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492Y1 - 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492Y1
KR200492492Y1 KR2020190001592U KR20190001592U KR200492492Y1 KR 200492492 Y1 KR200492492 Y1 KR 200492492Y1 KR 2020190001592 U KR2020190001592 U KR 2020190001592U KR 20190001592 U KR20190001592 U KR 20190001592U KR 200492492 Y1 KR200492492 Y1 KR 200492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rning sound
warning device
main body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보갑
Original Assignee
조보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보갑 filed Critical 조보갑
Priority to KR2020190001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49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4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위험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해오는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물체감지부(120), 경고음이 기저장되는 경고음 저장부(180)와, 상기 물체감지부(120)에서 감지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경고음 저장부(180)에 저장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하는 스피커출력부(160), 상기 물체감지부(120)에서 생성한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경고음 저장부(180)에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스피커 출력부(160)를 통해 상기 경고음을 방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 상기 물체감지부(120), 경고음 저장부(180), 스피커출력부(160), 제어부(140)가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물체감지부(120), 경고음 저장부(180), 스피커출력부(160), 제어부(14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력공급부(190) 및 일측이 벽면에 고정설치 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를 벽면에 결합시키는 지지판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ger warning device that detects an object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an object detection unit 120 that detects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generates detection information, a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in which a warning sound is previously stored A speaker output unit 160 including a speaker 162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stored in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when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and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40, the object detecting unit 120, which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and controls the warning sound stored in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o emit the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output unit 160,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he speaker output unit 160, the main body 100 provided with the control unit 140,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he speaker output unit 160, the control unit ( A power supply unit 190 provided to supply power for driving 140, and a support plate member 200 having one side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body 100 to couple the body 100 to the wall surface. );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Description

높이조절이 되는 위험경고장치{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

본 고안은 위험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위험 요소에 접근해 오는 물체에 위험경고를 발생시키는 위험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ger war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nger warning device that generates a danger warning to an object approaching a danger element by enabling height adjustment.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는 수많은 현장 근로자가 투입되며, 또한 다수의 작업을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에 따라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는 수많은 위험요소와, 현장 근로자들의 부주의함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In general, many field workers are put into construction sites and industrial sites,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number of works are simultaneously carried out.Therefore, safety accidents due to numerous risk factors and carelessness of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s and industrial sites. Occurs frequently.

그러므로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는 관리자들이 현장에 배치되어 근로자들을 관리 감독하도록 하고 있으나, 근로자의 수에 비해 현장에 배치되는 관리자의 수는 현저하게 적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충분한 관리 감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안전사고 예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construction sites and industrial sites, managers are assigned to the site to supervise workers, but in most cases, the number of managers assigned to the site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number of workers, so sufficient supervision has not been achiev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is not being implemented effectively.

그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803321호 등에서,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경고표지판과 같이 시각적 경고 표시 수단으로 위험요소에 대해 경고하게 됨에 따라 근로자나 현장에 접근하는 사람들이 이를 알아보지 못하고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전히 다수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있어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위험경고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03321, etc., technologies for preventing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nd industrial sites are being developed, but most of the time, as warning signs, such as warning signs, are used to warn workers about risk factors. B. Since people approaching the site often pass by without recognizing this, a number of safety accidents still occur,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 risk warn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safety accidents.

