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86Y1 -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86Y1
KR200493386Y1 KR2020200003400U KR20200003400U KR200493386Y1 KR 200493386 Y1 KR200493386 Y1 KR 200493386Y1 KR 2020200003400 U KR2020200003400 U KR 2020200003400U KR 20200003400 U KR20200003400 U KR 20200003400U KR 200493386 Y1 KR200493386 Y1 KR 200493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ipe
drain
pressure water
sediment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서
인현진
강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Priority to KR2020200003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관 일단인 배수구에 침전된 침전물을 청소하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에 있어서, 제1배수구벽면과 상기 제1배수구벽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2배수구벽면 사이에 삽입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는 고압수유동관; 및 상기 고압수유동관의 일단에 결합된 타격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분사부가 배수구의 침전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압수가 상기 타격분사부에서 분사됨에 따라 상기 타격분사부의 움직임으로 배수구의 침전물에 타격이 가해지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A cleaning device for precipitate inside drain hole}
본 고안은 배수관으로 유동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배수구 주변에 침전된 침전물을 청소하는 장치로서, 타격체가 배수구 주변에 침전된 침전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침전물을 향하여 고압수가 분사됨에 따라 타격체가 전후진 이동되면서 침전물을 타격하여 침전물을 배수구에서 제거하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터널 내 배수관로의 일부를 보인 단면에 관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터널에는 측벽 하부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측벽 라이닝 배면에 종방향 배수관인 유공관이 설치되어 있고, 또 터널의 측벽 하단부에 측벽배수와 용수처리를 위한 배수로(1)로 시공하는 측벽배수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종배수관과 배수로(1)를 연결하는 횡배수관(2)이 대략 5m간격으로 설치된다.
한편, 터널공사시 주변 지반 안정을 위해 숏크리트를 적용하게 되는데 이 물질중 일부가 횡배수관(2)에 유입되어 침전 및 퇴적하게 된다. 이는 매우 단단한 석회석성분이 주를 이룬다.
상기 배수로(1)는 보통 40cm x 80cm 크기로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설치되어 있지만 작업자가 배수관로에 들어가 막힌 횡방향 배수관을 유지 보수하기는 매우 협소하다. 따라서 시간 경과에 따라 측벽 라이닝 배면에서 유출되는 침전물과 퇴적물이 종배수관과 배수로(1)를 연결하는 횡방향 배수관(2) 사이에 쌓여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는 수압발생의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터널구조물의 하중으로 작용하여 균열을 발생하므로 이를 반드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배수로(1)와 연결되어 있는 횡배수관(2) 내에 단단한 석회 성분으로 굳은 침전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장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778973호가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한다. 종래기술은 터널 내 배수관로 유지관리용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가 라이닝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방수쉬트를 통해 유도되어 배수처리되는 배수관로에 쌓인 침전물이나 퇴적물을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파쇄드릴로 파분쇄한 후 흡입하여 저장하는 것으로서 간편하게 제거하여 터널 외부로 쉽게 반출할 수 있도록 한 터널 내 배수관로 유지관리용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한편, 터널 횡배수관 내의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횡배수관의 일단인 배수구의 주변에 침전된 침전물을 먼저 제거해야 하는 선작업이 필요하다. 즉, 터널 횡배수관 내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작업은 배수로에 연통된 횡배수관의 일단인 터널 배수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횡배수관 내의 침전물을 청소하기 전 배수구에 침전된 침전물을 우선 제거해야 이후 횡배수관 내의 침전물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수구의 주변에 침전된 침전물을 먼저 제거해야 하는 선작업의 경우, 양쪽이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구벽면으로 형성된 상태의 좁은 배수로 내에서, 배수구 주변에 침전된 침전물이 제거되어야 하는 바, 일반적인 배수관 청소장치로 이러한 침전물을 제거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서도 배수관 내의 침전물을 청소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배수구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해야 하는데, 개시된 종래기술에서는 배수구 침전물을 제거하는 청소장치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배수관의 침전물을 제거하기 하기 전 선작업으로 배수구에 침전된 침전물을 청소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배수관 내의 침전물을 청소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배수구 주변에 침전된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는, 배수관(D) 일단인 배수구(H)에 침전된 침전물(C)을 청소하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에 있어서, 제1배수구벽면(1W)과 상기 제1배수구벽면(1W)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2배수구벽면(2W) 사이에 