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08Y1 - 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 - Google Patents

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808Y1
KR200491808Y1 KR2020180004724U KR20180004724U KR200491808Y1 KR 200491808 Y1 KR200491808 Y1 KR 200491808Y1 KR 2020180004724 U KR2020180004724 U KR 2020180004724U KR 20180004724 U KR20180004724 U KR 20180004724U KR 200491808 Y1 KR200491808 Y1 KR 200491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ackaging
cup container
wall
ai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7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0834U (en
Inventor
이병국
이은실
박광수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80004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08Y1/en
Publication of KR20200000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3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0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바닥(10)과,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부터 상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벽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20) 상단을 따라 리드필림이 실링됨으로써 밀봉되는 포장용 컵용기(A)로서,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되, 방사상으로 이격부(31)가 형성된 지지턱(30); 및 상기 바닥(10)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격부(31) 어느 하나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50)가 상기 지지턱(30) 외측 방향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바닥(10)이 부분 파단되어 파단 부위를 통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bottom 10 and a wall 20 form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10 to the top, and a packaging cup container sealed by sealing a lead film along the upper end of the wall 20 As (A), a support jaw 30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bottom 10 to the bottom, radially spaced portion 31 is formed; And a protrusion 50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10 and disposed to face any one of the spacers 31. The protrusion 50 further includes the support jaw 30 ) As it is pressed from the outside direction to the inside direction, the bottom 10 is partially broken and relates to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n air vent function through which air flows through the fracture portion.

Description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

본 출원은 푸딩 또는 젤리 등의 비교적 점성이 높은 상품의 취출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n air vent function that enables smooth extraction of products having a relatively high viscosity such as pudding or jelly.

상품 포장 수단의 하나로 포장용 컵용기가 있다.One of the product packaging means is a packaging container for packaging.

포장용 컵용기는 비교적 소형이므로 소량 식품 등의 포장에 주로 이용된다.Since the packaging cup container is relatively small, it is mainly used for packaging small amounts of food.

한편, 포장용 컵용기에 의해 포장되는 상품으로 푸딩 또는 젤리가 있다.Meanwhile, pudding or jelly is a product packaged by a packaging cup container.

그러나 일반 포장용 컵용기(A')로써 푸딩 또는 젤리와 같이 비교적 점성이 높은 상품(100)을 포장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0) 및 벽체(20)의 내면에 상품(100)이 늘어 붙게 되므로 취출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packaging a relatively high-viscosity product 100 such as pudding or jelly as a cup container (A') for general packaging, the product 1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oor 10 and the wall 20, as shown in FIG. ), so it was difficult to take it out.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본 특허공보 제4183736호(등록일 : 2008. 09. 12.)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를 가압하여 바닥을 부분 파단시켜 파단 부위를 통해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에어 유입에 의한 상품의 늘어 붙음 해제에 의해 취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가 제안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183736 (Registration Date: 2008. 09. 12.), press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loor to partially break the bottom so that air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the fractured portion. By doing so, there has been proposed a'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n air vent function,' which allows the product to be taken out smoothly by release of the product by air inflow.

그러나 종래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는 돌기 가압에 의한 바닥의 부분 파단이 쉽지 않아 사용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n air vent func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 part due to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break a part of the floor by pressurizing the projections.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바닥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 가압에 의한 바닥의 부분 파단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e above reasons, in the related field,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packaging cup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to smoothly break a portion of the floor by pressuriz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ut to date,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obtained. to be.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반 포장용 컵용기를 이용하여 푸딩 또는 젤리를 포장하였을 때 푸딩 또는 젤리가 바닥 및 벽체의 내면에 늘어 붙음에 따라 취출이 곤란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is applica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when pudding or jelly is packaged using a cup container for general packaging, it is possible to solve a problem in which pudding or jelly is difficult to take out as it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loor and wal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n air vent function that enables the device.

