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134Y1 - 트랙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트랙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134Y1
KR200491134Y1 KR2020180005961U KR20180005961U KR200491134Y1 KR 200491134 Y1 KR200491134 Y1 KR 200491134Y1 KR 2020180005961 U KR2020180005961 U KR 2020180005961U KR 20180005961 U KR20180005961 U KR 20180005961U KR 200491134 Y1 KR200491134 Y1 KR 200491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light source
converter
hou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홍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루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루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루체
Priority to KR2020180005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트랙 조명기구가 개시된다. 본 트랙 조명기구는, 외부 공급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컨버터; 및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과 상기 광원의 하우징은 횡단면의 외주연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본 트랙 조명기구에 의하면, 광원과 컨버터가 하우징을 통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도록 하되 광원의 조명 효율이 유지되도록 하여, 본연의 역할에 충실함과 동시에 광원과 컨버터 간의 형상적 조화를 통한 심미감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트랙 조명기구{Track lighting}
본 고안은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트랙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 효율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본체와 컨버터 간의 조화를 통해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트랙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트랙 조명기구는, 레일 형태의 트랙에 설치되어 트랙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인테리어 목적을 위해 상업용 시설이나 전시용 시설 등에서 사용하는 조명기구를 의미한다.
즉, 트랙 조명기구는, 공간을 조명하는 일차적인 목적과 함께 해당 공간의 심미성을 증대시키는 이차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간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 자체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킴은 물론이며, 공간의 심미화를 통한 공간의 목적에 따른 결과물의 효용을 증대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커피를 판매하기 위한 상업용 시설에서 트랙 조명기구가 설치되어 있게 되면, 상업용 시설 자체의 분위기를 증대시킴과 더불어 판매되는 커피의 맛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도 심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트랙 조명기구는 트랙 어댑터를 통해 트랙과 연결되어 트랙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트랙 내에 마련된 전기 선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컨버터를 통해 안정화된 전원으로 구동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트랙 조명기구는 컨버터라는 전원 안정화 장치를 수반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전원 안정화 장치는 트랙과 본체의 중간에 위치되어 트랙 또는 본체와 부조화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어 마련되게 되며, 이로 인해 트랙 조명기구를 사용하는 목적인 심미성 증대라는 목적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트랙 조명기구가, 트랙 조명기구의 일차적인 목적인 공간 조명 효율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트랙 조명기구의 이차적인 목적인 공간의 심미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521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랙 조명기구의 일차적인 목적인 공간 조명 효율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트랙 조명기구의 이차적인 목적인 공간의 심미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트랙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는, 외부 공급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컨버터; 및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과 상기 광원의 하우징은 횡단면의 외주연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이 발광되는 상기 광원의 하면은, 상기 광원의 하우징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공랭을 위한 공기 인입 유로가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과 연결되는 상기 광원의 하우징의 상부는,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랭을 위한 공기 인출 유로가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트랙 조명기구는, 상기 트랙 조명기구가 트랙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트랙 레일 내의 전기선로에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컨버터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트랙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랙 어댑터는, 상기 트랙 레일 내에 인입되어 상기 트랙 조명기구 중 상기 컨버터와 상기 광원만 상기 트랙 레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랙 어댑터는, 어댑터 바디; 상기 어댑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양극과 상기 제1 전극의 연결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일측에 마련되되, 완충부재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랙 레일에 마련된 제1 홈에 끼움결합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어댑터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연결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타측에 마련되되, 완충부재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랙 레일에 마련된 제2 홈에 끼움결합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양자가 최대 수축되어 상기 어댑터 바디의 내부로 인입될 시, 상호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어댑터 바디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는, 외부 공급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컨버터; 및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의 횡단면의 면적은, 상기 광원의 하우징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는, 외부 공급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컨버터; 및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은,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광원의 하우징을 저면에서 바라보는 경우에 관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는, 외부 공급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컨버터; 및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은, 상기 광원의 하우징과의 일체감 형성을 위해 상기 광원의 하우징을 종방향으로 수축시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과 컨버터가 하우징을 통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도록 하되 광원의 조명 효율이 유지되도록 하여, 본연의 역할에 충실함과 동시에 광원과 컨버터 간의 형상적 조화를 통한 심미감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가 트랙 레일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를 평면과 저면에서 관찰함으로써 외주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의 공기 순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의 공기 순환 유로 중 공기 인입 유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의 트랙 어댑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는 트랙 레일에 설치되되, 컨버터부가 조명부의 모양에 의해 형성되는 미적 관념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트랙 조명기구가 설치된 공간의 조도를 높임과 동시에 공간의 심미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는, 광원부(100), 컨버터부(200) 및 어댑터부(트랙 어댑터)(300)로 구성된다.
