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325Y1 - Disposable vessel - Google Patents

Disposable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325Y1
KR200492325Y1 KR2020190003030U KR20190003030U KR200492325Y1 KR 200492325 Y1 KR200492325 Y1 KR 200492325Y1 KR 2020190003030 U KR2020190003030 U KR 2020190003030U KR 20190003030 U KR20190003030 U KR 20190003030U KR 200492325 Y1 KR200492325 Y1 KR 200492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circumferential
reg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03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성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성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성캠테크
Priority to KR2020190003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32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2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일회용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부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다른 용기 몸체부의 둘레면과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홈 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osable container. The disposable container has an upper portion open,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container body portion formed such that the width gradually narrow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t is formed around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to form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container body.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용기{DISPOSABLE VESSEL}Disposable container with easy separation {DISPOSABLE VESSEL}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겹쳐 보관이 가능함과 아울러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ble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s well as stacked with each other.

일반적으로 종래의 일회용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를 갖는다.In general, a conventional disposable container has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 top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통상 상기 용기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 몸체는 다수를 이루어 서로 적층되도록 끼워져 보관된다.Typically,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is inserted and stored so as to be stacked with each other in a plurality.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용기들이 적층되도록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ventional disposable containers are inserted to be stacked.

도 1을 참조 하면, 이때 제 1용기 몸체의 수용 공간에는 제 2용기 몸체가 끼워진 상태를 이룬다. 상기 제 1,2용기 몸체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t this time, the second container body is fit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 bodies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여기서 상기 제 2용기 몸체의 외주면은 제 1용기 몸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제 1용기 몸체의 내주면과 제 2용기 몸체의 외주면은 서로 밀착되면서 밀착 영역을 형성한다.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ccording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ontact area.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리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단에 위치된 제 2용기 몸체를 그 하부에 배치된 제 1용기 몸체로부터 탈거되도록 빼내어 사용한다.In such a state and when intended to be used, the second container body located at the top is removed from the first container body located at the lower part and used.

이때 상기 밀착 영역이 형성됨으로 인해 즉 일정 이상의 밀착력이 형성됨으로 인해 제 2용기 몸체는 제 1용기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없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cond container body cannot be easily remov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ontact region, that is, a certain or more adhesion force.

이에 제 2용기 몸체를 강제로 빼내기 위해 과도한 힘을 가하는 경우 용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force the second container body out, a problem such as damage to the container may occur.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 20-2011-0000531호(공개일: 2011.01.18)가 있다.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Publication No. 20-2011-0000531 (published on January 18, 2011).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서로 겹쳐 보관이 가능함과 아울러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s well as overlapping with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다수의 용기를 서로 겹쳐 보관하는 경우 용기들 사이에 밀착되는 영역에서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container capable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moisture in a region in close contact between containers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일회용 용기의 용기 몸체의 둘레 및 바닥에 일정의 지지 문양을 형성하여 용기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켜 형상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container capable of efficiently preventing shape deformation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container itself by forming a predetermined support pattern on the circumference and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of the disposable container.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osable container.

상기 일회용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부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다른 용기 몸체부의 둘레면과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홈 부를 포함한다.The disposable container has an upper portion open,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container body portion formed such that the width gradually narrow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t is formed around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to form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container body.

여기서 상기 다수의 홈 부는,Here, the plurality of grooves,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동일 선상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Doedo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it is preferable to form a uniform spacing along the same line.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홈 부 각각은,And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다각 형상을 이루는 홈 둘레변들과, 상기 홈 둘레변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홈 부 각각의 중심점에 연결되는 경사면들을 포함하되,Groove circumferential sides forming a polygonal shape, and including inclined surfaces extending from the groove circumferential sides and connected to a central poi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상기 중심점은,The center point is,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용기 몸체부의 수용 공간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to protrude alo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상기 경사면들의 사이에는 곡면으로 연결되고,Also, a curved surface is connect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상기 중심점은,The center point is,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protrude by making a round shape.