또한, 본 출원은 종래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를 이용하여 푸징 또는 젤리를 포장하였을 때 돌기 가압에 의한 바닥의 부분 파단이 쉽지 않아 사용에 번거로움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is an air ven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hassle in use due to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break the part of the bottom due to the pressurization when packaging fusing or jelly using a packaging cup container having a conventional air vent fun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 function.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의 바닥(10)과,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부터 상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벽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20) 상단을 따라 리드필름(40)이 실링됨으로써 상기 벽체(20) 내측에 수용되는 상품(100)이 밀봉되는 포장용 컵용기로서, 상기 바닥(10)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이격부(31)를 포함하는 지지턱(30); 및 상기 바닥(10)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이격부(31) 중 어느 하나인 인접이격부에 인접하게 상기 바닥(10)의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인접이격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에 돌출된 돌기(51)를 포함하는 돌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50)가 상기 인접이격부에서 상기 돌기(5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돌출부(50)가 회전해 상기 돌출부(50)의 하단이 상기 바닥(10)의 저면의 중심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바닥(10)이 상기 상품(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분 파단되어 파단 부위를 통해 상기 벽체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고, 상기 돌출부(50)와 상기 지지턱(30) 사이에 삽입되는 손가락에 의해 상기 돌출부(50)를 가압 시 상기 인접이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인접이격부로 인해 상기 지지턱(30)이 외측으로 변형되고, 변형될 수 있는 정도가 상기 지지턱(30)의 하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이격부(3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향하며 그 폭이 점차 넓어지되 상기 바닥(10)에 도달하지 않게 마련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를 제공한다.
As an aspec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ncludes a bottom 10 of the convex upward direction and a wall 20 form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10 to the top, and the lead film 40 is seal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wall 20.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in which the product 100 accommodated inside the wall 20 is sealed,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from the bottom 10 but formed along a perimeter of the bottom edge and partially cut away to form a plurality of spacers A support jaw 30 including 31; And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adjacen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d parts 31, the adjacent spacer. , A protrusion 50 including a protrusion 51 protruding from a surf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oward the adjacent spacer, wherein the protrusion 50 is directed from the adjacent spacer toward the protrusion 51 As it is pressurized, the bottom portion 10 is partially broke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oduct 100 as the bottom portion of the protrusion portion 50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0 as the protrusion portion 50 rotates. W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ll through the rupture portion, and when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by a finger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 50 and the support jaw 30, the adjacent spaced portion is formed at the adjacent portion The separation part 31 fac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gradually increases in width so that the support jaw 30 is deformed to the outside due to the separation part, and the degree of deformation can be increased toward the bottom of the support jaw 30. It provides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n air vent function that is widened but not provided to reach the bottom (10).

삭제delete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는, 바닥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지지턱에 형성되는 이격부 어느 하나와 마주하고, 돌출부가 쐐기형 돌기를 포함하는바, 이격부에 의해 상기 지지턱이 부분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 가압시 상기 지지턱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돌출부의 가압이 원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 가압 과정에서 쐐기형 돌기가 지렛대 역할을 하여 바닥이 쉽게 파단되므로 돌출부 가압에 의한 바닥의 부분 파단이 원활할 수 있다.The cup container for packaging with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aces any one of the spaced parts formed on the support jaw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and the protrusion includes wedge-shaped protrusions. As the support jaw is partially opened,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support jaw is minimized when the projection is pressed, so that the pressurization of the projection can be smooth, and the wedge-shaped protrusion acts as a lever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projection, so the floor easily breaks and pressurizes the projection. Partial fracture of the floor may be smooth.

또한,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는, 바닥의 돌출부 형성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되는바, 돌출부 가압 과정에서 바닥이 더욱 쉽게 파단되므로 돌출부 가압에 의한 바닥의 부분 파단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med in a thin portion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so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is more easily broken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portion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due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It can be more smooth.

도 1은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에서 돌기의 가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에서 돌기 가압에 의한 바닥의 부분 파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에서 상품 취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반 포장용 컵용기를 이용할 때 점도가 높은 상품의 취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packaging cup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packaging cup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urization of the projection in the packaging cup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partial fracture of the bottom by the pressing pressure in the packaging cup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product take-out from a packaging cup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aking out of a product having a high viscosity when using a general packaging cup container.

이하, 첨부 도면의 의거 본 출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A)는, 바닥(10); 벽체(20); 지지턱(30); 리드필름(40); 및 돌출부(50);를 포함한다.1 and 2,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 the bottom (10); Wall 20; Support jaw 30; Lead film 40; And a protrusion 50.

상기 바닥(10)은 상품(100)을 지지한다.The bottom 10 supports the product 100.