광원부(100)는 광원을 구비하여 하방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광원의 발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방열팬, 광의 포커스를 조절하기 위한 렌즈, 그리고, 광원을 포함한 광원부(100) 내의 구성을 보호하고 트랙 조명기구의 설치 목적인 심미성을 증대하기 위해 광원을 포함한 광원부(100) 내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광원부(100)에서 광이 조사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광원부(100)의 상부에는 컨버터부(200)가 연결된다.
컨버터부(200)는 하단의 광원부(100)로 안정화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통상 안정기 등의 용어로 칭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컨버터부(200)는 외부 공급 전원을 안정화된 전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 구동회로, 그리고, 이러한 컨버터와 구동회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컨버터부(200)의 하부에는 광원부(100)가 마련되듯이, 컨버터부(200)의 상부에는 어댑터부(300)가 연결된다.
어댑터부(300)는 컨버터부(200)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어댑터부(300)를 기준으로 한 컨버터부(200)가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부(300)는 어댑터부(300)에서의 본체 역할을 하는 어댑터 바디(310)와 어댑터부(300)를 기준으로 한 컨버터부(2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가 트랙 레일(400)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트랙 레일(4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와의 결합을 위해 별도로 제조되거나 제작된 레일이 아닌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범용화되어 사용되는 트랙 레일(400)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트랙 레일(400)에 트랙 조명기구가 결합되고 나면, 트랙 조명기구가 설치된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광원부(100)와 컨버터부(200)의 부조화에 따른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00)와 컨버터부(200)는 양자 사이의 작은 틈새를 제외하고는 마치 일체화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해, 트랙 조명기구의 역할 중 하나인 설치에 따른 공간 내의 심미감 형성이라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트랙 조명기구에서의 가장 큰 난제는, 광원부(100)의 제조와 컨버터부(200)의 제조가 제각각으로 이루어지다보니, 트랙 조명기구가 다른 조명기구와 구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이 심미성 증대를 위해, 광원부(100)에 심미적 요소를 가미하여 제작되더라도 컨버터부(200)와의 부조화로 인한 트랙 조명기구 전반의 심미성이 결여되는 것이었다.
물론,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버터를 트랙 레일 내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가 안출되기도 하였으나, 실제로 트랙 조명기구는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트랙 레일의 규격을 따르는 경우 대부분이어서, 컨버터를 트랙 레일 내에 삽입하기 위한 구조는 트랙 레일까지도 함께 제작하여 양자의 결합 구조가 정합되도록 해야 한다거나 대량 생산에 따른 판매가 아닌 자체 사용 목적 또는 단발성 사용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는 또 다른 문제를 지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는, 컨버터부(200)가 트랙 레일(400) 내에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광원부(100)와의 조화를 통해 트랙 조명기구 전반의 심미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한다는 기술적 특징을 지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를 평면과 저면에서 관찰함으로써 외주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특히, 도 3의 상측 도면은 트랙 조명기구를 평면에서 관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하측 도면은 트랙 조명기구를 저면에서 관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버터부(200)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광원부(100)를 구성하는 하우징은 동일한 직경(D)을 갖고 횡단면의 외주연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컨버터부(200)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횡단면의 면적이 광원부(100)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횡단면의 면적과 같도록 마련됨으로 인해, 트랙 조명기구를 저면에서 바라보는 경우에 컨버터부(200)가 광원부(100)에 가려 관찰되지 않도록 형성되게 된다.