삽입되는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100)에 장착되는 고압수유동관(220); 및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에 결합된 타격분사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분사부(240)가 배수구(H)의 침전물(C)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압수가 상기 타격분사부(240)에서 분사됨에 따라 상기 타격분사부(240)의 움직임으로 배수구(H)의 침전물(C)에 타격이 가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분사부(240)는,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이 결합된 몸체(242); 상기 몸체(242)의 일단에 형성된 분사홀(246); 및 상기 몸체(242)에서 연장되어 상기 분사홀(246)의 위치보다 더 전진된 형태로 형성된 타격체(248)를 포함할 수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홀(246)은 상기 몸체(242)의 일단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격체(248)는 상기 분사홀(246)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체(248)는 상기 몸체(242)의 일단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홀(246)은 상기 타격체(248)를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에는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이 내측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을 고정하는 유동관고정대(1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관고정대(140)는 내측으로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이 관통되는 유동관가이드부(144); 상기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 고정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관가이드부(144)의 내측 단면적은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며,
상기 유동관가이드부(144)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대(100)의 일측에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타격분사부(240)에 결합되는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 부분을 지지하면서, 상기 타격분사부(240)가 배수구(H)의 침전물(C)로 향하도록 위치시키는 유동관지지대(160,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대(100)를 관통하면서 일단이 상기 제1배수구벽면(1W)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수구벽면(2W)에 밀착된 턴버클(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배수관 출구인 배수구 주변에 침전된 침전물에 타격분사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타격분사부에서 분사된 고압수가 침전물에 분사되어 고형화된 침전물을 분해함과 동시에, 고압분사에 따른 반작용으로 타격분사부가 뒤로 후진한 상태에서 다시 타격분사부에 결합된 고압수유동관의 탄성력으로 타격분사부가 전진이동하면서 침전물에 타격을 가하여 침전물을 분해하는 바, 고압수 분사와 타격체의 타격으로 배수구 주변에 침전된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터널 내의 배수관 청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는 작업대(100), 고압수유동관(220), 타격분사부(240)를 포함한다.
작업대(100)는 제1배수구벽면(1W)과 제2배수구벽면(2W)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술할 고압수유동관(220) 및 타격분사부(240)를 지지한다.
배수구(H)는 배수로로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D)의 일단이다. 이러한 배수구(H)는 배수구벽면(1W,2W)에서 일정한 높이에 형성된다. 터널 내의 배수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수구벽면(1W)과 제2배수구벽면(2W) 사이의 좁은 통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배수구벽면(1W) 또는 제2배수구벽면(2W)의 일정한 높이에 형성된 배수구(H) 주변의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좁은 통로 형태의 배수로를 통하여 제거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작업대(100)는 이러한 좁은 통로 형태의 배수로에 장착된다. 즉, 제1배수구벽면(1W)과 제1배수구벽면(1W)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2배수구벽면(2W)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침전물에 고압수를 분사하거나 타격을 가하는데 필요 구성요소인 고압수유동관(220)과 타격분사부(240)가 이러한 작업대(100)에 의해 지지된다.
작업대(100)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작업대(100)의 상단면은 제1배수구벽면(1W) 또는 제2배수구벽면(2W)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이거나 더 높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작업대(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술할 고압수유동관(220)이나 타격분사부(240)가 작동된다.
타격분사부(240)에서 고압수가 분사되고 타격분사부(240)가 침전물(C)을 타격하는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타격분사부(240) 및 고압수유동관(220)을 지지하는 작업대(100)는 제1배수구벽면(1W)과 제2배수구벽면(2W) 사이에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일단이 제1배수구벽면(1W)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배수구벽면(2W)에 연결된 턴버클(150)로 인하여 작업대(1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턴버클(150)은 작업대(100)를 관통하여 제1배수구벽면(1W)과 제2배수구벽면(2W)에 연결될 수 있다.
턴버클(150)의 일단 및 타단에는 밀착대(15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착대(152)에서 제1배수구벽면(1W)과 제2배수구벽면(2W)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탄성체가 장착될 수 있다. 턴버클(150)의 몸체가 회전됨에 따라, 밀착대(152)에 장착된 탄성체가 제1배수구벽면(1W)과 제2배수구벽면(2W)에 접촉된 상태로 밀착대(152)가 제1배수구벽면(1W)과 제2배수구벽면(2W)에 밀착된다(도 6 참조).
