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54Y1 - 의료용 드레싱 밴드 - Google Patents

의료용 드레싱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54Y1
KR200493354Y1 KR2020190001761U KR20190001761U KR200493354Y1 KR 200493354 Y1 KR200493354 Y1 KR 200493354Y1 KR 2020190001761 U KR2020190001761 U KR 2020190001761U KR 20190001761 U KR20190001761 U KR 20190001761U KR 200493354 Y1 KR200493354 Y1 KR 200493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edge
auxiliary
unit
dress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46U (ko
Inventor
김주학
오상하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90001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5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4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for tearing off dressing of desired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의료용 드레싱 밴드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 유닛; 상기 점착 유닛의 내부에 위치되며, 환부를 덮도록 제공되는 패드부; 및 상기 점착 유닛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 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보조 접착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 밴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드레싱 밴드{DRESSING BAND}
본 고안은 의료용 드레싱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분의 접착부가 구비된 의료용 드레싱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드레싱 밴드는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를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피부에 상처가 생기는 경우, 의료용 드레싱 밴드를 상처 부위(이하, "환부"라 한다)에 붙여서 상처가 다른 부위와 접촉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고 환부의 표면에서 열이 증발되는 것과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용 드레싱 밴드는 상처 치유에 효능이 있는 연고 등의 약제를 환부에 도포하고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바, 이 경우 유동성 약제가 다른 부위로 흐르지 않고 환부에 모두 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상처 치유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의료용 드레싱 밴드로서 거즈 형태의 일회용 의료밴드를 사용해 왔는데, 상처와 접하는 거즈의 양측으로 밴드가 연장되어 피부에 접착되기 때문에 거즈는 상처에 접한 상태로 피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상처를 보호 및 치료할 수 있는 드레싱 밴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드레싱 밴드 중, 실리콘 컨택트 레이어(Silicone contact layer)를 포함하는 제품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품들은 이차적인 접착 고정 반창고를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며 드레싱 교환 시 이차적인 피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특히 피부가 약해져 있는 욕창 환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드레싱 밴드 제품은 환부와 그 주변에 고정시키는 기능 및 세균을 포함한 이물질이 드레싱 밴드와 환부 사이로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가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의료용 드레싱 밴드는 통상적으로 정형화된 크기로 제작되어 보급되는바, 병원에서 외과적 수술 또는 시술을 수행한 후 드레싱 밴드를 부착하는 경우 다양한 환부의 크기에 맞춰 사용하기 위해 드레싱 밴드를 재단(裁斷)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드레싱 밴드의 절단면은 점착 시트와 패드가 가위나 칼에 의해 대개 직선 형태로 잘려지게 되므로 절단면의 가장자리에는 패드를 피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 시트가 잔존하게 않게 되는바, 이 절단면의 패드를 피부에 완벽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이 절단면에 다른 부착재를 추가적으로 덧붙여야만 한다.
그런데 환자의 환부의 감염 방지를 위해 시술자가 위생 장갑을 착용한 상태라면 다른 부착재를 찾기 위해 장갑을 벗어야만 하고, 또한 부착재를 찾아서 필요한 크기로 절단한 후 새 장갑을 다시 착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상존하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시술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과정을 철저하게 준수하지 않으면 환부에 예기치 않은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드레싱 밴드를 절단한 후 사용하고 남은 잔여 드레싱 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 때문에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폐기하는 바, 이로 인해 드레싱 밴드의 소비가 증가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5964호 (2018. 08. 31.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드레싱 밴드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쉽게 떼어서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접착부가 구비된 의료용 드레싱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 유닛; 상기 점착 유닛의 내부에 위치되며, 환부를 덮도록 제공되는 패드부; 및 상기 점착 유닛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 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보조 접착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 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유닛은 일측 가장자리가 타측 가장자리보다 더 길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타측 가장자리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접착부와 상기 점착 유닛의 경계부에는 상기 점착 유닛과 상기 보조 접착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시트 경계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접착부는 복수 개가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보조 접착부는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보조 접착부의 경계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보조 접착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접착부 