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16Y1 -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16Y1
KR200491216Y1 KR2020180002749U KR20180002749U KR200491216Y1 KR 200491216 Y1 KR200491216 Y1 KR 200491216Y1 KR 2020180002749 U KR2020180002749 U KR 2020180002749U KR 20180002749 U KR20180002749 U KR 20180002749U KR 200491216 Y1 KR200491216 Y1 KR 200491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water
water supply
pressure reduc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208U (ko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완테크
Priority to KR2020180002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1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클러의 초기 작동 시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작용하는 높은 수압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관로(10)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 받도록 형성되는 급수구(100)와;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로가 연결되되, 상기 급수구(100)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출수구(200)와; 상기 급수구(100)를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 끝단이 밀폐된 감압공간(310)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감압부(300)를 포함하여,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관로 상에 감압공간이 형성된 간단한 구조의 감압용 연결구를 마련하여, 스프링클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화재 시 스프링클러에 대한 작동 신뢰도를 높여 안전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Connector of sprinkler for decompressing}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클러의 초기 작동 시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작용하는 높은 수압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관로 상에 감압공간이 형성된 간단한 구조의 감압용 연결구를 마련하여, 스프링클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화재 시 스프링클러에 대한 작동 신뢰도를 높여 안전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란 화재통보와 소화가 발화 초기에 동시에 행해지는 자동 소화설비로, 물을 분무상으로 방사시키므로 화재 초기에 효과가 크고,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물이 많고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공간에 적합하며, 야간의 자동소화도 기대할 수 있는 등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통상, 건물 내의 상부, 즉 천장이나 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금속이 화재 발생 시의 열에 의해서 녹아 살수구의 뚜껑이 떨어져 나가면서 가압되어 있던 물이 헤드로부터 발화점 전체에 뿌려진다.
이와 동시에 화재경보가 울려 화재통보와 소화가 발화 초기에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보통이며, 통상 67∼180℃에서 작동하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부착 위치라든지 배치 및 방수량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와 내장의 정도에 따라서 소방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연결구를 통한 배관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 연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연결구를 통한 배관은, 급수관로(10) 및 스프링클러 헤드(30)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주름관(20) 및 연결구(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렉서블 주름관(20)은 통상 말단에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헤드(3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급수관로(10)에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주름관(20)을 연결하기 위하여 관로의 직경을 변경하기 위한 연결구(40)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로(10)의 말단에는 수나사산(11)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연결구(40)에는 양측에 암나사산(41)만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주름관(20)을 연결구(4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양측에 수나사산(51)이 형성되어 있는 추가적인 커넥터(50)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연결구(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배관의 직경을 변경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을 뿐이어서, 급수관로(10)의 과도한 수압이 그대로 스프링클러 헤드(30)에 직접 작용하게 되며, 특히 급수관로(10)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링클러 헤드(30) 중 말단에 위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30)에는 더욱 과도한 수압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스프링클러 헤드(30)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암수 나사산의 결합 특성상 추가적인 커넥터(50)를 연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프링클러 헤드(30)에 대한 배관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고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관로 상에 감압공간이 형성된 간단한 구조의 감압용 연결구를 마련하여, 스프링클러의 초기 작동 시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작용하는 높은 수압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스프링클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화재 시 스프링클러에 대한 작동 신뢰도를 높여 안전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급수관로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 받도록 형성되는 급수구와;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로가 연결되되, 상기 급수구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출수구와; 상기 급수구를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 끝단이 밀폐된 감압공간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감압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출수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감압부 내측의 말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급수구 내경의 1.5~3배인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급수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구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에는 플렉서블 주름관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감압부의 말단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별도의 밀폐 수단이 체결되어 밀폐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관로 상에 감압공간이 형성된 간단한 구조의 감압용 연결구를 마련하여, 스프링클러의 초기 작동 시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작용하는 높은 수압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스프링클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화재 시 스프링클러에 대한 작동 신뢰도를 높여 안전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연결구를 통한 배관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 연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통한 배관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통한 배관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게다가, 도 10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는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관로 상에 감압공간이 형성된 간단한 구조의 감압용 연결구를 마련하여, 스프링클러의 초기 작동 시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작용하는 높은 수압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스프링클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화재 시 스프링클러에 대한 작동 신뢰도를 높여 안전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로(10)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 받도록 형성되는 급수구(100)와;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로가 연결되되, 상기 급수구(100)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출수구(200)와; 상기 급수구(100)를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 끝단이 밀폐된 감압공간(310)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감압부(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는 기본적으로 도 3 내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로(10)와 스프링클러 헤드(30)를 연결하기 위한 플렉서블 주름관(20)과 상기 급수관로(10)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는 