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18Y1 -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 Google Patents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218Y1
KR200493218Y1 KR2020160006183U KR20160006183U KR200493218Y1 KR 200493218 Y1 KR200493218 Y1 KR 200493218Y1 KR 2020160006183 U KR2020160006183 U KR 2020160006183U KR 20160006183 U KR20160006183 U KR 20160006183U KR 200493218 Y1 KR200493218 Y1 KR 200493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fixing
fixing blade
vortex
vortex genera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263U (ko
Inventor
진창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1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B63B2745/02

Abstract

본 고안은 전류고정날개의 표면에 빗살 형상 또는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가 설치되어 각 날개 단면에서의 보오텍스 쉐딩에 의한 진동과 전류고정날개 전체의 구조적인 공진(共振)에 의한 피로손상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전류고정날개로서,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전류고정날개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을 일으켜서 피로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고자 전류고정날개의 표면에 빗살 형상 또는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PRE-SWIRL STATOR WITH VORTEX GENERATOR ON ITS SURFACE}
본 고안은 전류고정날개의 각 날개 단면에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으로 유기되는 전류고정날개의 손상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전류고정날개의 표면에 빗살 형상 또는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가 설치되어 각 날개 단면에서의 보오텍스 쉐딩에 의한 진동과 전류고정날개 전체의 구조적인 공진(共振)에 의한 피로손상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전류고정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프로펠러는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프로펠러의 후류에서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한 접선방향의 속도성분(tangential velocity)이 불가피하게 생성되고, 이러한 접선방향의 속도성분은 선체의 좌현(port)과 우현(starboard)에서 각각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 결과,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한 접선방향의 속도성분은 선박의 추진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의 후류에서 소실되는 프로펠러의 운동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개선 방안이 제시되었는바, 그 중에서 프로펠러의 전방에서 프로펠러의 축 방향 중심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전류고정날개(pre-swirl stator)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전류고정날개는 주로 저속 비대선에 적용되어 선박의 속도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적용하였는데, 전류고정날개는 프로펠러에 의해 유기되는 접선방향의 속도와 반대되는 방향의 접선방향 속도를 주기 위하여 프로펠러의 전방에서 고정날개의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프로펠러의 후류에서 회전방향 운동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선박의 추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전류고정날개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를 보인 것이고, 도 1b는 전류고정날개에서의 박리를 보인 도면으로서, 전류고정날개(3) 후류에서 보오텍스가 발생하고, 그 보오텍스에 의해 전류고정날개(3)의 박리를 유발하여 날개 단면의 진동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전류고정날개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의 주파수와 전류고정날개의 고유주파수의 영역이 일치하는 공진(共振)과 관련이 있다. 공진이 일어나면, 전류고정날개에 걸리는 하중이 수십 배에 이르며, 이는 전류고정날개의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큰 원인이 된다. 전류고정날개의 크랙(crack)이 심해지면, 전류고정날개가 절단되기도 하며, 이는 단순 마력 저감 효과를 잃는 것뿐 아니라 프로펠러 및 선체에 큰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도 2는 종래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전류고정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1)의 전방에 다수 개의 전류고정날개(3)가 설치되는바, 종래 전류고정날개(3)는 프로펠러(1)의 축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미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류고정날개(3)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하여 고려가 없어 저속 비대선에 적용시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나 컨테이너선과 같이 저속 비대선에 비해 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중/고속 선박에 전류고정날개(3)를 적용할 경우는, 선박의 속도 증가에 의해서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체 역학적인 부하 증가로 인하여 전류고정날개(3)의 끝단 부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에 의해 캐비테이션(5)이 발생한다.
전류고정날개(3)의 끝단 부에서 발생한 캐비테이션에 의해서, 후류에서 회전하고 있는 프로펠러(1)의 날개 표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프로펠러(1)의 표면 침식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공개 공보 제10-2015-0145982호에는 선미부 전류고정날개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특허공개 공보 제10-2015-0145982호에 개시된 선미부 전류고정날개는, 프로펠러의 전방에 위치하며, 일단이 선미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전류고정날개의 타단에 익형 구조의 복수 핀들이 전류고정날개의 선단에서 후단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또한, 특허공개 공보 제10-2015-0132922호에 개시된 선미부 전류고정날개는, 프로펠러의 전방에 위치하며 일단이 선미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전류고정날개의 타단에 전류고정날개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특허공개 공보 제2002-0066040호에 개시된 저속 비대선용 연직형 전류고정날개는, 상부 날개와 하부 날개로 각각 구분된다. 상부 날개의 외주 연에는 후미 하향으로 경사지게 상부 스트레이크가 돌출 설치되고, 하부 날개의 외주 연에는 후미 상향으로 경사지게 하부 스트레이크가 돌출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공개 공보 제10-2015-0145982호 및 특허공개 공보 제10-2015-0132922호에 개시된 선미부 전류고정날개는, 전류고정날개 끝단에 부가물 또는 관통하는 홀을 설치하여 날개의 단부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보오텍스를 저감하는 구성이지만,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전류고정날개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을 일으켜서 피로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공개 공보 제2002-0066040호에 개시된 저속 비대선용 연직형 전류고정날개는, 전류고정날개 중간에 스트레이크를 설치하여 프로펠러 후류 회전에너지 손실을 회수하는 구성이지만,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전류고정날개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을 일으켜서 피로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145982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132922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2-0066040호
선박 연료 절감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전류고정날개(pre-swirl stator)는 일부 선종(船種)에서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는바, 손상 원인 중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전류고정날개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共振)을 일으켜서 피로손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류고정날개의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설치하여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을 교란시켜서 구조적 공진에 의한 피로 손상을 회피할 수 있는,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로펠러의 전방에 위치하고, 프로펠러의 축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미(船尾)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로서, 상기 전류고정날개의 표면에 빗살 형상 또는 팔자 형상(한자의 여덟 팔자 형상)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vortex generator)가 구비된다.
상기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상기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상기 전류고정날개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상기 전류고정날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살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의 배치에 있어, 서로 이웃하는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의 배치에 있어, 서로 이웃하는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선미로 갈수록 각도가 커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의 배치에 있어, 서로 이웃하는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선미로 갈수록 각도가 작아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고정날개의 표면에 빗살 형상 또는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가 설치되어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을 교란시켜서 구조적 공진에 의한 피로 손상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1a는 전류고정날개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를 보인 도면
도 1b는 전류고정날개에서의 박리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선박의 선미에 설치된 전류고정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전류고정날개는 끝단 부의 보오텍스 발생 제어 또는 프로펠러 후류 회전에너지 손실을 회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나, 본 고안의 전류고정날개는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전류고정날개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을 일으켜서 피로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100)는, 프로펠러(1)의 전방에 위치하고, 프로펠러(1)의 축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미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전류고정날개(100)의 표면에, 빗살 형상 또는 팔자 형상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vortex generator)(200)가 구비된다.
보오텍스 제너레이터(200)는 전류고정날개(100)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전류고정날개(100)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共振)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오텍스 제너레이터(200)는 전류고정날개(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빗살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서로 이웃하는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들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서로 이웃하는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들이 선미로 갈수록 각도가 커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서로 이웃하는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들이 선미로 갈수록 각도가 작아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100)는 전류고정날개의 표면에 빗살 형상 또는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가 설치되어, 전류고정날개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전류고정날개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을 일으켜서 피로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전류고정날개
200: 보오텍스 제너레이터