또한 상기 용기 몸체부는,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portion,

제 1영역과 제 2영역을 포함하되,Includ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다수의 홈 부를 이루는 영역이고,The first region is a region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grooves,

상기 제 2영역은 상기 홈부 영역 외 나머지 영역이고,The second area is an area other than the groove area,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는,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is,

상기 제 2영역의 두께 보다 일정 두께 더 두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특히, 상기 중심점은 상기 홈 둘레변들로부터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고,In particular, the center point is formed in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peripheral sides of the groove,

상기 경사면들의 경사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ations of the inclined surfaces may be formed differently.

그리고 상기 용기 몸체부는,And the container body part,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부 둘레를 이루는 둘레 몸체와,A circumferential body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forming a circumference of the side,

상기 둘레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바닥 몸체를 포함하되,Including a bottom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body,

상기 둘레 몸체는,The circumferential body,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되,It is formed so that the width gradually nar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둘레 몸체는 상기 둘레 몸체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단차부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body may be formed by forming a step along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body.

또한 상기 단차부는,In addition, the step portion,

웨이브 형상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form the boundary of the wave shape.

또한 상기 단차부는,In addition, the step portion,

제 1단차와, 제 2단차와, 상기 제 1단차와 상기 제 2단차를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되,A first step, a second step, and a connection region connecting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상기 연결 영역은,The connection area,

하방을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make an inclination at a certain angle along the bottom.

또한 상기 바닥 몸체의 중앙부에는,In addi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bottom body,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영역이 형성되되,A protruding area protruding upward is formed,

상기 돌출 영역은,The protruding area,

상기 바닥 몸체의 테두리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im of the bottom body.

또한 상기 바닥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물이 형성되고,In addition,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body,

상기 바닥 몸체의 하단부에는,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body,

일단이 상기 돌기물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방사상으로 상기 바닥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되 하방을 따라 돌출되는 다수의 연장 라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is radially extended along the rim of the bottom body,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lines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또한 상기 바닥 몸체의 하단부에는,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body,

상기 돌기물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형성하는 다수의 원형 라인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더 형성되고,With the protrusion as the center, a plurality of circular lines forming different radii are further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상기 다수의 연장 라인은,The plurality of extension lines,

상기 다수의 원형 라인과 교차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be cross-connected with the plurality of circular lines.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서로 겹쳐 보관이 가능함과 아울러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By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easily separated while being able to overlap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용기를 서로 겹쳐 보관하는 경우 용기들 사이에 밀착되는 영역에서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moisture in a region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containers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의 용기 몸체의 둘레 및 바닥에 일정의 지지 문양을 형성하여 용기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켜 형상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fficiently preventing shape deformation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container itself by forming a predetermined support pattern on the circumference and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of the disposable container.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용기들이 적층되도록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홈 부의 다른 형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몸체부의 두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단차부에 형성되는 연결 영역의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몸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들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들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ventional disposable containers are inserted to be stack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B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shape of the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of a connection region formed on a steppe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loo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iner of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it means that an arbitrary configuration is provided or arranged on the "upper (or lower)" or "upper (or lower)"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arbitrary configuration is provided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ans that.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other configurations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nfiguration provided or disposed on (or under) the substrate.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osa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는 용기 몸체부와 다수의 홈 부를 갖는다.2 to 5, the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ainer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grooves.

용기 몸체부(100)Container body part (100)

상기 용기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1)이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The container body 100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part is open, the receiving space 1 is formed therein, and the width gradually narrow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상기 용기 몸체부(100)는 둘레 몸체(110)와 바닥 몸체(120)를 갖는다. 상기 둘레 몸체(1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둘레 몸체(110)는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둘레 몸체(110)의 내경은 둘레 몸체(11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The container body 100 has a circumferential body 110 and a bottom body 120.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상기 바닥 몸체(120)는 상기 둘레 몸체(110)의 하단에 일체를 이루어 성형된다.The bottom body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몸체부(100)는 둘레 몸체(110)와 바닥 몸체(120)에 의해 내부에 수용 공간(1)을 형성한다.Accordingly, the container body part 10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1 therein by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and the bottom body 120.

