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20Y1 -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 Google Patents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520Y1
KR200493520Y1 KR2020190002068U KR20190002068U KR200493520Y1 KR 200493520 Y1 KR200493520 Y1 KR 200493520Y1 KR 2020190002068 U KR2020190002068 U KR 2020190002068U KR 20190002068 U KR20190002068 U KR 20190002068U KR 200493520 Y1 KR200493520 Y1 KR 200493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protrusion
connection
pipe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94U (ko
Inventor
홍연탁
Original Assignee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에이스산업(주) filed Critical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to KR2020190002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2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7Racks or shelf units with fram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이 복수 개의 파이프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조인트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하나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제 1 힌지 부재와, 제 2 힌지 부재와,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가 일정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원하는 길이로 잘라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힌지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의 제작을 위한 금형 형상이 단순화되어 금형 제작 단가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생산 효율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Rotating unit applied to the storage rack structure of industrial rack systems}
본 고안은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랙 시스템은 일정 길이로 길게 사출 등을 통해 성형된 상태에서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는 파이프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가 복수 개의 상기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시스템이고, 이러한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서 조립이 요구되는 형상대로 제작되는 것이 산업용 랙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로는 그 적용되는 산업 현장 상황 등에 맞게 자유 자재의 형태로 선반 및 카트(Carts) 등이 될 수 있다.
산업용 랙 구조물에서는 복수 개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하나와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서 적재되거나 이동되는 적재 및 이동 대상체를 잡아주는 집게 부재 등의 연결 대상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힌지 부재 등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힌지 부재의 예로 제시될 수 잇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것들이다.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힌지 부재에 의하면, 상기 힌지 부재는 그에 대응되도록 금형을 제작한 다음, 그 금형 내부에 녹인 금속을 주입하는 다이캐스팅 등의 주조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 보관용 랙 구조물에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파이프가 적용됨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에 형성되는 돌기부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상기 연결 대상체의 모양 및 크기도 상이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돌기부 및 연결 대상체에 대응되는 금형이 각각 제작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상기 보관용 랙 구조물의 제작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금형을 이용하여 한 번에 제작할 수 있는 개수가 제한적이기에, 대량 생산 시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955084 호, 등록일자 :2019.02.27., 발명의 명칭 : 파이프 커플러
본 고안은 일정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원하는 길이로 잘라서 사용될 수 있도록 금형 형상을 단순화하여 금형 제작 단가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생산 효율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는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은 복수 개의 파이프(10, 20)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를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조인트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그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제 1 힌지 부재 원재에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이 가공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힌지 부재(110); 그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제 2 힌지 부재 원재에 제 2 힌지 부재측 연결 홀(122)이 가공됨으로써 형성되고, 그 일부가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에 삽입되는 제 2 힌지 부재(120); 및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116);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하나에는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 대상체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하나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일측 연장부(131)와, 상기 일측 연장부(131)에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10, 20)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부(12, 22)의 일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을 집게 되는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와, 상기 일측 연장부(131)와 대면되면서 일정 거리 연장되되, 상기 일측 연장부(13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타측 연장부(141)와, 상기 타측 연장부(141)에서 연장되고,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가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을 집을 때, 상기 돌기부(12, 22)의 타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타측을 집게 되는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에 의하면,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이 복수 개의 파이프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조인트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하나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제 1 힌지 부재와, 제 2 힌지 부재와,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가 일정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원하는 길이로 잘라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힌지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의 제작을 위한 금형 형상이 단순화되어 금형 제작 단가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생산 효율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에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힌지 부재가 회전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이 조립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힌지 부재 및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의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외측 가압부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에 사각 다면 형태의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에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힌지 부재가 회전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이 조립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힌지 부재 및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의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외측 가압부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에 사각 다면 형태의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100)은 복수 개의 파이프(10, 20)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를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조인트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제 1 힌지 부재(110)와, 제 2 힌지 부재(120)와, 연결 부재(116)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은 일정 길이로 길게 사출 등을 통해 성형된 상태에서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는 상기 파이프(10, 20)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가 복수 개의 상기 조인트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조립이 요구되는 산업용 구조물을 자유롭게 형성하는 시스템이고,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0, 20)는 내부가 빈 원형 또는 사각 등의 형태로 형성된 파이프 몸체(11, 21)와, 상기 파이프 몸체(11, 21)의 외측으로 일정 크기 돌출된 상기 돌기부(12, 2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12, 22)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몸체(13, 23)와, 상기 돌기 몸체(13, 23)의 외측 말단부에서 양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 걸림체(14, 24)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T"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는 그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제 1 힌지 부재(110) 원재에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이 가공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은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가공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는 그 상부는 일정 곡률을 가진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제 1 힌지 부재측 몸체(111)와,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몸체(1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부가 관통 형성된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을 포함한다.