또한, 종래의 위험경고장치는 특정 장소의 높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구비되어 그 활용성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경고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danger warning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fixed and installed at a height of a specific place, its utility is limited, an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 danger warn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moved to and installed at various heigh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3321호 (2017.11.24.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3321 (registered on November 24, 2017)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 요소에 접근해오는 물체에 청각적 위험경고를 발생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경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nger warn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generating an audible danger warning to an object approaching a danger elemen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위험경고장치의 설치 높이 및 상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각지대를 감소시킴으로써 물체접근에 따른 유효 감지 범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활용성이 향상된 위험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nger warning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by providing an effective detection range according to object approach by reducing the blind spot by easily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and the vertical angle of the danger warning device. Is to do.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물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위험경고장치에 있어서,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해오는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물체감지부(120)와 경고음이 기저장되는 경고음 저장부(180)와, 상기 물체감지부(120)에서 감지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경고음 저장부(180)에 저장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하는 스피커출력부(160)와 상기 물체감지부(120)에서 생성한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경고음 저장부(180)에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스피커 출력부(160)를 통해 상기 경고음을 방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물체감지부(120), 경고음 저장부(180), 스피커출력부(160), 제어부(140)가 구비되는 본체(100)와 상기 물체감지부(120), 경고음 저장부(180), 스피커출력부(160), 제어부(14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력공급부(190); 및 일측이 벽면에 고정설치 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를 벽면에 결합시키는 지지판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danger warning device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by detecting an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for generating detection information by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warning sound are previously stored. A speaker output unit 160 including a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hat is configured and a speaker 162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stored in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when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40 that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and controls the warning sound stored in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o emit the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output unit 160 and the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he speaker output unit 160, the main body 100 provided with the control unit 140,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speaker output A power supply unit 190 provided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140; And a support plate member 200 having one side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o couple the main body 100 to the wall.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력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위험경고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력 공급부(192) 및 입사되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장 배터리내부에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위험경고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부(19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built using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192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danger warning device and incident solar energ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built-in battery unit 194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danger warning device by charging power inside the batter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는 일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도어(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110)는 일측이 힌지 고정부(116)에 의해 힌지 고정되며 타측은 자력에 의해상기 본체와 결합하도록 자석을 갖는 결합체(1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door 110 such that one side is openable, the door 110 is hinged on one side by a hinge fixing unit 116 and the other side is fixed by magnetic for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ody 118 having a magne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bod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100)와 상기 지지판부재(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설치높이 조절부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further comprising an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features.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는, 상기 지지판부재(200)의 일면에 이격 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기둥(242)과, 상기 고정기둥(242)에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고정기둥(242)의 내부 관통홀에 설치되는 스프링(245)에 의해서 탄성지지 되는 탄성돌기(244)와, 상기 고정기둥(242)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고정기둥(24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통공(248)이 형성되되,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결합되는 이송가이드(246)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돌기(244)는 상기 이송가이드(246)의 통공(248)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위치는 상기 고정기둥(242)에 고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is installed spaced apart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and a fixing column 242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x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a row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pillar 242, an elastic protrusion 244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245 installed in the inner through hole of the fixing pillar 242, and the fixing pillar 242 ) Is inserted through and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xing pillar 242, and at least one or more through holes 248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urface, and a transfer guid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 246), and the elastic protrusion 244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248 of the transfer guide 24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is fixed to the fixing column 242.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판부재(200)와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의 상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and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the angle adjustment member for adjusting the vertical inclination angle of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260).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는,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해오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와, 물체감지부에서 물체가 감지됨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출력부, 위험경고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가 설치된 위치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동물 등의 물체에 효과적으로 위험경고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jec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peaker output unit that outputs a warning sou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and power for driving the danger warning device. It is provided to include a power supply unit, so that a danger warning can be effectively issued to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an animal approaching the location where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는, 본체에 도어가 구비됨에 따라, 본체 내부를 비 또는 눈 등으로부터 보호받고, 내부 수납을 용이하도록 하도록 하여,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usability by protecting the interior of the body from rain or snow, and facilitating internal storage as a door is provided in the body.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는, 설치높이 및 각도 조절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설치 높이 및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접근해 오늘 물체를 감지하는 범위를 설정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시키고, 활용성이 향상된 위험경고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stallation height and angle adjustment member,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and the vertical angle are easily adjusted to set the range to detect the object today to minimize the blind spot and utilize i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danger warning device with improved performanc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높이 조절부재(24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pecific cont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험 경고장치는 본체(100), 물체감지부(120), 제어부(140), 스피커출력부(160), 경고음저장부(180), 전력공급부(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 object detec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40, a speaker output unit 160, a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 190).

