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64Y1 -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664Y1
KR200492664Y1 KR2020190000730U KR20190000730U KR200492664Y1 KR 200492664 Y1 KR200492664 Y1 KR 200492664Y1 KR 2020190000730 U KR2020190000730 U KR 2020190000730U KR 20190000730 U KR20190000730 U KR 20190000730U KR 200492664 Y1 KR200492664 Y1 KR 200492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flow rate
injected
device body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911U (ko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이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엽 filed Critical 이상엽
Priority to KR2020190000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6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가스 주입제어장치는 일측에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가스통과 제1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입력포트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내시경장치와 제2호스를 의해 연결되며 가스통으로부터 공급받은 가스를 상기 내시경장치로 배출하여 상기 내시경장치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인체내로 주입되게 하는 배출포트가 구비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는 연결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배출포트로 전달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인체내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 상기 연결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유로 상을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 또는 상기 연결유로를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내시경장치로 배출되어 상기 이산화탄소가 인체내로 주입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 상기 장치본체부의 일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상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밸브조작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스크린 상에 구성되어 인체내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시간과 이산화탄소의 총주입량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장치본체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상기 유량조절밸브,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이산화탄소 유량 또는 이산화탄소 유속과 상기 타이머로부터 카운팅된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통해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과 상기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Gas injection control device for endoscopy}
본 고안은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검사가 이루어지는 인체 장기내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도록 하는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이란 내장 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수 있게 만든 의료기구를 말한다, 내시경의 종류로는 기관지경, 식도경, 위경, 십이지장경, 방광경 및 복강경과 같은 것들이 있다.
내시경 검사 또는 내시경 수술은 유연한 튜브의 끝에 광섬유로 연결된 카메라가 부착된 내시경이 투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시경 검사 또는 내시경 수술을 위해서는 카메라가 주입되는 부분 또는 수술이 이루어지는 장기 내에 일정 부피가 되도록 팽창이 될 필요가 있다. 이에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인체에 무해한 기체를 주입한다.
기존의 내시경 검사를 위한 기체 공급장치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1118860호 "내시경 검사 및 수술을 위한 기체 주입제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자는 등록특허 10-1118860에 개시된 기체공급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기중에 버려지는 이산화탄소의 량을 최소화하여 이산화탄소의 낭비를 줄일고 실내에 쌓이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주입장치를 제시하였다(등록특허 10-1584935).
본 고안자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주입량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성 측면에서 보다 개선된 내시경검사 및 수술용 가스 주입제어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을 계속 하였으며, 본 고안을 도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188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8493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인체내에 주입되는 가스의 주입량을 정밀하게 산출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여 검사자와 환자가 주입량을 모니터링하게 하여 주입가스에 대한 관리가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치본체부가 지지면에 대해 높게 배치되게 할 뿐 아니라, 가스통을 수납하도록 장치본체부의 하부에 캐비넷부를 구비하여, 가스통에 대한 보호 뿐 아니라, 장치본체부가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소정높이로 높게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성이 향상된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캐비넷부의 상부에 장치본체부를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분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치본체부의 위치이동이 편리하고, 장치본체부를 캐비넷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캐비넷부 상부측에 프린터모듈을 매립설치하고, 내시경 검사시 인체에 주입된 가스주입량에 대한 데이터를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차트에 붙여 가스주입량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는 일측에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가스통과 제1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입력포트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내시경장치와 제2호스를 의해 연결되며 가스통으로부터 공급받은 가스를 상기 내시경장치로 배출하여 상기 내시경장치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인체내로 주입되게 하는 배출포트가 구비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는 연결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배출포트로 전달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인체내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 상기 연결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유로 상을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 또는 상기 연결유로를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내시경장치로 배출되어 상기 이산화탄소가 인체내로 주입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 상기 장치본체부의 일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상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밸브조작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스크린 상에 구성되어 