Claims (6)

  1. 프로펠러(1)의 전방에 위치하고, 프로펠러(1)의 축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미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로서,
    상기 전류고정날개(100)의 표면에 팔자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vortex generator)(200)가 구비되고,
    상기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서로 이웃하는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들이 선미로 갈수록 각도가 커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오텍스 제너레이터(200)는 상기 전류고정날개(100)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 쉐딩(vortex shedding)에 의한 진동이 상기 전류고정날개(100)의 구조적 고유진동수와 공진(共振)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오텍스 제너레이터(200)는 상기 전류고정날개(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자 형상의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는, 서로 이웃하는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들이 선미로 갈수록 각도가 작아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KR2020160006183U 2016-10-25 2016-10-25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KR200493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83U KR200493218Y1 (ko) 2016-10-25 2016-10-25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83U KR200493218Y1 (ko) 2016-10-25 2016-10-25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63U KR20180001263U (ko) 2018-05-04
KR200493218Y1 true KR200493218Y1 (ko) 2021-02-19

Family

ID=6216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83U KR200493218Y1 (ko) 2016-10-25 2016-10-25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18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598B1 (ko) 2001-02-08 2004-05-31 (주)한국해사기술 저속 비대선용 연직형 전류고정날개
KR20150132922A (ko) 2014-05-19 2015-1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미부 전류고정날개
KR20150145982A (ko) 2014-06-20 2015-12-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미부 전류고정날개
KR20160063570A (ko) * 2014-11-26 2016-06-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63U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302B1 (ko) 선박용 추력 날개
KR20100103982A (ko) 선박의 전류고정날개
KR101425369B1 (ko) 핀 구조물을 갖는 덕트형 선체 부가물
KR100625847B1 (ko) 캐비테이션 성능 향상용 비대칭 전류고정날개
JP5002378B2 (ja) 舶用推進効率改善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93217Y1 (ko) 공진 회피 타입 전류고정날개
SE533520C2 (sv) Framdrivningsanordning för en ytgående vattenfarkost
KR101066213B1 (ko) 정체류 감소 및 전진력 발생 기능을 가지는 날개형 유동개선 장치
KR20150050918A (ko) 추진 장치
JP4382120B2 (ja) ダクト付きタービンフィン
KR200493218Y1 (ko) 표면에 보오텍스 제너레이터를 가진 전류고정날개
KR20150132922A (ko) 선미부 전류고정날개
KR20120121112A (ko) 선박의 전류고정날개
KR20150145982A (ko) 선미부 전류고정날개
KR20120007854U (ko) 3개 지지점을 가지는 비대칭 프로펠러 덕트 설치구조
KR20130003573A (ko) 선박용 전류고정날개
KR100640298B1 (ko) 저속비대선의 전류고정날개 설치구조
KR20150110594A (ko) 소형 덕트 부착 선박 및 선박에의 소형 덕트 적용 판단방법
US20120107130A1 (en) Method of enhancing the output efficiency of a propeller and reducing the noise thereof
KR20170062752A (ko) 선박의 비대칭 전류고정날개
KR20130002144U (ko) 선박용 프로펠러
KR101115105B1 (ko) 선박의 프로펠러 보스 캡
JP4972756B2 (ja) 軸流流体機械のプロペラを強制軸平行流れ機構付き羽で構成したプロペラ。
KR102647301B1 (ko) 이동식 전류고정날개
KR101788763B1 (ko) 전후연 비틀림 전류고정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