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095Y1 -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 - Google Patents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095Y1
KR200493095Y1 KR2020200000211U KR20200000211U KR200493095Y1 KR 200493095 Y1 KR200493095 Y1 KR 200493095Y1 KR 2020200000211 U KR2020200000211 U KR 2020200000211U KR 20200000211 U KR20200000211 U KR 20200000211U KR 200493095 Y1 KR200493095 Y1 KR 200493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unit
voice
telephon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이범찬
Original Assignee
이상기
이범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기, 이범찬 filed Critical 이상기
Priority to KR2020200000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성 인지력이 저하된 통화자에게 수신음성을 문자로 제공하여 전화통화과정에 상대방과 명확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전화통화에 있어 수신음성을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를 구비하되,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는 전화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문자표시기몸체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문자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화기본체의 송수화기연결소켓과 전기적 결선되는 전화연결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송수화기가 전기적 연결되는 송수화기연결부, 상기 전화연결부를 통하여 전화신호 감지를 통하여 전화통신 연부를 감지하는 전화통신감지부, 상기 전화통신감지부를 통하여 전화통신이 감지되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음성 중 노이즈를 제거하여 음성신호를 인식 저장하는 수신음성인식부, 상기 수신음성인식부를 통하여 인식된 수신음성을 문자로 전환하는 인식음성문자전환부, 상기 인식음성문자전환부를 통하여 전환된 수신음성문자정보를 문자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수신음성문자제공창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화통신감지부과 수신음성인식부 및 인식음성문자전환부를 통하여 전환된 수신음성문자정보를 문자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수신음성문자제공창으로 구성된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를 구비함으로써, 전화통화부에 상대방과 명확한 통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Incoming voice call text display}
본 고안은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통화 부에 있어 수신음성을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를 제공하여서, 음성 통화부에 있어 음성 인지력이 저하된 통화자에게 수신음성을 문자로 제공하여 전화통화부에 상대방과 명확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원거리에 있는 사람과 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화기는 전화의 수신 및 송신을 제어하고 전화버튼이 구비되는 전화기본체와 상기 전화기본체에 연결되어 마이크와 스피커가 일체로 구비된 송수화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화기는 원거리에 있는 사람과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화기본체의 전화버튼을 눌러 전화를 발신한 후 송수화기를 들고 통화는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전화기는 전화통화에 있어서 고령자는 청력이 저하되는 인지능력 저하로 인하여 통화부에 있어 음성으로 전달되는 상대방의 수신음성의 내용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전화를 통한 의사 소통이 원화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57184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전화기를 이용한 전화통화에 있어서 고령자는 청력이 저하되는 인지능력 저하로 인하여 통화부에 있어 음성으로 전달되는 상대방의 수신음성의 내용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전화를 통한 의사 소통이 원화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전화통화에 있어 수신음성을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는 전화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문자표시기몸체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문자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화기본체의 송수화기연결소켓과 전기적 결선되는 전화연결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송수화기가 전기적 연결되는 송수화기연결부, 상기 전화연결부를 통하여 전화신호 감지를 통하여 전화통신 연부를 감지하는 전화통신감지부, 상기 전화통신감지부를 통하여 전화통신이 감지되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음성 중 노이즈를 제거하여 음성신호를 인식 저장하는 수신음성인식부, 상기 수신음성인식부를 통하여 인식된 수신음성을 문자로 전환하는 인식음성문자전환부, 상기 인식음성문자전환부를 통하여 전환된 수신음성문자정보를 문자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수신음성문자제공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인식음성문자전환부에서 인식된 인식음성문자 중 2회 이상 반복된 인식음성문자를 검출하는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와 상기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강조인식음성문자을 문자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게 강조인식음성문자표시창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화통신감지부과 수신음성인식부 및 인식음성문자전환부를 통하여 전환된 수신음성문자정보를 문자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수신음성문자제공창으로 구성된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를 구비함으로써, 전화통화부에 상대방과 명확한 통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상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화통화부에 수신음성을 명확하게 인지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고안은 전화통화에 있어 수신음성을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100)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100)는 문자표시기몸체(110)와 문자디스플레이부(120), 전화연결부(131), 송수화기연결부(132), 전화통신감지부(140), 수신음성인식부(150), 인식음성문자전환부(160) 및 수신음성문자제공창(17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문자표시기몸체(110)는 전화기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전화기에 장착되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문자표시기몸체(110)는 별도의 지지다리가 구비되어 직립설치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문자디스플레이부(120)는 문자표시기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화연결부(131)는 문자표시기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화기본체(10)의 송수화기연결소켓과 전기적 결선되는 것이다.
