噴霧液吸入装置
KR0113549Y1 (ko) * 1995-02-07 1998-04-10 정진우 분무기
KR101817610B1 (ko) 2016-02-24 2018-01-29 윤진철 일회용 용기를 이용한 전동 분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68Y1 (ko) 2021-10-15 2022-09-29 강철식 잔량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KR20230002310U (ko) 2022-05-27 2023-12-05 강철식 잔량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688Y1 (ko) 액상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은 경우에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DE60033929T2 (de) Auf einer platte befestigter spender für eine viskose flüssigkeit mit verbessertem behälter
US10143534B2 (en) Surgical marker
WO2004060259A3 (en) Hand held oral irrigator
US8944709B2 (en) Fluid application device
US7063476B1 (en) Liquid dispensing applicator
US20170055672A1 (en) Assembly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fluid product
HK1070609A1 (en) Liquid or gel product dispenser forming a meteringstick
CN203777480U (zh) 耳鼻喉给药器
US11065635B2 (en) Container appendage
US6953133B2 (en) Pump assembly with continuous tube
KR102463403B1 (ko) 휴대용 압축식 분무기
KR200495968Y1 (ko) 잔량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KR910005434Y1 (ko) 수간 약물주입기
TWM617868U (zh) 藥粉推進裝置及其藥瓶、藥瓶之瓶蓋
KR20230002310U (ko) 잔량 분사가 용이한 스프레이 기구
KR20200086124A (ko)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US2187168A (en) Therapeutic device
KR200425847Y1 (ko) 분무기
CN216678691U (zh) 手持式喷雾装置
KR102463402B1 (ko) 압축 분무기용 호스 구조
KR20230105192A (ko) 가압식 유체 토출 용기
CN110035831A (zh) 触发器泵分配器
DE20011292U1 (de) Abgabepumpe
DE10107098C2 (de) Munddusc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