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16Y1 -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 - Google Patents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016Y1 KR200491016Y1 KR2020180000388U KR20180000388U KR200491016Y1 KR 200491016 Y1 KR200491016 Y1 KR 200491016Y1 KR 2020180000388 U KR2020180000388 U KR 2020180000388U KR 20180000388 U KR20180000388 U KR 20180000388U KR 200491016 Y1 KR200491016 Y1 KR 2004910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ap body
- cap
- cover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마감 캡의 캡몸체가 단자대에 복수개 구비된 단자부 각각의 상단 돌출부를 덮어 보호하기 때문에 노출된 단자부 상단 돌출부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어 돌출부를 통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단자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개 단자부 각각의 상부가 차단됨에 따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과정 중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단자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쇼트와 같은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몸체 상단에 구비된 식별부에 의해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와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해체가 금지된 단자를 쉽게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 단자부가 구비된 단자대 각각의 단자부 상부를 덮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단자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 연결과정에서 단자부와 단자부간의 쇼트를 방지함은 물론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부와 케이블과 단자부의 접속을 해체가 금지된 단자부를 쉽게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이나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기기기에는 복수개 단자부를 갖는 단자대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종래 단자대는 단자부가 일렬로 배열된 단층단자대와 접속부가 복층으로 배열된 복층단자대로 구분되는 바, 근자들어서는 전기기기에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의 전선접속을 위해 복층 단자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케이블이 양방향으로 연결되는 단자대와, 단자대 상부에 구비되되 1열 또는 2열로 배열되는 복수개 단자부와, 복수개 단자부 각각에 구비되어 복수개 단자부에 케이블을 접속시켜 고정하는 접속볼트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볼트를 풀어 케이블을 단자부에 끼워 연결한 상태에서 풀어진 접속볼트를 조여 케이블과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단자대는 단자부와 단자대가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자대에 각각 구비되는 접속단자부에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접속단자부와 전선이 서로 접촉되거나 또는 전선의 연결과정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단자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금속물체가 단자부에 떨어지게 되어 쇼트와 같은 전기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자대에 단자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케이블 연결작업을 진행하는 단자부와 케이블 연결작업이 불필요한 단자부 및 케이블이 연결된 단자부를 외부에서 쉽게 구분할 수 없어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복수개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중 단자부로부터 해체가 금지된 단자부를 작업자가 식별할 수 없어 단자부와 케이블과의 연결작업이 어렵고 해체가 금지된 단자부를 해체함에 따라 전기적인 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31096호인 단자블록의 커버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분전반에 배치되는 단자블록의 입력단자를 덮는 직사각형의 덮개판과, 단자블록의 출력단자를 덮는 개폐판으로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판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 ㄱ 자형의 경첩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판의 좌우 상단부에 형성된 경첩핀을 상기 덮개판의 경첩고리에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커버의 덮개판을 단자블록의 입력단자의 전면에 부착하면 개폐판이 단자블록의 출력단자를 덮으며 커버에 의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보호되도록 하고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 20-0148677호인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커버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케이스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 커버의 몸체의 양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케이스에 단자 커버 몸체를 고정하는 결합홈을 형성 하여 측면에서 단자 커버 몸체가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단자 커버의 몸체의 상부에 너트홈을 형성하여 단자를 볼트와 함께 결합시키는 너트를 단자 커버 몸체의 상측에서 조립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자 커버를 케이스에 결합할 때, 케이스를 뒤집은 상태에서 조립하지 않고 측면에서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하나의 커버에 의해 복수개 단자부가 전체적으로 덮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연결대기 상태인 단자부이거나 또는 해체금지인 단자부를 구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은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단자부와 커버를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조여 고정하기 때문에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 접속할 때 마다 일일이 체결수단을 풀거나 조여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하나의 커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커버를 분리할 경우 복수개 단자부가 모두 노출되어 공구나 주위의 금속물체가 접촉되어 쇼트와 같은 전기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단자부 각각을 덮어 보호하는 캡에 의해 케이블을 연결하기 전 작업대기 상태인 단자부와 해체금지인 단자부를 외부에서 쉽고 용이하게 작업자가 식별하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단자부에 캡이 각각 덮어짐에 따라 단자부 노출을 미연에 방지하며 캡과 단자부의 