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49Y1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49Y1
KR200492549Y1 KR2020160002309U KR20160002309U KR200492549Y1 KR 200492549 Y1 KR200492549 Y1 KR 200492549Y1 KR 2020160002309 U KR2020160002309 U KR 2020160002309U KR 20160002309 U KR20160002309 U KR 20160002309U KR 200492549 Y1 KR200492549 Y1 KR 200492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unter
temperature
switchboard
phas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15U (ko
Inventor
진창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160002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4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3Mounting on rails locked into position by a slid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과; 공간에 배치된 전력부품과 이격되게 캐비닛에 설치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센서 마운터와; 센서 마운터에 설치되어 전력부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어레이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어레이 온도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반{Distributing panel}
본 고안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수의 전력부품이 수납되고 다수의 전력부품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산업설비, 공장, 건물, 가정 등의 전력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로서, 전력을 감시,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배전반은 고전압 수배전 계통에 사용되는 고압반(switcher)과, 고압반 보다 상대적으로 저전압 수배전 계통에 사용되는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전반의 내부에는 변류기, 변압기, 차단기, 캐패시터, 부스바 등의 전력부품이 설치될 수 있고, 배전반은 그 용도에 따라 다수의 전력부품이 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배전반 내의 전력부품은 과부하로 방열될 수 있고, 전기적, 열적, 화학적 스트레스나 진동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열화될 수 있으며, 절연이 파괴되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배전반은 접촉식 온도센서나 비접촉식 온도센서로 그 내부에 배치된 전력부품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화재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접촉식 온도센서는 전력부품에 접촉되게 부착되어 전력부품의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고, 비접촉식 온도센서는 적외선을 전력부품으로 조사하여 조사된 부분의 온도값을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배전반의 도어에는 배전반 내부를 촬영함과 동시에 온도에 따른 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열상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열상 카메라는 배전반의 내부 부품 온도를 알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KR 10-1421588 B1(2014년07월23일 공고) KR 10-1417771 B1(2014년07월14일 공고)
본 고안은 어레이 온도센서가 센서 마운터에 의해 장착 및 보호될 수 있고, 어레이 온도센서가 신뢰성 높게 유지 및 관리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공간에 배치된 전력부품과 이격되게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센서 마운터와; 상기 센서 마운터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부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어레이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마운터는 상기 좌측 프레임에 체결되는 좌측 체결부와; 상기 우측 프레임에 체결되는 우측 체결부와; 상기 좌측 체결부와 우측 체결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어레이 온도센서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에는 상기 센서 마운터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부품은 R상 전력부품과, T상 전력 부품 및 S상 전력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마운터는 상기 R상 전력부품과, T상 전력 부품 및 S상 전력부품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는 상기 센서 마운터 중 상기 R상 전력부품과, T상 전력 부품 및 S상 전력부품을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피시비 모듈은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에 설치된 어레이 센서모듈 및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센서 마운터를 마주보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센서 마운터는 상기 개구부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와 센서 마운터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와 센서 마운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센서 마운터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센서 마운터 중 상기 전력부품을 마주보는 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어레이 온도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어레이 온도센서의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도 피시비 모듈을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어레이 온도센서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센서 마운터가 캐비닛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센서 마운터가 견고하게 장착되므로, 어레이 온도센서의 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마운터와 어레이 온도센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마운터가 캐비닛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실시예에 따른 센서 마운터와 어레이 온도센서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센서 마운터 및 어레이 온도센서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마운터와 어레이 온도센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배전반은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 캐비닛(1)과; 공간(S)에 배치된 전력부품(2)(3)(4)과; 센서 마운터(5)와; 센서 마운터(5)에 설치되어 전력부품(2)(3)(4)의 온도를 측정하는 어레이 온도센서(6)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배전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설치된 