우선 본체(100)는 물체감지부(120), 제어부(140), 스피커출력부(160), 경고음저장부(180), 전력공급부(190)를 포함하는 위험경고장치의 각 구성들이 구비되는 기본 몸체(body)를 이루는 것으로, 본체(100)의 일면에 개방 가능하도록 도어(110)를 더 포함한다. First, the main body 100 is a basic structur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danger warning device including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the control unit 140, the speaker output unit 160,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rovided. To form a body (body), further includes a door 110 to be open to one surface of the body (100).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110)는 일측이 힌지 고정부(116)에 의해 힌지 고정되며, 타측은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결합하도록 자석을 갖는 결합체(118)가 형성된다. Preferably, one side of the door 110 is hinged by a hinge fixing part 116,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combination body 118 having a magnet so as to couple with the main body 100 by magnetic force.

상기 결합체(118)에는 상기 도어(110)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도어(110)의 일면에 연장되어 하단부에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를 지님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ssembly 118 has a structure that extends on one surface of the door 110 so as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110 and protrudes convexly at the lower end.

또한, 상기 도어(110)는 물체 감지부(120)의 감지 유닛(122)이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창(112)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송출구멍(11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door 110 is formed with a detection window 112 for the detection unit 122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to detect an object, and a speaker transmission hole 114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상기 감지창(112)은 감지유닛(122)의 감지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사각형 형태의 창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피커송출구멍(114)은 스피커(162)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이 원거리까지 전달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ection window 112 may be implemented as a rectangular window that does not limit the detection range of the detection unit 122, and the speaker transmission hole 114 has a plurality of warning sounds output from the speaker 162 to be transmitted to a long distance.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four holes.

다음으로, 물체감지부(120)는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로부터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해오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위험경고장치로부터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가 접근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송신하도록 구비되며, 이때 ‘물체’는 물체감지부(120)의 감지 대상이 되는 사람, 동물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Next,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is for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generates detection information when a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anger warning device. It is provided to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140, and in this case, the'object' may be understood as a person, an animal, etc. to be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일례로, 물체감지부(120)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센서는 물체에서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감지된 적외선의 파장에 따라 물체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감지정보는 감지되는 적외선 파장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detects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object, and can detect an object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detected infrared rays. Contains images representing infrared wavelengths.

다른 예로, 물체감지부(120)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센서는 초고주파나 레이저를 방사하여, 방사된 초고주파나 레이저의 반사파의 존재 유무에 따라 물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the object detecting unit 120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and the optical sensor may detect an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mitted ultra-high frequency or the reflected wave of the laser by emitting ultra-high frequency or laser.

또 다른 예로, 물체감지부(120)는 카메라와 영상정보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 분석부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달받아 분석함으로써 사물을 감지할 수 있게 되며, 감지정보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and an image information analysis unit, and by capturing an image or image through the camera, the image information analysis unit receives and analyzes the image or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n object can be detected,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includes an image or image captured by a camera.

또한, 물체감지부(120)는 적외선센서, 근접광센서, 카메라와 영상정보 분석부 외에도 근접해오는 물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물체 감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단을 복합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infrared sensor, the proximity light sensor, the camera and the image information analysis unit,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may use a variety of means that can easily detect an object that is approaching.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mbination of means.

