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76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76Y1
KR200492776Y1 KR2020190002420U KR20190002420U KR200492776Y1 KR 200492776 Y1 KR200492776 Y1 KR 200492776Y1 KR 2020190002420 U KR2020190002420 U KR 2020190002420U KR 20190002420 U KR20190002420 U KR 20190002420U KR 200492776 Y1 KR200492776 Y1 KR 200492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connector
terminals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21U (ko
Inventor
시엔 창 린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2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보드와 도터보드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공개한다. 커넥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복수 개의 단자와 래칭 암을 포함한다. 래칭 암은 연결단을 형성한다. 제2 연결부는 복수 개의 단자 홈과 래칭 홈을 포함한다. 래칭 홈은 연결단에 커플링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는 제1 각도로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들이 상기 단자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단이 래칭 암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들과 상기 단자홈들의 전기적 연결 유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제1 각도를 제2 각도로 변화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인접되게 또는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드 대 보드로 연결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은 그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는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기에 편리하지만, 조립 과정에서 외력의 충격에 의해 분리될 수 밖에 없으며, 또는 조립 과정에서 커넥터의 단자를 정렬하기 쉽지 않아 단자를 손상시키므로 커넥터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은 기존의 커넥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제1 연결부의 수 단자(또는 암 단자) 형태를 통해 제2 연결부의 암 단자(또는 수 단자) 형태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시키는 목적을 달성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래칭 암을 통해 래칭 홈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결합 및 조립되도록 하는 래칭 암과 래칭 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단자와 래칭 암이 경사진 제1 각도로 삽입 및 인출되어, 용이하게 조립 또는 탁찰 가능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래칭 홈에 출입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래칭 암과 래칭 홈 수단에 의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연결 과정 중 평편하지 않은 삽입 현상을 해소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단자 홈의 탄성 메커니즘에 의해,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변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과정에서 과도하게 큰 힘이 인가되더라도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전기적 특성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6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제2 연결부에 일측, 양측 또는 다측의 단자와 래칭 암을 연결하기 위한 일측, 양측 또는 다측의 단자 홈과 래칭 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에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메인보드와 도터보드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복수 개의 단자와 래칭 암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상기 단자들과 래칭 암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단자들의 일단은 상기 도터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래칭 암은 제1 수용 공간 내부로부터 제1 수용 공간 외부까지 연장되고, 제1 수용 공간 외부의 래칭 암은 연결단을 형성한다. 제2 연결부는 복수 개의 단자 홈과 래칭 홈을 포함한다. 제2 연결부는 상기 단자홈들과 래칭 홈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단자홈들의 일단은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자홈들의 타단은 상기 단자들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래칭 홈은 연결단에 커플링된다. 여기서, 제1 연결부는 제1 각도로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들이 상기 단자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단자들과 상기 단자홈들의 전기적 연결 유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제1 각도를 제2 각도로 변화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인접되게 또는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되는 커넥터는 수 단자부와 암 단자부의 조립 과정에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수 단자부와 암 단자부 사이가 외력에 의해 연결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수 단자부(또는 암 단자부)는 하나의 각도로부터 암 단자부(또는 수 단자부)에 삽입되어 예를 들어 협소한 조립 공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삽입이 완료된 후, 외력에 의해 수 단자부(또는 암 단자부)의 각도를 변화시켜 수 단자부와 암 단자부가 동일한 평면에 스냅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삽입 동작의 반대 동작은 수 단자부와 암 단자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암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홈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c)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홈과 연결단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단자 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단자 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고자,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일” 또는 “하나”의 사용은 본문에 기술된 유닛, 소자 및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편의를 위해 설명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한 단수는 동시에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용어 "포함하다", "포괄하다", "구비하다", "함유하다"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 열거된 해당 요소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하게 열거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고유한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반대되는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또는"은 포함적인 "또는"을 의미하며, 배타적인 "또는"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이다. 도 1에서, 커넥터(10)는 도터보드(2)와 메인보드(4)를 연결시키며, 도터보드(2)와 메인보드(4)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10)는 두 개의 도터보드(2)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10)는 하나의 도터보드(2)만 연결하는 것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부(12)는 수 단자 형태로, 제2 연결부(14)는 암 단자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되며,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만 연결이 가능하다.