물론,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버터부(200)의 하우징의 횡단면이 광원부(100)의 하우징의 횡단면과 같은 경우로 상정하였으나, 컨버터부(200)의 하우징의 횡단면은, 광원부(100)의 하우징의 횡단면보다 작도록 마련되는 경우에도 그 횡단면 간의 비례 관계를 만족한다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광원부(100)와 컨버터부(200)가 일체감을 갖도록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광원부(100)의 본연의 역할인 발광을 위해, 발광 효율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열이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을 위한 구조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의 공기 순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의 공기 순환 유로 중 공기 인입 유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트랙 조명기구는 일반적인 조명기구와 마찬가지로 방열 성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게 된다. 즉, 트랙 조명기구가 일반적인 조명기구와 구별되는 심미성만을 추구하다보면 조명기구로서의 본연의 역할을 망각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은 컨버터부(200)까지도 심미성을 고려하고 있는 경우라면 더더욱 그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는, 광원부(100)와 컨버터부(200)가 일체감을 갖도록 조화로운 형상을 가지면서도 광원부(100)의 광원(110)을 통해 생성된 열이 하단의 개구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부의 틈새를 통해 배출되는 유로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구조적 조화와 기능적 요건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150)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광원부(100)의 광원(110)의 발광에 의해 광원부(100)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 공간 내의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하우징(150)과 광원(110) 사이의 간격 차이(D2-D1)에 따라 생성되는 하부 개구로 유입되어 방열팬(130)을 거치게 되고, 방열팬(130)을 냉각시키게 되고, 다시 더워진 공기는 광원부(100)의 하우징(150)과 컨버터부(200)의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랭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에 의해, 광원부(100)와 컨버터부(200)의 일체감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발광 효율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조명기구의 어댑터부(3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특히, 도 6의 좌측에서는 어댑터부(300)의 우측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고, 도 6의 우측에서는 어댑터부(300)의 좌측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으며, 중앙에서는 어댑터부(300)의 중앙을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300)는 트랙 조명기구가 트랙 레일(400)에 연결됨으로써 공간 내의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고 트랙 레일(400)로부터 외부 공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어댑터부(300)는 트랙 레일(400)에 인입되는 몸체를 형성하는 어댑터 바디(310), 트랙 레일(400)로부터 외부 공급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340), 그리고, 어댑터 바디(310)가 트랙 레일(400) 내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어댑터 바디(310)와 트랙 레일(40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돌출부(330)와 제2 돌출부(350)로 구성된다.
어댑터 바디(310)는 말 그대로 어댑터부(300)가 트랙 레일(400)에 인입되는 몸체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어댑터 바디(310)는 트랙 레일(4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성품으로 된 트랙 레일(40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치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국내에서는 중성선이 없는 단상2선식 방식을 사용하므로, 중성선을 사용하는 일부 국가에 비해 작은 형태를 지닌 트랙 레일(400)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바디(310)는 중성선이 없는 단상2선식 방식에 맞도록 제조된 트랙 레일(400)의 치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트랙 레일(400)에는 내부 면에 전기 선로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 공급 전원이 양극과 음극으로 분리된 상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트랙 레일(400)의 안쪽 면 중 좌측 면에는 외부 공급 전원의 양극이 인가되고, 트랙 레일(400)의 안쪽 면 중 우측 면에는 외부 공급 전원의 음극이 인가되게 된다.