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39Y1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39Y1
KR200491639Y1 KR2020150006842U KR20150006842U KR200491639Y1 KR 200491639 Y1 KR200491639 Y1 KR 200491639Y1 KR 2020150006842 U KR2020150006842 U KR 2020150006842U KR 20150006842 U KR20150006842 U KR 20150006842U KR 200491639 Y1 KR200491639 Y1 KR 200491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arc welding
flux supply
supply nozzle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515U (ko
Inventor
이창우
박금기
김영주
허만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3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 B23K9/186Submerged-arc welding making use of a consumabl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4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a shielding or a welding powder, e.g. a magnet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여러 가지 형태 및 방향에서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하게 되는 아크 용접기와, 상기 아크 용접기의 일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로 아크 용접시 플럭스를 공급하게 되는 제1플럭스 분배기와, 상기 아크 용접기의 타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플럭스를 공급하는 제2플럭스 분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SUBMERGED ARC WELDING FOR FLUX SUPPL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여러 가지 형태 및 방향에서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선이나 철구조물 등의 제조공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접법으로는, 사용 전극이 소모되는 소모식(Consumable) 용접법과, 사용 전극이 소모되지 않는 비소모식(Non Consumable) 용접법이 있다.
소모식 용접법으로는 피복아크 용접(Shield Metal Arc Welding), 가스메탈 아크 용접(Gas Metal Arc Welding) 및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 SAW) 등이 대표적이다.
이때, 상기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AW)은, 불꽃이 보이지 않게 금속을 용접하는 자동용접법으로 1940년대부터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정련작용(精鍊作用)을 하는 입자 모양의 피복제(被覆製:flux)로 용접부분을 두껍게 덮고, 그 속에서 용접봉이 용접선 상을 따라 나아가면서 용접되는 재료와의 사이에 큰 전류의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때,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AW)에서 사용하는 용접봉은 나용접봉(裸熔接捧)이며, 자동으로 일정한 크기의 아크가 생기고, 아크는 피복제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빛은 밖으로 새어 나오지 않으며, 피복제가 아크와 접촉하면서 녹고, 녹은 슬래그(slag)가 다시 쇳물을 덮어서 용접금속을 보호한다.
일반적으로 지름이 큰 와이어(wire)에 많은 전류를 흘려 보내기 때문에 고 능률의 용접이 이루어지고, 녹아들어 가는 지점이 깊고 결함이 거의 생기지 않아 용접 이음부의 신뢰도가 높으며, 아크가 보이지 않고 가스 발생량이 적어 청정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용접할 수 있는 부위가 한정되어 있고, 용접 홈의 정밀도가 우수해야 하며, 준비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또 용접 선이 직접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반자동용접이 곤란하며, 자동용접의 경우에도 이음매의 트래킹(trcking) 성능이 우수한 고가(高價)의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용접재료는 연강, 합금강, 비철금속 등이며, 전체 용접 가운데 7% 정도가 이 용접법에 해당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도시한 것으로, 입상의 플럭스 아래에서 소모성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얻어지는 열로 피접합물을 용접하는 방법인데, 가스메탈 아크 용접법(Gas Metal Arc Welding Process)에 비해 고전류 및 고속도로 용접을 수행하기 때문에 용접능률이 수 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며, 특히 후판 용접시 용접패스 수를 감소하여 용접의 변형이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이다.