인체내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시간과 이산화탄소의 총주입량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장치본체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상기 유량조절밸브,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이산화탄소 유량 또는 이산화탄소 유속과 상기 타이머로부터 카운팅된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통해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과 상기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가 유속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이산화탄소 유속을 바탕으로 소정의 유량산출식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를 흐르는 이산화탄소 유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이산화탄소 유량을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과 곱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량산출식은, 유량 Q = 1/4*πd^2*v (v는 유속, d는 연결유로의 배관지름)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부의 배치위치를 높이고, 상기 가스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장치본체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캐비넷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부의 상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 및 상기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에 대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상기 장치본체부가 상기 캐비넷부의 상단에 위치고정되거나 상기 캐비넷부와 분리되어 임의의 위치에 배치가능하도록 상기 장치본체부를 상기 캐비넷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장착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캐비넷부 상단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장치본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중앙에 슬라이딩관이 관통형성된 고정케이싱; 상기 고정케이싱의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안착홈을 이루는 내측벽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의 중심을 향해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후이동바;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 각각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장치본체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패드; 상기 고정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 각각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후이동바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실린더; 상기 한 쌍의 실린더 각각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후이동바가 상기 안착홈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상기 슬라이딩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상기 고정케이싱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원상태로 상승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 상기 버튼부의 양측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승강과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상승위치에서 상기 전후이동바에 형성된 돌기가 걸려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가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하강시 상기 돌기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가 전진하도록 해주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는 인체에 주입되는 가스 총주입량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줌으로써 검사자와 환자가 이산화탄소 주입량을 모니터링하게 하여 검사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환자에게는 심적인 안정을 제공해주어, 효율적인 내시경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장치본체부의 하부에 캐비넷부를 구성하여, 캐비넷부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통이 보호될 뿐 아니라, 케비넷부의 상단에 장치본체부가 위치하여 장치본체부가 소정높이로 높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자와 환자가 장치본체부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산화탄소주입량 및 주입시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린터모듈을 구비하여 프린터지원을 통해 본 고안은 이산화탄소 총주입량과 주입시간에 대한 데이터가 인쇄되어 종이인쇄물로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환자 차트에 정리해 둘 수 있으므로, 내시경검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치본체부를 캐비넷부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고, 고정시에는 견고하게 고정되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장치본체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오동작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주입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주입제어장치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스주입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착유닛의 내부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내시경검사용 가스주입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가스주입제어장치(10)는 장치본체부(11), 유량조절밸브(12), 센서부(14), 타이머(18), 밸브조작부(19a), 표시부(19b), 제어부(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본체부(11)는 사각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면 일측에 입력포트(11a)가 구비되고, 전면에 배출포트(11b)가 구비되며, 전면에는 터치스크린(19)이 고정설치된다.
입력포트(11a)는 제1호스(h1)를 통해 이산화가스가 저장된 가스통(2)과 연결되고, 배출포트(11b)는 대장내시경 등의 내시경검사를 위한 내시경장치(4)와 제2호스(h2)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장치본체부(11)의 내부에는 입력포트(11a)와 배출포트(11b)를 연결하는 연결유로(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연결유로(13)는 배관 또는 플렉스블 호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스통(2)으로부터 제공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제1호스(h1)를 거쳐 입력포트(11a)를 입력되고, 연결유로(13)를 통해 배출포트(11b)에 전달되 후, 배출포트(11b)를 통해 내시경장치(4)에 제공됨으로써, 가스통(2)에서 제공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내시경장치(4)를 통해 내시경검사가 이루어지는 인체의 장치내에 주입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2)는 장치본체부(11) 내에 설치되되, 연결유로(13) 상에 설치되어 입력포트(11a)를 통해 연결유로(13)로 유입되어 배출포트(11b)로 전달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조절하여 인체 내에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유량조절밸브(12)는 전자식 밸브로서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4)는 유량센서로 이루어져, 연결유로(13) 상에 설치되며, 유량조절밸브(12)의 전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4)는 연결유로(13)을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이산화탄소 유량을 제어부(20)에 출력한다.