연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단자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 연결과정에서 단자와 단자간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은, 상부에 복수개 구비되되 돌출부가 각각 상부에 구비되는 단자부를 갖는 단자대의 단자부를 덮어주는 캡몸체를 갖는 캡에 있어서, 캡몸체는, 상기 단자부 상단에 구비되는 돌출부에 끼워져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단턱부와; 상기 걸림단턱부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밀착부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밀착부가 끼워져 밀착된 상기 돌출부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부와; 작업대기중인 단자부와 해체금지인 단자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캡몸체 상단 표면에 구비되는 식별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보강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부의 돌출부에 상기 캡몸체를 쉽고 용이하게 덮어 끼워주거나 상기 단자부의 돌출부에 덮어진 캡몸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상기 캡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안전 마감 캡의 캡몸체가 단자대에 복수개 구비된 단자부 각각의 상단 돌출부를 덮어 보호하기 때문에 노출된 단자부 상단 돌출부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어 돌출부를 통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단자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개 단자부 각각의 상부가 차단됨에 따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과정 중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단자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쇼트와 같은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몸체 상단에 구비된 식별부에 의해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와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해체가 금지된 단자를 쉽게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을 단자부에 끼우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을 단자부에 끼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을 단자부에 끼운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의 일예가 단자부에 끼워진 상태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의 다른 예가 단자부에 끼워진 상태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을 단자부에 끼우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을 단자부에 끼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을 단자부에 끼운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의 일예가 단자부에 끼워진 상태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의 다른 예가 단자부에 끼워진 상태의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에 복수개 구비되되 돌출부(1)가 각각 상부에 구비되는 단자부(2)를 갖는 단자대(3)의 단자부(2)를 덮어주는 캡몸체를 갖는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캡몸체(10)의 재질은 단자부(2)의 노출된 돌출부(1)에 쉽게 끼워 밀착시키기 위해 연질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캡몸체(10)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케이블이 연결된 단자부와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부 및 케이블 해체가 금지된 단자부를 캡몸체(10)의 색상별로 구분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캡몸체(10)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에 따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없이 단자부(2)의 노출된 돌출부(1)에 쉽고 용이하게 끼워 단자부(2)의 노출된 돌출부(1)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캡몸체(10)는, 상기 단자부(2) 상단에 구비되는 돌출부(1)에 끼워져 밀착되는 밀착부(12)와, 상기 밀착부(12)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단턱부(13)와, 상기 걸림단턱부(13)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밀착부(12)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보강부(14)와, 상기 보강부(14)의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밀착부(12)가 끼워져 밀착된 상기 돌출부(1)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부(15)와, 작업대기중인 단자부와 해체금지인 단자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캡몸체(10) 상단 표면에 구비되는 식별부(1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캡몸체(10)의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필요에 따라 캡몸체(1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2) 상단에 구비되는 돌출부(1) 상단 내측에 밀착부(12)의 외면이 끼워지는 것으로, 이 때 밀착부(12)의 내면이 돌출부(1) 외면에 끼워지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걸림단턱부(13)는, 작업자가 캡몸체(10)를 쉽고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걸림단턱부(13)를 양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부(2) 상단에 구비되는 돌출부(1)에 끼워줄 뿐만 아니라, 돌출부(1)에 끼워진 캡몸체(10)를 돌출부(1)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걸림단턱부(13)에 손가락을 걸어 분리하면 된다.
상기 보강부(14)는, 상기 밀착부(12)로부터 연장되는 걸림단턱부(13)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보강부(14)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밀착부(12)가 단자부(2)의 돌출부(1)에 끼우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밀착부(12)가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덮개부(15)는, 상기 캡몸체(10)의 밀착부(12)가 단자부(2)의 돌출부(1)에 끼워지면 상기 돌출부(1)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덮개부(15)가 돌출부(1) 상부측에 위치됨에 따라 돌출부(1)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돌출부(1)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식별부(16)는, 예를 들어 식별문자가 인쇄된 스티커 또는 상기 캡몸체(10) 상단에 직접 인쇄된 식별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식별부(16)에 의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고 간단하게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와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해체가 