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90Y1 -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590Y1
KR200493590Y1 KR2020190002009U KR20190002009U KR200493590Y1 KR 200493590 Y1 KR200493590 Y1 KR 200493590Y1 KR 2020190002009 U KR2020190002009 U KR 2020190002009U KR 20190002009 U KR20190002009 U KR 20190002009U KR 200493590 Y1 KR200493590 Y1 KR 200493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insulating material
water meter
buoyancy prevention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61U (ko
Inventor
류지춘
Original Assignee
류지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춘 filed Critical 류지춘
Priority to KR2020190002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9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 보호통; 상기 보호통 내부에 구비되는 보온재; 및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보호통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는 부력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부력방지부는 상기 보온재의 상단에 걸림되어 보호통으로부터 보온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BUOYANCY PREVENTION STRUCTURE FOR WATER METER INSULATION}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게하게는, 우수의 유입 또는 수도계량기의 동파 등으로 인해 보온재에 부력이 발생되는 경우, 수도계량기의 보호통 측면에 끼워진 부력방지부가 보온재의 상단을 차단하여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파손 및 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계량기는 지중에 매설되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보호통 및 상기 보호통을 개폐시키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도계량기는 보호통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품들(계량기 등)의 보온을 위해 별도의 보온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온재는 주로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수도계량기희 보호통 내부에 구비되는 보온재는 우수의 유입이나 홍수 또는 동파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부력의 힘에 의해 상측으로 떠올라 유실되거나 또는 커버를 보호통으로부터 탈락시켜 커버 또한 유실되도록 하거나 또는 보호통이 트러져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보온재의 부력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보온재의 부력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936545호에 수도계량기 보온재의 부력 방지용 뚜껑이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수도계량기 보온재의 부력 방지용 뚜껑을 나타낸 단면도로, 그 구성은 수도계량기 함(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우수의 유입 또는 동파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도계량기 함(10) 내의 부력(浮力)으로 인해 수도계량기 함(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온재(12)가 상승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수도계량기 보온재의 부력 방지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14)의 하부 및 수도계량기 함(10)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되게 다수개가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가 뚜껑(14)에 나사 결합 고정되며, 각각의 하부는 하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금속재의 고정봉(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수도계량기 보온재의 부력 방지용 뚜껑은 뚜껑(14)에 고정되는 고정봉(18)의 하단이 보온재(12)의 상단을 하측으로 눌러 상기 보온재(12)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수도계량기 보온재의 부력 방지용 뚜껑은 보온재(12)의 부력을 방지하여 주는 구성인 고정봉(18)이 수도계량기 함(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14)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부력에 의해 보온재(12)가 떠오르는 힘이 수도계량기 함(10)과 뚜껑(14)의 결합력보다 큰 경우, 수도계량기 함(10)으로부터 뚜껑(14)이 탈락되어 보온재(12)와 함께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수도계량기 함(10)과 뚜껑(14)의 지속사용으로 인한 결합력 저하로 인해 뚜껑(14)이 탈락되는 경우, 보온재(12)에 부력이 발생되어 유실되거나 수도계량기 함(10)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36545호(2019.01.02.)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도계량기의 보호통에 부력방지부가 끼워져 우수의 유입 또는 수도계량기의 동파 등으로 인해 보온재에 부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부력방지부가 보온재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파손 및 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는 우수의 유입 또는 수도계량기의 동파 등으로 인해 보온재에 부력이 발생되는 경우, 수도계량기의 보호통 측면에 끼워진 부력방지부가 보온재의 상단을 차단하여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파손 및 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우수의 유입 또는 수도계량기의 동파 등으로 인해 보온재에 부력이 발생되는 경우, 수도계량기의 보호통 측면에 끼워진 부력방지부가 보온재의 상단을 차단하여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파손 및 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측면에 부력방지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보온재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측면 일부분을 절개하는 과정만으로도 부력방지부를 설치할 수 있어, 보호통의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수도계량기 보온재의 부력 방지용 뚜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보호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보호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의 정면측(a)과 배면측(b) 각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의 걸림부가 회동된 예를 나타낸 정면측(a)과 배면측(b)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의 걸림부가 회동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보호통에 부력방지부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보호통에 부력방지부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는 우수의 유입 또는 수도계량기의 동파 등으로 인해 보온재에 부력이 발생되는 경우, 수도계량기의 보호통 측면에 끼워진 부력방지부가 보온재의 상단을 차단하여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파손 및 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보호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보호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명시 또는 도시된 수도계량기의 보호통(100)은 일반적인 보호통(100)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공(110)이 형성된 별도의 보호통(100)이 제조된 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보호통(100) 중에서도 기존의 수도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부력방지부(3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도계량기의 보호통(100)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한 후, 보호통(100)의 측면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부력방지부(300)가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수도계량기 보호통(100)의 측면 일부분을 절개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보호통(10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10)에 부력방지부(300)를 끼워 설치함으로써, 부력에 의한 