전력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캐비닛(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은 좌측 프레임(11)를 덮는 좌측 커버(13)와, 우측 프레임(12)을 덮는 우측 커버(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은 좌측 프레임(11) 및 우측 프레임(12)이 베이스(15)와, 좌측 커버(13)와 우측 커버(14)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공간(S)을 여닫는 도어(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7)(8)은 캐비닛(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프론트 도어(7)와, 캐비닛(1)의 개방된 배면을 개폐하는 리어 도어(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7)와 리어 도어(8)은 캐비닛에 회전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의 내부에 배치되고 어레이 온도센서(6)에 의해 온도가 측정되는 전력부품(2)(3)(4)은 부스바(B), 캐패시터(미도시, Capacitor), 리액터(미도시, Reactor),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등일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에 의해 온도 측정되는 전력부품(2)(3)(4)은 부스바(B)일 수 있고, 어레이 온도센서(6)의 온도 측정 대상은 센서 마운터(5)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R상 부스바와, T상 부스바 및 S상 부스바일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에 의해 온도 측정되는 전력부품(2)(3)(4)은 캐패시터일 수 있고, 어레이 온도센서(6)의 온도 측정 대상은 센서 마운터(5)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R상 캐패시터와, T상 캐패시터 및 S상 캐패시터일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에 의해 온도 측정되는 전력부품(2)(3)(4)은 리액터일 수 있고, 어레이 온도센서(6)의 온도 측정 대상은 센서 마운터(5)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R상 리액터와, T상 리액터 및 S상 리액터일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에 의해 온도 측정되는 전력부품(2)(3)(4)은 변류기(CT)일 수 있고, 어레이 온도센서(6)의 온도 측정 대상은 센서 마운터(5)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R상 변류기, T상 변류기, S상 변류기일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그 종류가 동일한 다수의 전력부품의 온도를 함께 측정하고, 그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전력부품의 온도를 함께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전반은 그 종류가 동일한 전력부품이 비슷한 온도대역을 갖을 수 있고, 하나의 어레이 온도센서(6)는 그 종류가 동일하고 위치가 상이한 다수의 전력부품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이하, R상 부스바, R상 캐패시터, R상 리액터, R상 변류기를 R상 전력부품(2)이라 칭하여 설명하고, T상 부스바, T상 캐패시터, T상 리액터, T상 변류기를 T상 전력부품(3)이라 칭하며, S상 부스바, S상 캐패시터, S상 리액터, S상 변류기를 S상 전력부품(4)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부품(3)과, S상 전력부품(4)는 센서 마운터(5)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부품(3)과, S상 전력부품(4)은 좌우 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고, 센서 마운터(5)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과 이격되게 캐비닛(1)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도어 (8)과 이격되게 캐비닛(1)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도어(7)(8)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가 위치하는 영역과 도어(7))(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일면(54)이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을 마주볼 수 있고, 타면(55)이 도어(8)을 마주볼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력부품과, 어레이 온도센서(6) 사이의 절연거리를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마운터(5)는 이러한 절연거리를 고려하여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 보다 도어(8)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좌측 프레임(11)에 체결되는 좌측 체결부(51)와; 우측 프레임(12)에 체결되는 우측 체결부(52)와; 좌측 체결부(51)와 우측 체결부(52) 사이에 위치되고 어레이 온도센서(6)가 설치되는 어레이 온도센서 설치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좌측 체결부(51)가 클립이나 스크류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좌측 프레임(1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마운터(5)는 우측 체결부(52)가 클립이나 스크류나 후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우측 프레임(12)에 체결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5)는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 사이를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의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은 센서 마운터(5)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캐비닛(1)의 강도는 보강될 수 있다. 즉, 센서 마운터(5)는 어레이 온도센서(6)가 최적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캐비닛(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압력, 방사선의 세기 등의 물리량을 감지하여 신호 처리가 가능한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적외선센서의 다수개를 2차원으로 배열한 센서 조립체일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측정대상인 복수개의 전력부품(2)(3)(4)을 복수개의 전력부품(3)(4)(5) 각각과 이격된 위치에서 비접촉식으로 온도 측정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다수개의 적외선센서가 N행 M열로 배열되어, N X M 개의 픽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열화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6)는 16행4열로 구성될 경우, 64개 픽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렇게 측정된 결과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구현 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각 픽셀의 최대, 최소값을 출력 가능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센서 마운터(5)에 설치되어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의 온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센서 마운터(5) 중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을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 