다음으로, 스피커출력부(160)는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로 접근해오는 물체에게 청각적 위험경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출력부(160)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한다. 스피커출력부(160)는 물체감지부(120)를 통해 소정거리 이내의 물체가 감지되어 감지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경고음 저장부(180)에 저장되는 경고음을 스피커(162)에서 출력한다.Next, the speaker output unit 160 is for providing an audible danger warning to an object approaching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aker output unit 160 includes a speaker 162 that outputs a warning sound. . The speaker output unit 160 outputs a warning sound stored in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from the speaker 162 when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s detected through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and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이때, 경고음 저장부(180)는 하나 이상의 경고음이 저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경고음이 저장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경고음을 위험상황별, 위험단계별, 언어종류별 등 각종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이로 인해 스피커출력부(160)는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각 분류에 저장된 경고음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경고음이 선택되어 출력된다.At this time,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may store one or more warning sounds, and when a plurality of warning sounds are stored, the plurality of warning sounds ar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various classification criteria such as danger situation, danger level, language type, etc. For this reason, the speaker output unit 160 selects and outputs one or more warning sounds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among warning sounds stored in each category by the control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경고음 저장부(180)는 스피커(162)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스피커(162)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되 스피커(162)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경고음 저장부(180)가 스피커(162)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유무선 통신수단에 의해 경고음 데이터를 스피커(162)로 전송하여 출력된다.In addition,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peaker 162, or provided in a separate device from the speaker 162 but connected to the speaker 162, and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When provided in a separate device from 162, the warning sou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162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output.

한편, 스피커출력부(160)는 스피커(162)를 통해 출력되는 경고음의 소리크기 조절, 소리 지속시간 설정, 소리발생 빈도 설정, 스피커(162) 전원 온/오프 설정 등 스피커(162) 구동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스피커 설정부(164)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output unit 160 controls the loudness of the warning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162, the sound duration setting, the sound frequency setting, the speaker 162 power on/off setting, etc. It further includes a speaker setting unit 164 for setting.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의 각 구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0) 내에서 모든 제어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되 외부단말기 또는 서버 등 통신수단에 의해 연동되어 원격의 관리자의 입력을 받아 제어조작이 가능하다.Next, the control unit 140 i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each component of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ovided to perform all control operations within the main body 100, or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It is interlocked by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n external terminal or a server, and control operation is possible by receiving input from a remote administrator.

또한, 제어부(140)는, 물체감지부(12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감지정보수신유닛(142)과, 상기 감지정보수신유닛(142)에서 수신되는 감지정보에 따라 스피커출력부(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유닛(14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sens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2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object sensing unit 120, and a speaker output unit 160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2. It includes a speaker control unit 144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다음으로, 전력공급부(190)는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의 각 구성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전력공급부(192)와 내장배터리부(194)를 포함한다. Nex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each component of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192 and an internal battery unit 194.

이때, 외부전력 공급부(192)는, 외부 어댑터 입력 전원 또는 외부 충전 전원 등으로부터 전력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위험경고장치의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전력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측부에 전력 입력 단자가 형성되는 전기릴선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192 i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requiring power from the danger warning devi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a power input terminal from an external adapter input power or external charging power, etc. It includes an electric reel wire having a power input terminal formed on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pply means to receive power.

또한, 내장배터리부(194)는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가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정전과 같이 비상상황으로 인해 외부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내장배터리부(194)는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외부전력 공급부(192)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가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built-in battery unit 194 is for use in a situation where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upplied with power from outside or is not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due to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power outage. The battery unit 194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and is provided to maintain a charged state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192 in normal times.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장배터리부(194)는 외부전력 공급부(19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을 충전하거나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외부전력 공급부(192)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정전과 같이 비상상황으로 인해 외부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인 비상시에 외부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배터리로부터 위험경고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In more detail, the built-in battery unit 194 is provided including a battery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192 and charges or discharges the charged power, and provides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192 from the outside. Even if the power supply to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off from the outside in the case of an emergency in which external power cannot be supplied due to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power outage, or the power supply to the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off, the battery is sent to the danger warning device. Supply the necessary power.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 등의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충전이 완충되는 경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battery may be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and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it is preferable that a means for preventing overcharging of the battery is additionally provided.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는(100)는 상기 본체(100)를 벽면에 결합시키는 지지판부재(200)와 결합이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0)와 지지판부재(200) 사이에는 상기 본체(100)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설치높이 조절부재(240)가 형성된다.2 to 3, the main body 100 is coupled with a support plate member 200 that couples the main body 100 to a wall surface, an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An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이때, 상기 지지판부재(20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제1고정체결부(20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체결부(202)는 상기 지지판부재(200)와 상기 지지판부재(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본체(1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벽면에서의 강한 지보력을 구현해야 하므로, 철재, SUS 등의 금속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앙카볼트, 고정핀, 스크류 볼트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철재 앙카볼트로 구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fixing part 202 is provided to fix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to the wall surface. Since the first fixed fastening part 202 needs to implement a strong support on the wall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and the body 100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steel , Metal such as SUS may be used,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chor bolts, fixing pins, screw bolts, etc., preferably, it may be implemented as a steel anchor bolt.