보온재(200)가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결합공(110)은 보호통(100)의 정면과 배면 또는 좌측과 우측 각각에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호통(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 각각에 부력방지부(300)가 구비되어 보온재(200)의 부력을 보다 적은힘으로 분산하여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결합공(110)이 보호통(100)의 굴곡진 부분인 좌측과 우측 각각에 형성되되, 부력방지부(300)는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보호통(100)의 좌측과 우측면에 대응되어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는 한 쌍의 결합공(110)이 형성되는 높이를 보호통(100)의 상,하측 방향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함으로써, 부력에 의해 보온재(200)의 상승을 차단하기 위한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통(100)에 끼워져 결합되는 부력방지부(300)와 보온재(200) 사이의 간격이 크게 벌어지면, 부력에 의해 보온재(200)가 빠른 속도로 상승함에 따라 부력방지부(300)의 결합부(35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호통(100) 내부에 보온재(200)가 구비되는 높이를 고려하여 결합공(110)이 형성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이러한 결합공(110)에 부력방지부(300)를 끼워 설치함으로써, 보온재(200)의 상단과 부력방지부(300)의 결합부(350)가 서로 인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온재(200)의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부력방지부(300)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는 수도계량기의 보호통(100) 측면에 부력방지부(300)를 끼워 설치하는 과정만으로도 보호통(100) 내부에 수용된 보온재(200)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이에, 보호통(100)의 틀어짐이나 보온재(200) 또는 뚜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의 정면측(a)과 배면측(b) 각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의 걸림부가 회동된 예를 나타낸 정면측(a)과 배면측(b)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부력방지부의 걸림부가 회동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보호통에 부력방지부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에서 보호통에 부력방지부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부력방지부(300)는 보호통(10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10)에 끼워져 상기 보호통(100)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보호통(100) 내부에 구비되는 보온재(200)의 상단에 걸림되어 보호통(100)으로부터 보온재(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력방지부(300)는 지지면(310), 하우징(320), 회동축연결홈(330), 회동바(340) 및 결합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부력방지부(3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면(310)은 부력방지부(300)의 타단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하우징(320)이 보호통(10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10)으로 끼워져 관통되는 경우, 상기 보호통(100)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 부력방지부(300)가 보호통(100)의 내측 공간으로 끼워지는 정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보호통(100)의 지지면(310)의 넓이는 결합공(110) 보다 크게 이루어져 지지면(310)은 결합공(110)을 통과하지 못하고 보호통(100)의 외주면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결합공(110)은 보호통(100)의 정면과 배면에 형성된 예를 명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한 쌍의 결합공(110)은 보호통(100)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결합공(110)은 보호통(100)의 굴곡진 부분에 대응하여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곡선 형태의 결합공(110)에 끼워지는 지지면(310) 또한 곡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후술되는 하우징(3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면(310)의 일단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지지면(310)이 굴곡진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에, 기존에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가 완료된 보호통(100)에 결합공(11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보호통(100)의 정면과 배면측 일부분을 노출시키기 어려운 환경에서 상기 보호통(100)의 좌측과 우측 일부분을 노출시켜 결합공(110)을 형성하고, 곡선 형태의 지지면(310)으로 이루어진 부력방지부(300)를 설치할 수 있어 활용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하우징(320)은 지지면(310)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개구홈(321)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결합부(35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하우징(320)은 일단이 개구된 개구홈(321)과 연통되도록 하측 일부분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결합부(35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끝단 일부분이 하측으로 개구된 공간으로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상기 결합부(350)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하측으로 개구된 공간을 통해 결합부(350)의 끝단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결합부(350) 회동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32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하우징(320)에 후술되는 결합부(35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한 쌍의 하우징(320)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부력방지부(300)가 보호통(10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10)에 끼워지는 경우, 한 쌍의 결합공(110) 사이에 형성되는 보호통(100) 일부분이 한 쌍의 하우징(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끼워져 보호통(100)과 부력방지부(3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공(110)의 내측 둘레가 하우징(320)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제조된 경우, 결합공(110) 내에서 부력방지부(300)가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잦은 유동에 따른 부력방지부(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축연결홈(33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개구홈(321)이 형성된 하우징(320)의 좌,우측 내측 벽면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회동바(34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축연결홈(330)은 회동바(340)가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회동바(340)가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끼워진 회동바(34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개구된 마감면 각각에는 회동바(340)의 겉면 일부분을 감싸는 절곡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331)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동축연결홈(330)의 개구된 부분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되는 회동바(340)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절곡부(331) 사이의 간격은 회동바(340)의 지름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회동축연결홈(330)의 개구된 공간으로 후술되는 회동바(340)가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면, 한 쌍의 절곡부(331)는 회동바(340)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회동축연결홈(330)으로부터 회동바(34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바(340)는 