도면 번호 113은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가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될 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단(117)이 삽입되는 제 1 힌지 부재측 연결 홀이다.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는 그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제 2 힌지 부재(120) 원재에 제 2 힌지 부재측 연결 홀(122)이 가공됨으로써 형성되고, 그 일부가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힌지 부재측 연결 홀(122)은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태로 가공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되,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몸체(111)와 수직되도록 배치되는 제 2 힌지 부재측 몸체(121)와, 상기 제 2 힌지 부재측 몸체(121)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 2 힌지 부재측 몸체(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상기 제 2 힌지 부재측 연결 홀(122)을 포함한다.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종래의 힌지 부재는 일정한 형태를 가진 금형에 녹인 금속을 주입하고, 높은 압력을 강제로 밀어서 성형하는 다이캐스팅 등의 주조 방법으로 제작된다.
상기 다이캐스팅 등의 주조 방법으로 제작된 상기 종래의 힌지 부재는 그 형상이 복잡함으로 인해 상기 종래의 힌지 부재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종래 힌지 부재 제작용 금형 제작 비용이 상대적으로 상승되었다.
또한, 상기 다이캐스팅 등의 주조 방법으로 상기 종래의 힌지 부재를 제작할 경우, 상기 종래 힌지 부재 제작용 금형에 상기 녹인 금속을 주입하고 일정 시간 경된 다음, 상기 종래 힌지 부재 제작용 금형을 열어서 상리 종래의 힌지 부재를 배출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다이캐스팅 등의 주조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한 번에 제작할 수 있는 상기 종래 힌지 부재의 개수가 제한적이기에 대량 생산 시 제작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생산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반면,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는 원료를 일정한 형태의 금형에서 밀어내어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를 성형하는 압출 등의 제작 방법으로 제작되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압출에 의해 일정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될 경우, 연속적인 제작이 가능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되면,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이 상기 종래 힌지 부재 제작용 금형에 비해 단순하게 형성될 수 있어 금형의 제작 단가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이 압출 등의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금형 가겨은 다이캐스팅 등의 제작 방법에 사용되는 금형 가격에 비해 8 내지 10배 저렴하다.
상기 연결 부재(116)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연결 부재(116)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117)과, 상기 연결 수단(117)과 체결되어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에 삽입된 상기 연결 수단(117)을 고정시키는 연결 수단측 고정체(118)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수단(117)은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연결 홀(113)의 일부에 삽입되다가 상기 제 2 힌지 부재측 연결 홀(122)을 경유한 후,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연결 홀(113)의 나머지 일부를 관통한 다음 상기 연결 수단측 고정체(118)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가 상기 연결 부재(11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하나를 회전시킬 때는 상기 연결 수단(117) 및 상기 연결 수단측 고정체(118)를 가체결하고, 이러한 가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하나를 요구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 다음, 상기 연결 수단(117) 및 상기 연결 수단측 고정체(118)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116)는 상기 연결 수단(117) 및 상기 연결 수단측 고정체(118)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리벳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하나에는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 대상체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의 말단부에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의 말단부에 상기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 및 상기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의 위치가 교체되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는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는 상기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는 일측 연장부(131)와,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와, 타측 연장부(141)와,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는 이격 홀(146)과, 탄성력 제공 홀(147) 및 외측 가압부(1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에 연결되는 상기 파이프(10, 20)는 원형 형태의 것, 사각 단면 형태의 것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그 예로, 도 1은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가 원형 단면 형태의 상기 파이프(10, 20)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가 사각 단면 형태의 상기 파이프(10, 20)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일측 연장부(131)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의 말단부의 일측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의 일측부는 도 3에 도시된 방향으로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것으로 정의하고,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의 타측부는 우측에 위치된 것으로 정의한다.