상기 둘레 몸체(110)의 상단 테두리에는 일정 두께의 립(111)이 형성된다. 상기 립(11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A rib 111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The lip 111 is formed in a ring shape.

다수의 홈 부(200)A number of grooves 200

도 6은 도 5의 B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B of FIG. 5.

도 2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홈 부(200)는 용기 몸체부(100)의 내측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다른 용기 몸체부의 둘레면과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2 to 6, a plurality of groove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form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other container body parts.

여기서 상기 다수의 홈 부(200)는 상기 용기 몸체부(100)의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동일 선상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다.Here, the plurality of grooves 200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are formed with uniform intervals along the same line.

즉 상기 다수의 홈 부(200)는 둘레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That is, the plurality of grooves 200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상기 다수의 홈 부(200)는 일정 깊이를 이루는 홈이다. 상기 다수의 홈 부(200)는 상기 둘레 몸체(110)의 외주에서 내주를 따라 일정 깊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grooves 200 are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 plurality of grooves 200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peripher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상기 다수의 홈 부(200) 각각은 마름모 형상을 이루는 4개의 홈 둘레변들(210)과, 삼각 형상을 이루는 2개의 경사면(220)을 갖는다.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00 has four groove circumferential sides 210 forming a rhombus shape and two inclined surfaces 220 forming a triangular shape.

각 경사면(220)의 두 변은 2개의 홈 둘레변(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경사면(220)의 나머지 한 변은 서로 연결된다.Two sides of each inclined surface 220 are connected to the two groove circumferential sides 210. And the other side of each inclined surface 220 is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2개의 경사면(220)은 용기 몸체부(100)의 수용 공간(1) 측을 따라 돌출된다. 이에 따라 둘레 몸체(110)의 외측에서는 일정 깊이를 이루는 홈으로 성형된다.Here, the two inclined surfaces 220 protrude along the receiving space 1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Accordingly,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is formed into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그리고 서로 연결되는 2개의 경사면(220)의 다른 한 변 들은 둘레 몸체(110)의 원주 방향을 따르고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other side of the two inclined surfaces 220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홈 부의 다른 형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shape of the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 하면, 다수의 홈 부(200') 각각은 다각 형상을 이루는 홈 둘레변들(210')과, 상기 홈 둘레변들(21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홈 부(200') 각각의 중심점(P)에 연결되는 경사면들(2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200 ′ extends from the groove circumferential sides 210 ′ forming a polygonal shape and the groove circumferential sides 210 ′, and the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200 ') Includes inclined surfaces 220' connected to each center point P.

상기 중심점(P)은 상기 용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용기 몸체부(100)의 수용 공간(1)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center point (P)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0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receiving space (1)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0).

또한 상기 경사면들(220')의 사이에는 곡면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s 220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urved surface.

상기 중심점(P)은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돌출될 수도 있다.The central point P may protrude in a round shape.

특히, 상기 중심점(P)은 상기 홈 둘레변들(210')로부터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들(220')의 경사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enter point P may have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groove circumferential sides 210 ′, and the inclined surfaces 220 ′ may have different inclinations.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몸체부의 두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용기 몸체부(100)는 제 1영역과 제 2영역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ainer body 100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다수의 홈 부(200)를 이루는 영역이고, 상기 제 2영역은 상기 홈부(200) 영역 외 나머지 영역이다.The first area is an area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grooves 200, and the second area is an area other than the area of the grooves 200.