타이머(18)는 제어부(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산화탄소가 내시경장치(4)를 통해 인체내로 주입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타이머(18)는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20)는 센서부(14)로부터 이산화탄소 유량데이터가 수신되어 연결유로(13)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유동흐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18)가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밸브조작부(19a)는 터치스크린(19)의 화면상에 버튼아이콘 형태로 구현되어 ,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2)의 개도가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밸브조작부(19a)을 통해 인체내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10단계로 유량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설정유량과 최대설정유량 사이를 10단계로 나누어, 밸브조작부(19a)의 조작에 따라 최소설정유량부터 최대설정유량 까지 10/1씩 간격의 유량설정이 가능하여 보다 정교한 유량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9b)는 터치스크린(19)의 화면상에 구현되며, 이산화탄소가 인체에 주입되는 이산화탄소 주입시간과 인체에 주입된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이 표시되어 검사자가 환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20)는 유량조절밸브(12), 터치스크린(19), 센서부(14)를 제어하며, 센서부(14)로부터 검출된 이산화탄소 유량과 타이버(18)에서 카운팅된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통해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하며, 표시부(19b)를 통해 이산화탄소주입시간과 산출된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센서부(14)에서 검출된 이산화탄소 유량과 타이머(18)에서 카운팅된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곱하여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 산출된 이산화탄소 총주입량과 함께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표시부(19b)에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가스주입제어장치(10)는 대장내시경과 같은 내시경검사시, 가스통(2)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소정 설정유량으로 내시경장치(4)에 공급하여 내시경장치(4)를 통해 내시경검사가 이루어지는 인체장기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도록 해주며, 검사자가 환자가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총주입량과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는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터치스크린(19) 상의 표시부(19b)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내시경검사에 대한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고안은 센서부(14)가 유량센서로 구성되어, 유량센서로부터 연결유로(13) 상을 흐르는 이산화탄소 유량을 검출하고, 이 이산화탄소 유량이 제어부(20)에 출력되어, 제어부(20)가 이산화탄소 유량과 타이머(18)에서 카운팅된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통해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센서부(14)는 연결유로(13) 상을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센서부(14)로부터 수신되는 이산화탄소 유속을 소정의 유량산출식에 대입하여 이산화탄소 유량을 산출한 후, 이 산출된 이산화탄소 유량을 이산화탄소 주입시간과 곱하여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량산출식은 유량 Q = 1/4*πd^2*v (v는 유속, d는 연결유로(13)의 배관지름)으로 이루어지며, 제어부(20)는 이 유량산출식에 센서부(14)로부터 수신된 이산화탄소 유속을 입력하여, 이산화탄소 유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이산화탄소 유량과 타이머(18)를 통해 카운팅된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곱하여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검사용 가스주입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가스주입제어장치(10)는 장치본체부(11)의 배치위치를 높이고 장치본체부(11)와 연결되는 가스통(2)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캐비넷부(100)가 장치본체(11)의 하부에 구성될 수 있다.
캐비넷부(100)는 경첩에 의해 힌지개폐되는 도어(101)를 구비하여, 도어(101)를 개방하고, 가스통(2)을 캐비넷부(100) 내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캐비넷부(100) 상부에 장치본체부(11)가 설치됨으로써, 장치본체부(11)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19)의 배치높이를 높여주어 터치스크린(19)을 통해 출력되는 이산화탄소 총주입량과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검사자 및 환자가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본 고안은 장치본체부(11)가 캐비넷부(100)의 상단부에 분리되지 못하도록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장치본체부(11)가 캐비넷부(100)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장치본체부(11)를 캐비넷부(100)의 상단부에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장치본체부(11)를 캐비넷부(100)에서 분리하여 소정의 테이블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캐비넷부(100)의 상부에 장치본체부(11)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장착유닛(2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장착유닛(20)은 캐비넷부(10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장치본체부(110)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장착유닛(200)은 고정케이스(201), 전후이동바(212), 가압패드(214), 제1스프링(216), 버튼부(220), 제2스프링(225), 걸림부(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케이스(201)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 즉, 상부가 개방된 "U"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캐비넷부(100) 상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또한, 고정케이스(201)는 장치본체부(11)가 안착되는 안착홈(203)이 형성되며, 안착홈(203)의 저면에는 슬라이딩관(204)이 관통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전후 이동바(21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고정케이스(201)의 좌우측 내부에 설치되며, 내측단은 안착홈(203)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전후이동바(212)의 중간부 외측에는 돌기(217)가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고정케이스(201)의 좌우측 내부에는 각각 실린더(213)가 설치되며, 이 실린더(213)에 전후이동바(212)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실린더(213)에 의해 전후이동바(212)의 전후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가압패드(214)는 각각의 전후이동바(212)의 내측단에 설치되며, 안착홈(203)에 안착된 장치본체부(11)를 가압하여 장치본체부(11)를 안착홈(203)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압패드(212)에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재(215)가 구비되어, 장치본체부(11)를 가압할 때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제1스프링(216)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각 실린더(213)에 삽입설치되어, 전후이동바(212)가 안착홈(203)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가압패드(214)를 밀어 전후이동바(21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스프링(216)이 압축되어, 원상태로 전진하려는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220)는 슬라이딩관(204)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스프링(225)은 버튼부(220)와 고정케이스(201)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버튼부(220)가 외력에 의해 눌린 경우, 압축되어 버튼부(220)가 원상태로 상승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걸림부(230)는 전후이동바(212)의 수와 동일하게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ㄴ"자 형태를 이루도록 수평바(231)와, 이 수평바(231)의 외측단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바(233)로 구성된다. 