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340)은 좌우로 각각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트랙 레일(400)의 좌측 면에 설치되는 양극과 우측 면에 설치되는 음극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제1 돌출부(330)는 어댑터 바디(310)가 트랙 레일(400) 내에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댑터 바디(310)의 좌우측 중 일측에 마련되며, 특히 제1 전극(320)의 주변에 마련되어 제1 전극(320)과 양극 간의 접촉 지속력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제2 돌출부(350)는 어댑터 바디(310)가 트랙 레일(400) 내에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댑터 바디(310)의 좌우측 중 타측에 마련되며, 특히 제2 전극(340)의 주변에 마련되어 제2 전극(340)과 음극 간의 접촉 지속력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즉, 제1 돌출부(330)와 제2 돌출부(350)는 어댑터 바디(31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돌출됨으로써 어댑터부(300)가 트랙 레일(400) 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이며, 다른 위치보다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340)의 주변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제1 전극(320)과 양극, 그리고, 제2 전극(340)과 음극의 접촉력이 더욱 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전극(320)과 제1 돌출부(330)는 각각이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최대 이완시에는 어댑터 바디(310)의 일측으로 최대한 돌출되어 있도록 형성되고, 최대 수축시에는 어댑터 바디(310)의 일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340)과 제2 돌출부(350) 역시 각각이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최대 이완시에는 어댑터 바디(310)의 타측으로 최대한 돌출되어 있도록 형성되고, 최대 수축시에는 어댑터 바디(310)의 타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이완시는 특별한 외부 물리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완충부재의 탄성력만이 가해지고 있는 경우이며, 최대 수축시는 인위적인 가압이나 트랙 레일(400) 내에 삽입되어 트랙 레일(400)이 허용하는 공간까지만 이완된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를 통한 이완/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 인해,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340)은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접촉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1 돌출부(330)와 제2 돌출부(350)는 트랙 레일(400)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전극(320)과 제1 돌출부(330)가 어댑터 바디(310)의 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전극(340)과 제2 돌출부(350)가 어댑터 바디(310)의 좌우측 중 타측에 위치하더라도,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바디(310)의 일측에 마련된 구성들과 타측에 마련된 구성들이 동시에 최대 수축되어 어댑터 바디(310)의 내부로 최대 인입될 시, 상호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1 전극(320), 제2 전극(340), 제1 돌출부(330) 및 제2 돌출부(340)가 수축/이완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어댑터 바디(310)의 양 옆으로 짧게 돌출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현할 경우,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340)이 짧게 형성됨으로써 외부 공급 전원과의 접촉 불충분으로 인한 외부 공급 전원의 원활한 공급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고, 제1 돌출부(330)와 제2 돌출부(340)가 짧게 형성됨으로써 트랙 레일(400)과의 결합력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어댑터 바디(310)를 두껍게 만들어 내부 공간을 키움으로써 제1 전극(320), 제2 전극(340), 제1 돌출부(330) 및 제2 돌출부(340)가 수축/이완되는 범위를 제한받지 않고서도 충분히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방안은 전술한 트랙 레일(400)의 기성화된 여건을 감안하지 못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어, 두꺼워진 어댑터 바디(310)를 인입할 트랙 레일(400)을 별도로 제작해야 할 수도 있다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1 전극(320)과 제1 돌출부(330)가 최대 수축되어 인입되는 부분과, 제2 전극(340)과 제2 돌출부(350)가 최대 수축되어 인입되는 부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게 된다.