또한 상기 지지판부재(200)의 재질은 철판, 철재 등의 금속재질 또는 목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형상의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may be implemented as a metal material such as a steel plate, iron material, or wood, preferably a stee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rectangular shape.

한편,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는 상기 지지판부재(200)의 일면에 이격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기둥(242)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and includes a fixing column 242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고정기둥(242)은 원통형 기둥, 사각형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기둥의 형상을 지니며, 기둥의 외부면은 마찰이 적은 매끈한 면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column 24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column, a rectangular column, etc., preferably has a shape of a cylindrical colum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mooth surface with little fric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높이 조절부재(24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기둥(242) 내부에는 상기 고정기둥(242)에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다수개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탄성돌기(244)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탄성돌기(244)는 상기 고정기둥(242)의 내부 관통홀에 설치되는 스프링(245)에 의해서 탄성지지 된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244 protruding from 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a row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fixing column 242 inside the fixing column 242. do. The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244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245 installed in an inner through hole of the fixing column 242.

상기 탄성돌기(244)는 상기 스프링(245)에 의해 지지되되, 관통홀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돌기(244)의 후면은 상기 탄성돌기(244)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판과 일체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protrusion 244 is supported by the spring 245, but the rear surface of the elastic protrusion 244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ocking plat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elastic protrusion 244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through hole. It is preferable to be fastened with.

상기 스프링(245)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체로, 각 관통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링(245)이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탄성돌기(244)의 후면 걸림판을 받쳐주고, 타측은 상기 고정기둥(242) 내부의 일면에 고정된다. The spring 245 is an elastic body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at least one spring 245 is formed in each through hole, one side supports the rear locking plate of the elastic protrusion 244, and the other side supports the fixing It is fixed to one surface inside the pillar 242.

한편, 상기본체(100)의 일측과 고정체결 되어 있는 이송가이드(246)는 상기 고정기둥(242)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고정기둥(24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guide 246 fixedly fasten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column 242 and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xing column 242,

상기 이송가이드(246)는 상기 고정기둥(242)이 원통형 기둥 형상을 지님으로,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송가이드(246)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되, 소정의 외경을 갖는 고정기둥(242)보다 1 내지 5mm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nsfer guide 246 has a cylindrical column shape in which the fixing column 242 has a cylindrical column shape, so that the transfer guide 246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column shape, and a fixed column having a predetermined outer diameter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of 1 to 5 mm larger than (242).

이때, 상기 이송가이드(246)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상,하단에 적어도 각 각 1개씩 구비되어 상기 이송가이드(246)에 결합된 본체(100)를 상기 고정기둥(242)에 관통 삽입함으로써 이송가이드(246)의 원활한 상하 움직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0)가 상기 이송가이드(246)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본체(100)가 상기 이송가이드(246)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transfer guide 246 is provided at least one each at the top and bottom of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inserts the main body 100 coupled to the transfer guide 246 through the fixing column 242 By doing so, not only provides a smooth vertical movement of the transfer guide 246, but also prevents the main body 100 from falling out of the transfer guide 246 so that the main body 100 is stably fixed with the transfer guide 246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이송가이드(246)는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통공(248)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248)은 상기 탄성돌기(244)가 체결이 되는 구멍으로, 상기 통공(248)의 직경은 상기 탄성돌기(244)와 끼움결합 되어 고정될 수 있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nsfer guide 246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248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urface thereof, the through hole 248 is a hole through which the elastic protrusion 244 is fastened, and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48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that can be fitted and fixed with the elastic protrusion 244.