걸림부(230) 각각은 버튼부(220)의 외주면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버튼부(220)의 승강과 연동하여 승강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걸림부(230)가 상승위치에서는 도 4와 같이, 수직바(233)의 상단(234)에 돌기(217)가 걸려, 전후이동바(212)가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수직바(233)의 상단(234)에 돌기(217)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버튼부(220)가 하강함과 함께 걸림부(230)가 하강하게 되면 돌기(217)로부터 수직바(233)의 상단(234)이 이탈되어 각각의 전후이동바(212)가 제1스프링(216)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홈(203)의 중심을 향해 전진함으로써, 안착홈(203)에 삽입된 장치본체부(11)를 각각의 가압패드(214)가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수직바(233)의 상단(234)은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걸림부(230)가 상승위치에서 전후이동바(212)의 돌기(217)가 수직바(233)의 상단(234) 앞쪽에 위치한 경우, 전후이동바(212)의 후진에 따라 돌기(217)가 수직바(233)의 경사진 상단(234)을 타고 넘어가서 돌기(237)가 수직바(233)의 상단(234)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의 장착유닛(200)을 사용하기 전에, 각각의 가압패드(214)를 밀어 각각의 전후이동바(212)를 후진시킴으로써 각각의 전후이동바(212)의 돌기(217)가 수직바(233)의 상단(234)에 걸리도록 하여, 각각의 이동바(212)가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다음, 장치본체부(11)를 안착홈(203)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장치본체부(11)가 버튼부(220)를 눌러주고, 버튼부(220)의 하강과 연동하는 걸림부(230)가 하강하게 되어, 걸림부(230)가 돌기(217)에서 이탈되어, 제1스프링(216)에 의해 각각의 전후이동바(212)가 전진하여 장치본체부(11)를 각각의 가압패드(214)가 가압하여 장치본체부(11)가 고정케이스(201)의 안착홈(203)에 안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장착유닛(200)이 캐비넷부(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어, 장착유닛(200)을 통해 장치본체부(11)를 캐비넷부(100)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고, 고정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순히, 장치본체부(11)를 캐비넷부(100) 위에 올려놓기만 하는 경우,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장치본체부(11)가 심하게 흔들리고, 이러한 장치본체부(11)의 진동은 센서부(14) 등의 오동작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장치본체부(11)가 캐비넷부(100)에서 떨어져 부셔서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장착유닛(200)를 통해 장치본체부(11)가 캐비넷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어 장치본체부(11)가 캐비넷부(100)에서 외부의 요인에 의해 예기치 않게 떨어지는 것을 막아 장치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센서부(14)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정확한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캐비넷부(100)의 상부에 프린터모듈(300)이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프린터모듈(300)은 제어부(20)와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어부(20)로부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 및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해 종이인쇄물(p)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인쇄된 종이인쇄물(p)은 환자의 차트에 붙여 해당 내시경검사에 대한 이산화가스 총주입량이나 주입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내시경검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장치본체부
11a...입력포트
11b...배출포트
12...유량조절밸브
14...센서부
18...타이머
19...터치스크린
19a...밸브조작부
19b...표시부
20...제어부
100...캐비넷부
200...장착유닛
201...고정케이싱
203...안착홈
204...슬라이딩관
212...전후이동바
213...실린더
214...가압패드
215...쿠션재
216...제1스프링
217...돌기
220...버튼부
225...제2스프링
230...걸림부

Claims (6)

  1. 일측에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가스통과 제1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입력포트(11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내시경장치와 제2호스를 의해 연결되며 가스통으로부터 공급받은 가스를 상기 내시경장치로 배출하여 상기 내시경장치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인체내로 주입되게 하는 배출포트(11b)가 구비된 장치본체부(11);
    상기 장치본체부(11)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는 연결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배출포트로 전달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인체내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12);
    상기 연결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유로 상을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 또는 상기 연결유로를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14);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내시경장치로 배출되어 상기 이산화탄소가 인체내로 주입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18);
    상기 장치본체부(11)의 일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19) 상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량조절밸브(1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밸브조작부(19a);
    상기 터치스크린(19) 상에 터치스크린(19) 상에 구성되어 인체내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주입시간과 이산화탄소의 총주입량을 출력하는 표시부(19b);
