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51Y1 -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 Google Patents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51Y1
KR200492951Y1 KR2020190002855U KR20190002855U KR200492951Y1 KR 200492951 Y1 KR200492951 Y1 KR 200492951Y1 KR 2020190002855 U KR2020190002855 U KR 2020190002855U KR 20190002855 U KR20190002855 U KR 20190002855U KR 200492951 Y1 KR200492951 Y1 KR 200492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adapter
power
rai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Priority to KR2020190002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는 외부전력에 연결되며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접속회전부를 구비하여 전원단자와 외부 전력선을 직접 연결하는 수작업이 불필요하고, 어댑터본체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벌어짐방지돌기와 벌어짐방지공을 형성하여 판으로 형성된 어댑터본체의 양측면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커버의 상면에 반구형상의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하여 레버의 회전후 복귀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 Power adapter for luminaire rails }
본 고안은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과 전원어댑터가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외부전력에 연결되며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접속회전부가 구비되고, 판으로 형성된 어댑터본체의 양측면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차단되도록 어댑터본체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벌어짐방지돌기와 벌어짐방지공이 형성된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조명의 역활이 단순히 실내를 밝히는 용도로만 머물지 않고 인테리어적인 측면을 많이 중요시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조명의 한 예로 커피숍이나 레스토랑 등 소위 포인트(point) 조명이라고 하는 레일조명등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조명하는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인테리어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레일조명등은 실내의 벽면 또는 레일조명등이 설치되는 부분에 레일형태의 레일을 미리 부착한 후 그 내부에 레일조명등을 삽입하고 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실내의 어느 한 부분에 조명을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레일조명등에 관한 종래의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1902516호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레일조명등에 사용되는 레일은 외부에서 연결된 전원선과 레일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단자를 연결시켜 레일조명등에 전원을 보낼 수 있게 되는데 종래에는 벽면에서 나온 전원선과 상기 레일의 전원단자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됨으로써, 작업시 작업자가 감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고, 수작업의 특성상 쉽게 결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의 벽면에 구비된 전원선은 그 위치가 어느 한 곳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전원선에 연결되는 레일의 위치가 전원선의 위치에 국한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를 자유롭게 펼칠 수 없는 한계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전력에 연결되며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접속회전부를 구비하여 전원단자와 외부 전력선을 직접 연결하는 수작업이 불필요하고, 어댑터본체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벌어짐방지돌기와 벌어짐방지공을 형성하여 판으로 형성된 어댑터본체의 양측면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커버의 상면에 반구형상의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하여 레버의 회전후 복귀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는 등기구 레일의 전원단자에 외부전력을 연결해주는 전원어댑터로서 상기 등기구 레일의 하면에 안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어댑터본체와, 상기 어댑터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개방부를 덥어주는 판형상의 본체커버와, 상기 본체커버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연결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연결공에 회전되도록 체결된 원통형상의 단자축과, 상기 단자축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축을 회전시키는 레버와, 상기 단자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축의 회전시 상기 레일의 전원단자와 접촉하거나 이탈되며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회전부와; 상기 어댑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박스형상의 접속본체와, 상기 접속본체의 상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전력선삽입홈과, 상기 전력선삽입홈의 내부에 외부에서 인입된 전력선이 접속되는 접속구로 이루어진 접속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축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공으로 삽입된 후 그 하면에 걸려 체결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상진 걸림훅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축의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쐐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공의 내부에는 상기 단자축의 직경을 고정하는 쐐기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본체의 상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벌어짐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벌어짐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한 쌍의 벌어짐방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속본체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절곡부에 삽입되는 삽입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절곡부의 사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속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접속걸림돌기가 걸려지는 접속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후 복귀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반구형상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전력에 연결되며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접속회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전원단자와 외부 전력선을 직접 연결하는 수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 어댑터본체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벌어짐방지돌기와, 본체커버의 일면에 벌어짐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한 쌍의 벌어짐방지공을 형성함으로써, 판으로 형성된 어댑터본체의 양측면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어댑터본체의 내측면에 접속본체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절곡부와, 접속본체의 일면에 슬라이딩절곡부에 삽입되는 삽입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본체부의 내부에 접속부를 간편하게 삽입하고 고정할 수 있고,