동시에 도 2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제1 연결부(12)는 4개의 단자(122)와 2개의 래칭 암(124)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12)의 내부에 상기 단자(122)들과 래칭 암(124)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도터보드(2)에서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단자(122)들의 일단은 도터보드(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예를 들어 상기 단자(122)들의 일단은 용접 등 방식을 통해 도터보드(2)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칭 암(124)의 일단은 제1 수용 공간 내에 고정되고, 타단 측은 제1 수용 공간 내부로부터 제1 수용 공간 외부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제1 수용 공간 외부의 래칭 암(124)에 연결단(1242)(동시에 도 3(a)를 참조할 수 있음)이 형성되고, 연결단(1242)은 단자(122)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단(1242)을 구비하는 래칭 암(124)은 L형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래칭 암(124)은 4개 단자(122)의 측에 설치되고, 연결단(1242)의 형상은 원기둥일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연결단(1242)은 삽입 경사면(1244)과 인출 경사면(124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경사면(1244)은 연결단(1242)의 전연에 형성되고, 인출 경사면(1246)은 연결단(1242)의 후연에 형성된다. 삽입 경사면(1244)의 면적은 인출 경사면(1246)의 면적보다 크기에 래칭 홈(144)에 원활하게 미끌어져 들어가거나 래칭 홈(144)으로부터 원활하게 인출되며, 이밖에 삽입 경사면(1244)과 인출 경사면(1246)의 경사진 방향에 따라, 래칭 홈(144)의 출입구(1442)를 배합하여 연결단(1242)이 어느 각도에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4)는 4개의 단자 홈(142)과 래칭 홈(144)을 포함한다.
제2 연결부(14)는 4개의 단자 홈(142)과 래칭 홈(144)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동시에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단자 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a)에서, 4개의 단자 홈(142)의 일단(1426)(고정부로 칭함)은 메인보드(4)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각각 메인보드(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4개의 단자 홈(142)의 타단(1424)(접촉부로 칭함)은 단자(122)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단자 홈(142)은 고정부(1426)와 접촉부(1424)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1422)를 더 가지며, 탄성부(1422)의 형상은 다곡면의 절곡 형상으로 단자(122)와 단자 홈(142)이 접촉할 시 고정부(1426)의 단일 단의 연결을 통해 변동 가능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하여 연결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시에 도 5(b)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도 5(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단자 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b)에서 접촉부(1424)는 클립온 타입 구조(예를 들어 Y자형)이며, 클립온 타입 구조는 Z축 방향에서의 연결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기에 결합 시 상술한 삽입 각도 또는 분리 각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시 말해서 각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래칭 홈(144)은 연결단(1242)과 커플링될 수 있다. 동시에 도 3(b)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도 3(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홈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b)에서, 래칭 홈(144)의 형상은 원기둥의 연결단(1242)에 적합하기 위한 원기둥 오목홈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래칭 홈(144)의 외연의 거리가 2개 연결단(1242)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연결단(1242)은 래칭 홈(144)에 한정된다. 래칭 홈(144)은 출입구(1442)와 회전 개구(1444)를 형성한다. 출입구(1442)는 회전 개구(1444)와 연통된다. 출입구(1442)의 개구에 의해 래칭 암(124)은 제1 각도(θ1)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래칭 암(124)은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회전 개구(1444)가 하나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므로, 수용 연결단(1242) 이외에 원기둥의 연결단(1242)이 회전 개구(1444) 내에서 자유적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도 3(c)를 참조하면, 도 3(c)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홈과 연결단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c)에서 래칭 홈(144)은 연결단(1242)이 회전 개구(1444)에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회전 개구(1444)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도록 결합면(1446)을 더 형성한다.