상기 탄성돌기(244)에 의해 체결된 상기 이송가이드(246)는 일정 높이에서 상기 본체(100)와 함께 높이가 고정이 된다. The transfer guide 246 fastened by the elastic protrusion 244 is fixed in height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00 at a predetermined height.

한편, 상기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통공(248)에 돌출된 상기 탄성돌기(244)를 후퇴시킬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한다. Meanwhile,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0, a means capable of retreating the elastic protrusion 244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48 is used.

일례로, 손 또는 장비 등으로 상기 탄성돌기(244)에 힘을 가하여 상기 고정기둥(242)내부의 관통홀로 상기 탄성돌기(244)를 후퇴시켜 상기 이송가이드(246)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본체(1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transfer guide 246 is released by applying a force to the elastic protrusion 244 with a hand or equipment to retract the elastic protrusion 244 through a through hole inside the fixing column 242, the It is possible to move the main body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경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anger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부재(200)와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의 사이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부재(260)는 상기 물체감지부(120)가 구비된 본체(100)의 감지 각도를 상,하로 조절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angle adjusting member 26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and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ing member 240 detects the body 100 provided with the object sensing unit 120 The angle can be adjusted up and down.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조절부재(260)는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의 상기 고정기둥(242) 양단에 적어도 1개 이상 각 각 설치된다.Preferably, at least one or more angle adjustment members 26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illar 242 of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이때, 상기 각도 조절부재(260)의 일측이 상기 고정기둥(242)에 제 1고정핀(262)으로 결합되되, 회전이 가능한 제1링크(264)가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판부재(200)의 일면에 제 2고정핀(268)으로 결합되되, 회전이 가능한 제2링크(26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264)와 상기 제2링크(266)가 맞닿는 교차부분에는 제3고정핀(270)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angle adjustment member 260 is coupled to the fixing column 242 by a first fixing pin 262, a first link 264 capable of rotation is provided, and the other side is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 Is coupled with a second fixing pin 268 on one side, and a second link 266 capable of rotation may be provided, and at an intersection where the first link 264 and the second link 266 abut It is formed to be fixed by the third fixing pin 270.

또한, 상기 제1링크(264) 및 상기 제2링크(266)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링크(264) 및 상기 제 2링크(266)가 맞닿는 교차 부분이 원활히 작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264 and the second link 266,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where the first link 264 and the second link 266 abuts is formed to be smoothly operable. .

일례로, 상기 각도 조절부재(260)에 의해 상기 본체(100) 각도를 상향시키면,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의 상단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재(260)는 제1링크(264)와 제2링크(266)가 서로 포개져서 좁아지며, 반대로, 하단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부재(260)의 제1링크(264)와 제2링크(266)는 서로 확장되어 넓어짐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각도를 조절한다. As an example, when the angle of the main body 100 is increased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260, the angle adjusting member 26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ing member 240 includes the first link 264 and the first link. The two links 266 overlap each other and become narrower, and on the contrary, the first link 264 and the second link 266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260 provided at the bottom are extended and widened to each other. Adjust the angle.

상기 제1링크(264) 및 상기 제2링크(266)는 철재, SUS등의 금속재가 사용되며, 사각기둥, 원형기둥,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회전에 의한 뒤틀림 방지를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되,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얇은 직사각형의 SUS금속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link 264 and the second link 266 are made of metal, such as steel and SU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pillars, circular pillars, and rectangles. To prevent distortion due to rotation It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but is preferably implemented with a thin rectangular SUS metal material so that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can overlap each other.