이때, 턴버클(150)은 작업대(100)에 관통된 상태에서 작업대(100)에 결합된 상태이다. 턴버클(150)이 관통되는 작업대(100)의 부분은 작업대(100)의 프레임일 수 있으며, 또는 작업대(100)를 구성하는 어느 일측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작업대(100)를 관통하는 턴버클(150)이 다수로 장착될 수 있다.
작업대(100)의 상부를 통하여 배수구(H)가 형성된 아래 방향으로 고압수유동관(220)이 장착되어 있다. 고압수유동관(220)으로 고압수가 유동되기 때문에, 움직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고압수유동관(220)으로 고압수를 유동시켜야 하는 바, 작업대(100)에 고압수유동관(220)이 고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작업대(100)의 상부에는 이러한 고압수유동관(220)을 고정시키는 유동관고정대(140)가 장착될 수 있다.
유동관고정대(140)는 유동관가이드부(144), 고정부(142) 및 고정대연결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유동관가이드부(144)로 고압수유동관(220)이 관통된다. 이러한 유동관가이드부(144)는 내측 단면적이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고정부(142)에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가 결합된 상태이다. 고정부(142)에 의해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가 조여진 상태이다.
이러한 유동관가이드부(144)를 관통된 고압수유동관(220)이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를 거침에 따라 고정부(142)에 의해 고압수유동관(220)이 고정된다.
유동관가이드부(144)는 아래 방향으로 내려올수록 내측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에서는 고압수유동관(220)의 좌우 및 상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고정된 상태이지만,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 아래에서는 그 내측 단면적이 넓어지는 바, 상하 움직임은 제한적일지라도 단면적이 넓어지는 부분에서는 고압수유동관(220)의 어느 정도의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유동관가이드부(144)는 상부가 서로 결합된 다수의 판으로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동관가이드부(144)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관가이드부(144)를 관통하는 고압수유동관(220)이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부(14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 더하여, 고압수유동관(220)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나사산에 걸리도록 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키면서 고압수유동관(220)의 상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42)에 형성된 홀로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가 삽입되어 조여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압수유동관(220)이 유동관가이드부(144)를 관통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42)가 작업대(100)의 상부의 중앙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쪽으로 연결된 고정대연결부(146)에 의해 작업대(100)의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부(142)의 양측면 각각에 고정대연결부(146)의 일단이 연결되고, 고정대연결부(146)의 타단이 작업대(100)의 일측에 연결됨에 따라, 결국 고정대연결부(146)에 의해 고정부(146)가 작업대(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대연결부(146)의 타단이 연결된 작업대(100)의 일측은 작업대(100)의 프레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고정대연결부(146)는 탄성체 재질일 수 있다. 침전물에 고압수를 분사하거나 침전물을 타격하는 타격분사부(240)가 침전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격이나 분사가 이루어지는 바, 타격분사부(240)가 결합된 고압수유동관(220)이 상하 움직임이 발생되어 분사나 타격 방향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그 위치에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어, 상술한 유동관고정대(140)에 고정된 상태이다.
고압수유동관(220)이 유동관고정대(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움직임은 제한되나, 유동관가이드부(144)의 하부 부분에서 어느 정도의 좌우 움직임은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고압수가 타격분사부(240)에 분사됨에 따라 반작용으로 타격분사부(240)가 후진 이동되고, 다시 고압수유동관(220) 자체의 탄성력으로 타격분사부(240)가 전진 이동하게 됨으로써 침전물을 타격하게 된다. 즉, 고압수 분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타격분사부(240)의 전후진 이동으로 타격이 이루어진다.
이때 고압수유동관(220)이 고정된 고정부(142)가 고정대연결부(146)의 탄성력으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고정부(142)의 좌우 이동방향이 타격분사부(240)의 전후진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바, 결국 고정부(142)의 전후진 이동에 따른 동력이 고압수유동관(220)의 전후진 이동에 따른 동력에 더 부가될 있다.
작업대(100)는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다수의 선반(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반(120)의 위치는 배수구(H)가 위치된 부근의 작업대의 일측일 수 있다. 이러한 선반(120)에 유동관지지대(160,160')가 결합된다. 즉, 이러한 유동관지지대(160,160')의 일단은 선반(120)에 결합되고, 유동관지지대(160,160')의 타단에는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 부분을 지지하면서, 타격분사부(240)가 배수구(H)의 침전물(C)로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도 3 및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H)가 배수구벽면(1W,2W)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 타격분사부(240)가 침전물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유동관지지대(160')가 작업대(100)의 하부에 위치된 선반(120)에 결합될 수 있다. 배수구(H)가 배수구벽면(1W,2W)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는 경우, 타격분사부(240)가 침전물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유동관지지대(160)가 작업대(100)의 중간에 위치된 선반(120)에 결합될 수 있다.