동시에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4(a)에서, 제1 연결부(12)는 제1 각도(θ1)로 출입구(1442)에 삽입되고 나아가 회전 개구(1444)에 삽입된 이후, 제1 연결부(12)는 4개의 단자(122)가 4개의 단자 홈(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단(1242)이 래칭 암(124)에 고정되도록 래칭 암(124)과 래칭 홈(144)을 통해 제2 연결부(14)와 결합되며, 이밖에, 4개의 단자(122)와 4개의 단자 홈(142)의 전기적 연결 유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 사이의 제1 각도(θ1)를 제2 각도(θ2)로 변화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가 인접되게 또는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에서 커넥터(10')는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를 포함하며, 제1 실시예와의 상이한 점은 래칭 암(124')과 래칭 홈(144')의 설치 위치가 상이한데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래칭 암(124')은 중간의 2개 단자(122)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단(1242)은 단자(122)를 향한다. 래칭 홈(144')의 두 내연 사이의 거리가 두 연결단(1242)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래칭 암(124')을 래칭 홈(144')에 한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에서, 커넥터(10")도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를 구비하며, 제2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단자(122)의 개수가 제2 실시예의 짝수(4개)로부터 홀수(5개)로 조정된 데 있으며, 구별이 용이하도록, 제2 실시예 중 짝수의 단자(122)의 유형을 대칭 단자로 칭하고, 제3 실시예 중 홀수의 단자(122)의 유형을 비대칭 단자로 칭한다. 그러나 대칭 단자의 실시형태든지 비대칭 단자의 실시형태든지 래칭 홈(144')은 제2 연결단(14)의 양측(이는 제1 실시형태에 속함)에 모두 독립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임의의 2개 단자(122) 사이에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래칭 홈(144')이 제2 연결단(14) 중앙 위치 또는 양측과 중앙 사이의 위치에 나타나는 경우 모두 본 고안이 주장하고자 하는 범주에 속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래칭 암(124')의 위치는 래칭 홈(144')에 대응되어 설치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개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모든 실시예와 균등한 변화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정해야 한다.
2: 도터보드 4: 메인보드 10, 10', 10": 커넥터
12, 12': 제1 연결부 122: 단자 124, 124': 래칭 암
1242: 연결단 1244: 삽입 경사면 1246: 인출 경사면
14, 14': 제2 연결부 142: 단자 홈 1422: 탄성부
1424: 접촉부 1426: 고정부 144, 144': 래칭 홈
1442: 출입구 1444: 회전 개구 1446: 결합면
θ1: 제1 각도 θ2: 제2 각도

Claims (13)

  1. 메인보드와 도터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 개의 단자와 래칭 암을 가지며, 상기 단자들과 상기 래칭 암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들의 일단은 상기 도터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래칭 암은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부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 외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 외부의 상기 래칭 암은 연결단을 형성하는 제1 연결부; 및
    복수 개의 단자 홈과 래칭 홈을 가지며, 상기 단자홈들과 상기 래칭 홈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홈들의 일단은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자홈들의 타단은 상기 단자들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래칭 홈은 상기 연결단에 커플링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각도로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들이 상기 단자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단자들과 상기 단자홈들의 전기적 연결 유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상기 제1 각도를 제2 각도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인접되게 또는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상기 연결단의 전연(Leading edge)에 형성된 삽입 경사면과 상기 연결단의 후연(trailing edge)에 형성된 인출 경사면을 더 형성하며, 상기 삽입 경사면이 상기 래칭 홈에 미끄러져 들어갈 경우, 상기 래칭 암은 상기 연결단에 커플링되고, 상기 래칭 암은 상기 인출 경사면을 통해 상기 연결단과의 커플링이 해제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경사면의 면적은 상기 인출 경사면의 면적보다 작지 않은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암은 상기 단자들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단은 상기 단자들을 향하며, 상기 래칭 홈은 상기 래칭 암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의 개수는 2개이며, 상기 래칭 홈의 외연의 거리는 상기 2개 연결단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지 않은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암은 임의의 2개 상기 단자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단은 상기 단자들을 향하며, 상기 래칭 홈은 상기 래칭 암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의 임의의 2개 상기 단자홈들 사이에 설치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의 개수는 2개이며, 상기 래칭 홈의 내연의 거리는 상기 2개 연결단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지 않은 커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홈은 출입구와 회전 개구를 더 형성하며, 상기 출입구는 상기 회전 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출입구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자들과 상기 래칭 암은 상기 제1 각도로 삽입 및 인출되며, 상기 회전 개구는 상기 연결단을 수용하기 위한 것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 