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592A - Cup - Google Patents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592A
KR20050078592A KR1020040006770A KR20040006770A KR20050078592A KR 20050078592 A KR20050078592 A KR 20050078592A KR 1020040006770 A KR1020040006770 A KR 1020040006770A KR 20040006770 A KR20040006770 A KR 20040006770A KR 20050078592 A KR20050078592 A KR 20050078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rotrusion
outside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본호
Original Assignee
구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호 filed Critical 구본호
Priority to KR102004000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592A/en
Publication of KR2005007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59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에 관한 것으로, 컵의 외측 또는 내측에 돌출부를 두어 다른 컵이 포개어지는 경우 그 돌출부에 의해 컵과 컵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됨으로써 컵 내부에 잔류한 물기를 외부로 유출되어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위생 상태를 갖는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which has a protrusion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cup when the other cup is superimposed by the space between the cup by the protrusion to ensure that the water remaining in the inside of the cup to flow out to dry The object is to provide a cup with a clean sanitary condition.

Description

컵{CUP} Cup {CUP}

본 발명은 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겹쳐진 컵의 건조 시에 쉽게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that allows water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cups overlap each other.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물이나 기타 음료 등을 손님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컵을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 후의 컵의 세척과 보관의 용이성을 위하여 손잡이가 없는 몸체만으로 이루어진 컵을 서로 포개어 보관하게 된다.In general, a cup is used to provide a restaurant or water or other beverages to a customer. For ease of cleaning and storage of the cup after use, the cups having only a body without a handle are stacked and stored.

그러나, 컵 내부에 물기가 잔류한 상태에서 컵을 서로 포개어 겹쳐지도록 하여 보관하는 경우에 컵의 외측면과 또 다른 컵의 내측면이 밀착되어 그 겹쳐진 공간에 물기가 그대로 남아 외부로 배출이 되지 못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ups are stacked and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ile the water remains inside the cup,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nd the inner surface of another cup a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remains in the overlapped space and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do.

이로 인해, 충분히 건조되지 못한 컵은 위생상 불결하고, 또한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For this reason, a cup that is not sufficiently drie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unclean for hygiene and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의 외측 또는 내측에 돌출부를 두어 다른 컵이 포개어지는 경우 그 돌출부에 의해 컵과 컵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됨으로써 컵 내부에 잔류한 물기를 외부로 유출되어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위생 상태를 갖는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placing a protrusion on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cup when the other cup is superimposed by the space between the cup by the protrusion to ensure that the water remaining inside the cup outflow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up having a clean hygiene state by being dri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컵은,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컵 몸체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컵의 외측 또는 내측 둘레를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컵을 겹쳐서 보관 시에 상기 돌기에 의해 컵과 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outside or inside the cup body,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ther along the outer or inner circumference of the cup so as to overlap between the cup and the cup by the protrusion when storing the cups. Characterized by forming a space por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의 몸체(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반원 형태의 돌기(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semi-circular projection 120 is formed integr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10 of the cup.

컵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일 경우에는 내측에서의 펀칭에 의하여 돌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material of the cup is plastic, it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and in the case of a metal material,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punching from the inside.

이러한 돌기(120)는 컵 몸체(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120)는 되도록 컵 몸체(110)의 상측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such protrusion 120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up body 110, and the protrusion 120 is preferably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cup body 110.

이러한 돌기(120)가 형성된 컵이 도 2 에서와 같이 겹쳐져서 보관되는 경우 돌기(120)의 외측에 다른 컵의 상단부가 걸리게 되어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깊이만 삽입되므로 컵의 외측면과 다른 컵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부(130)가 형성된다.When the cups in which the protrusions 120 are formed are overlapped and stored as shown in FIG. 2, the upper ends of the other cups are caught on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s 120, and thus only the predetermined depths are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130 is formed.

이 공간부(130)를 통하여 내부의 물기가 외부로 흘러나와 건조가 이루어진다. The water inside the water flow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portion 130 to be dried.

또 다른 보관 형태로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20)를 조금 작게 형성하던지, 아니면 컵 몸체(110)의 비교적 하측부에 형성하는 경우에 돌기(120)의 첨단부분과 다른 컵의 내측면이 맞닿아 공간부(130)가 형성된다.As another storage form,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to be a little smaller, or when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at a relatively lower side of the cup body 110, the inside of the cup different from the tip of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Side portions abut the space portion 130 is formed.

이러한 공간부(130)를 통해 내측의 물기가 외부로 빠져나와 건조가 이루어진다.Through the space 130, the water inside the water escapes to the outside is made.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돌기(120)에 의하여 공간부(130)를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돌기가 하나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건조가 이루어지며, 건조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drawing, the space portion 130 is formed b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0, but when the protrusion is one, the space is formed in the same way, so that drying is per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for the efficiency of drying. desirable.