유동관지지대(160)가 지지하는 고압수유동관(220)의 부분은 타격분사부(240)에 결합되는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 부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동관지지대(160)는 타격분사부(240)에 결합된 고압수유동관(220)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형태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고압수가 유동되는 고압수유동관(220)이 작업대(100)에 장착된다. 즉, 외부로터 연장된 고압수유동관(220)이 유동관고정대(140)에 장착된 상태에서, 타격분사부(240)가 배수구(H)에 향하도록 고압수유동관(220)이 일정한 깊이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에는 타격분사부(240)가 결합된다.
고압수유동관(220)의 재질은 일정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서, 일정한 위치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경우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타격분사부(240)에서 고압수가 분사됨에 따라 반작용으로 타격분사부(240)가 후진 이동되고 이에 결합된 고압수유동관(220)이 후진 이동되지만, 이러한 고압수유동관(220)의 탄성력으로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진 이동으로 타격분사부(240)가 전진 이동함으로써 침전물(C)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타격분사부(240)는 몸체(242), 고압수유동로(244), 분사홀(246) 및 타격체(248)를 포함한다.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이 몸체(242)에 결합된다. 고압수유동관(220)이 몸체(242)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압수가 유동되어 몸체(242)의 내측에 형성된 고압수유동로(244)로 유동되고, 최종적으로 고압수유동로(244)의 일단인 분사홀(246)로 분사된다.
이러한 분사홀(246)은 몸체(24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타격체(248)는 몸체(242)에서 연장되어 분사홀(246)의 위치보다 더 전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타격체(248)는 몸체(242)의 일단에 형성된 분사홀(246)보다 침전물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전진된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격체(248)가 침전물(C)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분사홀(246)에 분사된 고압수로 침전물(C)에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침전물(C)에 직접 접촉된 상태가 아니므로 분사홀(246)이 막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침전물(C)을 향하여 고압수가 분사되어 침전물(C)에 타격을 가하고, 나아가 타격체(248)의 직접적인 타격으로 침전물(C)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타격체(248)로 침전물(C)에 타격을 가하고, 타격이 가해져 분해된 침전물(C)을 분사된 고압수로 제거할 수 있다. 또는 타격체(248)의 타격와 고압수의 분사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침전물(C)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타격분사부(24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분사홀(246)이 몸체(242)의 일단의 중앙에 형성되고, 타격체(248)는 분사홀(246)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침전물(C)이 위치된 방향으로 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타격분사부(240)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타격분사부(240)의 제1실시예와 달리, 타격체(248)가 몸체(242)의 일단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침전물(C)이 위치된 방향으로 정 형태로 형성되고, 분사홀(246)은 타격체(248)를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작업대(100)에 장착된 고압수유동관(220)으로 고압수가 유동되고, 고압수유동관(220)으로 유동된 고압수가 타격분사부(240)의 몸체(242) 내측에 형성된 고압수유동로(244)로 유동되어, 최종적으로 분사홀(246)로 분사된다.
타격분사부(240)의 분사 방향이 침전물(C)로 향한 상태에서 고압수가 분사되고, 이에 반작용으로 타격분사부(240)가 후진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격분사부(240)가 후진 이동됨에 따라 고압수유동관(220)이 후진 이동된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인 고정대연결부(146)에 의해 유동관고정대(140)도 이에 따라 후진 이동될 수 있다.
후진 이동된 상태의 고압수유동관(220)은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다시 전진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후진 이동된 상태의 유동관고정대(140)에서 고정대연결부(146)의 탄성력으로 다시 유동관고정대(140)가 전진 이동되고, 이러한 전진 이동의 동력에 고압수유동관(220)의 자체의 탄성력으로 전진 이동의 동력이 더해져 고압수유동관(220)이 전진 이동될 수 있다.