상기 제 1영역의 두께(t1)는 상기 제 2영역의 두께(t2) 보다 일정 두께 더 두텁게 형성된다.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region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region.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홈 부(200)가 성형되는 영역의 강도를 보완하여 홈부(200) 자체의 형상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지 강도 역시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reg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grooves 200 are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lemented to prevent shape deformation of the grooves 200 itself, and the support strength can also be increased.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몸체부를 더 설명한다.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용기 몸체부(10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부 둘레를 이루는 둘레 몸체(110)와, 상기 둘레 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바닥 몸체(120)를 포함한다.1 to 5, the container body 10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o form a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and a bottom body 1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Includes.

상기 둘레 몸체(110)는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The circumferential body 110 is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둘레 몸체(110)는 상기 둘레 몸체(11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단차부(130)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body 110 may be formed by forming a stepped portion 130 along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이에 따라 다른 용기 몸체부의 단차부가 상기 단차부(130)에 안착되는 경우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tepped portion of the other container body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30, a stable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단차부(130)는 웨이브 형상의 경계를 이룰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130 may form a boundary of a wave shape.

이에 따라 단차부들 끼리 웨이브 형상을 이루어 안착되는 경우 용기들을 서로 적층시키는 상태에서 보관 또는 이동하는 경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the stepped portions are placed in a wave shape, separation by vibration generated when containers are stored or moved in a stacked state may be prevented.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단차부에 형성되는 연결 영역의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of a connection region formed on a steppe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단차부(130)는 제 1단차(131)와, 제 2단차(132)와, 상기 제 1단차(131)와 상기 제 2단차(132)를 연결하는 연결 영역(133)을 포함한다.9, the stepped portion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irst step 131, the second step 132, and the first step 131 and the second step 132 It includes a connection area 133.

상기 연결 영역(133)은 하방을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좋다.The connection area 133 is preferably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bottom.

이에 따라 용기들이 서로 끼워져 적층되는 경우 안착 영역들(133) 끼리 하방으로 경사지어 접촉되기 때문에, 상측의 용기를 분리하는 경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s are sandwiched and stacked, the seating regions 133 are inclined downwardly to contact each other, and thus, when the upper container is sepa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상기 바닥 몸체(120)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영역(121)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rotruding region 12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body 120.

상기 돌출 영역(121)은 상기 바닥 몸체(120)의 테두리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rotruding region 12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im of the bottom body 120.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몸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loo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iner of FIG. 10.

도 10 및 도 11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몸체(120)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물(14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a protrusion 140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bod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닥 몸체(120)의 하단부에는 일단이 상기 돌기물(140)과 연결되고 타단이 방사상으로 상기 바닥 몸체(12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되 하방을 따라 돌출되는 다수의 연장 라인(150)이 형성된다.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body 120, a plurality of extension lines 150 are formed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40 and the other end radially extending along the rim of the bottom body 120 but protruding downward. do.

또한 상기 바닥 몸체(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기물(140)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형성하는 다수의 원형 라인(160)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더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body 120, a plurality of circular lines 160 forming different radii with the protrusion 140 as the center are further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상기 다수의 연장 라인(150)은 상기 다수의 원형 라인(160)과 교차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extension lines 150 are cross-connected with the plurality of circular lines 160.

상기의 구조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돌기물(140), 연장 라인들(150)과 원형 라인들(160)은 보강 부재로 사용된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protrusions 140, extension lines 150, and circular lines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as reinforcing members.

여기서 상기 돌기물(140)은 바닥 몸체(120)의 중심에서 힘의 중심점을 이루고, 상기 연장 라인들(150)은 구심력 방향을 따라 바닥 몸체(120)의 변형을 방지하며, 원형 라인들(160)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바닥 몸체(120)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protrusion 140 forms a center point of force at the center of the bottom body 120, and the extension lines 150 prevent deformation of the bottom body 120 along the centripetal force direction, and circular lines 160 ) Serves to support the bottom body 120 so that it is not de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들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들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ed state of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 하면, 두 개의 용기(50, 60)가 적층되는 상태를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두 개의 용기를 제 1용기(60)와 제 2용기(50)라 한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a state in which two containers 50 and 60 are stacked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Hereinafter, the two containers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container 60 and the second container 50.