이러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소모성 전극의 경우, 와이어(wire) 형태와 스트립(strip) 형태가 있는데, 스트립 형태의 전극은 넓은 면적을 한번에 용접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형태의 소모성 전극에 비해 용접효율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한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기는 통상 전원 공급부와, 와이어 공급장치, 용접 토치 또는 용접건, 이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플럭스용 호퍼, 회수시스템 및 자동용접시에 적용되는 이송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횡향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시스템은 레일, 이동수단을 구비한 바디, 플럭스 공급수단, 플럭스 회수수단, 토치 각도조절수단, 슬라이드수단, 용접토치가 연결된 와이어공급부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종방향으로 맞대어진 모재(10a)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접할 경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용접토치(20a)의 하부에 위치하고 모재(10a)에 접하도록 받침장치(50a)를 설치하여 용접부위에 분사되는 플럭스(22a)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받침장치(50a)는 모재(10a)에 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2개의 롤러(52a)와, 상기 롤러(52a)를 연결하고 모재(10a)와 받침장치(50a)간의 기밀을 유지하여 플럭스(22a)가 모재(10a)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51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벨트(51a)는 롤러(52a)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크게 제작되어 롤러(52a)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벨트(51a)는 모재(10a)와의 마찰로 인하여 장기간 사용시 마모가 발생되고,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의 슬래그가 벨트(51a)에 부착 손상되어, 벨트(51a)를 롤러(52a)에서 분리한 후 새로운 벨트(51a)로 교체해야 하므로, 자재의 낭비가 심해 원가가 상승되며,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극후판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있어 용접전류가 높고 용접부위가 넓은 부위에 기존 플럭스 분배기로서는 충분히 용융 용접부를 보호하지 못해 자주 아크가 불안정해지거나 용접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635호(2012.05.29.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럭스 공급장치를 이중으로 하고 플럭스의 분사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융 용접부를 보호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러스 공급 노즐과 용접 노즐을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하게 되는 아크 용접기와, 상기 아크 용접기의 일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로 아크 용접시 플럭스를 공급하게 되는 제1플럭스 분배기와, 상기 아크 용접기의 타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플럭스를 공급하는 제2플럭스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 용접기는 용접와이어를 공급하게 되는 용접튜브와, 상기 용접튜브의 끝단에 전원 연결되어 용접와이어를 안내하고 와이어에 전류를 인가하는 용접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아크 용접기와 제1,2플럭스 분배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끼움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끼움부로 끼워지는 아크 용접기를 원활하게 끼울 수 있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편이 구비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에는 끼움부에 끼워지는 제1,2플럭스 분배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는 연결구의 끼움부에 끼워져 플럭스가 공급되는 제1플럭스 공급튜브와,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에 연결되어 아크 용접시 플럭스를 배출시키는 제1플럭스 공급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럭스 공급노즐은 제1플럭스 공급튜브에 탈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럭스 분배기는 연결구의 끼움부에 끼워져 플럭스가 공급되는 제2플럭스 공급튜브와,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에 연결되어 아크 용접시 제1플럭스 분배기와 다른 방향에서 플럭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플럭스 공급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럭스 공급노즐은 제2플럭스 공급튜브에 탈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와 제2플럭스 분배기에는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제1플럭스 분배기의 제1플럭스 공급튜브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 사이 및 제2플럭스 분배기의 제2플럭스 공급튜브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제1플럭스 공급노즐과 제2플럭스 공급노즐을 회전시켜 플럭스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로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하게 되는 아크 용접기와, 상기 아크 용접기의 일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로 아크 용접시 플럭스를 공급하며 제1플럭스 공급튜브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로 구성된 제1플럭스 분배기와, 상기 아크 용접기의 타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플럭스를 공급하며 제2플럭스 공급튜브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로 구성된 제2플럭스 분배기와,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에 구비되어 제1플럭스 공급노즐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방향조절부와,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에 구비되어 제2플럭스 공급노즐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방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조절부는 제1플럭스 공급튜브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와, 상기 제1플럭스 공급노즐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1끼움홈부에 끼워지면서 제1끼움홈부에서 제1플럭스 공급노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끼움돌기와,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1플럭스 공급노즐이 좌,우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조절부는 제2플럭스 공급튜브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와, 상기 제2플럭스 공급노즐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2끼움홈부에 끼워지면서 제2끼움홈부에서 제2플럭스 