이때, 상기 상품(100)은 비교적 점도가 높은 푸딩 또는 젤리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duct 100 may be a pudding or jelly having a relatively high viscosity.

이때, 상기 바닥(1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돌출부(50) 형성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10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other portion forming the protrusion 50 described below.

따라서, 상기 돌출부(50) 가압시 상기 바닥(10)에서 타 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된 상기 돌출부(50) 형성 부위가 쉽게 파단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the formation portion of the protrusion 50 formed thinner than the other portions on the bottom 10 can be easily broken.

상기 벽체(20)는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부터 상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The wall 2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floor 10 to the top.

상기 벽체(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닥(10) 상부로 일정한 용량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상품(100)의 수용이 가능하다.Since the wall 20 is formed, a space of a certain capacity is formed above the floor 10, whereby the product 100 can be accommodated.

이때, 상기 벽체(20)는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21)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ll 20 may include a flange 21 protruding outwardly at the top.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리드필름(40)이 상기 플랜지(21)에 접합됨에 따라 상기 리드필름(40) 실링으로 인한 상기 상품(100)의 밀봉이 안정될 수 있다. Therefore, as the lead film 40 described below is joined to the flange 21, sealing of the product 100 due to sealing of the lead film 40 may be stabilized.

상기 지지턱(30)은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jaw 3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10 to the bottom.

따라서, 상기 지지턱(30)에 의해 상기 바닥(10) 및 상기 돌출부(50)가 감싸지므로 상기 바닥(10) 및 돌출부(50)가 보호되어 손상이 방지된다.Therefore, since the bottom 10 and the protrusion 50 are wrapped by the support jaw 30, the bottom 10 and the protrusion 50 are protected to prevent damage.

이때, 상기 지지턱(30)에는 방사상으로 이격부(31)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jaw 30 may be radially spaced portion 31 is formed.

따라서, 상기 이격부(31) 어느 하나와 상기 돌출부(50)가 마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50) 가압시 상기 이격부(31)에 의한 상기 지지턱(30)의 부분 개방 부위에서 손가락 움직임을 취함에 따라 상기 지지턱(30)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refore, when one of the spacers 31 and the protrusions 50 face each other, when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finger movement is performed at a partial opening of the support jaw 30 by the spacer 31. Accordingly, interference by the support jaw 30 may be minimized.

이때, 상기 이격부(3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향하며 그 폭이 넓게 점차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portion 31 may be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gradually wider and wider.

따라서, 상기 이격부(31)에 의한 상기 지지턱(30) 부분 개방 부위 하단의 개방폭이 상단의 개방폭에 비해 더 커지므로 상기 돌출부(50) 가압시 상기 지지턱(30) 부분 개방 부위에서의 손가락 움직임이 원활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ning wid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supporting jaw 30 by the spacer 31 becomes larger than the opening width of the upper portion, so that when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the supporting jaw 30 is partially opened. Finger movements can be smooth.

상기 리드필름(40)은 상기 벽체(20) 상단을 따라 실링되어 상기 상품(100)을 밀봉한다.The lead film 40 is seal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wall 20 to seal the product 100.

상기 리드필름(40)은 상기 상품(100)을 밀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무방하다.The lead film 40 may be of any kind as long as it can seal the product 100.

상기 돌출부(50)는, 상기 바닥(10)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격부(31) 어느 하나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The protrusion 5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and is arranged to face any one of the spacers 31.

이때, 상기 돌출부(50)는 상기 이격부(31)와 마주하는 반대면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쐐기형의 돌기(51)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50 includes a wedge-shaped protrusion 5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pposite surface facing the spacer 31.

따라서, 상기 돌출부(50) 가압시 상기 돌기(51)가 지렛대로서 작용하여 상기 바닥(10)의 부분 파단이 원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the protrusion 51 acts as a lever, so that the partial fracture of the bottom 10 may be smooth.

여기서, 상기 돌기(51) 상단은 상기 바닥(10)의 저면으로 이어진다.Here,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on 51 lea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따라서, 상기 돌출부(50) 가압시 상기 돌기(51)의 지렛대 역할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the role of the lever of the protrusion 51 may be more smooth.