주조 등에 의해 대략 T자 형상의 중공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크게 급수구(100), 출수구(200), 그리고 감압부(300)를 포함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선, 급수구(100)는 급수관로(10)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 받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급수관로(10)의 직경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크기 조절하여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관로(10)는 직경이 규격화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50mm, 40mm, 32mm, 25mm 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구(100)에는 상기 급수관로(10)의 말단에 형성되는 수나사산(도 2의 도면부호 11 참조)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암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있어 급수구(100)를 급수관로(10)에 별도의 커넥터 없이 직접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출수구(200)는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로가 연결되되, 상기 급수구(100)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술한 급수관로(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관로(10)의 직경 보다는 작은 후술할 플렉서블 주름관(20)의 직경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크기 조절, 즉 통상적으로 직경을 축소하여 성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급수구(100)의 직경 보다 출수구(200)의 직경을 축소하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관로 축소에 따라 별도의 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여기에서, 연결관로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30)에 이르는 관로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후술할 플렉서블 주름관(20)을 포함하여 다양한 주지의 기계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출수구(200)에는 상기 플렉서블 주름관(20)의 말단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수나사산(201)이 형성되어 있어 출수구(200)를 플렉서블 주름관(20)에 별도의 커넥터 없이 직접 체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감압부(300)는 상기 급수구(100)를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 끝단이 밀폐된 감압공간(310)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구(100)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말단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 밀폐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급수구(100)로 들어오는 물의 대부분은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감압부(300)의 감압공간(310)을 따라 이동하였다가, 밀폐된 끝단에 이르러 U턴하여 출수구(200)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압부(300)의 말단을 대략 반구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감압공간(310) 내에서 물이 원활하게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급수구(100)로 들어오는 물의 일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압부(300)의 감압공간(310)에서 되돌아오는 물과 합쳐져 바로 출수구(200)로 나가게 된다.
그 결과, 스프링클러의 초기 작동 시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높은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상술한 감압공간(310)이 형성된 감압부(300)에 의해 적절하게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높은 수압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에 형성되는 급수구(100)의 내경과 상술한 감압부(300)의 길이를 변경시키면서 다양하게 조합하여 감압 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상기 급수구(100)의 내경에 비해 상기 감압부(300)의 길이가 짧을수록 감압 효과가 작아지고, 상기 감압부(300)의 길이 길수록 감압 효과가 커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 감압부(300)의 길이를 단순히 길게 하는 것으로 감압 효과가 비례적으로 커지지 않고 소정의 길이에서 수렴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20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감압부(300) 내측의 말단까지의 길이(L)는 상기 급수구(100) 내경(d)의 1.5~3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출수구(20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감압부(300) 내측의 말단까지의 길이(L)가 상기 급수구(100) 내경(d)의 1.5배 미만인 경우, 감압 효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반대로, 상기 출수구(20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감압부(300) 내측의 말단까지의 길이(L)가 상기 급수구(100) 내경(d)의 3배를 초과할 경우, 감압 효과가 더 증가하지 않고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급수구(10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01)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구(2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201)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200)에는 플렉서블 주름관(20)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3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상기 급수구(10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01)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구(2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201)이 형성됨으로써, 추가적인 별도의 커넥터 없이도 급수구(100)를 급수관로(10)에 연결하고, 출수구(200)를 플렉서블 주름관(20)에 간단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주름관(20)은 그 양단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파이프로서,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가요성을 가지고 부드럽게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상기 출수구(200)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30)에 누수 없이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30)는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 환경에 따라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와 항상 동일한 높이에 설치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높이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주름관(20)을 적절하게 변형시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는 급수구(100), 출수구(200), 그리고 감압부(300)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상기 감압부(300)의 성형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감압부(300)를 변형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는, 상기 감압부(300)의 말단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별도의 밀폐 수단이 체결되어 밀폐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서, 밀폐 수단은 상기 감압부(300)와 체결되어 상기 감압부(300)의 말단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서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높은 수압을 고려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 상기 밀폐 수단의 내부 형상은 반구형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상기 밀폐 수단의 일례로 플러그(400)가 적용된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400)의 외측 말단에는 공구 그립 돌부(41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구 그립 돌부(410)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렌치 등의 공구로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며, 도면에는 사각기둥 형상의 공구 그립 돌부(410)를 예시하였지만, 육각 기둥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는 상기 밀폐 수단의 다른 예로 캡(500)이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다.
즉,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캡(500)의 외주면에는 돌부를 형성하여 공구로 캡(500)을 그립하였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좋으며, 성형성을 고려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도 좋을 것이다.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에 있어서 밀폐 수단의 변형예 및 다른 변형예는 앞서 설명한 구성과 모두 동일하며, 오직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를 보다 쉽게 제작하기 위한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며,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프링클러 헤드(30)에 공급될 물은 급수관로(10)를 통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1)로 들어왔다가 플렉서블 주름관(20)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30)로 공급된다.