경계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경계 절취선 및 상기 접착부 경계 절취선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도트 라인 또는 대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 경계 절취선으로부터 상기 시트 경계 절취선까지의 길이는, 상기 시트 경계 절취선으로부터 상기 패드부의 모서리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접착부는,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직선 형태의 가장자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유닛은, 상기 패드부를 수용하며, 상기 패드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배킹 필름; 및 상기 패드부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배킹 필름과 결합되는 점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드레싱 밴드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쉽게 떼어서 절단된 접착 시트의 접착력을 보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술 또는 시술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시간을 단축시키며 환부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로 하는 크기로 드레싱 밴드 재단시 기존 제품에서는 폐기되는 잔여 부분을 복수 개의 보조 접착부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드레싱 밴드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 밴드를 절단 후 보조 접착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 밴드를 절단 후 보조 접착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등록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 밴드(10,20,30)는 점착 유닛(100), 패드부(200) 및 보조 접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은 보조 접착부(300)가 점착 유닛(100)의 가장자리 중에서 길이가 짧은 변(이하, "단변"이라 한다)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이고, 도 2는 보조 접착부(300)가 점착 유닛(100)의 가장자리 중에서 길이가 긴 변(이하, "장변"이라 한다)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이며, 도 3은 보조 접착부(300)가 점착 유닛(100)의 가장자리 중에서 단변과 장변 모두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이다. 이러한 장변, 단변의 적어도 일부는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의료용 드레싱 밴드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점착 유닛(100)은 일측면(예컨대, 내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면이 형성되며, 이 점착면은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점착 유닛(100)의 점착면에는 필요에 따라 이형지(400)가 부착될 수 있는바, 이형지(400)는 점착 유닛(100)의 점착면이 원치 않는 곳에 붙는 것을 방지하고 점착 유닛(100)의 점착제가 마르는 것을 예방하며, 점착 유닛(100)의 사용시 점착 유닛(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형지(400)와 점착 유닛(100)은 드레싱 밴드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점착 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킹 필름(120)과 점착 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킹 필름(120)은 피부 접촉면의 반대측 면을 구성하는 필름으로서, 바이러스 및 세균을 포함한 이물질로부터의 보호장벽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킹 필름(120)은 방수/방습 기능이 있으면서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킹 필름(120)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배킹 필름(120)는 통기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킹 필름(120)에는 방수/방습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공(110)은 배킹 필름(120)의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특정 부위(예컨대, 패드부(200)가 배치되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바, 이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배킹 필름(120)은 평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내측면에 패드부(200)가 용이하게 설치되고 피부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소정의 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패드부(200)를 수용하며, 패드부(20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130)는 패드부(200)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일부분이 배킹 필름(120)과 결합될 수 있다. 점착 시트(13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어 피부에 부착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점착 시트(130)의 저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점착 시트(130)는 드레싱 밴드(10)의 점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테르펜계 수지, 크실렌 수지,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시트(130)는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의료용 드레싱 밴드에 통용되는 다양한 점착성 물질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130)는 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삼출물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싱 밴드(10)가 환부에 부착되었을 때 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삼출물이 점착 시트(130)를 투과하여 패드부(20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여기서, 점착 유닛(10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네 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정사각형의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양한 크기의 환부에 다양한 형태로 활용 가능하도록 일측 가장자리가 타측 가장자리보다 더 길도록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점착 유닛(100)은 일측 가장자리가 타측 가장자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면서, 이러한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패드부(200)는 점착 유닛(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패드부는 배킹 필름(120)과 점착 시트(13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점착 