연결단이 상기 회전 개구로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상기 회전 개구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도록 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홈은 탄성부, 접촉부 및 고정부를 더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탄성부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단자를 피드백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자 홈을 상기 메인보드에 고정시키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단자를 클램핑하여 상기 단자와 상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클립온 타입 구조인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래칭 홈은 원기둥 오목홈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다른 제1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복수 개의 단자 홈과 다른 래칭 홈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2020190002420U 2019-04-10 2019-06-14 커넥터 KR2004927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4504U TWM588894U (zh) 2019-04-10 2019-04-10 連接器
TW108204504 2019-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21U KR20200002321U (ko) 2020-10-21
KR200492776Y1 true KR200492776Y1 (ko) 2020-12-09

Family

ID=6943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20U KR200492776Y1 (ko) 2019-04-10 2019-06-14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6007U (ko)
KR (1) KR200492776Y1 (ko)
CN (1) CN210074210U (ko)
TW (1) TWM588894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102B2 (ja) 1993-05-18 2000-10-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
KR200310024Y1 (ko) 2003-01-20 2003-04-08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시블 기판 커넥터
JP2007080641A (ja) 2005-09-13 2007-03-29 Sensata Technologies Japan Ltd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ー
JP2010033953A (ja) 2008-07-30 2010-02-12 Hirose Electric Co Ltd 連結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2013131422A (ja) 2011-12-22 2013-07-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接続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0074B1 (en) * 2003-03-14 2004-09-14 P-Two Industries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102B2 (ja) 1993-05-18 2000-10-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
KR200310024Y1 (ko) 2003-01-20 2003-04-08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시블 기판 커넥터
JP2007080641A (ja) 2005-09-13 2007-03-29 Sensata Technologies Japan Ltd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ー
JP2010033953A (ja) 2008-07-30 2010-02-12 Hirose Electric Co Ltd 連結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2013131422A (ja) 2011-12-22 2013-07-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接続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21U (ko) 2020-10-21
JP3226007U (ja) 2020-04-23
TWM588894U (zh) 2020-01-01
CN210074210U (zh)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1235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US5466171A (en) Polarizing system for a blind mat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44933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25090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metal member
US8092262B1 (en) Eye-of-the needle pin of an electrical contact
EP3467950B1 (en) Connector
US95594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interconnection between power and signal cables
US7367812B2 (en)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assembly using the same
US20140087593A1 (en) Electrical connector
EP3499652B1 (en) Connector assembly
US10714859B2 (en)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EP3213375B1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20210151917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EP3596785B1 (en) Blind mate connector housing and electronics system
KR200492776Y1 (ko) 커넥터
US10950957B2 (en) Male plug, female socket and connector
US11973284B2 (en) Connector
US8277265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ating in two directions
US20160006152A1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US8721189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CN111834770B (zh) 连结器
US85063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connector alignment insert
US20050085132A1 (en) Connector pin
JP3226008U (ja) バックルコネクタ
US20110244736A1 (en) Female electrical contact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