상기 전화연결부(131)는 케이블로 형성되어 송수화기연결소켓에 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화연결부(131)는 소켓커넥터로 형성하여 케이블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수화기연결부(132)는 문자표시기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송수화기(20)가 전기적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화통신감지부(140)는 전화연결부(131)를 통하여 전화신호 감지를 통하여 전화통신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신음성인식부(150)를 통하여 전화통신이 감지되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음성 중 노이즈를 제거하여 음성신호를 인식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식음성문자전환부(160)는 수신음성인식부(150)를 통하여 인식된 수신음성을 문자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신음성문자제공창(170)은 인식음성문자전환부(160)를 통하여 전환된 수신음성문자정보를 문자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인식음성문자전환부(160)에 인식된 인식음성문자 중 중 2회 이상 반복된 인식음성문자를 검출하는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181)와 상기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181)를 통하여 감지된 강조인식음성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문자디스플레이부(120)의 일측에 강조인식음성문자 표시되는 강조인식음성문자표시창(182)를 추가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화통화에 있어 수신음성을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100)를 구비하되, 상기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100)를 전화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문자표시기몸체(110)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문자디스플레이부(120), 상기 문자표시기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화기본체(10)의 송수화기연결소켓과 전기적 결선되는 전화연결부(131), 상기 문자표시기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송수화기(20)가 전기적 연결되는 송수화기연결부(132), 상기 전화연결부(131)를 통하여 전화신호 감지를 통하여 전화통신 연부를 감지하는 전화통신감지부(140), 상기 전화통신감지부(140)를 통하여 전화통신이 감지되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음성 중 노이즈를 제거하여 음성신호를 인식 저장하는 수신음성인식부(150), 상기 수신음성인식부(150)를 통하여 인식된 수신음성을 문자로 전환하는 인식음성문자전환부(160), 상기 인식음성문자전환부(160)를 통하여 전환된 수신음성문자정보를 문자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는 수신음성문자제공창(170)으로 구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전화통화 과정에 상대방이 전달한 전화음성이 노이즈가 제거되고 문자화되어서 문자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수신음성문자제공창(170)을 통하여 수신음성이 문자로 표시되어서 제공되어 청력이 저하되고 인지력이 저하된 고령자가 전화통화과정에 있어 상대방이 전화고자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181)와 수신음성문자제공창(17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전화통화과정에 인식음성문자전환부(160)에 인식된 인식음성문자 중 중 2회 이상 반복된 인식음성문자를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181)를 통하여 감지하고, 상기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181)를 통하여 감지된 강조인식음성문자를 수신음성문자제공창(170)에 구비되는 강조인식음성문자표시창(182)를 상대방이 강조하는 음성이 문자로 표시되어 전화통화과정의 의사소통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전화기본체
20 : 송수화기
100 : 문자표시기
110 : 문자표시기몸체
120 : 문자디스플레이부
131 : 전화연결부 132 : 송수화기연결부
140 : 전화통신감지부
150 : 수신음성인식부
160 : 인식음성문자전환부
170 : 수신음성문자제공창
181 :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 182 : 강조인식음성문자표시창

Claims (2)

  1. 전화통화에 있어 수신음성을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를 구비하되,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는 전화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문자표시기몸체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문자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화기본체의 송수화기연결소켓과 전기적 결선되는 전화연결부, 상기 문자표시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송수화기가 전기적 연결되는 송수화기연결부, 상기 전화연결부를 통하여 전화신호 감지를 통하여 전화통신 연부를 감지하는 전화통신감지부, 상기 전화통신감지부를 통하여 전화통신이 감지되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음성 중 노이즈를 제거하여 음성신호를 인식 저장하는 수신음성인식부, 상기 수신음성인식부를 통하여 인식된 수신음성을 문자로 전환하는 인식음성문자전환부, 상기 인식음성문자전환부를 통하여 전환된 수신음성문자정보를 문자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수신음성문자제공창으로 구성하되,