제 2용기(50)는 제 1용기(60)의 상부에서 제 1용기(60)의 수용 공간에 끼워져 적층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50 may be stack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container 60 from the top of the first container 60.

제 2용기(50)의 둘레 몸체 외주는 제 1용기(60)의 둘레 몸체(110)의 내주에 슬립되면서 끼워진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body of the second container 50 is fitted while being slipp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of the first container 60.

또한 제 2용기(50)의 단차부 외주는 제 1용기(60)의 단차부 내주에 걸치는 상태를 이룬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50 forms a state that span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60.

제 2용기(50)의 둘레 몸체에 형성되는 홈 부들(200)은 제 1용기(60)의 둘레 몸체(110)에 형성되는 홈 부에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고, 서로 일정 각도 틀어지는 상태를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The grooves 200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body of the second container 50 are not completely coupled to the groov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of the first container 60, but are combined by forming a state that is twisted by a certain angle. Can be.

이에 제 1용기(60)의 홈 부들은 제 2용기(50)의 둘레 몸체(110)의 외주에 접촉된다. 즉, 상기 제 1용기(60)의 홈부들(200) 내측 공간은 상기 제 2용기(50)의 둘레 몸체(110)의 외주에 이격된다. 즉, 제 1,2용기(60, 50)의 둘레 몸체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는 공간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2용기(50, 60) 간의 밀착력은 일정 이하를 이룰 수 있고, 상기 이격 공간들을 통해 외기에 노출된다.Accordingly, the grooves of the first container 60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of the second container 50.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grooves 200 of the first container 6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ircumferential body 110 of the second container 50. That is, the circumferential bodi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60 and 50 are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spaces are formed. Accordingly, the adhe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0 and 60 may be less than a certain level,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spaced spaces.

이에 제 1,2용기(50, 60)를 서로 분리하는 경우 이격 공간들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 제 1,2용기(50, 60) 간 형성된 압력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0 and 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y are combined through spaced spaces, the pressur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0 and 60 may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제 1,2용기(50, 60)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0 and 60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고안은 서로 겹쳐 보관이 가능함과 아울러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easily separated as well as overlapping with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용기를 서로 겹쳐 보관하는 경우 용기들 사이에 밀착되는 영역에서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moisture in a region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containers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의 용기 몸체의 둘레 및 바닥에 일정의 지지 문양을 형성하여 용기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켜 형상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fficiently preventing shape deformation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container itself by forming a predetermined support pattern on the circumference and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of the disposable container.

이상, 본 고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it is obvious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transmitted,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용기 몸체부
110 : 둘레 몸체
120 : 바닥 몸체
200 : 홈 부
210 : 홈 둘레변
220 : 경사면
100: container body
110: circumferential body
120: bottom body
200: groove part
210: groove circumference side
220: slope