상세히, 상기 일측 연장부(131)는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연장부(131)의 중앙부에는 상기 외측 가압부(136)가 삽입되는 일측 관통 홀(139)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는 상기 일측 연장부(131)에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10, 20)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을 집게 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는 일측 돌기부 몸체(133)와, 일측 돌기부 경사체(134)와, 일측 돌기부 함몰체(135)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 돌기부 몸체(133)는 상기 일측 연장부(131) 중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가 형성된 쪽의 반대 방향의 말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일측 돌기부 경사체(134)는 상기 일측 돌기부 몸체(133)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 연장부(131)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지면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일측 돌기부 몸체(133) 및 상기 일측 돌기부 경사체(134)는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을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측 돌기부 함몰체(135)는 상기 일측 돌기부 몸체(133) 및 상기 일측 돌기부 경사체(134)가 서로 만나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일측 돌기부 함몰체(135)는 상기 파이프(10, 20)를 구성하는 상기 돌기부(12, 22), 더 정확하게는 상기 돌기부(12, 2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돌기 걸림체(14, 24) 중 하나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가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을 집게 될 때 상기 돌기 걸림체(14, 24) 중 일측에 위치된 하나가 상기 일측 돌기부 함몰체(135)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에 대한 상기 돌기부(12, 22)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장부(141)는 상기 일측 연장부(131)와 대면되면서 일정 거리 연장되되, 상기 일측 연장부(13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타측 연장부(141)는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연장부(141)의 중앙부에는 상기 외측 가압부(136)가 삽입되는 타측 관통 홀(149)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는 상기 타측 연장부(141)에서 연장되고,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가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을 집을 때, 상기 돌기부(12, 22)의 타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타측을 집게 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는 타측 돌기부 몸체(143)와, 타측 돌기부 경사체(144)와, 타측 돌기부 함몰체(145)를 포함한다.
상기 타측 돌기부 몸체(143)는 상기 타측 연장부(141) 중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가 형성된 쪽의 반대 방향의 말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타측 돌기부 경사체(144)는 상기 타측 돌기부 몸체(143)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 연장부(141)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지면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타측 돌기부 몸체(143) 및 상기 타측 돌기부 경사체(144)는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부(12, 22)의 타측을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측 돌기부 함몰체(145)는 상기 타측 돌기부 몸체(143) 및 상기 타측 돌기부 경사체(144)가 서로 만나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타측 돌기부 함몰체(145)는 상기 파이프(10, 20)를 구성하는 상기 돌기부(12, 22), 더 정확하게는 상기 돌기부(12, 2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돌기 걸림체(14, 24) 중 상기 일측 돌기부 함몰체(135)와 대응되는 하나를 제외한 다른 하나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파이프(10, 20)의 상기 돌기부(12, 22)가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에 맞물릴 때, 한 쌍으로 형성된 상기 돌기 걸림체(14, 24) 중의 하나는 상기 일측 돌기부 함몰체(135)에 걸리고, 한 쌍으로 형성된 상기 돌기 걸림체(14, 24)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돌기부 함몰체(145)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에 대한 상기 돌기부(12, 22)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격 홀(146)은 상기 일측 연장부(131) 및 상기 타측 연장부(141)가 이격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이고,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 연장부(131) 및 상기 타측 연장부(14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격 홀(146)이 형성되면, 상기 일측 연장부(131) 및 상기 타측 연장부(141)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진 후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 사이의 거리에 비해 상기 돌기부(12, 22)의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가 벌어졌다가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돌기부(12, 22)를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력 제공 홀(147)은 상기 이격 홀(146)에서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의 내측으로 원형 형태로 일정 깊이 함몰되되, 그 직경이 상기 이격 홀(146)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 연장부(131) 및 상기 탄성 연장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력 제공 홀(147)의 직경이 상기 이격 