    상기 문자표시기몸체는 전화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문자표시기몸체는 지지다리가 구비되어 직립설치되게 구비되며;
    상기 전화연결부는 소켓커넥터로 형성하여 케이블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인식음성문자전환부에 인식된 인식음성문자 중 중 2회 이상 반복된 인식음성문자를 검출하는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와 상기 강조인식음성문자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강조인식음성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문자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강조인식음성문자 표시되는 강조인식음성문자표시창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
  2. 삭제
KR2020200000211U 2020-01-15 2020-01-15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 KR200493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211U KR200493095Y1 (ko) 2020-01-15 2020-01-15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211U KR200493095Y1 (ko) 2020-01-15 2020-01-15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095Y1 true KR200493095Y1 (ko) 2021-02-01

Family

ID=7456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211U KR200493095Y1 (ko) 2020-01-15 2020-01-15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0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058A (ko) 2021-03-29 2022-10-06 최지원 청각장애우용 문자 변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827A (ko) * 2004-10-20 2006-04-27 주식회사 팬택 수신 음성을 문자로 출력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122329A (ko) * 2006-06-26 2007-12-31 변혜린 청각장애우를 위한 통화 음성 문자 변환장치
KR20130057184A (ko) 2011-11-23 2013-05-31 주식회사 서오기전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827A (ko) * 2004-10-20 2006-04-27 주식회사 팬택 수신 음성을 문자로 출력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122329A (ko) * 2006-06-26 2007-12-31 변혜린 청각장애우를 위한 통화 음성 문자 변환장치
KR20130057184A (ko) 2011-11-23 2013-05-31 주식회사 서오기전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058A (ko) 2021-03-29 2022-10-06 최지원 청각장애우용 문자 변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6180B2 (en) Synthesized audio message over communication links
CN102821196A (zh) 一种移动终端文字语音对等通话方法及其移动终端
CN101193381A (zh) 一种带有声音预处理的移动终端及其方法
CN101197871A (zh) 自动语音测量和提示装置
JP2006086581A (ja) 無線通信機能付ヘッドセット、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493095Y1 (ko)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표시기
CN104683544A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使用方法
US6990197B2 (en) Hands-free speaker telephone
KR102209254B1 (ko) 스마트폰의 전화통화 수신음성 문자 제공방법
CN101212735A (zh) 发送方直接把电话号码输入接收方的手机电话簿里的方法
KR101400754B1 (ko) 무선캡션대화 서비스 시스템
KR10065888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음 발생 방법
KR970008983A (ko) 개선된 송수화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CN101668089A (zh) 来电挥手静音手机及其使用方法
CN2807672Y (zh) 网络电话专用耳机
JP2010177961A (ja) 通信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WO2000024185A1 (en) P/c mouse both for its function and for a telephone set
JP2019056893A (ja) 会話装置
JP3225514U (ja) 多機能即時音声翻訳装置
JPH03165155A (ja) 難聴者用電話機
KR200167709Y1 (ko) 송화부와 수화부가 분리된 스탠드형 전화기
JPH04354234A (ja) 電話装置
KR200295605Y1 (ko) 통화수단이 구비된 이어마이크
KR20000036544A (ko) 전화기 인터페이스기능을 갖춘 컴퓨터 사운드카드
CN1395430A (zh) 手机与耳机的提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