Claims (5)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용기 몸체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부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다른 용기 몸체부의 둘레면과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홈 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홈 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동일 선상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홈 부 각각은, 다각 형상을 이루는 홈 둘레변들과, 상기 홈 둘레변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홈 부 각각의 중심점에 연결되는 경사면들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점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용기 몸체부의 수용 공간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들의 사이에는 곡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심점은,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고,
상기 용기 몸체부는, 제 1영역과 제 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다수의 홈 부를 이루는 영역이고,
상기 제 2영역은 상기 홈부 영역 외 나머지 영역이고,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의 두께 보다 일정 두께 더 두텁게 형성되되,
상기 중심점은 상기 홈 둘레변들로부터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들의 경사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부 둘레를 이루는 둘레 몸체와,
상기 둘레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바닥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둘레 몸체는,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둘레 몸체는 상기 둘레 몸체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단차부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웨이브 형상의 경계를 이루고,
상기 단차부는, 제 1단차와, 제 2단차와, 상기 제 1단차와 상기 제 2단차를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영역은,
하방을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상기 바닥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영역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바닥 몸체의 테두리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The upper portion is open,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container body portion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t is formed around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forming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container body,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re formed with uniform intervals along the same line,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includes groove circumferential sides forming a polygonal shape, and inclined surfaces extending from the groove circumferential sides and connected to a central poi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The central poin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A curved surface is connect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The center point protrudes in a round shape,
The container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grooves,
The second area is an area other than the groove area,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The center point is formed in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peripheral sides of the groove,
The slopes of the slopes are formed differently,
The container body part,
A circumferential body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forming a circumference of the side,
Including a bottom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body,
The circumferential body,
It is formed so that the width gradually nar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circumferential body is formed by forming a step along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body,
The stepped portion forms a boundary of a wave shape,
The stepped portion includes a first step, a second step, and a connection region connecting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The connection area,
It is inclined at an angle along the bottom,
In the central part of the bottom body,
A protruding area protruding upward is formed,
The protruding area,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im of the bottom body,
Disposabl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기물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형성하는 다수의 원형 라인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더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연장 라인은,
상기 다수의 원형 라인과 교차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body,
With the protrusion as the center, a plurality of circular lines forming different radii are further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he plurality of extension lines,
Disposabl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ross-connected with the plurality of circular lin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90003030U 2019-07-18 2019-07-18 Disposable vessel KR20049232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30U KR200492325Y1 (en) 2019-07-18 2019-07-18 Disposable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30U KR200492325Y1 (en) 2019-07-18 2019-07-18 Disposable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325Y1 true KR200492325Y1 (en) 2020-09-17

Family

ID=7266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30U KR200492325Y1 (en) 2019-07-18 2019-07-18 Disposable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325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783Y1 (en) * 2000-12-05 2001-09-25 김회대 Disposable folding paper cups
KR20050078592A (en) * 2004-02-02 2005-08-05 구본호 Cup
KR20090001290U (en) * 2007-08-01 2009-02-05 서병규 Water cup
KR100949319B1 (en) * 2009-05-13 2010-03-23 서병규 Versatile of cup and a manufature making of cu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783Y1 (en) * 2000-12-05 2001-09-25 김회대 Disposable folding paper cups
KR20050078592A (en) * 2004-02-02 2005-08-05 구본호 Cup
KR20090001290U (en) * 2007-08-01 2009-02-05 서병규 Water cup
KR100949319B1 (en) * 2009-05-13 2010-03-23 서병규 Versatile of cup and a manufature making of c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8070B2 (en) Floating units and floating structures assembled from floating units
EP2853500B1 (en) Synthetic resin bottle
RU2553029C2 (en) Plastic container with flexible bottom, which is suitable for hot filling
US8875921B2 (en) Lightweight container having a reinforced base
JP4816296B2 (en) Toilet bowl
KR101098349B1 (en) Container with a stacking projection
US4448344A (en) Egg cell construction
US7225927B2 (en) Cup holder having frusto-conical cavities
US20050224505A1 (en) Leak resistant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JPH10181734A (en) Bottom structure of container such as thin synthetic resin bottle
EP1574439A3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having improved shape stability
CN101641262B (en) Container, chime and assembly of both
KR20130109993A (en) Suspension device for containers
US10562346B2 (en) Vehicle wheel with sub air chamber
JP6884371B2 (en) container
KR200492325Y1 (en) Disposable vessel
JP6335768B2 (en) Mat fixture
US2738977A (en) Bowling pin
JP3859798B2 (en) Mating container
KR200383322Y1 (en) Vessel made of metal
JP4912784B2 (en) Plastic bottle
JP6714999B2 (en) container
JP6484023B2 (en) Container with inner stopper
JP7309784B2 (en) plastic tableware
JP6980323B1 (en) Food packag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