한편, 물체감지부(120)는 전방의 소정거리 이내의 영역을 감지하되, 감지영역은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소정각도(a°) 이내의 영역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재(260)의 각도에 따라 물체감지부(120)의 감지 각도는 상하방향으로 더 확장 할 수 있다. 확장 각도(b˚)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30˚또는 하측방향으로 30˚로 형성되어 상기 물체감지부(120)의 감지 영역 구간, 또는 지형지물의 주변 상황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is formed to detect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but the detection area is formed to detect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a°) up and down from the center, and the angle adjusting member 260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detection angle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may be further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xpansion angle (b˚) is formed as 30˚ in the upper direction or 30˚ in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nsing area section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120 or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feature and the user's selection. have.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100: 본체
110: 도어
112: 감지창
114: 스피커송출구멍
116: 힌지고정부
118: 결합체
120: 물체감지부
122: 감지유닛
140: 제어부
142: 감지정보 수신유닛
144: 스피커 제어유닛
160: 스피커출력부
162: 스피커
164: 스피커설정부
180: 경고음저장부
190: 전력공급부
192: 외부전력공급부
194: 내장배터리부
200: 지지판부재
202: 제1고정체결부
240: 설치높이조절부재
242: 고정기둥
244: 탄성돌기
245: 스프링
246: 이송가이드
248: 통공
260: 각도조절부재
262: 제1고정핀
264: 제1링크
266: 제2링크
268: 제2고정핀
270: 제3고정핀
100: main body
110: door
112: detection window
114: speaker transmission hole
116: Hingo Government
118: conjugate
120: object detection unit
122: detection unit
140: control unit
142: detec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4: speaker control unit
160: speaker output unit
162: speaker
164: speaker setting unit
180: warning sound storage unit
190: power supply
192: external power supply
194: built-in battery unit
200: support plate member
202: first fixed fastening part
240: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2: fixed column
244: elastic protrusion
245: spring
246: transfer guide
248: through hole
260: angle adjustment member
262: first fixing pin
264: first link
266: second link
268: second fixing pin
270: third fixing pin

Claims (5)

물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위험경고장치에 있어서,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해오는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물체감지부(120);
경고음이 기저장되는 경고음 저장부(180)와, 상기 물체감지부(120)에서 감지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경고음 저장부(180)에 저장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하는 스피커출력부(160);
상기 물체감지부(120)에서 생성한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경고음 저장부(180)에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스피커 출력부(160)를 통해 상기 경고음을 방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
상기 물체감지부(120), 경고음 저장부(180), 스피커출력부(160), 제어부(140)가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물체감지부(120), 경고음 저장부(180), 스피커출력부(160), 제어부(14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력공급부(190); 및
일측이 벽면에 고정설치 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를 벽면에 결합시키는 지지판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와 상기 지지판부재(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설치높이 조절부재(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는, 상기 지지판부재(200)의 일면에 이격 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기둥(242)과, 상기 고정기둥(242)에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고정기둥(242)의 내부 관통홀에 설치되는 스프링(245)에 의해서 탄성지지 되는 탄성돌기(244)와, 상기 고정기둥(242)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고정기둥(24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통공(248)이 형성되되,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결합되는 이송가이드(246)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돌기(244)는 상기 이송가이드(246)의 통공(248)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위치는 상기 고정기둥(242)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부재(200)와 상기 설치높이 조절부재(24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물체감지부(120)가 구비된 상기 본체(100)의 상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2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재(260)의 각도에 따라 상기 물체감지부(120)의 감지 각도는 상하방향으로 더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경고장치.
In a danger warning device that detects an object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An object detection unit 120 for generating detection information by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peaker output unit including a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in which a warning sound is previously stored, and a speaker 162 that outputs a warning sound stored in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when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160);
A control unit 140 that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and controls the warning sound stored in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o emit the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output unit 160;
A main body 100 including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he speaker output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140;
A power supply unit 190 provided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object detection unit 120, the warning sound storage unit 180, the speaker output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140; And
One sid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for coupling the main body 100 to the wall surface; includes,
It is install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further comprises an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member 240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a fixing column 242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xing columns 242 in a line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fixing column 242, the An elastic protrusion 244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245 installed in an inner through hole of the fixing column 242, and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column 242 and moves vertically along the fixing column 242 It is possible, and at least one or more through holes 248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and includes a transfer guide 246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The elastic protrusion 244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248 of the transfer guide 24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ody 100 is fixed to the fixing column 242,
An angle adjusting member 26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member 200 and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ing member 240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vertical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body 100 provided with the object detecting part 120 It further comprises, the detection angle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260 is a danger w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위험경고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력 공급부(192) 및 입사되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장 배터리내부에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위험경고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부(19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경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the outside and charges the power inside the built-in battery us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192 that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danger warning device and incident solar energy. Danger w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built-in battery unit (194)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warn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일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도어(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110)는 일측이 힌지 고정부(116)에 의해 힌지 고정되며 타측은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결합하도록 자석을 갖는 결합체(1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경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0 further includes a door 110 so that one side can be opened,
The door 110 is a danger w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hinged by a hinge fixing portion 116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combination body (118) having a magnet to be coupled to the body 100 by magnetic fo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90001592U 2019-04-17 2019-04-17 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 KR2004924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92U KR200492492Y1 (en) 2019-04-17 2019-04-17 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92U KR200492492Y1 (en) 2019-04-17 2019-04-17 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492Y1 true KR200492492Y1 (en) 2020-10-23

