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238Y1 -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238Y1
KR200492238Y1 KR2020190004349U KR20190004349U KR200492238Y1 KR 200492238 Y1 KR200492238 Y1 KR 200492238Y1 KR 2020190004349 U KR2020190004349 U KR 2020190004349U KR 20190004349 U KR20190004349 U KR 20190004349U KR 200492238 Y1 KR200492238 Y1 KR 200492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chair
plates
foldable
ja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호봉
Original Assignee
고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호봉 filed Critical 고호봉
Priority to KR2020190004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52Trunk chairs, i.e. chairs collapsible to self contained carrying case, e.g. trunk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2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bars or wir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캠핑, 낚시,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야외 활동시 원터치에 의해 의자 형태로 간편하게 전개시켜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는
절첩가능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에 적용되고,
제1힌지부에 의해 중간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칭되게 분할형성되는 제1,2상판;
상기 제1,2상판의 가장자리에 제2힌지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대칭형태의 제1,2측판;
상기 제1,2측판의 가장자리에 제3힌지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이 제4힌지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대칭되게 분할형성되는 제3,4측판;을 구비하되,
상기 제1힌지부 및 제4힌지부는 수직방향의 동일선상에서 승강되거나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2상판 및 제3,4측판을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a portable chair with assembly type}
본 명세서는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핑, 낚시,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야외 활동시 원터치에 의해 의자 형태로 간편하게 전개시켜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립식 휴대 의자(공개특허 제2017-0003840호)는,
수용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케이스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며,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사용자가 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조립식 휴대 의자는, 의자를 조립하는 의자 조립체들을 수용하는 수납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의자 조립시 의자 지지대들의 연결 허브 역할 또한 수행하는 케이스를 제공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 반면에,
의자를 보관시 접게 되는 시트부 및 봉 형태의 지지프레임을 케이스에 수납시킬 수 있으나,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분실할 경우 의자 자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조립시 케이스 내부의 결합부재에 지지프레임 단부를 결합할 경우 어두운 장소에서 쉽게 조립할 수 없게 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03840호에 조립식 휴대 의자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휴대 또는 보관시 판 형태로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켜 운반 및 휴대성을 높이도록 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지면에 견고하고 안정된 자세로 착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사출성형품으로 물로써 세척이 용이하고, 무나사 체결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첩가능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에 적용되고,
제1힌지부에 의해 중간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칭되게 분할형성되는 제1,2상판;
상기 제1,2상판의 가장자리에 제2힌지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대칭형태의 제1,2측판;
상기 제1,2측판의 가장자리에 제3힌지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이 제4힌지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대칭되게 분할형성되는 제3,4측판;을 구비하되,