    상기 장치본체부(11) 내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스크린(19), 상기 유량조절밸브(12), 상기 센서부(14)를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14)로부터 검출된 이산화탄소 유량 또는 이산화탄소 유속과 상기 타이머(18)로부터 카운팅된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을 통해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부(19b)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과 상기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유속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이산화탄소 유속을 바탕으로 소정의 유량산출식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를 흐르는 이산화탄소 유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이산화탄소 유량을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과 곱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량산출식은, 유량 Q = 1/4*πd^2*v (v는 유속, d는 연결유로의 배관지름)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의 배치위치를 높이고, 상기 가스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장치본체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캐비넷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부의 상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시간 및 상기 이산화탄소 총주입량에 대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가 상기 캐비넷부의 상단에 위치고정되거나 상기 캐비넷부와 분리되어 임의의 위치에 배치가능하도록 상기 장치본체부를 상기 캐비넷부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장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캐비넷부 상단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장치본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중앙에 슬라이딩관이 관통형성된 고정케이싱;
    상기 고정케이싱의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안착홈을 이루는 내측벽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의 중심을 향해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후이동바;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 각각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장치본체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패드;
    상기 고정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 각각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후이동바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실린더;
    상기 한 쌍의 실린더 각각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후이동바가 상기 안착홈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상기 슬라이딩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상기 고정케이싱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원상태로 상승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
    상기 버튼부의 양측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승강과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상승위치에서 상기 전후이동바에 형성된 돌기가 걸려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가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하강시 상기 돌기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한 쌍의 전후이동바가 전진하도록 해주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KR2020190000730U 2019-02-21 2019-02-21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KR200492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30U KR200492664Y1 (ko) 2019-02-21 2019-02-21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30U KR200492664Y1 (ko) 2019-02-21 2019-02-21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11U KR20200001911U (ko) 2020-08-31
KR200492664Y1 true KR200492664Y1 (ko) 2020-11-19

Family

ID=7223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30U KR200492664Y1 (ko) 2019-02-21 2019-02-21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6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4007B2 (ja) * 2005-04-13 2010-11-17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送気装置及び送気装置を有する内視鏡システム
KR101258447B1 (ko) * 2005-10-24 2013-04-26 브라코 다이어그노스틱스 아이엔씨. 내시경 장치에 대한 확장 매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주입 시스템, 주입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860B1 (ko) 2010-08-12 2012-03-14 황선철 내시경 검사 및 수술을 위한 기체 주입 장치
KR101584935B1 (ko) 2015-03-11 2016-01-13 이상엽 내시경 검사를 위한 co₂주입제어장치 및 co₂주입량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4007B2 (ja) * 2005-04-13 2010-11-17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送気装置及び送気装置を有する内視鏡システム
KR101258447B1 (ko) * 2005-10-24 2013-04-26 브라코 다이어그노스틱스 아이엔씨. 내시경 장치에 대한 확장 매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주입 시스템, 주입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11U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122B2 (en) Detection device for bedding for sleep monitoring
US20200139045A1 (en) Fluid infusion system
US20060229498A1 (en) Endoscope
US20070045152A1 (en) Storage system for an apparatus that delivers breathable gas to a patient
ES2633144T3 (es) Sistema para proporcionar y controlar el suministro de un medio de dilatación para colonografía por CT
GB2386325A (en) Laryngeal mask airway
CN105711255A (zh) 甲部印刷装置以及甲部印刷装置的控制方法
CN101346096A (zh) 设有泄压装置的内窥镜设备
CN106061536A (zh) 具有自动位置调整的患者界面
WO1998050096A1 (en) Foam cuff for laryngeal mask airway
MX2012004466A (es) Sistema de anestesia integrado, extensible.
TW200722044A (en)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KR200492664Y1 (ko) 내시경검사용 가스 주입제어장치
WO2010070291A2 (en) Improved medical tube
US20110144531A1 (en) Gastric Band System Injector with Accelerometer
US20150290412A1 (en) Airway Opening Device
HK1061815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n injection device
KR20130116638A (ko) 기관 삽관 장치
KR20060021615A (ko) 휴대용 수액 주입장치
US20120277532A1 (en) Endoscope gas-supply system
KR101108656B1 (ko) 링거액 주입 제어장치
JP7368074B2 (ja) 挿管装置
JP7256829B2 (ja) 携帯角膜知覚計
CN213048462U (zh) 大便失禁病人大便储集器
KR20160102554A (ko) 저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