Family

ID=7300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92U KR200492492Y1 (en) 2019-04-17 2019-04-17 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492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360A (en) * 1997-12-03 1999-07-05 김헌출 Safety Accident Prevention Method and Automatic Alarming Device in Dangerous Areas in Construction Sites
KR200388070Y1 (en) * 2005-03-28 2005-06-28 남영기전 주식회사 A reinforcement bar using for building a brick house
KR101557061B1 (en) * 2014-12-04 2015-10-06 (주)런트 Apparatus for warning danger zone
KR20160120561A (en) * 2015-04-08 2016-10-18 (주)유림아크릴 Safety cabinet
KR101803321B1 (en) 2016-07-11 2017-12-04 양정규 Warning pla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360A (en) * 1997-12-03 1999-07-05 김헌출 Safety Accident Prevention Method and Automatic Alarming Device in Dangerous Areas in Construction Sites
KR200388070Y1 (en) * 2005-03-28 2005-06-28 남영기전 주식회사 A reinforcement bar using for building a brick house
KR101557061B1 (en) * 2014-12-04 2015-10-06 (주)런트 Apparatus for warning danger zone
KR20160120561A (en) * 2015-04-08 2016-10-18 (주)유림아크릴 Safety cabinet
KR101803321B1 (en) 2016-07-11 2017-12-04 양정규 Warn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8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nger
US9799184B2 (en) Microwave motion sensing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hereof
US6966147B2 (en) Automatic pet door
US8522487B2 (en) Safety hatch system and egress
KR102055765B1 (en) Movable intelligent wireless object internet safety case with functions of construction sites danger detection and warning
KR200492492Y1 (en) The height-adjustable warning apparatus
US20120119907A1 (en) Warning stanchion
KR102210087B1 (en) IoT DEVICE TO PREVENT SUICIDE ON BRIDGES AND PREVENT SUICIDE SYSTEM USING SAME
DE602004008109T2 (en) MOUNT WALL SYSTEMS SECURITY
KR102116678B1 (en) Warn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and industrial sites
KR102212413B1 (en) Multipurpose smart warning lighting appat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04261B1 (en) Safety device for high work place platform and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726989B1 (en) Airbounce with a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afety insurance
KR101726678B1 (en) Security fence
KR101784504B1 (en) Detecting apparatus for the upper optical line
CN117916426A (en) Variable sliding manhole safety protection device
CA2594076C (en) Method, system and support mechanism for object identification
KR102143232B1 (en) Sturdy post for fence
CN107973202B (en) Car door with circular opening
KR200495397Y1 (en) Safty alarm apparatus for color cone
CN113916058B (en) Remote restraint device and panel, movable stay bar and support seat thereof
KR102496946B1 (en) De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ezzanine with de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2503853B1 (en) Movable apparatus for emergency exit guidance
KR20230023951A (en) Manhole cover for ship
KR20200056707A (en) Sutte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