고압수유동관(220)이 전진 이동됨에 따라 타격분사부(240)가 전진 이동되고, 타격체(248)가 침전물(C) 방향으로 전진 이동되어 침전물(C)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전후진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고압수 분사와 더불어 타격체(248)의 타격으로 침전물(C)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작업대
120: 선반
140: 유동관고정대
142: 고정부 144: 유동관가이드부 146: 고정대연결부
150: 턴버클 152: 밀착대
160,160': 유동관지지대
220: 고압수유동관
240: 타격분사부
242: 몸체 244: 고압수유동로 246: 분사홀 248: 타격체
1W,2W: 배수구벽면 D: 배수관 H: 배수구 C: 침전물

Claims (7)

  1. 배수관(D) 일단인 배수구(H)에 침전된 침전물(C)을 청소하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에 있어서,
    제1배수구벽면(1W)과 상기 제1배수구벽면(1W)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2배수구벽면(2W) 사이에 삽입되는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100)에 장착되는 고압수유동관(220); 및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에 결합된 타격분사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분사부(240)가 배수구(H)의 침전물(C)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압수가 상기 타격분사부(240)에서 분사됨에 따라 상기 타격분사부(240)의 움직임으로 배수구(H)의 침전물(C)에 타격이 가해지며,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에는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이 내측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을 고정하는 유동관고정대(1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관고정대(140)는 내측으로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이 관통되는 유동관가이드부(144); 상기 유동관가이드부(144)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 고정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관가이드부(144)의 내측 단면적은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며,
    상기 유동관가이드부(144)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분사부(240)는,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이 결합된 몸체(242);
    상기 몸체(242)의 일단에 형성된 분사홀(246); 및
    상기 몸체(242)에서 연장되어 상기 분사홀(246)의 위치보다 더 전진된 형태로 형성된 타격체(248)를 포함하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246)은 상기 몸체(242)의 일단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격체(248)는 상기 분사홀(246)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끌 형태로 형성된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248)는 상기 몸체(242)의 일단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홀(246)은 상기 타격체(248)를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의 일측에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타격분사부(240)에 결합되는 상기 고압수유동관(220)의 일단 부분을 지지하면서, 상기 타격분사부(240)가 배수구(H)의 침전물(C)로 향하도록 위치시키는 유동관지지대(160,160')를 더 포함하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를 관통하면서 일단이 상기 제1배수구벽면(1W)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수구벽면(2W)에 연결된 턴버클(150)을 더 포함하는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KR2020200003400U 2020-09-18 2020-09-18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KR200493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00U KR200493386Y1 (ko) 2020-09-18 2020-09-18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00U KR200493386Y1 (ko) 2020-09-18 2020-09-18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86Y1 true KR200493386Y1 (ko) 2021-03-19

Family

ID=7523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00U KR200493386Y1 (ko) 2020-09-18 2020-09-18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8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714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새미래환경이엔씨 하수관 준설작업용 준설호스 지지구
KR102006313B1 (ko) * 2019-01-16 2019-08-05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진동해머타격식 배수관로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714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새미래환경이엔씨 하수관 준설작업용 준설호스 지지구
KR102006313B1 (ko) * 2019-01-16 2019-08-05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진동해머타격식 배수관로 청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313B1 (ko) 진동해머타격식 배수관로 청소장치
JP2009011907A (ja) 排水管の洗浄方法及び装置
KR200493386Y1 (ko) 배수구 침전물 청소장치
JP2013116438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治具
JP4936910B2 (ja) 排水管の内部洗浄方法
KR102240715B1 (ko) 수로용 제진기의 전방보조스크린 앞에 쌓이는 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
KR102144798B1 (ko) 배수관로 청소용 해머타격장치
KR102528600B1 (ko) 공중부양 하수관 세척장치
JP2007144308A (ja) 洗浄装置
CN210730391U (zh) 一种用于木板板块的除尘机
JP2011127170A (ja) 処理液の回収装置
JPS6058123B2 (ja) 塵芥処理装置
KR20080066902A (ko) 경화층 조성 방법 및 장치
KR200365526Y1 (ko) 세륜기
JP2991430B1 (ja) 埋設石綿管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EP0633969B1 (en) Jetting head
KR102651007B1 (ko) 침사이송용 고정형 특수 노즐구조체
KR102501059B1 (ko) 개량된 캠팔로워 방식의 배수관로 청소용 해머타격장치
KR102631385B1 (ko) 침사 인양기
ES2217055T3 (es) Instalacion para el tratamiento superficial de una barra metalica en especial para decapar un fleje de acero.
KR20050122783A (ko) 액봉식(液封式) 접속 덕트
CN220681263U (zh) 带有喷淋结构的截断台和多工位截断机
KR20010044859A (ko) 토목구조물 내벽 세척장치
KR102212655B1 (ko) 치핑장치
JP2009082851A (ja) 自動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