즉, 도 6의 중앙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어댑터 바디(310)를 기준으로 제1 전극(320)과 제1 돌출부(330)는 상대적으로 위쪽에 마련되고 제2 전극(340)과 제2 돌출부(350)는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마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320)가 제2 전극(340)와 어댑터 바디(310)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양자가 동시에 어댑터 바디(310)의 내부로 최대 인입되더라도 서로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제1 돌출부(330)도 마찬가지로 제2 돌출부(350)와 어댑터 바디(310)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양자가 동시에 어댑터 바디(310)의 내부로 최대 인입되더라도 서로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광원부 110 : 광원
130 : 방열팬 150 : 하우징
200 : 컨버터부 300 : 어댑터부
310 : 어댑터 바디 320 : 제1 전극
330 : 제1 돌출부 340 : 제2 전극
350 : 제2 돌출부 400 : 트랙 레일

Claims (10)

  1. 트랙 조명기구에 있어서,
    외부 공급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컨버터; 및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과 상기 광원의 하우징은 횡단면의 외주연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트랙 조명기구는,
    상기 트랙 조명기구가 트랙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트랙 레일 내의 전기선로에서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컨버터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트랙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랙 어댑터는,
    어댑터 바디;
    상기 어댑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양극과 상기 제1 전극의 연결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일측에 마련되되, 완충부재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랙 레일에 마련된 제1 홈에 끼움결합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어댑터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 공급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연결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타측에 마련되되, 완충부재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랙 레일에 마련된 제2 홈에 끼움결합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양자가 최대 수축되어 상기 어댑터 바디의 내부로 인입될 시, 상호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어댑터 바디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조명이 발광되는 상기 광원의 하면은,
    상기 광원의 하우징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공랭을 위한 공기 인입 유로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조명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과 연결되는 상기 광원의 하우징의 상부는,
    상기 컨버터의 하우징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랭을 위한 공기 인출 유로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조명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80005961U 2018-12-20 2018-12-20 트랙 조명기구 KR200491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61U KR200491134Y1 (ko) 2018-12-20 2018-12-20 트랙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61U KR200491134Y1 (ko) 2018-12-20 2018-12-20 트랙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134Y1 true KR200491134Y1 (ko) 2020-03-20

Family

ID=6994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961U KR200491134Y1 (ko) 2018-12-20 2018-12-20 트랙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3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048A (ja) * 2002-11-28 2004-06-2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照明ユニット及びled照明器具
JP2010251114A (ja) * 2009-04-15 2010-11-04 Stanley Electric Co Ltd 水冷式led照明装置
KR2015001054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알토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WO2017158789A1 (ja) * 2016-03-17 2017-09-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7174675A (ja) * 2016-03-24 2017-09-2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048A (ja) * 2002-11-28 2004-06-2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照明ユニット及びled照明器具
JP2010251114A (ja) * 2009-04-15 2010-11-04 Stanley Electric Co Ltd 水冷式led照明装置
KR2015001054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알토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575218B1 (ko) 2013-07-18 2015-12-11 주식회사 알토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WO2017158789A1 (ja) * 2016-03-17 2017-09-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7174675A (ja) * 2016-03-24 2017-09-2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9835B1 (en) Compact fluorescent luminaire
US9518723B2 (en) Lighting fixture extension
CN102333989B (zh) 用于光发射器的可定向的磁性支架,光源,基座和照明系统
US20060274531A1 (en) LED luminaire and arrangement comprising a luminaire body and an LED operating device
US5434762A (en) Compact fluorescent luminaire
KR101764056B1 (ko) 조명장치
CN102042498B (zh) 灯具
RU2531367C2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прожектор
WO2015109959A1 (zh) 光向调整装置
KR100956865B1 (ko) 슬라이드 가압패킹식 리니어 조명장치
CN104235756A (zh) 透镜以及具有该透镜的照明装置
KR101635767B1 (ko) 빛 반경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 편의를 향상한 빛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led 가로등, 보안등, 터널 등과 같은 발광 다이오드 조명 모듈 및 이의 빛 공해 방지 방법
KR200491134Y1 (ko) 트랙 조명기구
KR200492375Y1 (ko) 트랙 조명기구
US9631796B2 (en) Illumination unit for medical use and illumination device for medical use
KR101425160B1 (ko) 엘이디 조명기구
KR200456372Y1 (ko) 조명기구의 커버 프레임장치
KR101697420B1 (ko) 조명장치
KR101324643B1 (ko) 조향각 가변형 조명장치
RU2669387C2 (ru) Модуль светодиодного прожектора общего назначения и многомодуль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прожектор
KR200480026Y1 (ko) 절연 베리어를 갖는 led램프 어셈블리
KR101325098B1 (ko) 조명유닛
KR101202264B1 (ko) 조립식 조명장치
USRE37310E1 (en) Compact fluorescent luminaire
CN210398531U (zh) 一种影视和舞台照明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