상기 제1힌지부 및 제4힌지부는 수직방향의 동일선상에서 승강되거나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2상판 및 제3,4측판을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의자를 휴대 또는 보관시 판 형태로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킴에 따라 차량에 적재시켜 운반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휴대성을 높이고, 절첩이 원터치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므로 실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첩가능하게 전개되는 의자를 지면에 착지시켜 사용할 경우 임의적으로 접힘이 방지되므로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사출성형품으로 물로써 세척이 용이하여 항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무나사 체결방식으로 조립시킴에 따라 친환경물품 사용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를 완전하게 전개시킨 윗면에서의 도면대용 사시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를 일부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시사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자를 완전하게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시사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자를 완전하게 전개시킨 바닥면에서의 도면대용 사시사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의자에서, 의자를 전개시킬 경우 임의적으로 접힘을 방지하는 방지수단 및 측판을 상판의 고정부에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6(a,b)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의자에서, 접은 의자를 파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a,b)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는
절첩가능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A)에 적용되고,
제1힌지부(10)에 의해 중간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칭되게 분할형성되는 제1,2상판(11,12);
제1,2상판(11,12)의 가장자리에 제2힌지부(13)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대칭형태의 제1,2측판(14,15);
제1,2측판(14,15)의 가장자리에 제3힌지부(16)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이 제4힌지부(17)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대칭되게 분할형성되는 제3,4측판(18,19);을 구비하되,
제1힌지부(10) 및 제4힌지부(17)는 수직방향의 동일선상에서 승강되거나 수평이동함에 따라 제1,2상판(11,12) 및 제3,4측판(18,19)을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제1,2상판(11,12)을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부(10)와, 제1,2상판(11,12)과 제1,2측판(14,15)을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부(13)와, 제1,2측판(14,15)과 제3,4측판(18,19)을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힌지부(13)와, 제3,4측판(18,19)을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힌지부(17)의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a,b)에서와 같이, 전술한 의자(A)를 판(板) 형태로 접을 수 있어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의자(A)를 원터치 형태로 전개시킬 수 있어 캠핑지 등의 야외에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쉽게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출성형된 의자(A)를 물로써 세척이 용이하여 항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1,2,3,4힌지부(10,13,16,17)를 무나사 체결방식으로 조립시킴에 따라 해당 부품수를 줄이고 환경친화적인 물품을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2측판(14,15)에 손잡이용 제1,2관통공(20,21)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의자(A)를 접을 경우 제1,2관통공(20,21)과 일치되어 포개지도록 제3,4측판(18,19)에 손잡이용 제3,4관통공(22,23)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1힌지부(10)에 의해 제1,2상판(11,12)을 접고, 제2힌지부(13)에 의해 제1,2상판(11,12)과 제1,2측판(14,15)을 전개시키며, 제3,4힌지부(16,17)에 의해 제3,4측판(18,19)을 접을 경우(즉, 의자(A)를 평판형태로 접을 경우를 말함), 제1,2측판(14,15)에 형성된 손잡이용 제1,2관통공(20,21)이 일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용 제1,2관통공(20,21)을 쉽게 파지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2측판(14,15) 및 제3,4측판(18,19)은 상협하광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1힌지부(10)에 의해 제1,2상판(11,12)을 전개하고, 제2힌지부(13)에 의해 제1,2측판(14,15)을 전개하며, 제3,4힌지부(16,17)에 의해 제3,4측판(18,19)을 전개하여 의자(A)를 전개시킬 경우, 의자(A)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전개된 의자(A)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도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2상판(11,12)에 손잡이용 장공(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1힌지부(10)에 의해 제1,2상판(11,12)을 접고, 제2힌지부(13)에 의해 제1,2상판(11,12)과 제1,2측판(14,15)을 전개시키며, 제3,4힌지부(16,17)에 의해 제3,4측판(18,19)을 접을 경우(즉, 의자(A)를 평판형태로 접을 경우를 말함), 제1,2상판(11,12)에 형성된 손잡이용 장공(24)이 일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용 장공(24)을 쉽게 파지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3,4측판(18,19)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2돌출턱(25,26);