홀(146)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면, 상기 이격 홀(146)에서 형성되는 탄성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이격 홀(146)에 의해 집을 수 있는 상기 돌기부(12, 22)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된 상기 돌기부(12, 22)도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력 제공 홀(147)이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 사이의 거리에 비해 상기 돌기부(12, 22)의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돌기부(12, 22)를 집게 되고, 이 때, 상기 탄성력 제공 홀(147)에 의해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러다가,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가 상기 돌기부(12, 22)에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를 집은 후에는 상기 탄성력 복원에 의해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가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12, 22)에서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가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측 가압부(136)는 상기 일측 관통 홀(139)과 상기 타측 관통 홀(149)에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외측 가압부(136)는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가 상기 돌기부(12, 22)를 집은 상태에서 상기 일측 연장부(131) 및 상기 타측 연장부(141)를 그 외측에서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각각 눌러 주어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가 상기 돌기부(12, 22)에 압력을 가하면서 상기 돌기부(12, 22)를 집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외측 가압부(136)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137) 및 그 내주면에 상기 볼트(137)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138)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137)가 상기 일측 연장부(131)에 형성된 상기 일측 관통 홀(139)과, 상기 타측 연장부(141)에 형성된 상기 타측 관통 홀(149)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 연장부(141)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너트(138)가 상기 볼트(137)에 결합되어 조여지게 되면, 상기 볼트(137)의 일측 말단부에 형성된 볼트 머리의 저면이 상기 일측 연장부(13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일측 연장부(131)를 누름과 함께, 상기 너트(138)의 하나의 면과 상기 타측 연장부(141)의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타측 연장부(141)를 누르게 된다.
이 때,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가 상기 돌기부(12, 22)를 집은 상태에서 상기 볼트(137) 및 상기 너트(138)에 의해 상기 일측 연장부(131) 및 상기 타측 연장부(141)가 눌리게 되면,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 부재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 부재가 상기 돌기부(12, 22)를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집을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 부재 및 상기 돌기부 타측 맞물림 부재가 상기 돌기부(12, 22)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집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트 머리가 상기 일측 연장부(131)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너트(138)가 상기 타측 연장부(14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몸체(111) 및 상기 일측 돌기부 몸체(133) 사이의 이격 거리, 즉, 상기 일측 연장부(131)의 길이는 상기 너트(138)의 내접원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너트(138)는 그 외곽이 육각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일측 연장부(131)의 연장 길이가 상기 너트(138)의 내접원의 직경과 동일하게 되면, 상기 너트(138)의 여섯 개의 측면 중 두 개의 측면이 서로 대면되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몸체(111)의 측면과, 상기 일측 돌기부 몸체(133)의 측면에 각각 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볼트(137) 및 상기 너트(138)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138)의 임의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너트(138)에 대한 상기 볼트(137)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너트(138)는 상기 일측 연장부(131)뿐만 아니라, 상기 타측 연장부(141)에도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몸체(111)와 상기 타측 돌기부 몸체(143) 사이의 이격 거리, 즉, 상기 타측 연장부(141)의 연장 길이도 상기 너트(138)의 내접원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 대상체와 연결되는 것으로, 수용 홀 형성부(151)와, 체결부(161)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는 그 내부에 수용 홀(156)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는 확장체(152)와, 제 1 굽힘체(153)와, 제 2 굽힘체(154)와, 돌기(155)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체(152)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상기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가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말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체(152)는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의 말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굽힘체(153)는 상기 확장체(152)의 각 말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굽혀지는 것이다.