공급노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끼움돌기와,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2플럭스 공급노즐이 좌,우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에 의하면, 아크 용접 시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는 플럭스 공급장치를 이중으로 설치하고 플럭스 공급장치를 회전시켜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융 용접부를 보호할 수 있어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의 방향조절부를 도시한 결합전 단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방향조절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의 방향조절부를 도시한 결합전 단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방향조절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는, 아크 용접기(100)와, 연결구(200)와,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와, 회전부(4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아크 용접기(100)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하는 것으로, 용접와이어(130)가 공급되는 용접튜브(110)와, 상기 용접튜브(110)의 끝단에 전원 연결되어 용접와이어(130)를 안내하고 용접와이어(130)에 전류를 인가시켜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노즐(120)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용접튜브(110)를 통해 용접와이어(130)가 끼워지고 상기 용접노즐(120)로 용접와이어(130)가 안내되면 전원의 공급에 따라 용접와이어(130)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아크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아크 용접기(100)는 연결구(200) 내로 삽입되면서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300)는 아크 용접기(100)의 일측부에 위치되면서 연결구(200)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한쪽 방향으로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300)는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와,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에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용접 부위로 플럭스를 배출시키는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의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는 하기에서 설명된 연결구(200)의 끼움부(210)에 끼워져 지지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은 서로 탈착되어 교체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2플럭스 분배기(300a)는 아크 용접기(100)의 타측부에 위치되면서 연결구(200)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다른쪽 방향으로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플럭스 분배기(300a)는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와,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에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는 다른 방향의 용접 부위로 플럭스를 배출시키는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의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는 하기에서 설명된 연결구(200)의 끼움부(210)에 끼워져 지지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은 서로 탈착되어 교체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아크 용접기(100)의 좌,우측에 각각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에서 플럭스를 배출시키게 되어 용접전류가 높고 용접부위가 넓어도 용융 용접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구(200)는 아크 용접기(100)와 제1,2플럭스 분배기(300,300a)를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아크 용접기(100)와 제1,2플럭스 분배기(300,300a)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끼움부(21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200)의 정면에는 끼움부(210)로 끼워지는 아크 용접기(100)를 원활하게 끼울 수 있고 아크 용접기(1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편(220)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2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구비되며, 상기 아크 용접기(1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편(220)에 고정핀(230)이 끼워져 아크 용접기(100)가 연결구(200)의 끼움부(210)에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가 끼워지는 연결구(200)에는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가 끼움부(2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구(200)로부터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볼트(240)가 체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회전부(400)는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에 구비되어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의 플럭스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부(400)는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의 연결부위 및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과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을 회전시켜 플럭스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회전부(400)에 의해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상기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과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을 회전시킬 수 있어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 및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을 통해 배출되는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여 아크가 안정되어지게 된다.