양단이 회동축연결홈(33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결합부(350)가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회동바(340)는 회동축연결홈(330)에 억지끼움되기 때문에, 회동축연결홈(330)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이루어져도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결합부(350)가 회동되어 상측으로 들려지더라도 회동바(340)가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이 되기 때문에 결합부(350)의 무게에 의해 상기 결합부(350)가 도 4 및 5에서와 같이, 하측으로 쳐지지 않고 회동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350)는 회동바(340)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보호통(100)에 형성된 결합공(110)에 부력방지부(300)가 끼워지면, 상기 보호통(100)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온재(200)의 상단에 걸림되어 상기 보온재(200)가 보호통(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결합부(3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회동바(340)에 연결되고, 하단은 하측 일부분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결합부(3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보강을 위한 리브(351)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351)는 결합부(350)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보강을 하여 보온재(20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결합부(350)의 하단을 상측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3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보다 견고하게 부력에 의해 보온재(200)가 상승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50)가 하우징(32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된 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계량기의 보호통(100)에 형성된 결합공(110)에 부력방지부(300)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보호통(100) 내에 구비된 보온재(200)의 상측을 차단하여 부력에 의해 상기 보온재(200)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는 우수의 유입 또는 수도계량기의 동파 등으로 인해 보온재(200)에 부력이 발생되는 경우, 수도계량기의 보호통(100) 측면에 끼워진 부력방지부(300)가 보온재(200)의 상단을 차단하여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파손 및 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측면에 부력방지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보온재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측면 일부분을 절개하는 과정만으로도 부력방지부를 설치할 수 있어, 보호통의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보호통 110 : 결합공
200 : 보온재 300 : 부력방지부
310 : 지지면 320 : 하우징
321 : 개구홈 330 : 회동축연결홈
331 : 절곡부 340 : 회동바
350 : 결합부 351 : 리브

Claims (7)

  1. 정면과 배면 또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높이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공(110)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 보호통(100);
    상기 보호통(100) 내부에 구비되는 보온재(200); 및
    상기 결합공(110)에 끼워져 상기 보호통(100)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지지면(310)과 상기 지지면(310)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개구홈(321)이 형성된 하우징(320)과 상기 하우징(320)의 개구된 내측 공간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동축연결홈(330)과 상기 회동축연결홈(330)에 끼워져 회동되는 회동바(340) 및 상기 회동바(340)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결합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바(340)와 결합부(350)가 회동되면 상기 결합부(350)는 보호통(100)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는 부력방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부력방지부(300)는
    상기 보온재(200)의 상단에 걸림되어 보호통(100)으로부터 보온재(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340)는 양 끝단이 한 쌍의 회동축연결홈(330) 각각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되,
    상기 상기 회동축연결홈(330)은
    상기 회동바(340)가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개구된 마감면 각각에 회동바(340)의 겉면 일부분을 감싸는 절곡부(3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한 쌍의 절곡부(331) 사이의 간격은 회동바(340)의 지름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50)는
    측면에 보강을 위한 리브(3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KR2020190002009U 2019-05-17 2019-05-17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KR200493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09U KR200493590Y1 (ko) 2019-05-17 2019-05-17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09U KR200493590Y1 (ko) 2019-05-17 2019-05-17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61U KR20200002561U (ko) 2020-11-25
KR200493590Y1 true KR200493590Y1 (ko) 2021-04-28

Family

ID=7357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09U KR200493590Y1 (ko) 2019-05-17 2019-05-17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618A (ko) 2020-12-19 2022-06-28 이동건 이어프리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13B1 (ko) 2011-01-26 2012-10-08 주식회사 미래산업 보온 덮개 고정수단을 갖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82Y1 (ko) * 2010-10-29 2013-02-15 김옥란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1936545B1 (ko) 2018-07-06 2019-01-08 엄영호 수도계량기 보온재의 부력 방지용 뚜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13B1 (ko) 2011-01-26 2012-10-08 주식회사 미래산업 보온 덮개 고정수단을 갖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61U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590Y1 (ko)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US20140053327A1 (en) Water stopper for sink
TWI590993B (zh) 整理箱
CN210917208U (zh) 一种防洪挡墙
KR101199647B1 (ko) 맨홀
KR200493702Y1 (ko) 수상 태양광 모듈용 부력체
KR101775720B1 (ko)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KR101199772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덮개 고정장치
KR101570379B1 (ko) 상수도용 부동전
CN105852458A (zh) 一种快递柜
KR100527044B1 (ko) 감전 사고 예방용 전주 덮개
KR102395681B1 (ko) 소파 기능과 횡동요 방지 기능을 갖는 부잔교
KR101773141B1 (ko) 복열식 모헤어가 구성된 여닫이 도어
KR200485254Y1 (ko) 제설함
CN209410638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物流周转箱
KR20110003715U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298084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339279Y1 (ko) 수도 계량기용 뚜껑
CN104015843B (zh) 一种摩托车行李箱
JP6640761B2 (ja) 観賞魚用水槽
KR200468830Y1 (ko) 동파방지용 보온재
KR200490122Y1 (ko) 부표
KR200296008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고정 보강재,
JP2016219536A (ja) 電気機器収納用プラスチックボックス
CN207700225U (zh) 一种涵管连接处检修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