유닛(100)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환자의 환부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패드부(200)는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하이드로 겔(hydro gel),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팽창성 합성 중합체, 합성 부직재료 및 천연 부직재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수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패드부(200)는 드레싱 밴드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접착부(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유닛(10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보조 접착부(300)의 일측면(예컨대, 내측면)에도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 유닛(100)과 동일한 접착력을 보유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접착부(300)와 점착 유닛(100)의 경계부에는 점착 유닛(100)과 보조 접착부(3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시트 경계 절취선(310)이 형성될 수 있다. 점착 유닛(100)의 가장자리 중 시트 경계 절취선(310)에 인접하는 부분은 휘어지도록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경계 절취선(310)은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환자의 수술이나 시술에서 드레싱 밴드를 사용하게 될 경우 별도의 칼이나 가위를 사용하지 않고 보조 접착부(300)를 점착 유닛(100)으로부터 잡아당겨서 보조 접착부(300)를 점착 유닛(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접착부(300)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보조 접착부(300)는 서로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보조 접착부(300)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보조 접착부(300)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접착부(300)와 이웃하는 보조 접착부(300)의 사이의 경계부에는 복수 개의 보조 접착부(3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접착부 경계 절취선(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 경계 절취선(320)은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조 접착부(300)가 점착 유닛(100) 또는 다른 보조 접착부(3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시트 경계 절취선(310) 및 접착부 경계 절취선(32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도트 라인(dotted line) 또는 대시 라인(dashed line)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시 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접착부 경계 절취선(320)으로부터 시트 경계 절취선(310)까지의 길이(a)는 시트 경계 절취선(310)으로부터 패드부(200)의 끝단 모서리까지의 길이(b)와 같거나 더 길게 구성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접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접착부(300)는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직선 형태의 가장자리부(330)를 더 포함하는 바, 이것은 직선 형태로 한번에 동시 절단된 점착 유닛(100)과 패드부(200)의 절단면에 보조 접착부(300)에 형성된 직선의 가장자리부(330)를 쉽게 덧붙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보조 접착부(300)는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조 접착부(300)는 점착 유닛(100)의 가장자리 중에서 단변에 연결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보조 접착부(300)가 점착 유닛(100)의 단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면 수술이나 시술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의 형태와 크기를 보고 그에 맞게 점착 유닛(100)과 패드부(200)를 종 방향(점착 유닛(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자른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유닛(100)의 단변에 연결된 보조 접착부(300)를 각각의 절취선(310,320)을 따라 분리하여 점착 유닛(100)이 남아 있지 않은 점착 유닛(100)과 패드부(200)의 절단면(c)에 보조 접착부(300)를 중첩되게 덧붙여 접착력이 부족한 점착 유닛(100)의 절단면(c)의 접착력을 보강하게 된다. 이때, 보조 접착부(300)에 형성된 직선의 가장자리부(330)가 점착 유닛(100)의 절단면(c)의 직선과 나란하도록 배치하여 보조 접착부(300)를 점착 유닛(100)의 절단면(c)에 쉽게 붙일 수 있다.
또한, 보조 접착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유닛(100)의 가장자리 중에서 장변에 연결될 수 있는바, 보조 접착부(300)가 점착 유닛(100)의 장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의 크기에 맞게 점착 유닛(100)과 패드부(200)를 횡 방향(점착 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동시에 자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유닛(100)의 장변에 연결된 보조 접착부(300)를 각각의 절취선(310,320)을 따라 분리하여 점착 유닛(100)이 남아 있지 않은 점착 유닛(100)과 패드부(200)의 절단면(c)에 보조 접착부(300)를 중첩되게 덧붙여 접착력이 부족한 절단면(c)의 접착력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접착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유닛(100)의 가장자리 중에서 단변과 장변에 모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바, 이러한 형태의 드레싱 밴드는 점착 유닛(100)과 패드부(200)를 시술자가 원하는 방향(예컨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선택하여 절단할 수 있으며, 그 절단 방향에 따라 필요한 보조 접착부(300)를 분리하여 부족한 접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지 않는 보조 접착부(300)는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한 가지 형태의 드레싱 밴드(30)를 가지고 도 6 또는 도 8의 형태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20, 30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 밴드
100 : 점착 유닛 110 : 통기공
120 : 배킹 필름 130 : 점착 시트
200 : 패드부 300 : 보조 접착부
310 : 시트 경계 절취선 320 : 접착부 경계 절취선
330 : 직선 형태의 가장자리부 c : 절단면
400 : 이형지

Claims (8)

  1.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 유닛;
    상기 점착 유닛의 내부에 위치되며, 환부를 덮도록 제공되는 패드부;