모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식으로,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 각각에 접촉식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 각각의 온도를 접촉식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온도 측정을 희망하는 정확한 위치에 접촉식 온도센서를 설치할 수 있어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배전반의 특성상, 유지 보수시 배전반을 정전시켜야 하고 고압 배전반의 경우 접촉식 온도센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 모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R상 전력부품(2)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적외선 온도센서와, T상 전력 부품(3)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적외선 온도센서와, S상 전력부품(4)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적외선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적외선 온도센서의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전력부품 각각을 위해 적외선 온도센서의 각각으로 측정하므로, 배전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적외선 온도센서들에 체결되는 배선의 정리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어레이 온도센서(6)가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 모두의 온도를 측정할 경우, 어레이 온도센서(6)의 유지보수도 용이하고 배전반 내부 구조도 간단해질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도어(7)(8)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레이 온도센서(6)가 도어(7)(8)에 장착될 경우, 도어(7)(8)의 파손시 어레이 온도센서(6)도 함께 손상될 수 있고, 어레이 온도센서(6)는 도어(7)(8)와 비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센서 마운터(5)에 장착되어 도어(7)(8) 및 복수개의 전력부품(2)(3)(4) 각각 및 도어(7))(8)와 이격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센서 마운터(5)와 전력부품(2)(3)(4)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그 높이(H1)가 센서 마운터(5)의 높이(H2) 보다 낮을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은 그 좌우방향 폭(L1)이 센서 마운터(5)의 좌우방향 폭(L2) 보다 작을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은 외부에서 볼 때 센서 마운터(5)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센서 마운터(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센서 모듈로서, 케이스(61)과, 케이스(61)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 모듈(6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1)는 센서 마운터(5) 중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을 마주보는 면(54)에 설치되고 센서 마운터(5)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피시비 모듈(62)은 피시비(63)와, 피시비(63)에 설치된 어레이 센서모듈(64) 및 렌즈(6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1)는 렌즈(65)의 전방에 센서홀(66)이 형성될 수 있고, 어레이 센서모듈(64)은 렌즈(65) 및 센서홀(66)을 통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케이스(61)는 센서 마운터(5)를 마주보는 면에 개구부(67)가 형성될 수 있고, 센서홀(66)은 케이스(61)의 개구부(67)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66)은 개구부(67)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피시비 모듈(62)은 케이스(61)의 개구부(67)을 통해 케이스(61)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온도센서(6)을 센서 마운터(5)에 설치하였을 때, 케이스(61)의 개구부(67)은 센서 마운터(5)에 덮혀질 수 있다. 즉, 어레이 온도센서(6)의 내부 즉, 피시비 모듈(62)은 센서 마운터(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와이어 형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센서 마운터(5)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센서 마운터(5)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배전반은 본 실시예의 어레이 온도센서(6)에 의해 다수의 전력부품(2)(3)(4)의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어레이 온도센서(6)를 이용한 온도 진단 방법은 배전반 운전부하 수집단계와, 구역 설정단계와, 온도 기준치 설정단계와, 구역별 온도 감시단계와, 구역간 온도차 비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에 의한 온도 진단에 사용되는 온도 기준치들은 배전반의 사용부하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고, 해당 부하량은 배전반과 연결된 상위 제어반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배전반 운전부하 수집단계시, 배전반의 제어부가 해당 배전반을 제어하는 상위 제어반(예를 들면, SCADA)으로부터 부하량을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어레이 온도센서(6)가 측정하는 구역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레이 온도센서(6)가 측정하는 구역을 3개로 설정할 수 있고, 각 구역의 영역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배전반은 어레이 온도센서(6)가 측정하는 구역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잇다. 사용자는 배전반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부를 통해 이러한 구역의 크기 및 위치를 각각 입력할 수 있고, 각 구역별 최대온도, 최소온도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어레이 온도 센서(6)에서 측정된 값은 일정 주기로 배전반의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고, 구역 설정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역으로 나누어 설정될 수 있으며, 각 구역에서 최대, 최소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구역별 온도 감시단계와 구역간 온도차 비교단계에서 배전반의 운전 상태를 진단에 활용된다.
온도 기준치 설정단계는 부하량에 따른 설정 기준을 변경할 수 있고, 부하량에 대한 데이터가 없을 시 배전반의 설계시 결정된 기본 조건값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량이 높을 경우, 온도 기준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고, 부하량이 낮을 경우, 온도 기준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구역별 온도 감시단계는 각 구역에 대한 구역별 온도 기준값 감시단계로서 주의단계, 위험, 경고 단계 각각의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고 해당 기준치 이상의 온도 값이 측정될 경우 부져나 램프 등을 통해 이상진단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온도센서(6)에서 감지되는 영역은 A구역, B구역, C구역일 수 있고, A구역, B구역, C구역 각각은 제1온도(주의설정온도), 제2온도(경보설정온도), 제3온도(위험설정온도)를 갖을 수 있다.