한편, 상기 바닥(10), 벽체(20), 지지턱(30) 및 돌출부(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loor 10, the wall 20, the support jaw 30, and the protrusion 50 may be integrally formed.

따라서, 상기 바닥(10), 벽체(20), 지지턱(30) 및 돌출부(50) 중의 어느 일부의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10), 벽체(20), 지지턱(30) 및 돌출부(50)가 일시에 성형될 수 있다.Therefore, not only the separation of any part of the floor 10, the wall 20, the support jaw 30, and the protrusion 50 is prevented, but also the floor 10, the wall 20, the support jaw 30 and The protrusion 50 may be molded at one time.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A)에서 상기 상품(100)의 취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s of the taking out of the product 100 from the packaging container A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re as follows.

본 출원에서 상기 상품(100)은 상기 리드필름(40)의 실링에 의해 밀봉되므로 상기 리드필름(40)을 제거함으로써 취출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oduct 100 is sealed by the sealing of the lead film 40, so that it can be taken out by removing the lead film 40.

그러나 푸딩 또는 젤리와 같이 상기 상품(100)의 점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 상기 상품(100)이 상기 벽면 및 바닥(10)에 늘어 붙으므로 취출이 곤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viscosity of the product 100 is relatively high, such as pudding or jelly, it may be difficult to take out the product 100 because it is attached to the wall and the floor 10.

그러나 본 출원은 상기 상품(100)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에어의 유입이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상기 상품(100)의 취출이 원활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resent application allows air to flow into a space in which the product 100 is accommodated, the product 100 may be smoothly taken out.

즉, 상기 바닥(10)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50)가 형성되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50)를 가압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10)이 부분 파단되어 상기 상품(100)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에어가 유입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상품(100)의 외면과 상기 바닥(10) 및 벽체(20) 내면 사이가 이격, 다시 말해 상기 상품(100)의 늘어 붙음이 해제될 수 있어 상기 상품(100)이 쉽게 취출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protrusion 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the bottom 10 is partially broken as shown in FIG. 4 by pressing the protrusion 50 as shown in FIG. As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in which the product 100 is accommodate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t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10 and the wall 20 is thus separated, that is, the product 100 is stretched. This product can be released so that the product 100 can be easily taken out.

다만, 상기 돌출부(50)는 상기 지지턱(30)으로 감싸지므로 상기 돌출부(50) 가압시 상기 지지턱(30)에 의한 간섭에 의해 상기 바닥(10)의 부분 파단이 곤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rotrusion 50 is wrapped with the support jaw 30, it may be difficult to partially break the bottom 10 due to interference by the support jaw 30 when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그러나 본 출원에서 상기 지지턱(3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이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0)는 상기 이격부(31) 어느 하나와 마주하게 배치되는바, 상기 이격부(31)에 의한 상기 지지턱(30)의 부분 개방 부위에서 손가락 움직임을 취함으로써 상기 지지턱(30)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돌출부(50) 가압에 의한 상기 바닥(10)의 부분 파단이 원활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pacer 31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pport jaw 30, and the protrusion 50 is disposed to face any one of the spacer 31, so that the spacer 31 ) By interfering with the finger movement at the partial opening of the support jaw 30,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support jaw 30 is minimized, so that the partial fracture of the bottom 10 by the pressing of the protrusion 50 can be smooth. have.

또한, 본 출원에서 상기 돌출부(50)는 상기 이격부(31)와 마주하는 반대면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쐐기형의 상기 돌기(51)를 포함하는바, 상기 지지턱(30)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50)를 가압할 때 상기 돌기(51)가 지렛대 역할을 하므로 상기 돌출부(50) 가압에 의한 상기 바닥(10)의 부분 파단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otrusion 50 includes the wedge-shaped protrusion 5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pposite surface facing the spacer 31, and the support jaw 30 is inward from the outside direction. When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the protrusion 51 serves as a lever, so that partial breakage of the bottom 10 by pressing the protrusion 50 may be smoother.

또한, 본 출원에서 상기 바닥(10)의 상기 돌출부(50) 형성 부위는 타 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되는바, 상기 돌출부(50) 가압에 의한 상기 바닥(10)의 부분 파단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rm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50 of the bottom 10 is formed thinner than other portions, and thus the partial fracture of the bottom 10 by pressing the protrusion 50 may be more smooth. .