제1,2돌출턱(25,26)과 대응되게 제1,2상판(11,1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2걸림턱(27,28);을 더 포함하여, 의자(A)를 전개시 제1,2걸림턱(27,28)과 제1,2돌출턱(25,26)이 끼워맞춤됨으로 인해 제3,4측판(18,19)이 임의적으로 접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1힌지부(10)에 의해 제1,2상판(11,12)을 전개하고, 제2힌지부(13)에 의해 제1,2측판(14,15)을 전개하며, 제3,4힌지부(16,17)에 의해 제3,4측판(18,19)을 전개하여 의자(A)를 전개시킬 경우, 제3,4측판(18,19) 상단에 형성된 제1,2돌출턱(25,26)이 이와 대응되게 제1,2상판(11,12) 바닥면에 형성된 제1,2걸림턱(27,28)에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의자(A)를 전개시켜 사용할 경우, 제1,2걸림턱(27,28)과 제1,2돌출턱(25,26)이 끼워맞춤됨으로 인해 제3,4측판(18,19)이 임의적으로 접힐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1,2걸림턱(27,28)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제1,2상판(11,12)의 바닥면에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제3,4측판(18,19)을 전개시킬 경우 제1,2돌출턱(25,26)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이동시키는 제1경사면(29a)과, 제1경사면(29a)에 연장형성되어 제1,2돌출턱(25,26)을 제1,2걸림턱(27,28)에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제2경사면(29b)을 구비하는 가이드부(29);
제1,2걸림턱(27,28)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제3,4측판(28,29)을 접을 경우 제1,2돌출턱(25,26) 중 어느 하나가 제1,2걸림턱(27,28)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면(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제1힌지부(10)에 의해 제1,2상판(11,12)을 전개하고, 제2힌지부(13)에 의해 제1,2측판(14,15)을 전개하며, 제3,4힌지부(16,17)에 의해 제3,4측판(18,19)을 전개하여 의자(A)를 전개시킬 경우, 제3,4측판(18,19)의 상단에 형성된 제1,2돌출턱(25,26)이 제1,2상판(11,12)에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29)의 제1,2경사면(29a,29b)을 타고 순차적으로 미끄러져 가이드부(29)에 인접하게 제1,2상판(11,12) 바닥면에 형성된 제1,2걸림턱(27,28)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A)를 전개시킬 경우, 제3,4측판(18,19) 상단에 형성된 제1,2돌출턱(25,26)이 제1,2상판(11,12)에 형성된 가이드부(29)와 경사면(30)을 타고 미끄러져 제1,2상판(11,12)의 제1,2걸림턱(27,28)에 결합되므로, 제1,2상판(11,12)을 제1,2측판(14,15) 및 제3,4측판(18,19)에 가압하거나, 또는 제3,4측판(18,19)을 제1,2상판(11,12)에 가압하여 의자(A)를 쉽게 전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의자(A)를 접기 위해 제3,4측판(28,29)을 의자(A) 중앙쪽으로 가압할 경우, 제3,4측판(18,19)의 상단에 형성된 제1,2돌출턱(25,26) 중 어느 하나가 이와 대응되게 제1,2상판(1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2걸림턱(27,28)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면(30)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이탈되므로, 제3,4측판(28,29)을 제1,2상판(11,12)으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힌지부
11; 제1상판
12; 제2상판
13; 제2힌지부
14; 제1측판
15; 제2측판
16; 제3힌지부
17; 제4힌지부
18; 제3측판
19; 제4측판
20; 손잡이용 제1관통공
21; 손잡이용 제2관통공
22; 손잡이용 제3관통공
23; 손잡이용 제4관통공
24; 손잡이용 장공
25; 제1돌출턱
26; 제2돌출턱
27; 제1걸림턱
28; 제2걸림턱
29; 가이드부
29a; 제1경사면
29b; 제2경사면
30; 경사면
A; 의자

Claims (6)

  1. 중간에 형성된 제1힌지부(10)를 중심으로 손잡이용 장공(24)이 형성된 제1,2상판(11,12)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힌지부(13)에 의해 제1,2상판(11,12)의 좌우 가장자리와 손잡이용 제1,2관통공(20,21)이 대향되게 형성된 상협하광 형태의 제1,2측판(14,15)의 상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힌지부(16)에 의해 제1,2측판(14,15)의 좌우측과 상협하광 형태의 제3,4측판(18,19)의 좌우측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에 형성된 제4힌지부(17)를 중심으로 의자를 접을 경우 제1,2관통공(20,21)과 일치되어 포개지도록 손잡이용 제3,4관통공(22,23)이 대향되게 형성된 제3,4측판(18,19)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힌지부(10) 및 제4힌지부(17)는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제1,2상판(11,12) 및 제3,4측판(18,19)을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4측판(18,19)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2돌출턱(25,26); 상기 제1,2돌출턱(25,26)과 대응되게 제1,2상판(11,12)의 바닥면에 제1,2걸림턱(27,28);이 형성됨에 따라, 