    상기 점착 유닛의 적어도 일 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 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제1 보조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유닛은 일 측 가장자리가 타 측 가장자리보다 더 길고, 상기 일 측 가장자리와 상기 타 측 가장자리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보조 접착부는 일 측 가장자리에 직선 형태의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타 측 가장자리에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점착 유닛과 상기 제1 보조 접착부의 경계부에는 상기 점착 유닛의 라운드 형상을 갖는 일 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1 보조 접착부의 라운드 형상을 갖는 타 측 가장자리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시트 경계 절취선이 형성되는,
    의료용 드레싱 밴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접착부의 적어도 일 측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제2 보조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접착부는 타 측 가장자리에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보조 접착부와 상기 제2 보조 접착부의 경계부에는 상기 제1 보조 접착부의 직선 형상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보조 접착부의 라운드 형상을 갖는 타 측 가장자리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접착부 경계 절취선이 형성되는,
    의료용 드레싱 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경계 절취선 및 상기 접착부 경계 절취선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도트 라인 또는 대쉬 라인을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 밴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 경계 절취선으로부터 상기 시트 경계 절취선까지의 길이는, 상기 시트 경계 절취선으로부터 상기 패드부의 모서리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구성되는,
    의료용 드레싱 밴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접착부는,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직선 형태의 가장자리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 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유닛은,
    상기 패드부를 수용하며, 상기 패드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배킹 필름; 및
    상기 패드부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배킹 필름과 결합되는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의료용 드레싱 밴드.
KR2020190001761U 2019-04-29 2019-04-29 의료용 드레싱 밴드 KR200493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61U KR200493354Y1 (ko) 2019-04-29 2019-04-29 의료용 드레싱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61U KR200493354Y1 (ko) 2019-04-29 2019-04-29 의료용 드레싱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46U KR20200002446U (ko) 2020-11-06
KR200493354Y1 true KR200493354Y1 (ko) 2021-03-16

Family

ID=7319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761U KR200493354Y1 (ko) 2019-04-29 2019-04-29 의료용 드레싱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981A (ko) 2022-05-26 2023-12-05 김은서 플렉시블 드레싱 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2461A (zh) 2016-05-06 2016-08-10 郭振奥 一种根据创伤可任意组合的创可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318U (ja) * 1992-02-17 1993-08-31 五一 青木 ミシン目入り応急絆創膏
KR20130004491U (ko) * 2012-01-11 2013-07-19 양정환 약액 캡슐을 포함한 가변형 일회용 밴드
KR200472060Y1 (ko) * 2012-09-12 2014-04-08 서동민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
KR101741528B1 (ko) * 2015-04-03 2017-05-30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점착성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95964B1 (ko) 2017-02-21 2018-09-13 주식회사 베이스캠프코리아 방수 및 투습 기능을 구비한 의료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2461A (zh) 2016-05-06 2016-08-10 郭振奥 一种根据创伤可任意组合的创可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981A (ko) 2022-05-26 2023-12-05 김은서 플렉시블 드레싱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46U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9731C (en) Hydrogel wound dressing product
ES2236306T3 (es) Apositos adaptables.
US20200038252A1 (en) Tr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therefor
US11911525B2 (en) Wound dressing
EP1374813B1 (en) Adhesive bandage having a selectively placed layer
FI106699B (fi) Ikkunallinen suonikatetrisidos
US7745683B2 (en) Deformable and conformable wound protec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of application
US82529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incisions
EP3072533B1 (en) Improved wound dressing
ES2820862T3 (es) Un apósito médico
CA2132499C (en) External fixation dressing
ES2774526T5 (es) Apósito médico
WO2000042957A1 (en) Bandage
US6096942A (en) Surgical dress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6927587B2 (ja) 固定要素を有する外科用絆創膏
KR200493354Y1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
EP0254493A1 (en) Wound dressing, manufacture and use
KR102026319B1 (ko) 개량형 상처치료용 부재
US20160166448A1 (en) Adhesive absorptive skin pad
KR20170065782A (ko) 다목적 일회용 의료 밴드
US20200121614A1 (en) Cannabinoid-infused transparent hydrogel skin patch
US20130269709A1 (en) Wound dressing that can be adjusted to the wound site
KR101773341B1 (ko) 다목적 의료 밴드
JP2011115513A (ja) 救急絆創膏
EP0094755A2 (en) Medical dr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