구역별 온도 감시단계시 배전반의 제어부는 A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B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C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온도(주의설정온도) 이상이고 제2온도(경보설정온도) 미만이면, 주의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배전반의 제어부는 A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B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C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온도(경보설정온도) 이상이고, 제3온도(위험설정온도) 미만이면 경보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A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B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C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3온도(위험설정온도) 이상이면 위험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구역간 온도차 비교단계는 구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구역 대한 온도차를 연산할 수 있고, 온도차가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부져나 램프 등을 통해 이상진단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역간 온도차 비교단계시 배전반의 제어부는 A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B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C구역에서 감지된 온도 중 2개 온도의 차를 이용하여 구역간 온도차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2개 온도의 차는 A구역에서 감지된 온도와 B구역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제1온도차)일 수 있고, B구역에서 감지된 온도와 C구역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제2온도차)일 수 있으며, A구역에서 감지된 온도와 C구역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제3온도차)일 수 있다. 배전반의 제어부는 이러한 제1온도차와 제2온도차와 제3온도차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배전반의 제어부는 이러한 제1온도차와 제2온도차와 제3온도차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온도차(주의설정온도차) 이상이고 제2기준온도차(경보설정온도차) 미만이면, 주의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배전반의 제어부는 제1온도차와 제2온도차와 제3온도차 중 적어도 하나가 제2기준온도차(경보설정온도차) 이상이고, 제3기준온도차(위험설정온도차) 미만이면 경보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배전반의 제어부는 제1온도차와 제2온도차와 제3온도차 중 적어도 하나가 제3기준온도차(위험설정온도차) 이상이면 위험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마운터가 캐비닛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센서 마운터(5)는 클립이나 스크류나 후크 등의 체결부재(P)에 의해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에 그 설치 높이 가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 마운터(5)에 장착되는 어레이 온도센서(6)는 센서 마운터(5)의 높이 가변에 의해 그 감지 영역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캐비닛(1) 특히, 좌측 프레임(11) 및 우측 프레임(12)에는 센서 마운터(5)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P)가 장착될 수 있는 다수의 체결공(17)(18)(19)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마운터(4)는 좌측 체결부(51) 및 우측 체결부(52)가 다수의 체결공(17)(18)(19)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상측 체결공(17)에 체결부재(P)로 체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어레이 온도센서(6)의 설치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센서 마운터(4)는 좌측 체결부(51) 및 우측 체결부(52)가 다수의 체결공(17)(18)(19)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하측 체결공(19)에 체결부재(P)로 체결될 수 있으며, 어레이 온도센서(6)의 설치 높이가 낮을 수 있다.
센서 마운터(4)는 좌측 체결부(51) 및 우측 체결부(52)가 다수의 체결공(17)(18)(19) 중 상측 체결공(17)과 하측 체결공(19) 사이의 중앙 체결공(18)에 체결될 수 있으며, 어레이 온도센서(5)는 체결부재(P)가 상측 체결공(17)에 체결되는 경우와 하측 체결공(19)에 체결되는 경우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실시예에 따른 센서 마운터와 어레이 온도센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센서 마운터 및 어레이 온도센서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배전반은, 어레이 온도센서(6)의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와 센서 마운터(5)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68)(69)가 돌출될 수 있고, 어레이 온도센서(6)와 센서 마운터(5) 중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68)(69)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8)(59)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8)(69)는 어레이 온도센서(6)의 케이스(61)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8)(69)는 케이스(61) 중 센서 마운터(5)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8)(59)은 센서 마운터(5) 중 R상 전력부품(2)과, T상 전력 부품(3) 및 S상 전력부품(4)을 마주보는 면(54)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8)(69) 케이스(61)에서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부와,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1)에는 센서 마운터(5)를 마주보는 면 상부에 상부 가이드 돌기(68)가 돌출될 수 있고, 센서 마운터(5)를 마누보는 면 하부에 하부 가이드 돌기(69)가 돌출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68)와 하부 가이드(69)는 수평부가 나란하게 돌출될 수 있고, 수직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돌출될 수 있다.
어레이 온도센서(6)는 가이드 돌기(68)(69)가 가이드 레일(58)(59)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서 마운터(5)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2: R상 전력부품
3: T상 전력부품 4: S상 전력부품
5: 센서 마운터 6: 어레이 온도센서
51: 좌측 체결부 52: 우측 체결부
53: 어레이 온도센서 설치부 54: 센서 마운터의 일면
55: 센서 마운터의 타면 61: 케이스
62: 피시비 모듈 67: 개구부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공간에 배치된 전력부품과 이격되게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센서 마운터와;
    상기 센서 마운터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부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어레이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피시비 모듈은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에 설치된 어레이 센서모듈 및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센서 마운터를 마주보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 마운터는 상기 개구부를 막는
    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마운터는
    상기 좌측 프레임에 체결되는 좌측 체결부와;
    상기 우측 프레임에 체결되는 우측 체결부와;
    상기 좌측 체결부와 우측 체결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어레이 온도센서 설치부를 포함하는 배전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에는 상기 센서 마운터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배전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부품은 R상 전력부품과, T상 전력 부품 및 S상 전력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마운터는 상기 R상 전력부품과, T상 전력 부품 및 S상 전력부품을 마주보게 설치된 배전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는 상기 센서 마운터 중 상기 R상 전력부품과, T상 전력 부품 및 S상 전력부품을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배전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와 센서 마운터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어레이 온도센서와 센서 마운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배전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센서 마운터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배전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센서 마운터 중 상기 전력부품을 마주보는 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배전반.