상기 제 2 굽힘체(154)는 상기 제 1 굽힘체(153)의 각 말단부에서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각각 굽혀지되, 그 사이는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의 내측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155)는 상기 제 2 굽힘체(154)의 각 말단부에서 상기 확장체(152)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확장체(152)와, 상기 제 1 굽힘체(153)와, 상기 제 2 굽힘체(154) 및 상기 돌기(155)가 일정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상기 수용 홀(15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61)는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의 상기 수용 홀(156)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 대상체와 체결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체결부(161)는 체결 몸체(162)와 경사체(1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161)는 돌기 밀착홈(163)과, 체결 홀(16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 몸체(162)는 상기 수용 홀(156)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 홀(156)에 수용되는 것으로 동일한 단면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 밀착홈(163)은 상기 돌기(155)가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 몸체(162)의 양측 말단부에서 상기 돌기(155)와 대응되는 형태로 일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 밀착홈(163)은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돌기(155)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그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체결 몸체(16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 홀(165)은 상기 연결 대상체와 체결되는 것으로,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대상체와 나사 체결된다.
상기 경사체(164)는 상기 체결 몸체(162)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되, 상기 체결 몸체(16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면서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체(164)의 일 측 말단부만 상기 체결 몸체(16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경사체(164)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체결 몸체(162)에 대한 상기 경사체(164)의 벌어진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확장체(152)의 내측면 중 상기 경사체(164)와 대면되는 면에서 상기 돌기(155)까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체결 몸체(162)에서 상기 경사체(164)가 최대로 벌어졌을 때, 상기 경사체(164)의 말단부에서 상기 돌기 밀참홈까지의 이격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체결부(161)가 상기 수용 홀(156)의 내부에 수용될 때, 상기 경사체(164)는 상기 확장체(152)의 내측면 중 상기 경사체(164)와 대면되는 면에 접하되, 상기 체결 몸체(162)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오므려지고, 그에 따라 상기 경사체(164)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상기 체결부(161)가 상기 확장체(152)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경사체(164)의 탄성력 복원에 의해 상기 체결 몸체(162)의 일부분이 상기 돌기(155)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와 상기 체결부(161)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61)는 연결되는 상기 연결 대상체에 형성된 나사산의 크기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100)에 연결된 상기 연결 대상체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100)에서 상기 체결부(161)만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상기 연결 대상체의 변경으로 인한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의 재구성 작업이 간편해짐은 물론, 그에 따른 작업 시간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100)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를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상기 조인트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상기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대상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와,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와, 상기 연결 부재(116)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가 일정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원하는 길이로 잘라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의 제작을 위한 금형 형상이 단순화되어 금형 제작 단가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생산 효율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에 의하면, 제 1 힌지 부재와, 제 2 힌지 부재와,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가 일정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원하는 길이로 잘라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힌지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의 제작을 위한 금형 형상이 단순화되어 금형 제작 단가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생산 효율도 높일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20 : 파이프
100 :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110 : 제 1 힌지 부재 120 : 제 2 힌지 부재
130 : 파이프측 연결 부재 131 : 일측 연장부
132 :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 136 : 외측 가압부
141 : 타측 연장부 142 :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
146 : 이격 홀 147 : 탄성력 제공 홀
150 :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 151 : 수용 홀 형성부
161 : 체결부

Claims (5)

  1. 복수 개의 파이프(10, 20)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를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조인트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그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제 1 힌지 부재 원재에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이 가공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힌지 부재(110);
    그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제작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제 2 힌지 부재 원재에 제 2 힌지 부재측 연결 홀(122)이 가공됨으로써 형성되고, 그 일부가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에 삽입되는 제 2 힌지 부재(120); 및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116);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하나에는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20) 중 하나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 대상체와 연결되는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측 연결 부재(130)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하나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일측 연장부(131)와,