의자를 전개시 제1,2걸림턱(27,28)과 제1,2돌출턱(25,26)이 끼워맞춤됨으로 인해 제3,4측판(18,19)이 임의적으로 접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2걸림턱(27,28)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제1,2상판(11,12)의 바닥면에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제3,4측판(18,19)을 전개시킬 경우 제1,2돌출턱(25,26)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이동시키는 제1경사면(29a)과, 제1경사면(29a)에 연장형성되어 제1,2돌출턱(25,26)을 제1,2걸림턱(27,28)에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제2경사면(29b)을 구비하는 가이드부(29);를 구비하는 절첩가능한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제1,2걸림턱(27,28)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제3,4측판(18,19)을 접을 경우 제1,2돌출턱(25,26) 중 어느 하나가 제1,2걸림턱(27,28)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면(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90004349U 2019-10-29 2019-10-29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 KR200492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49U KR200492238Y1 (ko) 2019-10-29 2019-10-29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49U KR200492238Y1 (ko) 2019-10-29 2019-10-29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38Y1 true KR200492238Y1 (ko) 2020-09-03

Family

ID=7245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349U KR200492238Y1 (ko) 2019-10-29 2019-10-29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931A (ko) * 2020-07-29 2022-02-08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쿠션감을 갖는 접이식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861A (en) * 1985-10-28 1986-12-23 Henschel Reed E Foldable stool
US20080078309A1 (en) * 2005-08-16 2008-04-03 Eveleth Bradley R Foldable stool or table
KR100972608B1 (ko) * 2009-07-30 2010-07-27 주식회사 성강 접이식 의자
JP2018117973A (ja) * 2017-01-27 2018-08-02 株式会社刀川平和農園 折り畳み式踏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861A (en) * 1985-10-28 1986-12-23 Henschel Reed E Foldable stool
US20080078309A1 (en) * 2005-08-16 2008-04-03 Eveleth Bradley R Foldable stool or table
KR100972608B1 (ko) * 2009-07-30 2010-07-27 주식회사 성강 접이식 의자
JP2018117973A (ja) * 2017-01-27 2018-08-02 株式会社刀川平和農園 折り畳み式踏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931A (ko) * 2020-07-29 2022-02-08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쿠션감을 갖는 접이식 의자
KR102421552B1 (ko) 2020-07-29 2022-07-18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쿠션감을 갖는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1944A (en) Foldable device for a crib
US4082389A (en) Collapsible camp supply unit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US7360783B2 (en) Barbecue device having foldable cart
US9725107B2 (en) Foldable stroller frame
US6382715B1 (en) Collapsible children's patio chair
US10716392B2 (en) Table top and skirt with foldable legs
US20170340100A1 (en)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US10988152B2 (en) Collapsible cart
US20140202511A1 (en) Mechanism for Folding and Unfolding a Tent or Awning
US6598753B2 (en) Foldable umbrella stand
WO2005056392A3 (en) Rackable collapsible stackable unit
US20070204400A1 (en) Control device of lower frame assembly for a playpen
FR2764176A1 (fr) Articulation pour parc pour enfants
KR200492238Y1 (ko) 휴대용 친환경 조립식 의자
KR100795170B1 (ko) 슬라이딩 테이블
US20040020482A1 (en) Foldable conduction oven (III)
JP6194549B2 (ja) 簡易椅子のフレーム構造体
KR100972608B1 (ko) 접이식 의자
US6802393B2 (en) Foldable ladder
US2967037A (en) Collapsible stand
KR101554111B1 (ko) 접이식 가구용 골조 프레임 구조
FR2640126A1 (fr) Table a tapisser, pour peintre, pliante et a dimensions variables
KR20150061223A (ko) 접이식 테이블
CA2075381A1 (fr) Habitacle repli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