KR2020160002309U 2016-04-28 2016-04-28 배전반 KR200492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09U KR200492549Y1 (ko) 2016-04-28 2016-04-28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09U KR200492549Y1 (ko) 2016-04-28 2016-04-28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15U KR20170003815U (ko) 2017-11-07
KR200492549Y1 true KR200492549Y1 (ko) 2020-11-05

Family

ID=6040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09U KR200492549Y1 (ko) 2016-04-28 2016-04-28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391A (ko) 2018-04-10 2019-10-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용 어레이 온도센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1106B1 (ko) * 2019-03-06 2020-09-29 주식회사 아이비 수배전반내 이상 발열 감시 장치 및 시스템
JP6992785B2 (ja) * 2019-04-16 2022-01-13 オムロン株式会社 温度異常検出装置
KR102130848B1 (ko) * 2019-09-05 2020-08-06 (주)세강엔지니어링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KR102224694B1 (ko) * 2019-09-05 2021-03-09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수배전반용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
KR102349020B1 (ko) * 2021-01-07 2022-01-11 (사)힘찬장애인복지회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784B1 (ko) * 2009-05-11 2010-03-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2차원 스캐닝을 통한 내부부품 온도센싱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017093B1 (ko) * 2009-07-28 2011-02-25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1259436B1 (ko) 2011-11-11 2013-05-03 (주)효성파워택 모터콘트롤센터의 버스바 검지장치
KR101417771B1 (ko) 2014-02-07 2014-07-14 (주)지디일렉스 2차원 서모파일 어레이 열화상 기반의 수배전반 열화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846U (ko) * 2012-11-06 2014-05-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KR101421588B1 (ko) 2014-03-17 2014-07-23 지투파워 (주) 적외선 열화상 온도 영역 변화 기반의 고압배전반,저압배전반,분전반,모터제어반의 열화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784B1 (ko) * 2009-05-11 2010-03-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2차원 스캐닝을 통한 내부부품 온도센싱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017093B1 (ko) * 2009-07-28 2011-02-25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1259436B1 (ko) 2011-11-11 2013-05-03 (주)효성파워택 모터콘트롤센터의 버스바 검지장치
KR101417771B1 (ko) 2014-02-07 2014-07-14 (주)지디일렉스 2차원 서모파일 어레이 열화상 기반의 수배전반 열화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15U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549Y1 (ko) 배전반
KR100984679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 열화 예측시스템
KR101194021B1 (ko) 다면적 온도감지를 이용한 배전반
KR101041576B1 (ko) 적외선 온도감지센서를 이용한 버스바 온도감지장치
KR101039313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101457880B1 (ko)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CN105790147B (zh) 一种铠装移开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KR101647456B1 (ko) 직접 접촉식 부스바 온도 측정 장치
KR100880440B1 (ko) 수배전반의 전력 케이블 감시장치 및 방법
EP16840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hot spots in an electric power conductor
KR20170047979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 시스템
KR101112003B1 (ko) 수배전반의 열화검출장치
KR101171723B1 (ko) 배전반과 자동제어반의 온습도 감지부 및 그를 이용한 배전반과 자동제어반의 온습도 감지 및 원격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80003978A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EP3010101A1 (en) Air insulated medium voltage switchgear, and probe system for air insulated medium voltage switchgear
KR102459064B1 (ko) 배전반 감시시스템
KR101723217B1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359853B1 (ko) 분리형 적외선센서 모듈을 이용한 이상 통합 감시 및 불량예측 기능을 구비한 인공지능 원격제어반
KR101386406B1 (ko) 부스바 표면 온도 감지용 무선형 온도센서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114551B1 (ko) 비접촉 온도 감시 장치
KR101528833B1 (ko) 버스바의 실시간 감시장치가 적용된 배전반 및 이의 감시방법
KR20200025057A (ko) 화재방지용 과열감시장치가 설치된 수배전반
KR101475002B1 (ko) 무전원 온도 센서 기반 부스바 온도 및 화재예지감시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JP5456579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393064B1 (ko) 무전원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온도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