금지된 단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별부(16)에 인쇄되는 식별문자는, 예를 들어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를 표시하는 '작업대기'문자와,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해체가 금지된 단자를 표시하는 '해체금지'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캡몸체(10)의 밀착부(2)에 의해 작업자가 단자부(2)의 돌출부(1)에 캡몸체(10)를 쉽고 용이하게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덮개부(15)에 의해 단자부(2) 상단 돌출부(1)를 덮어 보호하기 때문에 노출된 단자부(2) 상단 돌출부(1)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단자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과정 중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복수개 단자부 각각에 돌출된 돌출부(1)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쇼트와 같은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캡몸체(10) 상단에 구비된 식별부(16)에 의해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와 케이블과 단자간의 접속 해체가 금지된 단자를 쉽게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캡몸체(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부(1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부(2)의 돌출부(1)에 상기 캡몸체(10)를 쉽고 용이하게 덮어 끼워주거나 상기 단자부(2)의 돌출부(1)에 덮어진 캡몸체(10)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캡몸체 12 : 밀착부
13 : 걸림단턱부 14 : 보강부
15 : 덮개부 16 : 식별부
20 : 파지부
13 : 걸림단턱부 14 : 보강부
15 : 덮개부 16 : 식별부
20 : 파지부
Claims (2)
- 상부에 복수개 구비되되 돌출부(1)가 각각 상부에 구비되는 단자부(2)를 갖는 단자대(3)의 단자부(2)를 덮어주는 캡몸체를 갖는 캡에 있어서,
캡몸체(10)는,
상기 단자부(2) 상단에 구비되는 돌출부(1)에 끼워져 밀착되는 밀착부(12)와;
상기 밀착부(12)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단턱부(13)와;
상기 걸림단턱부(13)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밀착부(12)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보강부(14)와;
상기 보강부(14)의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밀착부(12)가 끼워져 밀착된 상기 돌출부(1)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부(15)와;
작업대기중인 단자부와 해체금지인 단자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캡몸체(10) 상단 표면에 구비되는 식별부(1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1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부(2)의 돌출부(1)에 상기 캡몸체(10)를 쉽고 용이하게 덮어 끼워주거나 상기 단자부(2)의 돌출부(1)에 덮어진 캡몸체(10)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상기 캡몸체(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388U KR200491016Y1 (ko) | 2018-01-25 | 2018-01-25 |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388U KR200491016Y1 (ko) | 2018-01-25 | 2018-01-25 |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962U KR20190001962U (ko) | 2019-08-02 |
KR200491016Y1 true KR200491016Y1 (ko) | 2020-02-06 |
Family
ID=6758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0388U KR200491016Y1 (ko) | 2018-01-25 | 2018-01-25 |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016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7849Y1 (ko) * | 2005-11-14 | 2006-02-03 | 세방전지주식회사 | 자동차용 축전지의 단자 보호용 캡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64302A (ja) * | 1994-08-17 | 1996-03-08 | Nikon Corp | 入出力端子用キャップ |
KR970047282U (ko) * | 1995-12-29 | 1997-07-31 | 밧데리 단자의 캡겸용 케이블 단자 홀더 | |
KR200148677Y1 (ko) | 1996-12-24 | 1999-06-15 | 이종수 |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커버 |
KR200431096Y1 (ko) | 2006-09-05 | 2006-11-14 | 만 석 김 | 단자블록의 커버장치 |
-
2018
- 2018-01-25 KR KR2020180000388U patent/KR20049101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7849Y1 (ko) * | 2005-11-14 | 2006-02-03 | 세방전지주식회사 | 자동차용 축전지의 단자 보호용 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962U (ko) | 2019-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077831A1 (en) | Electrical-machine housing and power converter | |
JP7005787B2 (ja) | 電気機器 | |
KR102252813B1 (ko) | 컷아웃스위치 커버장치 | |
KR102399621B1 (ko) | 배터리 시스템 | |
KR200491016Y1 (ko) | 단자대용 안전 마감 캡 | |
KR20240109958A (ko) | 전선용 표지판 | |
KR101750958B1 (ko) |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 |
KR200494992Y1 (ko) | 전기 케이블 보호관의 체결구조 | |
EP2187413B1 (en) | Grip type switch device and controller for industrial machinery using the switch device | |
CN104919561A (zh) | 安全切换装置 | |
KR101868322B1 (ko) |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 |
US20190267588A1 (en) | Vehicular power source device equipped with service plug protection cover | |
EP3852126B1 (en) | Cover | |
US20210126396A1 (en) | Field device with electronic module including cover | |
KR20240022704A (ko) | 볼트용 캡 | |
US12003064B2 (en) | Electronic part with integrated fuse | |
KR102063406B1 (ko) | 터미널 단자볼트 안정 체결장치 | |
US20040188127A1 (en) |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 |
WO2016203589A1 (ja) | 接続構造および接続部保護部材 | |
JP2022112154A (ja) | 養生具及び養生方法 | |
JP4626262B2 (ja) | 直流安定化電源 | |
CN114747129A (zh) | 电力转换装置 | |
JP2021125429A (ja) | バッテリパックのインターロック構造 | |
JP6710956B2 (ja) | 端子カバーおよび試験方法 | |
KR20240065540A (ko) | 배터리 퓨즈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