실시예 2.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하게 되며 연결구(200)에 결합되는 아크 용접기(100)와, 상기 아크 용접기(100)의 일측부에 연결구(200)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시 플럭스를 공급하는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300)에 구비되어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방향조절부(500)와, 상기 아크 용접기(100)의 타측부에 연결구(200)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시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다른 방향에서 플럭스를 공급하는 제2플럭스 분배기(300a)와, 상기 제2플럭스 분배기(300a)에 구비되어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방향조절부(500a)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300)는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와,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에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용접 부위로 플럭스를 배출시키는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방향조절부(500)는 제1플럭스 분배기(300)의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의 연결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510)와, 상기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1끼움홈부(510)에 끼워지면서 제1끼움홈부(510)에서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끼움돌기(520)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의 하부 내측면에는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이 좌,우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1테이퍼부(53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1끼움돌기(520)가 제1끼움홈부(510)에 끼워져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이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1끼움홈부(510)에서 제1끼움돌기(520)가 회전이 가능하되 상기 제1테이퍼부(530)에 의해 상기 제1끼움돌기(520)가 제1끼움홈부(510)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이 제1플럭스 공급튜브(3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방향조절부(500)에 의해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플럭스 분배기(300a)는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와,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에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다른 방향에서 플럭스를 배출시키는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방향조절부(500a)는 제2플럭스 분배기(300a)의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의 연결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510a)와, 상기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2끼움홈부(510a)에 끼워지면서 제2끼움홈부(510a)에서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끼움돌기(520a)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의 하부 내측면에는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이 좌,우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2테이퍼부(530a)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2끼움돌기(520a)가 제2끼움홈부(510a)에 끼워져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이 제2플럭스 공급튜브(310a)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2끼움홈부(510a)에서 제2끼움돌기(520a)가 회전이 가능하되 상기 제2테이퍼부(530a)에 의해 상기 제2끼움돌기(520a)가 제2끼움홈부(510a)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방향조절부(500)와 마찬가지로 제2방향조절부(500a)에 의해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연결구(200)에 아크 용접기(100)와 제1플럭스 분배기(300) 및 제2플럭스 분배기(300a)를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상기 아크 용접기(100)의 좌,우측에 설치된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에서 플럭스가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플럭스 분배기(300,300a)에 의해 아크 용접기(100)의 양쪽에서 플럭스가 분사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아크 용접시 플럭스를 공급하기 위한 플럭스 분배기를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의 복수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아크 용접기(100)로 아크 용접시 넓은 용접부위를 충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300)와 제2플럭스 분배기(300a)를 회전부(400) 또는 제1,2방향조절부(500,500a)에 의해 제1플럭스 공급노즐(320)과 제2플럭스 공급노즐(320a)을 회전시킬 수 있어 상기 제1,2플럭스 공급노즐(320,320a)로 분사되는 플럭스의 분사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여 플럭스가 충분함에 따라 아크가 안정되어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용접튜브(110)로부터 용접노즐(120)의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제1,2플럭스 공급튜브(310,310a)로부터 제1,2플럭스 공급노즐(320,320a)을 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상기 용접노즐(120) 및 제1,2플럭스 공급노즐(320,320a)의 교체가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아크 용접기 110 : 용접튜브
120 : 용접노즐 130 : 용접와이어
200 : 연결구 210 : 끼움홈부
220 : 지지편 230 : 고정핀
240 : 볼트 300 : 제1플럭스 분배기
300a : 제2플럭스 분배기 310 : 제1플럭스 공급튜브
310a : 제2플럭스 공급튜브 320 : 제1플럭스 공급노즐
320a : 제2플럭스 공급노즐 400 : 회전부
500 : 제1방향조절부 500a : 제2방향조절부
510 : 제1끼움홈부 510a : 제2끼움홈부
520 : 제1끼움돌기 520a : 제2끼움돌기
530 : 제1테이퍼부 530a : 제2테이퍼부

Claims (13)

  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하기 위한 아크 용접기;
    상기 아크 용접기의 일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로 아크 용접시 용접부위로 플럭스를 공급하게 되는 제1플럭스 분배기; 및
    상기 아크 용접기의 타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제1플럭스 분배기와 다른 방향에서 플럭스를 공급하는 제2플럭스 분배기;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아크 용접기와 제1,2플럭스 분배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끼움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끼움부로 끼워지는 아크 용접기를 원활하게 끼울 수 있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편이 구비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되되고,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는,
    상기 연결구의 끼움부에 끼워져 플럭스가 공급되는 제1플럭스 공급튜브; 및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에 연결되어 아크 용접시 용접부위로 플럭스를 분사시키는 제1플럭스 공급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플럭스 분배기는,