넷째, 슬라이딩절곡부의 사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속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접속본체의 일면에 접속걸림돌기가 걸려지는 접속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접속부가 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접속걸림돌기가 접속걸림홈에 걸려져 상부로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본체커버의 상면에 레버의 회전후 복귀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반구형상의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레버가 회전된 이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회전방지돌기의 차단을 통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하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어댑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어댑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어댑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어댑터의 결합시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 및 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어댑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 및 분해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걸림돌기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 레일(R)의 전원단자(T)에 외부전력을 연결해주는 전원어댑터(1)로서 상기 등기구 레일(R)의 하면에 안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어댑터본체(11)와, 상기 어댑터본체(11)의 상면에 안착되며 개방부를 덥어주는 판형상의 본체커버(12)와, 상기 본체커버(12)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연결공(13)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연결공(13)에 회전되도록 체결된 원통형상의 단자축(21)과, 상기 단자축(21)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축(21)을 회전시키는 레버(22)와, 상기 단자축(2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축(21)의 회전시 상기 레일(R)의 전원단자(T)와 접촉하거나 이탈되며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단자(23)로 이루어진 접속회전부(20)와; 상기 어댑터본체(11)의 내측에 삽입되는 박스형상의 접속본체(31)와, 상기 접속본체(31)의 상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전력선삽입홈(32)과, 상기 전력선삽입홈(32)의 내부에 외부에서 인입된 전력선(L)이 접속되는 접속구(33)로 이루어진 접속부(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접속구(33)는 일면에서 눌러지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의 끝단에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금속판형상의 단자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전력선(L)의 삽입시 상기 버튼을 눌러주고 전력선(L)이 삽입되면 상기 버튼을 해제하여 단자의 내부에 상기 전력선(L)이 물릴 수 있게 하는 일반적인 전선연결단자 즉, 기성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구(33)와 단자(23)의 사이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전선(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축(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13)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축(21)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공(13)으로 삽입된 후 그 하면에 걸려 체결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상진 걸림훅크(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축(21)의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쐐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공(26)의 내부에는 상기 단자축(21)의 직경을 고정하는 쐐기봉(27)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쐐기봉(27)은 상기 쐐기공(26)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봉(27)의 하단부에 상기 쐐기공(26)의 하면에 걸려지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쐐기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본체(11)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벌어짐방지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버(12)의 일면에는 상기 벌어짐방지돌기(14)가 삽입되는 한 쌍의 벌어짐방지공(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본체(11)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본체(31)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절곡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절곡부(16)에 삽입되는 삽입절곡부(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절곡부(16)의 사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속걸림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접속걸림돌기(17)가 걸려지는 접속걸림홈(3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속걸림돌기(17)는 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정해진 각도록 경사진 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걸림홈(35) 또한 상기 접속걸림돌기(17)가 안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요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커버(12)의 상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2)의 회전후 복귀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반구형상의 회전방지돌기(1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 레일(R)의 전원단자(T)에 외부전력을 연결해주는 전원어댑터(1)이다.
즉, 상기 전원어댑터(1)에는 외부전력에 연결되며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접속회전부(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접속회전부(20)를 레일(R)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레일(R)의 하면 절개부에 삽입하고, 상기 접속회전부(20)를 레일(R)의 길이방향에서 90도 회전시키면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단자(23)가 상기 레일(R)에 구비된 전원단자(T)와 접촉하며 전원을 통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레일(R)에 외부전력을 인가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전원단자(T)와 외부 전력선(L)을 접속하는 수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축(21)의 외주면에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연결공(13)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축(21)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공(13)으로 삽입된 후 그 하면에 걸려 체결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상진 걸림훅크(2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자축(21)을 상기 연결공(13)을 쉽게 삽입시킬 수 있고, 삽입한 이후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축(21)의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쐐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공(26)의 내부에는 상기 단자축(21)의 직경을 고정하는 쐐기봉(2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공(13)에 삽입된 단자축(21)을 상기 쐐기봉(27)의 삽입을 통하여 외측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단자축(21)과 연결공(13)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본체(11)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벌어짐방지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버(12)의 일면에는 상기 벌어짐방지돌기(14)가 삽입되는 한 쌍의 벌어짐방지공(15)이 형성됨으로써, 판으로 형성된 어댑터본체(11)의 양측면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본체(11)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본체(31)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절곡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절곡부(16)에 삽입되는 삽입절곡부(3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부(30)를 상기 본체부(11)에 쉽게 삽입시키고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절곡부(16)의 사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속걸림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접속걸림돌기(17)가 걸려지는 접속걸림홈(3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부(30)가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상기 접속걸림돌기(17)가 상기 접속걸림홈(35)에 걸려져 다시 상부로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커버(12)의 상면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레버(22)의 회전후 복귀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반구형상의 회전방지돌기(18)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레버(22)가 회전된 이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상기 회전방지돌기(18)의 차단을 통하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등기구 레일 T : 전원단자