따라서, 상기 돌출부(50) 가압에 의한 상기 바닥(10)의 부분 파단을 통해 상기 상품(100) 수용 공간으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필름(40)을 제거하게 되면 에어 유입에 의해 상기 벽체(20) 및 바닥(10)으로부터 늘어 붙음이 해제된 상기 상품(100)이 쉽게 취출되므로 상기 상품(100)의 취식이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ad film 40 is removed as shown in FIG. 5 in a state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product 100 accommodating space through partial rupture of the bottom 10 by pressurization of the protrusion 50. When the product 100 is released from the wall 20 and the floor 10 by air inflow, the product 100 is easily taken out, so that the product 100 can be easily eaten.

상기에서와 같이 본 출원에 의한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A)는, 상기 바닥(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50)가 상기 지지턱(30)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부(31) 어느 하나와 마주하고, 상기 돌출부(50)가 쐐기형 상기 돌기(51)를 포함하는바, 상기 이격부(31)에 의해 상기 지지턱(30)이 부분 개방되어 상기 돌출부(50) 가압시 상기 지지턱(30)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돌출부(50)의 가압이 원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50) 가압 과정에서 쐐기형 상기 돌기(51)가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기 바닥(10)이 쉽게 파단되므로 상기 돌출부(50) 가압에 의한 상기 바닥(10)의 부분 파단이 원활할 수 있고, 상기 바닥(10)의 상기 돌출부(50) 형성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되는바, 상기 돌출부(50) 가압 과정에서 상기 바닥(10)이 더욱 쉽게 파단되므로 상기 돌출부(50) 가압에 의한 상기 바닥(10)의 부분 파단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ckaging cup container (A) having an air v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he spacer portion in which the protrusion 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is formed on the support jaw 30 31) Bar facing any one, the protrusion 50 includes the wedge-shaped protrusion 51, and the support jaw 30 is partially opened by the spacer 31 to press the protrusion 50 When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support jaw 30 is minimized, not only can the pressurization of the protrusion 50 be smooth, but also the wedge-shaped protrusion 51 acts as a lever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protrusion 50 so that the bottom ( 10) Since it is easily broken, the partial fracture of the bottom 10 by the pressing of the protrusion 50 may be smooth, and the form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50 of the bottom 10 is formed thinner than other portions.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protrusion 50, the bottom 10 is more easily broken, so that the partial fracture of the bottom 10 by the pressing of the protrusion 50 may be more smoot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출원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Since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change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changes ar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application.