이때, 급수구(100)로 들어온 물의 대부분은 감압부(300)를 경유한 후 출수구(200)로 배출되며, 일부는 감압부(300)를 경유하지 않고 급수구(100)로부터 바로 출수구(200)로 배출될 것이다.
이와 같이, 감압부(30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스프링클러 헤드(30)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소망하는 압력으로 적절하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르면, 급수구(100)에 암나사산(101)을 형성하고, 출수구(200)에 수나사산(201)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추가적인 커넥터 없이도 급수관로(10) 및 플렉서블 주름관(2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프링클러에 대한 배관 작업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편리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관로 상에 감압공간이 형성된 간단한 구조의 감압용 연결구를 마련하여, 스프링클러의 초기 작동 시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작용하는 높은 수압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스프링클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화재 시 스프링클러에 대한 작동 신뢰도를 높여 안전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고안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 1" : 연결구 10 : 급수관로
20 : 플렉서블 주름관 30 : 스프링클러 헤드
100 : 급수구 101 : 암나사산
200 : 출수구 201 : 수나사산
300 : 감압부 310 : 감압공간
400 : 플러그 410 : 공구 그립 돌부
500 : 캡 d : 급수구의 내경
L : 출수구의 중심으로부터 감압부 내측의 말단까지의 길이

Claims (4)

  1. 급수관로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 받도록 형성되는 급수구와;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로가 연결되되, 상기 급수구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출수구와;
    상기 급수구를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 끝단이 밀폐되어 물의 U턴을 유도하기 위한 감압공간이 상기 급수구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감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수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감압부 내측의 말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급수구 내경의 1.5~3배이며;
    상기 감압부의 말단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별도의 밀폐 수단이 체결되어 밀폐되되, 상기 밀폐 수단은 외측 말단에 각기둥 형상의 공구 그립 돌부가 돌출 형성된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2. 급수관로와 연결되어 물을 급수 받도록 형성되는 급수구와;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로가 연결되되, 상기 급수구와 직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출수구와;
    상기 급수구를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 끝단이 밀폐되어 물의 U턴을 유도하기 위한 감압공간이 상기 급수구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감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수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감압부 내측의 말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급수구 내경의 1.5~3배이며;
    상기 감압부의 말단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별도의 밀폐 수단이 체결되어 밀폐되되, 상기 밀폐 수단은 공구로 그립하였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부가 외주면에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구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에는 플렉서블 주름관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4. 삭제
KR2020180002749U 2018-06-19 2018-06-19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KR200491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749U KR200491216Y1 (ko) 2018-06-19 2018-06-19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749U KR200491216Y1 (ko) 2018-06-19 2018-06-19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08U KR20190003208U (ko) 2019-12-30
KR200491216Y1 true KR200491216Y1 (ko) 2020-03-05

Family

ID=6902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749U KR200491216Y1 (ko) 2018-06-19 2018-06-19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1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849Y1 (ko) * 1998-05-21 2002-04-22 김형수 화재진압용일체형용수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849Y1 (ko) * 1998-05-21 2002-04-22 김형수 화재진압용일체형용수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08U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7459A (en) Pipe connector, pipe coupler and associated nut
EP2726159B1 (en) Dry sprinklers with multiple coupling arrangements
US4905766A (en) Adapter for plastic pipe
US11701533B2 (en) Sprinkler head adapter
KR200491216Y1 (ko) 스프링클러의 감압용 연결구
CN101418869B (zh) 供暖水流速控制阀
US11002397B2 (en) Pipe coupling module
JP4704770B2 (ja) 防塵キャップ
KR20210138272A (ko) 소방 배관장치
KR102212136B1 (ko) 소방 레듀서 구조물
KR102422435B1 (ko) 소방 호스 연장용 커플링
US6715801B2 (en) Safety quick connection
KR101870214B1 (ko)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EP2111267B1 (en) Nozzle means for extinguisher system
KR200492318Y1 (ko) 호스 이탈 방지 장치
KR20230066637A (ko) 분해 방지 연결 부재 및 분해 방지 연결 어셈블리
US3093357A (en) Pressurized fluid coupling means
JPH11658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巻出し管
KR200343774Y1 (ko) 스프링클러용 연결배관
KR100599394B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JP2007267764A (ja) ヘッド防塵構造及び防塵キャップ
JPH11287369A (ja) セレクション弁のフランジ結合構造
TW202020352A (zh) 快速接頭的保護套
KR20170110029A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KR200267529Y1 (ko) 스프링쿨러 고정장치의 절곡형 레듀샤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