또한, 돌기를 컵 몸체의 외측이 아니라 내측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ward instead of outside of the cup body.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돌기의 상측이나 첨단 부분에 다른 컵의 상단부나 내측면이 맞닿아 공간부가 형성되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as well, the upper end or the inner side of the other cup abuts on the upper side or the tip of the protrusion to form a space part, thereby drying.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로서, 컵 몸체(2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수직 방향의 돌조(2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돌조(220)는 컵 몸체(2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컵을 겹쳐서 보관 시에 상기 돌기에 의해 컵과 컵 사이에 공간부(230)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protrusions 220 in a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outside or inside the cup body 210, and the protrusions 220 are formed of the cup body 210. It is formed in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r inside to form a space portion 230 between the cup and the cup by the projections when the cups are stacked and stored.

이러한 돌조(220)도 일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이나 펀칭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컵이 겹쳐져서 보관 시에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돌조(220)의 돌출된 상측부에 다른 컵의 내측면이 맞닿아 공간부(230)가 형성되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protrusion 220 may also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punching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and when the other cups are overlapped and stored, the protrusion 220 may be different from the protruding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20.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is in contact with the space 230 is formed to dry.

도 6 은 돌조(240)가 컵 몸체(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로서, 돌기(240)의 돌출된 상측부에 다른 컵의 외측면이 맞닿아 공간부가 형성되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2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body 210,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cup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240 is formed so that the drying is made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컵을 겹쳐서 보관 시에 그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공간부를 통하여 물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건조되므로 컵을 항시 청결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up can be kept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by forming a space by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side or the inside when the cups are overlapped, so that water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컵의 구조를 보인 도.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도.Figure 3 shows anoth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몸체 120 : 돌기110: body 120: protrusion

220,240 : 돌조 220,240 stone

Claims (4)

컵 몸체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cup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컵 몸체의 외측 또는 내측 둘레를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컵을 겹쳐서 보관 시에 상기 돌기에 의해 컵과 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The cu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ther along the outer or inner circumference of the cup body so as to form a space between the cup and the cup by the protrusion when the cups are stacked and stored. . 컵 몸체의 외측 또는 내측에 수직 방향의 돌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The cu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proje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cup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는 컵 몸체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컵을 겹쳐서 보관 시에 상기 돌기에 의해 컵과 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The cu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je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cup body, and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portion between the cup and the cup by the protrusion when the cup is stacked and stored.
KR1020040006770A 2004-02-02 2004-02-02 Cup KR200500785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70A KR20050078592A (en) 2004-02-02 2004-02-02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70A KR20050078592A (en) 2004-02-02 2004-02-02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592A true KR20050078592A (en) 2005-08-05

Family

ID=3726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70A KR20050078592A (en) 2004-02-02 2004-02-02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59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607A (en) * 2017-01-24 2017-05-31 桂林师范高等专科学校 A kind of stackable cup
KR200492325Y1 (en) * 2019-07-18 2020-09-17 주식회사 두성캠테크 Disposable vess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607A (en) * 2017-01-24 2017-05-31 桂林师范高等专科学校 A kind of stackable cup
KR200492325Y1 (en) * 2019-07-18 2020-09-17 주식회사 두성캠테크 Disposable vess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7097S1 (en) Vessel for washing and storage
USD838038S1 (en) Detergent/cleaning packet
USD572533S1 (en) Drinking cup
USD876582S1 (en) Faucet sprayer
USD547069S1 (en) Polisher device
JP2007068945A (en) Cleaning brush for sink drain port
USD493929S1 (en) Molded plastic container
USD668052S1 (en) Overcap brush
USD513928S1 (en) Water dispenser universal filtration tank
USD827100S1 (en) Faucet handle
WO2009088457A1 (en) Wall soap dish / soapbox combo
KR20050078592A (en) Cup
USD568720S1 (en) Cage for protecting and transporting a propane tank
US5485859A (en) Dishwashing aid for the handicapped
USD904573S1 (en) Faucet handle
KR200466987Y1 (en) A soap case assembly
KR20170053827A (en) A tumbler
JP3143240U (en) Sponge case for dishwashing
JP3125752U (en) Bottom conical container
JP5718427B2 (en) Drainer with saucer and steamer
KR20140093809A (en) Dinnerware
KR101761659B1 (en) A spoon stand
KR200434949Y1 (en) Disposable tea-cup
KR102440416B1 (en) a sanitary cup for brush teeth
JP6753974B1 (en) Faucet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