10 : 바닥 20 : 벽체
21 : 플랜지 30 : 지지턱
31 : 이격부 40 : 리드필름
50 : 돌출부 51 : 돌기
100 : 상품 A, A' : 포장용 컵용기
10: floor 20: wall
21: flange 30: support jaw
31: spaced part 40: lead film
50: protrusion 51: projection
100: product A,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Claims (7)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의 바닥(10)과,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부터 상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벽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20) 상단을 따라 리드필름(40)이 실링됨으로써 상기 벽체(20) 내측에 수용되는 상품(100)이 밀봉되는 포장용 컵용기로서,
상기 바닥(10)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이격부(31)를 포함하는 지지턱(30); 및
상기 바닥(10)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이격부(31) 중 어느 하나인 인접이격부에 인접하게 상기 바닥(10)의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이심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인접이격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에 돌출된 돌기(51)를 포함하는 돌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50)가 상기 인접이격부에서 상기 돌기(5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돌출부(50)가 회전해 상기 돌출부(50)의 하단이 상기 바닥(10)의 저면의 중심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바닥(10)이 상기 상품(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분 파단되어 파단 부위를 통해 상기 벽체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고,
상기 돌출부(50)와 상기 지지턱(30) 사이에 삽입되는 손가락에 의해 상기 돌출부(50)를 가압 시 상기 인접이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인접이격부로 인해 상기 지지턱(30)이 외측으로 변형되고, 변형될 수 있는 정도가 상기 지지턱(30)의 하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이격부(3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향하며 그 폭이 점차 넓어지되 상기 바닥(10)에 도달하지 않게 마련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It includes a bottom 10 of the convex upward direction and a wall 20 form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10 to the top, and the lead film 40 is seal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wall 20. As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the product 100 accommodated inside the wall 20 is sealed,
A support jaw 30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from the bottom 10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31 formed along a periphery of the bottom and partially cut away; And
It is form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adjacen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d parts 31, It includes a projection (50) including a projection (51) protruding on a surf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oward the adjacent space,
As the protrusion 5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from the adjacent spacer toward the protrusion 51, the protrusion 50 is rotat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50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As the bottom 10 is partially broke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oduct 100,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ll through the fracture portion,
When the protruding portion 50 is pressed by a finger insert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50 and the supporting jaw 30, the supporting jaw 30 is deformed outward due to the adjacent spaced portion in a portion where the adjacent spaced portion is formed. , The space that can be deformed increases toward the bottom of the support jaw 30, the spacer 31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from the top and the width is gradually widened, but is provided so as not to reach the bottom 10 Packaging cup container with vent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10)은 상기 돌출부(50) 형성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되는 것인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10 is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with an air vent function that the form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50 is formed thinner than other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20)는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21)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20) is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with an air vent function that includes a flange (21) protruding outward to the to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51)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수평방향의 단면은 상기 인접이격부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5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 is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n air vent function formed in a wedge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adjacent spac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51) 상단은 상기 바닥(10)의 저면으로 이어지는 것인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of the projection (51) is a cup container for packaging having an air vent function that lea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10), 벽체(20), 지지턱(30) 및 돌출부(5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10), wall (20), support jaw (30) and protrusion (50) is a packaging cup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function that is integrally formed.
KR2020180004724U 2018-10-17 2018-10-17 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 KR2004918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24U KR200491808Y1 (en) 2018-10-17 2018-10-17 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24U KR200491808Y1 (en) 2018-10-17 2018-10-17 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34U KR20200000834U (en) 2020-04-27
KR200491808Y1 true KR200491808Y1 (en) 2020-06-08

Family

ID=7045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724U KR200491808Y1 (en) 2018-10-17 2018-10-17 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08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170Y1 (en) 2000-09-20 2001-02-15 주식회사크라운제과 a receptacle packing
JP2001139087A (en) * 1999-11-15 2001-05-22 Kayama Jushi:Kk Storage container for gelatinous food
KR200416593Y1 (en) 2006-03-08 2006-05-22 권석웅 Canister with opening bottom sarface
JP2009286462A (en)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Blow molded container
JP2017095145A (en) * 2015-11-25 2017-06-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Synthetic resin cup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087A (en) * 1999-11-15 2001-05-22 Kayama Jushi:Kk Storage container for gelatinous food
KR200213170Y1 (en) 2000-09-20 2001-02-15 주식회사크라운제과 a receptacle packing
KR200416593Y1 (en) 2006-03-08 2006-05-22 권석웅 Canister with opening bottom sarface
JP2009286462A (en)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Blow molded container
JP2017095145A (en) * 2015-11-25 2017-06-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Synthetic resin cup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34U (en)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1913B1 (en) Container closure
EP2991914B1 (en) Cap for a container
RU2457991C2 (en) Corking appliance
EP2969839B1 (en) Multiple-compartment container
EP1971530B1 (en) Tamper evident closure
JP4922297B2 (en) Package with sealing lid and method of filling the package
US8757382B1 (en) Container apparatus with single-pill dispensing and related method
US20160376070A1 (en) Reclosable lid for a vacuum food container and having a vacuum release button
EP2960173A1 (en) Caps consisting of a plastic material
KR200491808Y1 (en) cup type packing container with air vent function
TWI702129B (en) Compression mold
DK179963B1 (en) INJECTED PACKAGING WITH A CONTAINER WITH A FOLDED TOP AND METHOD FOR PREPARING SUCH A PACKAGING
JPWO2021260353A5 (en)
JP6598655B2 (en) Hinge cap
US1607091A (en) Bottle cap
JP3535790B2 (en) Plastic packaging container
JP6286283B2 (en) Cup container with lid
JP2021024615A (en) Hinge cap
JP7098202B2 (en) Blister container sealing method and sealing structure
JP5665337B2 (en) Plastic cap
JP7123753B2 (en) hinge cap
KR200447034Y1 (en) Plastic container with lid closure
JP2017149457A (en) Container with cover cap
JP6000189B2 (en) Hinge cap
JP5050522B2 (en) Molded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