L : 전원선 1 : 전원어댑터
10 : 본체부 11 : 어댑터본체
12 : 본체커버 13 : 연결공
14 : 벌어짐방지돌기 15 : 벌어짐방지공
16 : 슬라이딩절곡부 17 : 접속걸림돌기
18 : 회전방지돌기 20 : 접속회전부
21 : 단자축 22 : 레버
23 : 단자 24 : 절개부
25 : 걸림훅크 26 : 쐐기공
27 : 쐐기봉 30 : 접속부
31 : 접속본체 32 : 전력선삽입홈
33 : 접속구 34 : 삽입절곡부
35 : 접속걸림홈

Claims (7)

  1. 등기구 레일(R)의 전원단자(T)에 외부전력을 연결해주는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1)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 레일(R)의 하면에 안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어댑터본체(11)와, 상기 어댑터본체(11)의 상면에 안착되며 개방부를 덥어주는 판형상의 본체커버(12)와, 상기 본체커버(12)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연결공(13)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연결공(13)에 회전되도록 체결된 원통형상의 단자축(21)과, 상기 단자축(21)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축(21)을 회전시키는 레버(22)와, 상기 단자축(2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축(21)의 회전시 상기 레일(R)의 전원단자(T)와 접촉하거나 이탈되며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단자(23)로 이루어진 접속회전부(20)와;
    상기 어댑터본체(11)의 내측에 삽입되는 박스형상의 접속본체(31)와, 상기 접속본체(31)의 상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전력선삽입홈(32)과, 상기 전력선삽입홈(32)의 내부에 외부에서 인입된 전력선(L)이 접속되는 접속구(33)로 이루어진 접속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축(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공(13)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축(21)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공(13)으로 삽입된 후 그 하면에 걸려 체결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상진 걸림훅크(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축(21)의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쐐기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공(26)의 내부에는 상기 단자축(21)의 직경을 고정하는 쐐기봉(2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본체(11)의 상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벌어짐방지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버(12)의 일면에는 상기 벌어짐방지돌기(14)가 삽입되는 한 쌍의 벌어짐방지공(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본체(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속본체(31)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절곡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절곡부(16)에 삽입되는 삽입절곡부(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절곡부(16)의 사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속걸림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본체(31)의 일면에는 상기 접속걸림돌기(17)가 걸려지는 접속걸림홈(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12)의 상면에는 상기 레버(22)의 회전후 복귀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반구형상의 회전방지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KR2020190002855U 2019-07-08 2019-07-08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KR200492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55U KR200492951Y1 (ko) 2019-07-08 2019-07-08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55U KR200492951Y1 (ko) 2019-07-08 2019-07-08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51Y1 true KR200492951Y1 (ko) 2021-01-08

Family

ID=7413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855U KR200492951Y1 (ko) 2019-07-08 2019-07-08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5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005A (ko) * 2011-02-24 2012-09-03 이기용 천정등 케이스
KR20150077387A (ko) * 2015-06-17 2015-07-07 최수인 전기 레일용 이동 전원 공급 장치
JP2015210839A (ja) * 2014-04-23 2015-11-24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コード収納装置
KR20170132786A (ko) * 2015-04-07 2017-12-04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수밀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방법과, 그 플러그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005A (ko) * 2011-02-24 2012-09-03 이기용 천정등 케이스
JP2015210839A (ja) * 2014-04-23 2015-11-24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コード収納装置
KR20170132786A (ko) * 2015-04-07 2017-12-04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수밀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방법과, 그 플러그 커넥터
KR20150077387A (ko) * 2015-06-17 2015-07-07 최수인 전기 레일용 이동 전원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9366C (en) Access-restricted electrical receptacle
US2266560A (en) Device for interlocking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s
KR20150015032A (ko) 전기 콘센트
TW201906250A (zh) 插座結構
KR200492951Y1 (ko) 등기구 레일용 전원어댑터
JP3173885U (ja) プッシュ式引掛シーリングローゼット
KR200491881Y1 (ko) 직관형 레일등용 슬라이딩 어댑터
KR101348186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US1573737A (en) Rope-end stopper
US20190020144A1 (en) Power strip with two ends safely pluggable and a power strip assembly with plug
US20050085131A1 (en) Wall-mounted electrical appliance base adapter to light bulb socket
US2021490A (en) Tool handle fastening
CN108375005A (zh) 用于嵌入式天花板和墙壁照明装置的装配套件和方法
ES2565456T3 (es) Clavija acodada
KR101730889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US2300487A (en) Outlet fitting for electric circuits
US2851588A (en) Spring-latch for a lighting fixture
CN105612302B (zh) 弹性致动接合装置
KR100974311B1 (ko) 출입문 고정용 먼지막이소켓
DE20218876U1 (de) Gartenwerkzeug mit abnehmbarem Werkzeugkopf
KR102067558B1 (ko) 조립식 선반의 결합구조
US4787863A (en) Plug structure for ventilating fans
US954671A (en) Safety-key windmill-coupling.
KR200288544Y1 (ko) 미닫이 창문의 로킹장치
JP2005248551A (ja) ドア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