    상기 연결구의 끼움부에 끼워져 플럭스가 공급되는 제2플럭스 공급튜브; 및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에 연결되어 아크 용접시 제1플럭스 분배기와 다른 방향에서 플럭스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플럭스 공급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플럭스 분배기와 제2플럭스 분배기에는 플럭스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는 제1플럭스 분배기의 제1플럭스 공급튜브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의 연결부위 및 제2플럭스 분배기의 제2플럭스 공급튜브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제1플럭스 공급노즐과 제2플럭스 공급노즐을 회전시켜 플럭스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용접기는 용접와이어를 공급하는 용접튜브와, 상기 용접튜브의 끝단에 전원 연결되어 용접와이어를 안내하고 용접와이어에 전류를 인가하는 용접노즐을 포함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는 끼움부에 끼워지는 제1,2플럭스 분배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럭스 공급노즐은 제1플럭스 공급튜브에 탈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럭스 공급노즐은 제2플럭스 공급튜브에 탈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하기 위한 아크 용접기;
    상기 아크 용접기의 일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아크 용접기로 아크 용접시 용접부위로 플럭스를 공급하며 제1플럭스 공급튜브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로 구성된 제1플럭스 분배기;
    상기 아크 용접기의 타측부에 연결구로 연결되어 플럭스를 공급하며 제2플럭스 공급튜브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로 구성된 제2플럭스 분배기;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와 제1플럭스 공급노즐에 구비되어 제1플럭스 공급노즐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방향조절부; 및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와 제2플럭스 공급노즐에 구비되어 제2플럭스 공급노즐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방향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조절부는,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제1플럭스 공급노즐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1끼움홈부에 끼워지면서 제1끼움홈부에서 제1플럭스 공급노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끼움돌기; 및
    상기 제1플럭스 공급튜브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1플럭스 공급노즐이 좌,우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테이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조절부는,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
    상기 제2플럭스 공급노즐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2끼움홈부에 끼워지면서 제2끼움홈부에서 제2플럭스 공급노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끼움돌기; 및
    상기 제2플럭스 공급튜브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2플럭스 공급노즐이 좌,우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테이퍼부;
    를 포함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12. 삭제
  13. 삭제
KR2020150006842U 2015-10-21 2015-10-2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KR200491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42U KR200491639Y1 (ko) 2015-10-21 2015-10-2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42U KR200491639Y1 (ko) 2015-10-21 2015-10-2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15U KR20170001515U (ko) 2017-05-02
KR200491639Y1 true KR200491639Y1 (ko) 2020-05-13

Family

ID=5871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42U KR200491639Y1 (ko) 2015-10-21 2015-10-2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3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947B1 (ko) * 1999-03-31 2001-09-22 윤덕용 보조노즐을 이용한 아크용접토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957A (en) * 1979-03-01 1980-09-09 Combustion Engineering, Inc. Welding flux closed loop system
JPH08281437A (ja) * 1995-04-06 1996-10-29 Daihen Corp 潜弧溶接用溶接ヘッド
KR20120053635A (ko) 2010-11-18 2012-05-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횡향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캐리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947B1 (ko) * 1999-03-31 2001-09-22 윤덕용 보조노즐을 이용한 아크용접토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15U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9271B1 (en) Double wire gmaw welding torch assembly and process
CN100528448C (zh) 具有经由液桥的金属过渡的tig熔焊或硬钎焊
KR101516130B1 (ko) 파이프 맞대기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장치
US20150014284A1 (en) Hybrid mig-tig or mag-tig welding device
KR101764032B1 (ko) 용접용 토치
KR101614257B1 (ko) 파이프 맞대기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장치
KR101538249B1 (ko) 가스 실드 아크 용접 방법 및 용접 장치
SK18895A3 (en) Method of longitudinal welding of pipes with flat steel and device for its realization
KR20120077201A (ko) 잠호 자동 용접장치
KR200458763Y1 (ko) 용접 장치
KR200491639Y1 (ko)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공급장치
KR20120053635A (ko) 횡향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캐리지 시스템
KR20120004604U (ko) 돌출된 콘택트팁을 구비한 용접용 토치
CN113070553B (zh) 碳钢管道药芯焊丝全位置机动焊mag打底焊接工艺
KR102361082B1 (ko) 용접 안정성이 확보된 핸디형 용접토치
KR102024119B1 (ko) 직렬 배치 방식의 티그 용접 장치 및 방법
KR102046611B1 (ko) 티그용접기용 용가재 송급기구
KR102046607B1 (ko) 티그용접용 c형 용가재 송급기구
KR101473663B1 (ko) 티그 용접기용 용접토치
KR101116020B1 (ko) 백비드 성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접기
JP2010234409A (ja) 狭開先溶接トーチ及び該溶接トーチを備えたタンデムアーク溶接装置
CN106891082A (zh) 辐射环境下的不锈钢板焊接方法
KR20140141129A (ko) Co2 용접 콘택트팁 2단 분리형
KR20160024531A (ko) 소형 보강재 용접 전용 노즐
KR20110139847A (ko) 퍼징작업이 포함된 용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