    상기 일측 연장부(131)에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10, 20)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부(12, 22)의 일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을 집게 되는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와,
    상기 일측 연장부(131)와 대면되면서 일정 거리 연장되되, 상기 일측 연장부(13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타측 연장부(141)와,
    상기 타측 연장부(141)에서 연장되고, 상기 돌기부 일측 맞물림부(132)가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일측을 집을 때, 상기 돌기부(12, 22)의 타측과 맞물리면서 상기 돌기부(12, 22)의 타측을 집게 되는 돌기부 타측 맞물림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부재측 삽입 홀(112)은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공되고,
    상기 제 2 힌지 부재측 연결 홀(122)은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100).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는
    그 내부에 수용 홀(156)이 형성되는 수용 홀 형성부(151)와,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의 상기 수용 홀(156)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 대상체와 체결되는 체결부(161)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는
    상기 제 1 힌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힌지 부재(120) 중 상기 연결 대상체측 연결 부재(150)가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말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되는 확장체(152)와,
    상기 확장체(152)의 각 말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굽혀지는 제 1 굽힘체(153)와,
    상기 제 1 굽힘체(153)의 각 말단부에서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각각 굽혀지되, 그 사이는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 2 굽힘체(154)와,
    상기 제 2 굽힘체(154)의 각 말단부에서 상기 확장체(152)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돌출되는 돌기(155)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체(152)와, 상기 제 1 굽힘체(153)와, 상기 제 2 굽힘체(154) 및 상기 돌기(155)가 일정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상기 수용 홀(156)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61)는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 홀(156)에 수용되는 체결 몸체(162)와,
    상기 체결 몸체(162)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되, 상기 체결 몸체(16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면서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경사체(164)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61)가 상기 수용 홀(156)의 내부에 수용될 때, 상기 경사체(164)는 상기 확장체(152)의 내측면 중 상기 경사체(164)와 대면되는 면에 접하되, 상기 체결 몸체(162)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오므려지고, 그에 따라 상기 경사체(164)에 탄성력이 축적되고,
    상기 체결부(161)가 상기 확장체(152)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경사체(164)의 탄성력 복원에 의해 상기 체결 몸체(162)의 일부분이 상기 돌기(155)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수용 홀 형성부(151)와 상기 체결부(161)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100).
KR2020190002068U 2019-05-21 2019-05-21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KR200493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68U KR200493520Y1 (ko) 2019-05-21 2019-05-21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68U KR200493520Y1 (ko) 2019-05-21 2019-05-21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94U KR20200002594U (ko) 2020-12-01
KR200493520Y1 true KR200493520Y1 (ko) 2021-04-14

Family

ID=7378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68U KR200493520Y1 (ko) 2019-05-21 2019-05-21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2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9502B2 (ja) 2012-10-23 2016-09-07 Sus株式会社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KR200486505Y1 (ko) 2014-07-12 2018-05-29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240A (ja) * 1995-07-26 1997-02-10 Masaharu Awano クロス結合金具
TWI585328B (zh) 2016-02-26 2017-06-01 Jun-Mei Lin 扣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9502B2 (ja) 2012-10-23 2016-09-07 Sus株式会社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KR200486505Y1 (ko) 2014-07-12 2018-05-29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94U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36215A (en) Plastic nut-like fastener with resilient wings
US5150930A (en) Corrugated pipe connector and method of molding
KR100712030B1 (ko) 순간 연결 장치
US6779763B2 (en) Clamp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
KR102090072B1 (ko) 중공형 랙바 및 중공형 랙바의 제조방법
KR101456055B1 (ko) 철근 마디 형태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및 철근 이음 방법
KR200493520Y1 (ko)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US20030147720A1 (en) Fastener for variously sized studs
DE60018877T2 (de) Verriegelungshalter für Schnellkupplungen mit ausgesparter Sperrklinke
US202203337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amp Assemblies
US4978244A (en) Fastener apparatus
KR101796381B1 (ko) 철근연결구
KR102482921B1 (ko) 산업용 랙 시스템용 연결기
US8572813B2 (en) Fixed loop filament key ring for luggage and vehicle keys and tags with permanent locking feature
KR20023929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6259343B2 (ja) 脱落防止ねじ
KR102032868B1 (ko) 파이프 클램프
EP0668147A2 (en) Insert mold and molding method using same
JP4262239B2 (ja) 二構成部材間の締結装置およびその締結方法
EP3656696B1 (en) Cable tie, method of producing a cable tie, and cable tie injection molding tool
KR20140091303A (ko) 철근 이음장치
KR101029824B1 (ko) 사이드 프레임
US20220340256A1 (en) Inserts, assemblies including inserts, and methods of use of inserts
JPH0618717U (ja) 埋め込みナット
EP0402388A1 (en) Fasten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